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임교사의 사회수업 이야기 -소수자수업을 중심으로-

        신봄빛나래,심한결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5 한국사회과수업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5

        학부시절 ‘사회과수업이 가장 힘들다’며 푸념하는 다른 과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사회심화과정’전공이라는 자만감내지 안도감으로 묘한 뿌듯함을 느꼈다. 그러나 이러한 나의 자만심은 학교에 발령을 받은 후 급속도로 깨지고 말았다. 나 역시‘사회수업이 가장 어렵구 나!’를 연신 체감해야만 했기 때문이다. 나는 사회수업의 어려움을 체감함과 동시에‘과연 이렇 게 사회수업을 해도 되는 것일까? 나름 학부 4년 동안 사회과교육 전공자로서 관련 심화과정 강의를 들었으며 적지 않은 내용을 배우고 고민한 바 있는데...’라는 자책 섞인 두려움 또한 느껴야만 했다. 이러한 와중에 나는 사회과수업에서도 다루기 쉽지 않은 주제 중 하나인 소수자수업과 맞닥 뜨렸다. 바쁘다는 핑계로 스스로를 위안하며, 나는‘어떻게 소수자를 가르쳐야 할까?’란 고민보 다는 ‘어떻게 미리 만들어 놓은 좋은 자료를 구할까?’라는 계책만 궁리했다. 여러 사이트에서 얻은 ‘이미 잘 만들어진 자료’를 아이들에게 소개하며 나의 영혼(?)없는 ‘소수자’수업은 무사히 그리고 빠르게 지나갔다. 그러나 그러한 수업을 하는 내내 그리고 종이 친 후에도 나는‘소수 자를 이렇게 가르쳐도 되는 것일까? 나는 아이들에게 유의미한 울림을 단 하나라도 주었는 가?... 이건 결코 내가 꿈꿨던 좋은 수업이 아닌데...’ 라는 자책감과 반성에 빠졌다.

      • KCI등재후보

        시스템사고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 방안 모색

        이경윤(Lee, Kyung Yoon),조의호(Jo, Eui Ho),한춘희(Han, Choon Hee)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 사회과에서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합리적 시민성의 함양을 목표로 하였지만, 복잡한 문제의 변수 사이의 순환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시스템사고에 주목하였다. 시스템사고를 통해 사회 문제에 관여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문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시스템사고의 의미와 방법을 알아보고, 시스템사고를 적용한 초등사회과 수업모델을 제시하였다. 시스템사고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 단계는 ‘문제 확인 -> 기본 지식 습득 -> 시스템모델 설계 -> 시스템모델 검토 -> 해결책 제안 및 실행, 반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델을 적용하여 성취기준 [6사08-05]가 구현된 초등 6-2 교과서 2단원 내용 중 지구촌 환경 문제의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4차시 분량에 해당하는 부분을 재구성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Social Studies have so far aimed at cultivating rational citizenship, but there was a limit to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complex problems and specifically suggesting solutions.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system thinkings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solving this problem. Students can understand the problem in depth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social problems through systems thinking and find a problem-solving method based on thi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method of systems think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model applied with systems thinking was presented. The social studies class stage applying systems thinking is confirmation of problems ->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 system model design -> review of system model -> suggestion,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solutions . The instructional lessons applying this model in this study correspond to the 15-17th session of Unit 2 of the elementary 6-2 textbook. In this study, by applying this model,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4th hour of searching for solutions to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was reconstructed from the contents of the second part of the 6-2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where the achievement standard [6S08-05] was realized.

      • HAL을 활용한 사회과 수업 개선 방안 -초등사회과 4학년 소단원「사회의 다양성과 소수자의 권리」지도안을 사례로-

        이정희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사회과수업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초등사회과 수업계획 단계에서 수업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단원 수준의 사회과 지도안을 HAL(Holistic Analysis of Lessons)을 활용하여 분석한 후 과제를 추출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수업계획 단계 에서의 반성적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학생의 사회인식 변용을 위해 사회과 수업 계획 단계 에서 고려해야할 수업 개선 포인트로 소단원 전체의 교수 학습 과정의 조직화, 학생 실태나 대체적 개념틀의 반영, 교사의 개념틀과 지식의 구조를 명시화 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그러 나 본고에서 개선안으로 제안한 지도안은 수업이 개발된 지역과 다른 지역의 학생 실태 조 사 결과를 토대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개선의 포인트를 고려하여, 수업을 실천할 학교나 학급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계획할 필요가 있 을 것이다.

      • 통섭적 경제수업 방안 탐색

        윤상균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5 사회과수업연구 Vol.3 No.2

        복잡하고 급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경제현상을 이해하고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 하여 경제교육은 기존의 분과적 접근보다 타 영역과의 접목을 통한 통섭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과학적 방법과 과학의 개념 및 이론을 활용하는 통섭적 경제수업을 구 상하였다. 수업 내용으로 경제적 인간의 본성과 합리적 의사결정을 과학의 개념과 이론으로 조명하였다.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이타적이고 제한된 합리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합리적 의사결정은 최소 비용을 통한 최대 이익(만족)을 추구하는 단순한 비용-편익 분석에 그치지 않고, 위험에 대한 안전의 차원에서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 수업 방 법으로는 실험과 토론의 통섭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실험은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사회 과의 주제를 다룰 수 있고, 토론은 사회과의 방법에 자연과학의 개념과 이론을 담을 수 있는 통섭적 특징을 지닌다. 이와 같은 내용과 방법을 토대로 경제적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실험 수 업과 합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토론 수업을 계획하였다. 여기서 인간의 본성은 선험적으로 수 용해야 할 공리에서, 현실적인 검증을 거쳐야 하는 가설로서 다루어진다. 또한 합리적 의사 결정은 단순한 비용-편익 계산보다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지닌 것으 로 인식된다. 이와 같은 통섭적 경제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경제현상을 보다 넓은 눈으로 바 라보고, 경제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 컨설팅 방향

        문종국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한국사회과수업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학교 컨설팅, 컨설팅 장학, 수업 컨설팅, 이 용어들은 각각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교원들 의 전문성 계발을 위한 자발적 노력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학교 컨설팅은 학교의 자생적 활력 함양과 학교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단위 학교와 학교 체제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교육 체제 내외 전문가들이, 문제와 과제의 해 결을 도와주는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컨설팅 장학은 학교 컨설팅의 의미와 원리, 방법을 장학에 적용한 것으로, 교원의 자발적 의 뢰를 바탕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해 교내외의 전문성을 가춘 사람들이 제공하는 조 언 활동이다. 이때의 교원의 전문성은 교과 지도, 생활 및 진로 지도, 학급 운영 등과 관련된 것으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 수업 비평 경험을 통한 사회과 교사의 수업 이해 양상 변화

        허수미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사회과수업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을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인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 주목하는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수업 비평이 갖는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사회과 수 업의 질적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 교육계가 비평을 통한 수업이 해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 기존의 수업 평가 방법을 비평이 대신할 때의 유용성을 파악해보 았으며, 수업 비평의 경험이 사회과 교사들의 교과관, 수업 이해의 관점, 수업 관찰의 주안점 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업비평을 통 해 교사들은 첫째, 수업의 전체적인 맥락 파악과 의미있는 수업장면의 발견에 주목하게 된 다. 둘째, 수업의 내용 지식, 기법, 절차보다는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학생의 반응과 변 화에 주목하게 되며 교사의 교과관과 수업관에 대한 반성을 경험하게 된다. 셋째, 수업 구조 화의 핵심이 수업내용이 아닌 문화적 스크립트 형성에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수 업 비평이 학교 현장에서 단순히 수업을 평가하는 방법을 변화시키는 차원이 아니라 수업의 본질적 의미와 교사의 수업관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사회과 수업에서의 갈등해결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이지혜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4 사회과수업연구 Vol.2 No.1

        갈등문제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건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은 시민의 중 요한 능력이다. 따라서 민주시민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에서 갈등해결과 관련된 교육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사회과에서의 갈등해결에 관한 수업은 의사결정이나 논쟁문제 교육의 일환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해결과 밀접한 연관 이 있는 Oliver와 Shaver의 법리모형, Banks의 의사결정모형, Woolever와 Scott의 의사결정모형, Engle과 Ochoa의 의사결정모형, Stahl의 에피소드 의사결정 모형의 주요한 특징을 살펴보고 이 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과 수업에 활용 가능한 갈등해결 수업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 구에서 제시된 수업모형은 갈등해결에 이르는 전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화를 통한 합리 적 합의에 이를 수 있는 갈등해결 방법을 도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개인적 갈등문 제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갈등문제와 관련된 수업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 KCI등재후보

        교실 수업 상호작용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 방법: 사회과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전희옥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7 사회과수업연구 Vol.5 No.2

        Considering cultural diversity in instructional verbal․non-verbal language interaction, based on lesson plan in the social studies, was studied in this pap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in culturally diverse classrooms foster skill of lesson plan and maximize learning potential of all learners. In order to achieve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implications of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instructional verbal․non-verbal language interaction on the basis of the view 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quity pedagogy were discussed. Secondly, needs of teacher accountability for considering learner’s cultural diversity in instructional interaction were reviewed. The way of considering cultural diversity in instruction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ere introduced. Thirdly, direction for lesson planning with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classrooms interaction was presented. Fourthly, a lesson plan case for considering cultural diversity in instructional interaction was developed. Lastly, important thing is the competency of teachers for considering the culture and learning diversity of learners in the class interaction design.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have to get training to improve their competency and skill of considering cultural diversity in instructional interaction through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이 논문의 목적은 교실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는 방법에 대한 논리 검토를 바탕으로, 사회과 교실 수업 설계를 위한 사례를 개발하여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한국 학교 교실 수업에서 실질적인 평등교육 실현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실 수업 상호작용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다는 것은 교사가 수업을 설계․실행할 때 교사와 학습자 상호 간 구두 및 비-구두 언어 사용 방식에서 학습자의 문화와 학습 다양성을 수용하고 배려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다문화교육과 평등교육 관점에 대한 검토를 기초로 교실 수업 상호작용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의 목적과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교사 역할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교실 수업 상호작용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 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사회과 교실 수업 상호작용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 방법 탐색의 실제로서 수업 계획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문화적으로 다양한 교실 수업 상호작용에서 실질적 평등교육 실현을 위한 교사 역량과 이를 위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 이외에도, 권위주의적 교육․교실 구조 변화, 다양한 교실 수업에서 학습자의 잠재력 극대화에 기여하는 상호교수와 협력교사제 등의 제도화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엎드려 자는 아이들 일으키기: 배움의 공동체 수업 도전기

        윤상균(Yoon, Sang Kyoo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9 사회과수업연구 Vol.7 No.2

        요약 : 본 연구는 교사의 눈으로 바라본 수업 이야기이다. 수업시간에 엎드려 자는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이 문제에 대처하고자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교실에 적용하였다. 학생들을 ㄷ자 형으로 배치하고, 기본과제와 심화과제로 구성된 학습지를 제작하여 모둠별로 과제를 해결하고 발표하게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강의식 수업에서는 볼 수 없었던 눈에 띄는 변화가 관찰되었다. 서로 상호작용하고 협력하며 상의하는 소통이 발생하였다. 서로 돕고 배우는 모습이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학생들이 깨어서 수업에 임하였다. 그러나 긍정적인 변화의 모습이 충분하지는 않았다. 서로 돕지 않고 혼자 과제를 해결하거나 여전히 엎드려 있는 학생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둠원들 간의 수업과 관련 없는 이야기로 시끄러웠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업 모델의 원칙들을 변형하는 방식으로 대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처는 큰 효과가 없었고, 또한 변형된 수업이 과연 진정한 배움의 공동체 수업인가 하는 의문을 갖게 했다. 그리고 이러한 의문은 공동체적이지 못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떻게 서로 돕고 배우는 수업을 실현할 수 있을까라는 후속 과제를 남기게 되었고, 이에 대한 탐구의 방향으로 이기성과 이타성 너머의 제3의 영역을 설정하였다. This study is the lesson story from the teacher s eyes. As the number of students lying down in class increased, the learning community lesson was applied to the classroom to cope with this problem. Students were placed in the letter “ㄷ” and provided with a worksheet consisting of basic and advanced tasks to solve and present their work by group. As a result, noticeable changes were observed that were not seen in the existing lecture-style lessons. There was communication that interacted, cooperated and discussed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y helped and learned from each other. An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tudents woke up and took part in the class. But there was not enough positive change. Because, there were students who did not help each other, solved tasks alone, or were still lying down, and it was noisy with unrelated stories among the group member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inciples of the lesson model were modified. This response, however, did not have much effect, and l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modified lesson is really a learning community lesson. And these questions left the following task: how can we realize the lessons that help and learn from each other for non-community students? And the third area beyond selfishness and altruism was set as the direction of inquiry on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