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 실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한보라,권미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2 No.4

        The Nuri curriculum assures that young children can participate in the outdoor activity for longer than one hour. In this situation, with the purpose of looking into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 the outdoor activity and how it is used, this study investigated, through a questionnaire of 183 respondents, kindergart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 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t of playing outside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was not under question; however teachers had a difficult time using the outdoor playground. 2) In the actual condition of a outdoor activity, 11%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surprisingly, that they do not have an outdoor playground. Therefore, for putting into practice an outdoor activity for the Nnuri curriculum, teachers have to change their recognitions of load, as related to an outdoor playground. In addition various methods of instruction are necessary for opening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ng an outdoor activity. 현행 누리과정은 바깥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하루에 1시간 이상의 바깥놀이를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교사들은 바깥놀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활용 실태는 어떠한가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B시에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8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 이해와 적정수준에서는 누리과정의 이해가 아직 미흡한 수준이었으며, 교사들 89.6% 이상이 바깥놀이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안전문제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로 바깥놀이 시설 현황 및 활용 실태에 대한 결과로는 바깥놀이 공간이 없는 경우가 4.9%였고, 바깥놀이는 운동놀이영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리과정을 토대로 한 바깥놀이 운영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바깥놀이는 활동 후 남은 시간이나 점심시간 이후가 가장 많이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깥놀이는 다른 활동 준비 업무로 방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과 활동 부재가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누리과정의 바깥놀이가 현상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부담에 대한 인식 변화와 바깥놀이 실천 가능성을 열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경제교육 교재의 내용구성 및 활용실태

        한보라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8 사회과수업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utilization of textbook for social economy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social economy education. In recent years, ‘Social Econom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nd various local governments and regional education offices are developing textbooks and educational projects. The contents of the social economy education textbook were analy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xtbook developed jointly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analysis criteria were divided into three components: knowledge, function, and value and attitude. The analysis of the use of textbook was conducted by two methods of online questionnaire and focus interview. The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four post - school cooperative schools in Seoul in 2017 and two textbook writ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xtbook emphasizes values and attitudes related to social economy such as empathy and sharing, cooperation, and reciprocity considering students'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allow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like cooperatives, And that it is composed of the workbook format of the participatory class, which is the center of the stud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tilization of the textbook, it is found that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he textbook of social economy education is low, and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teachers to be further instructed besides the textbook, the distribution of the textbook.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경제교육 교재의 내용구성과 활용실태를 분석하여 사회적경제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최근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가 주목을 받으면서 서울시를 비롯한 다양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교육청에서 관련 교재 개발 및 교육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사회적경제교육 교재의 내용구성은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초등학생용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식, 기능, 가치·태도의 3개 요소로 나누어 분석준거를 설정하였다. 교재의 활용실태 분석은 온라인 설문과 초점면접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였으며, 각각 2017년 서울시 방과후학교 협동조합 시범학교 4개교에 근무하는 초등 교사와 해당 교재의 집필진 2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교재는 공감과 나눔, 협동, 호혜 등의 사회적경제 관련 가치·태도를 강조하고, 학생들이 협동조합과 같은 사회적경제 조직에 참여하도록 하며, 물질만능주의적 가치관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발전을 추구하도록 하고 있었다. 교재의 활용실태는 사회적경제교육 교재의 인지도 및 활용도가 저조한 수준이고, 그 원인이 교과 진도와 평가, 학교 행사 등으로 인하여 교사가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 원활하지 못한 교재의 배부, 교사 연수 등의 제도 부족에 있었다. 시사점으로는 사회적경제교육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하며, 교사 개인이나 학교 단위를 넘어서는 제도적인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무용 교육에서 케어링 분위기 개념 구조 탐색

        한보라,송미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케어링 분위기의 개념을 탐색하고 구조화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Noddings의 케어링 개념을 바탕으로 무용 교육 상황에서 무용 교사와 초등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케어링 분위기가 각각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10명의 무용 교사와 21명의 초등학생이었다. 자료들은 개방형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거쳐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전문가 회의를 통해 귀납적 범주화 과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교사로부터 총 167개의 원자료가 수집되었고, 34개의 항목으로 세분화되었다. 세분화된 항목들은 ‘칭찬’, ‘유능감 지지’, ‘관심’, ‘소통’, ‘이해’, ‘존중’, ‘열정’, ‘흥미유발 및 재미’, ‘도움’, 총 9개 요소로 명명되었다. 둘째, 초등학생들로부터 132개의 원자료가 도출되었고, 32개의 항목으로 세분화되었다. 세분화된 항목들은 ‘칭찬’, ‘유능감지지’, ‘스킨십’, ‘관심’, ‘소통’, ‘이해’, ‘공정성’, ‘열정’, ‘흥미유발 및 재미’. ‘친절’, ‘도움’, 총 12개 요소로 명명 되었다. 셋째, 무용 교사와 초등학생들에게 도출된 요소들은 각각 빈도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초등학생 집단에서만 스킨십, 공정성, 친절 요소가 탐색되어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무용 현장에서 적합한 케어링 분위기 연구를 위한 시발점일 뿐만 아니라, 향후 무용 교육에서 케어링 분위기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증과 양적 연구가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ual structure of caring climate in dance education. Based on Noddings’ caring concept, this study was focused on what features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perceived caring climate have, respectively. Participants were 10 dance instructors and 21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and inductively categorized through a review by a panel of experts. The outcomes were as follows. First, 167 raw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structor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34 items. The 34 items were categorized into nine components, and labeled as praise, fostering competency, familiarity, interaction, understanding, respect, passion, arousing interest, and helping. Second, 132 raw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tudent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32 items. The 32 items were categorized into 12 components, and labeled as praise, fostering competency, skinship, familiarity, interaction, understanding, fairness, passion, arousing interest, fun, kindness, and helping. Third, the categories of caring climate which were found only from the students were skinship, fairness, and kindnes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trigger the research of caring climate in dance education field. Furthermore, it would be great if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research of caring climate in dance could be followed up in the future.

      • KCI등재

        Small-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A Rare Case Report

        한보라,서윤진,오규희,류가람,마건영,김기현,노명균,주영은 대한소화기학회 202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81 No.3

        Neuroendocrine carcinoma (NEC) arising from the extrahepatic bile duct is extremely rare and commonly mistaken for cholangiocarcinoma. Therefore, NEC of the bile duct is difficult to diagnose preoperatively. Previously reported cases were resected with a diagnosis of cholangiocarcinoma and diagnosed with NEC after surgery. This paper reports an 84-year-old female with small-cell NEC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confirmed by a biopsy from an ERCP,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Contrast-enhanced abdomen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revealed an approximately 1.7 cm enhancing intraductal mass in the proximal common bile duct with dilatation of the upstream bile duct. ERCP showed a long strictured segment in the proximal common bile duct with bile duct dilatation. A biopsy was performed at the site of the stricture. Histological examinations and hematoxylin–eosin staining showed the solid proliferation of small tumor cells with irregularly shaped hyperchromatic nuclei.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s showed that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CD56 and synaptophysin. Small-cell NEC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was confirmed based on the histology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The patient and their family denied treatment because of the patient’s old age.

      • KCI등재

        AI와 웹툰 창작자의 미래 상생 방향

        한보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9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webtoon artists to survive in the future era of AI commercialization. It explores the current and future use of AI in webtoons, and predicts the role of artists in the future webtoon industry. The study finds that AI will replace human workers in some areas, but human empathy-related fields can be sustained. Artist roles like story projectors, Visual directors, and AI editor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models for the changing role of artists. To address terminology ambiguity, a three-step AI categorization mechanical type AI, humanoid type AI, and transcendent type AI was proposed for a more realistic separation of AI capabilitie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se findings as guidelines for developing skills in emerging artists or re-skilling existing ones, emphasizing collaboration with AI for mutual growth rather than a negative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본 연구는 새로이 재편되는 AI 상용 미래 시대에서 웹툰 작가가 창작자로서 직업적 계보를 존속시키기 위해 어떠한 역량이 요구될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생성형 AI의 기술 발달이 어떻게 이뤄질지 알아보고, 그 시점에서 창작자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되어 갈 것인지에 대해, 웹툰의 실례로 현재와 미래의 AI 기술력과 웹툰의 활용 현황에 대해 각각 알아보고 미래 변화될 웹툰계의 생태 속에서 요구될 작가의 역할에 대해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미래 AI 는 자립적인 존재로 인간과 협업이 가능한 수준으로 인간 작업자를 대체할 것으로 예측됐으며, 그 한계점 역시 드러나, 물리적 기술 측면에서는 AI가 대체할 수 있으나, 인간 공감형 분야만큼은존속시킬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스토리 기획자, 시각 연출가, AI 편집자라는 창의적인 영역이 창작자의 역할 모형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현시점에서의 모호한 용어 정의로 인한 혼란을 해소하고자 AI 3단계 단계별 모형으로 기계형, 인간형, 초월형으로 보다 현실적으로 분리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앞으로 유입될 신진 창작자나 기존의 창작자들의 재 역량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새로운 기술인 AI에 대한 부정 수용보다는 협업을 통한 상생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기조절전략교수를 활용한 이야기글 작문 지도가 지적장애학생의 쓰기 흥미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보라(Bora Han),이정은(Chung Eun Lee)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자기조절전략교수를 활용한 이야기글 작문 지도가 지적장애학생의 쓰기 흥미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M군 소재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지적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를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총 14회기로 이루어졌으며 자기조절 전략을 기반한 ‘아채쓰읽자’ 전략을 사용하였다. 쓰기 흥미는 사전-사후 분석으로, 쓰기 능력은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자기조절전략을 활용한 이야기글 작문 지도는 지적장애 학생의 쓰기 흥미에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야기글에 포함한 구성요소 수와 어절 수, 어휘 수, 중복 단어를 제외한 어휘 수를 증가시켰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장 쓰기 교수에의 제언 및 후속 연구에서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narrative composition writing instruction using a self-regulated strategy on the writing interests and writ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a single-subject study design was conducted with thre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se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upp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room located in the M city of Jeollanam-do.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4 sessions, using ‘ahchaesseu-ilgja’ strategies based on self-regulated strategies. Writing interests were assessed by a pre-post design, and writing performance was assessed by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As a result, the narrative writing instruction using the self-regulated strategie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ir writing interests. In addition, the number of story elements, the number of words, the number of vocabulary words, and the number of words and vocabulary words excluding overlapping word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lso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in writing instruc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메타버스 시대에서의 웹툰의 상생방향

        한보라(Bo-Ra Han),권영희(Young-Hee Kw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6

        본 논문에서는 제한적이고 고정된 스토리와 환경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웹툰이 현 시대의 요구에 충족할 수 있는 메타버스의 실현이 가능할 수 있는지, 가능하다면 그 한계점은 어디까지인지, 그리고 메타버스와 웹툰의 접목을 시도해 이용자 니즈에 맞는 양방향적인 현실대입이 가능한 완성된 메타버스로의 실현성과 방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용자의 니즈를 중심축으로 설정하여 향후 메타버스와 웹툰시장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는 모형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메타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 메타버스와 웹툰의 접목 사례를 분석하며 이용자 니즈 중심의 메타버스와 웹툰의 접목에 대해 예측,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sed about to feasiblity of metaverse what it can be grantify the need of the current generation even though webtoon have limited environment and fixed story and if it possible, whether to some extent it possible. This study have direction it was set the needs of users centrically and was purposed to found a model for invigoration of webtoon market in metaverse to come. For this study,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etaverse, precedent study about metaverse and than analyzed it about based on grafted cases of metaverse and webto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