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지각강도를 고려한 명승 구역설정에 관한 연구

        하태일,김충식,Ha, Tae-Il,Kim, Choong-Sik 국립문화재연구원 201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0 No.1

        본 연구는 경관적 가치와 조망여부를 정량적으로 다루는 시지각강도(視知覺强度)라는 지표를 도입하여 명승 지정구역 설정의 가능성과 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승 지정구역 설정을 위한 시지각강도 지표를 제시하였다. 조망지점에서 대상과의 거리, 입사각을 고려하여 시지각강도의 지표를 적용하였다. 또한 시지각강도 분석과정을 GIS로 구현하였으며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둘째, 누적가시도의 단순빈도와 시지각강도 결과를 비교하여 시지각강도의 가능성을 규명하였다. 시지각강도는 4.74km이내 지역에서 조망지점과 대상과의 거리보다는 입사각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시지각강도의 결과를 토대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사람의 시지각을 충분히 반영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제 시지각강도가 높은 지역이 현장조사를 통해서도 중요한 지역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기 지정된 명승에 경관 시지각강도를 도입하여 지정구역 조정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시지각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한 결과, 2등급 이상은 문화재 지정구역, 3등급은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으로 설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pplied the index called Visual Perception Intensity (VPI) which quantitatively deals with landscape values and viewpoints to designate the cultural heritage areas in the Scenic Sit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VPI selection index was presented for designating the cultural heritage areas in the Scenic Sites. The index wa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viewing point to the object and its incident angle. 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VPI analysis was implemented with GIS and the analysis algorithm was constructed. Second, the possibility of VPI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simple frequency of the cumulative visibility with the results of the VPI. The VPI was analyz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incidence angle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iewpoint and the object within a 4.74 km area. Third, a field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VPI classification. The survey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VPI to examine whether human visual perception was fully reflected.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field survey that an area with high VPI was also an important area. Fourth, a plan for the cultural heritage area adjustment wa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VPI to the areas already designated as Scenic Site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VPI into three classes, it was found that the areas with the second class or higher were needed to b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areas and the areas with the third class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Preservation Area.

      • KCI등재

        전통조경분야의 정원 명칭 사용에 대한 고찰

        하태일,권오영,김미희,김주범,안영태,진상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4 No.-

        정원(庭園)이라는 용어는 현재 학술용어로서 일상용어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 용어 는 19세기 후반에 일본인들이 서양의 ‘Garden’을 번역하여 만들어 낸 것이라는 것이 정설로 통용되어 왔다. 근래에 정원이라는 용어가 조선 왕조 시대에 사용되었다는 설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전통조경 분야에서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여부를 놓고 지금까지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문헌에서 정원과 관련된 용례의 기록을 살펴보고 이러한 용례가 어떠한 차이로 사용되었는가를 밝히고, 정원이라는 명칭을 전통조경에서 사용하 여도 적합한가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 문헌사료에 나와 있는 내용 중 정원과 관계된 용어의 용례, 차이 등을 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옛 기록에서 나타난 ‘정(庭)’, ‘원(園)’과 관련된 용어 는 정(庭), 원(園), 포(圃), 원(苑), 유(囿), 원유(園囿), 원림(園林), 정원(庭園) 등 총 8 가지의 용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용례의 쓰임은 다음과 같다. ① 정(庭)은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딸린 뜰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나무를 심거나 위 락행위가 일어나기도 했으며, 위치에 따라 전정(殿庭), 궁정(宮庭), 내정(內庭), 외정 (外庭), 문정(門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② 원(園)은 개인소유의 일정공간을 지칭하는 용어로써 그 안에서 위락활동이나 생 산활동을 했던 것으로 보이며 주로 가원(家園)이라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위치에 따 라 북원(北園), 후원(後園), 상원(上園), 서원(西園) 등으로 구분되며, 기능에 따라 과 원(果園), 화원(花園), 다원(茶園), 약원(藥園), 행원(杏園)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③ 포(圃)나 유(囿)는 채소밭이나 짐승을 키우는 곳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원(園)과 결합하여 원포(園圃), 원유(園囿) 등으로 구분된다. ④ 원림(園林)은 인공적인 조원행위에 의해 만들어진 곳이며 농업생산과 관련된 곳 이기도 하다. ⑤ 정원(庭園)은 고문헌에서 조선시대 숙종 때까지 그 용례를 찾기 힘들며 통용되어 사용된 용어로 보기엔 어렵다. 위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정원(庭園)이라는 용어는 실록에 일부 근거가 있으나 예부 터 일반적으로 사용된 용어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고문헌에서 볼 때, 주로 위치나 기능에 따라서 정(庭)과 원(園)을 구분해서 사용되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정원 (庭園)의 뜻과 유사하게 사용된 용례는 가원(家園)과 원림(園林)으로 볼 수 있다. Currently, the term ‘Jeong-Won’ is widely used as a common term. This term has been widely used with the established theory that it was created in the late 19th century by the Japanese from translating the word ‘garden’ in English. In recent years, a theory that the term ‘Jeong-Won’ was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as emerged. Meanwhile, in the traditional landscape field,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es until now on whether or not the term ‘Jeong-Won’ can be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rds of the examples related to ‘Jeong-Won’ in old literatures, to clarify in what ways these examples were used differently, and to investigate if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term ‘Jeong-Won’ in traditional landscape. In this study, we chose to analyze the aspects, such as the usage of, differences in, and etc., of the terms related to ‘Jeong-Won’ in primary literature material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Generally, ‘Jeong’ is a term that refers to the garden attached to a building. Sometimes, trees were planted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took place in this space. Depending on the location, it can be separated into ‘Jun-Jeong’, ‘Goong-Jeon’, ‘Nae-Jeon’, ‘Whae-Jeong’, ‘Moon-Jeong’, and etc. ‘Won’ is a term that refers to a certain place that is personally owned. It seems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production activities were held, and this space was mainly used in the term ‘Ga-Won’. This space can be separated into ‘Book-Won’, ‘Who-Won’, ‘Sang-Won’, ‘Seo-Won’, and etc. depending on the locations, and into ‘Gwa-Won’, ‘Hwa-Won’, ‘Da-Won’, “Yak-Won’, ‘Hang-Won’, and etc. depending on its functions. ‘Po’ or ‘Yu’ was used to describe a place for growing vegetables or raising animals, and combined with the term ‘Won’ it can be separated into ‘Won-Po’, ‘Won-Yu’, and etc. ‘Won-Rim’ is a place built artificially by landscape gardening activities and is also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ion. It is hard to find the examples of the term ‘Jeong-won’ in old literatures before the Sook-jong era of Joseon Dynasty, and it is hard to say that this was a term used commonly. There is some evidence in historical records of the term ‘Jeong-Won’,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is term has been commonly used since the old days. When examining the old literatures, ‘Jeong’ and ‘Won’ were used separately mainly depending on the locations and functions. The terms that were used similarly as the term ‘Jeong-Won’ we use right now are ‘Ga-Won’ and ‘Won-Rim’.

      • KCI등재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의 동선 변화에 관한 연구

        하태일,김충식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2

        Changdeokgung Rear Garden is an important place to show the essence of the garden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garden landscape experience, the restoration of the road completes the system of connecting the main spaces.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the road requires accurate understanding of its creation, extinction, and mainten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ail the changes in the path that occurred in the Changdeokgung Palace Rear Garde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by analyzing literature and drawing materials. For a time-series analysis, "Donggwoldo" and "Donggwoldohyeong" produced in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Changdeokgung Plan Drawing" produc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nd aerial photographs were used. Drawings and photographs of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were transformed into one coordinate system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rcGIS to compare changes in the movements of different peri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37 sections have been used since Japanese colonial era, of which 13 have been maintained, 14 have disappeared, and 10 have been newly established. Among the extinction sections, the road north of Neungheojeong Pavilion is considered to be an urgent place to connect the space to the garden and restore it to enjoy the scenery. In the new section, it seem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alternative road or shorten the section for the connecting section between Daebodan and Okryuche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biggest and most frequent changes to the road system in the garden were Japanese colonial era and renovations in the 1970s. It is worth noting the changes in the road since the 1970s, rather than Japanese colonial era, where it was difficult to manage the gardens independently. The access road to Okryucheon remained in its original shape until the 1990s, but it was renovated to its current shape due to misperception of the original shape. A project is needed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change in this period and restore the damaged original shape. The biggest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ed the changes in the garden path of Changdeokgung Pala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 biggest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ed the changes in the road of Changdeokgung Palace Rear Garden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clearly present the location and shape that should be restored because it has not found data on landscaping plans or maintenance. In order to restore the road using the data revealed in this study,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realistic problems such as current space utilization, viewing system, disaster prevention and maintenance. 창덕궁 후원은 조선시대 궁궐 정원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중요한 공간이다. 후원의 경관체험에 있어서 동선의 복원은 주요 공간을 연결하는 체계를 완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선의 복원을 위해서는 생성과 소멸, 유지 등을 정 확하게 파악해야한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서 근현대 시기까지 문헌과 도면자료 분석과 현장조사를 병행함으로써 창덕궁 후원에서 발생한 동선의 변화를 세밀하게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시계열적인 분석을 위해 조선시대 제작된 「동궐도」, 「동궐도형」와 함께 근현대시기 제작된 「창덕궁평면도」, 항공 사진을 사용하였다. 시대별 동선의 변화를 중첩하여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각기 다른 좌표체계로 이루어진 도면과 사 진을 지리정보시스템인 ArcGIS에서 하나의 좌표계로 변환하여 정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 이후 총 37개의 구간이 이용되었으며, 이 중에서 13개가 유지되고, 14개가 사라졌으며, 10개가 신설된 것을 확인하였다. 멸실구간 중에서도 능허정 북쪽 원로는 후원에 대한 공간을 연결하고 경관의 향유를 위해 시 급히 회복시켜야 할 곳으로 판단된다. 신설구간에서도 대보단지~옥류천 구간에 대해서는 대체동선의 신설이나 구간 의 단축 등을 통해서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후원에서 동선체계에 대한 변화가 가장 크고 빈번하게 시행된 것이 일제강점기와 1970년대 보수정화사업 이었음을 밝혔다. 후원에 대한 주체적 관리가 어려웠던 일제강점기보다 1970년대 이후 발생한 동선의 변화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옥류천 진입로는 1990년대까지 원형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잘못된 원형 인식으로 인해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이 시기의 변화에 대해 명확한 기제와 원인을 찾고, 훼손된 원형을 복원하기 위한 사업 의 전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근현대기 창덕궁 후원 동선 변화를 시대별로 밝혔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이다. 다만, 조경계획이나 정 비에 대한 자료를 찾지 못해 복원해야 할 위치와 형상을 명확하게 제시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자료 를 이용해서 동선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공간 이용도, 관람체계, 방재 및 유지관리 등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수사상 긴급체포 요건과 운용

        하태인(Ha, Tae-In) 한국형사법학회 2011 刑事法硏究 Vol.23 No.1

        Related to the seriousness of crimes and the United States or Britain, Germany and Japan compared to the arrest of the system that we have strict requirements. However,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to arrest without warrant an independent judicial review system in the absence of a requirement is reasonable strictness. Furthermore, the type of crime and punishment of the amount of each country as a result of the history and development should not be compared. Much of criminal charges and arrest warrants in relation to the urgent arrested on criminal charges in the same degree of reason must be substantial. But it can not see each other as equal. Another arrest warrant issued by the examination papers or in the case of an arrest warrant is a direct examination. This must be determined individually. Therefore, a significant reason why criminal charges in a different dimension is bound to be judged separately. Present themselves against a suspect arrested for solving urgent problems may emerge. In this case, was arrested by the urgency of the situation and arrested shall examine whether you meet the requirements. This should meet the requirements of arrested. And the attendance requirements of the voluntary investigation and criminal charges related to the needs of present worth is deemed to be the first. Failure to attend without justifiable reason, refuses this you have a concern that the arrest warrant should be seen and a great crime, and if there is enough time to get a warrant for arrest should be made imperative.

      • 배임죄의 본질과 타인의 사무 - 대법원 2017. 2. 3. 선고 2016도3674 판결 -

        하태인 ( Ha Tae-in ) 법조협회 2018 최신판례분석 Vol.67 No.1

        배임죄는 ‘타인의 사무처리 자’가 ‘임무를 위배’하였을 때 성립한다. ‘위배(違背)’라는 측면에서 신임관계를 전제로 할 수밖에 없다. 신임관계가 없는데 ‘임무위배’라는 것은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임죄의 본질은 신임관계를 전제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배임죄의 본질론이 곧바로 구성요건해석론이 될 수는 없다. 배임죄 본질론의 의미는 신임관계를 전제로 하지 않는 절도죄, 사기죄, 강도죄 등 다른 재산범죄와 관계와 구별 내지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질론이 곧 구성요건해석론이 될 수는 없으며, 서로 별개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즉 배임죄 본질이 신임관계 존재여부라면, 배임죄 구성요건해석론은 범죄성립과 관련되어 신임관계의 정도 문제이다. 따라서 배임죄의 성부는 신임관계 존부와 연결될 수밖에 없다. 신임관계는 법령, 계약 또는 법률행위, 사실행위에서 발생하지만 그 성격이 동일한 것은 아니다. 신임관계를 전제로 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별하여야 한다. 즉 임무위배행위 전에 이미 신임관계가 전제되어 있는 전형적인 법률관계와, 그 외 신임관계 여부가 아닌 사무의 타인성 여부를 판단하여 야 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재산관리인, 대리, 위임, 고용과 같은 신임관계와 전형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법률관계는 별도의 신임관계 여부를 검토할 필요는 없으나, 비전형적이고 일반적인 계약 또는 법률행위(매매, 양도담보 등)의 경우에는 곧바로 신임관계가 형성된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신임관계 존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사무의 타인성 여부를 따져야 한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에는 해당 법률관계로 인하여 곧바로 사무처리의 근거가 되며 배임죄의 행위주체가 된다고 할 것이나, 후자의 경우에는 그 사무자체의 성격을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무의 타인성이 중요한 판단자료가 된다. 또 관습, 사무관리는 신임관계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으나, 법률행위가 종료된 경우에 특히 계약해지, 해임, 해고의 경우에는 본인과 행위자 사이에는 원칙적으로 실질적 신임관계가 존재한다고 볼 수 없으며, 예외적으로 잔존업무가 있고 그것이 신임관계를 전제로 하는 경우에는 타인의 사무처리 자가 될 수 있다. A breach of trust is established when the those the other people's business violates the duty. There is a presumption of trust in terms of violation, and there is no trust relationship, but there can not be a mission violation. Therefore the essence of a breach of trust should consist in breaching the inner confidential relationship. However the essence of a breach of trust can not immediately become the elements of the crime. The meaning of the essence of a breach of trust draws a distinction between other property crimes such as theft, fraud, robbery, and so on. The confidence relationship arises from a statute, contract, legal act, or factual act, but is not the same in nature. In other words if he essence of a breach of trust is the existence of the confidence relationship, the elements of the crime is a matter of degree of trust relationship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is inevitably linked to the existence of confidence relationship. The trust relationship arises from a statute, contract, legal act, or factual act, but the special feature is not the same. the relationship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premise. It is not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separate confi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al relationship that is typically associated with a trust relationship, such as proxy, delegation, or employment, In the case of non-formal and general contracts or legal acts (such as sale,mort-gage of transfer, etc), as trust relationships can not be said to be formed immediately, it is necessary to judge whether or not the affairs of of another person is in order to examine the confidence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수사기관의 무영장체포와 영장주의의 실질적 의미

        하태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文集 Vol.35 No.1

        Arrest accompanied by the introduction of a voluntary goal to attract, including for the protection and the fight against illegal investigative practices and procedures to ensure the investigation. Arrest system is distinguished from the arrest, has the legitimacy of the purpose, procedures will also be distinguished from confinement. However, due to the arrest warrant documents the human rights of the accused actually does not help. Hearing the trial of legal claims of infringement of protected areas can be seen that. To solve this problem to determine whether the arrest of a legal trial must be held to be switched. Go before a judge immediately after arrest without a warrant of arrest and confinement of the trial, whether due at the same time criticized as unconstitutional if the arrest warrant and of complexity of the procedure can be free from criticism. The real guarantee of human rights and the legal right to be heard will be. The human rights of the accused and the court's work overload, and when you consider the promptness of the investigation within 24 hours of being issued an arrest warrant that is right. Warrantless arrest for a non-spiritual and material damage suffered by the accused filed a civil suit for damages would have received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human rights procedures, including attorney's fees, considering the economic aspects of compensation for the accused in criminal proceedings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사법경찰관의 불송치 결정권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

        하태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東亞法學 Vol.- No.95

        The purpose of the non-refusal decision is to guarantee human rights through the expeditious closure of the investigation, reduce the damage caused by double investigations, and strengthen the investigation capacity by giving the police accountability. Many problems were raised after the adjustment of the investigative authority. In particular, criticism has been raised that the police's decision not to send the case without the prosecutor's control may lead to the problem of concealment of the case. However, this criticism star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ed for control by the prosecutor. In other words, it cannot be said to be valid because the adjustment of investigative rights i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ol. The beginning of the adjustment of investigative rights is for judicial police officers to secure their own investigative rights away from the prosecutor's command of investigative rights. Even if it is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right, the control method must exist, but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control method by a prosecutor. The concern of not being obligated to discover substantive truth is not just a matter for the police. This question is not a question of the subject of the right to terminate the investigation, that is, who has the right to terminate the investigation, but rather whether there is a control device for it. In judicial proceedings, fairness must be secured when any authority is granted to the police or when the police exercise the authority granted to them. 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fairness can be secured by the direction and supervision of the prosecution. The Korean Constitution is based on the rule of law. Whether to distribute or monopolize investigative rights belongs to the system. The issue of the distribution of investigative rights is related to the guarantee of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and it is important that it is a means that meets the purpose rather than the question of which direction it will be made. It is judged that the abolition of the prosecutor's right to command the investigation is not directly aimed at guaranteeing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but rather to exclude the centralization of power due to abuse of state power. Therefore, granting the police the primary right to investigate can be said to be close to the realization of criminal justice, that is, the initiation and progress of equal investigations. 수사권 조정은 불과 몇 년 전 2018. 6. 21. 수사권 개혁을 위하여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안’을 발표하고 이에 2020. 2. 4. 형사소송법 및 검찰청법을 개정하였다. 그런데 한발 더 나아가 ‘검찰수사권완전박탈’이 주요 주제가 되었고, 이에 따라 검찰청법과 형사소송법이 개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난무하고 있다. 거기에다 대통령 당선인 공약은 검찰의 수사지휘권을 다시 부활하도록 할 것이라고 하였다. 향후 많은 혼란을 초래할 것으로 판단된다. ‘검찰수사권완전박탈’이 이슈화 되면서, 그동안 수사권 조정을 위한 법령의 제․개정으로 명시적으로 나타난 수사권조정에 관한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 하는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불송치 결정의 도입취지로는 신속한 수사종결로 인한 인권보장 및 이중조사로 인한 폐해 경감, 경찰수사의 책임성 부여를 통한 수사역량 강화를 들고 있다. 수사권 조정 이후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는데, 특히 검사의 통제가 없는 경찰의 독자적 수사권 종결에 해당하는 불송치 결정은 사건의 은폐라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위법 또는 부당한 불송치 결정에 대한 통제방법은 검사의 재수사 요청밖에 없다는 비판은 수사권 조정을 사법경찰관에게 수사권을 이전하되 검사에 의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시각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비판은 수사권 조정을 통제라는 측면에서 바라보기 때문에 타당하다고 할 수 없다. 수사권 조정의 시발점은 사법경찰관이 검사의 수사권 지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수사권을 확보하는데 있다. 독자적인 수사권이라고 하더라도 물론 그 통제방법은 존재하여야 하지만, 그것이 반드시 검사에 의한 통제방법일 필요는 없다. 사법경찰의 불송치 결정에 대한 재수사요청은 그 수사가 위법 또는 부당하다는 검사의 판단에 의한 것으로 검사의 재수사 요청이 있는 경우 사법경찰관은 사건을 재수사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점은 현행 법령에서는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법경찰관의 위법․부당한 수사여부는 검사가 판단하는 것으로서, 수사권 조정 전에도 실무에서는 이와 같이 해결하였다. 불송치 결정을 통하여 실체진실 발견의 책무를 다하지 않는다는 우려는 경찰만의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수사종결권의 주체, 즉 누가 수사종결권을 가지느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이에 대한 통제장치가 있느냐의 문제이다. 수사권과 같은 사법절차에서 경찰에게 일정한 권한을 부여하거나 또는 경찰이 자신에게 부여된 권한을 행사할 때 공정성은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반드시 검찰의 지휘․감독에 의해서 투명성과 공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헌법은 법치주의를 기본이념으로 하고 있다. 헌법적 가치를 위하여 국가권력의 공정성은 국가작용의 근거와 절차를 규정한 법규범을 통해 확보될 수 있다. 수사권 분배 내지 독점 여부는 제도의 문제에 속한다. 수사권 문제는 국민의 인권보장과 관련된 것으로 그것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한 문제보다는 목적에 잘 부합되는 수단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사법경찰관에 대한 검사의 수사지휘권 폐지는 직접적으로 국민의 인권보장을 위한 것이라기보다 국가권력 남용으로 인한 권력의 집중화 내지 독단화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의도로 판단된다. 따라 ...

      • KCI등재

        식도 상피하 병변에 대한 젤리를 이용한 세경 탐촉자 내시경초음파 검사

        하태,김광하,엄재섭,박찬호,박형열,최철웅,김경엽,김일두,김표준,이혜정,이선미,김태오,강대환,송근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6 No.3

        . 목적: 세경 탐촉자(catheter probe)를 이용한 내시경초음파(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검사는 식도 벽의 층 구조와 인접 장기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어 식도 상피하 병변을 진단하는 데 가장 정확한 영상진단법이다. 세경 탐촉자 EUS는 일반적으로 물을 음향매질로 사용하지만 식도와 같은 관 구조는 물이 빠르게 배출되므로 지속적으로 물이 가득 찬 내강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식도 상피하 병변에 젤리를 이용한 탐촉자 EUS가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원에서의 젤리를 이용한 상피하 식도병변 세경 탐촉자 EUS 검사 결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상부내시경검사에서 식도 상피하 병변이 의심되어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젤리를 이용한 세경 탐촉자 EUS 검사를 시행한 18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식도 상피하 병변은 68예(38%)에서 상부식도, 60예(33%)에서 중부식도, 그리고 53예(29%)에서 하부식도에 위치하였다. 병변의 기시층은 제2층이 91예(5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제4층에 56예(31%), 제3층에 34예(19%) 순이었다. 상피하 종양의 크기는 1 cm 미만인 경우가 126예(70%), 1∼2 cm인 경우가 46예(25%), 2 cm 이상인 경우가 9예(5%)로 대부분 2 cm 미만이었다. 병변의 조직 진단은 총 34예에서 확인하였으며 29예가 내시경적 절제술, 4예가 수술, 1예가 심부 조직생검을 통해 확인하였다. EUS 진단과 최종 조직진단을 비교하였을 때 젤리를 이용한 세경 탐촉자 EUS의 진단 정확도는 91.1%였다. 젤리 주입부터 마지막 영상촬영까지의 시간은 평균 7±2.8분이 소요되었다. 검사와 관련된 중대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젤리를 이용한 세경 탐촉자 EUS는 안전하고 편리하여 식도 상피하 병변을 진단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외국에서 무죄판결을 받고 석방되기까지 당한 미결구금에 대해 형법 제7조의 적용 또는 유추적용 허용 여부

        하태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2

        대상판결에서는 피고인이 외국에서 죄를 범하여 구금된 채로 재판을 받다가 무죄판결을 받고 석방된 후 국내에서 같은 죄로 다시 재판을 받아 형이 선고될 경우, 외국에서 집행된 형기와 마찬가지로 형법 제7조를 적용하여 미결구금일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기에 산입하는 방법으로 구제해 줄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되었다. 형법 제7조의 문언 해석상 미결구금에 대해 위 규정을 직접 적용할 수는 없다는 데에는 대상판결에서 이견이 없었으나, 유추적용을 허용하여야 할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나뉘었다. 다수의견은, 외국에서 무죄판결을 받고 석방되기까지의 미결구금은 국내에서의 형벌권 행사와 별개로 이루어진 것이고, 해당 국가의 형사보상제도에 따라 구금 기간에 상응하는 금전적 보상을 받음으로써 구제받을 성질의 것에 불과하고, 국가별로 미결구금의 목적, 집행 방법, 구금 관련된 처우, 법률적 취급 등이 달라 그로 인한 신체적 자유 박탈에 따른 불이익의 양상과 정도가 같거나 유사하다고 단정할 수 없어 형법 제57조 제1항에서 규정한 ‘본형에 당연히 산입되는 미결구금’과 같다고 볼 수 없고, 형법 제7조의 유추적용을 통해 국내에서 선고받는 형에 산입하여야 한다는 논리는 허용되기 어렵다고 보았다. 또한 그로 인하여 피고인이 받게 되는 불이익의 문제점은 법관이 미결구금의 원인이 된 사실과 공소사실의 동일성의 정도, 미결구금 기간, 해당 국가에서 이루어진 미결구금의 특수성 등을 형의 정하는 과정에서 참작해 주는 방법으로 해소할 수 있다고 보았다. 반대의견은, 외국에서 당한 미결구금과 외국에서 집행된 형 사이의 실질적인 동일성을 전제로, 형법 제7조의 입법 취지가 국내외에서의 실질적 이중처벌로 인하여 입을 수 있는 불이익을 완화함으로써 피고인의 신체의 자유를 최대한으로 보장하려는 것이므로 그 입법 취지를 최대한 반영하여 해석함이 타당하고, 외국에서의 미결구금을 형의 양정 사유로 참작하는 것보다는 형의 집행 문제로 해결할 수 있도록 형법 제7조를 유추적용하는 것이 우리 형사법체계에 부합하는 것이며, 인권 보호의 정신, 헌법불합치 결정의 취지에도 들어맞는 것이고, 이러한 사정을 양형에서 반영하는 것만으로는 피고인 수단으로 부족하고, 신체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외국에서 당한 구금에 대해서는 덜 기본권 침해적이고 충분한 보호 장치를 마련할 것을 촉구한 구 형법 제7조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 등의 취지에도 맞지 않는다고 보았다. 대상판결 다수의견의 판단은, 구 형법 제7조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을 계기로 외국에서 당한 신체적 구금으로 인하여 피고인이 당하는 신체적 불이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피고인의 이익을 더욱 두텁게 보호하는 방향으로 위 법률 규정이 개정된 직후에 나온 것으로 의미가 있다. 특히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의 논증 과정에는, 형법 제7조의 유추적용 허용 여부와 관련하여 형법 제7조의 입법 취지, 형의 집행과 미결구금의 관계, 미결구금일수 본형 통산 제도의 의미, 형사구금에 대한 구제수단의 체계, 필요적 산입주의의 취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깊이 있는 법리적 검토가 제시되었다. 대상판결은 외국에서 당한 미결구금에 대해 형법 제7조의 유추적용 허용 여부에 관하여 최초의 명확한 해석론을 제시한 선례이다. In the subject case, the defendant, who was detained after being charged with committing murder in the Philippines but released after a Philippine court rendered a not-guilty verdict, was prosecuted again in a Korean court for the same crime. The key issue was whether the criminal defendant could be granted relief by counting either the whole or partial number of days detained pending trial abroad toward the sentence to be declared in Korea through application of Article 7 of the Criminal Act. The presiding justices all agreed that Article 7 could not be literally construed as applicable to pre-trial detention, but the justices were divided on whether analogical application should be allowed. According to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bject case: (a) the exercise of penal authority in Korea and the criminal procedure of a foreign country, such as pre-trial detention prior to being released upon acquittal, were two separate issues; (b) a detainee held abroad could seek relief through the relevant country’s criminal compensation system that provides monetary compensation equivalent to the period of detention; (c) furthermore, inasmuch as the purpose of pre-trial detention in a criminal procedure, method of execution of pre-trial detention and treatment of detainees, legal treatment of pre-trial detention, etc. vary by country; (d) the nature and extent of deprivation of personal liberty experienced by a criminal defendant due to being detained pending trial abroad could not be readily deemed as either identical or similar to the impact of pre-trial detention or sentence executed in Korea, and thus, deeming the pre-trial detention executed abroad to be the same as “the pre-trial detention mandatorily included in the principal sentence” under Article 57(1) of the Criminal Act was difficult; and, accordingly, (e) the number of days detained abroad should not be counted toward the sentence to be declared in Korea through application of Article 7 of the Criminal Act by analogy. The Majority Opinion went on to state that, a judge could sufficiently mitigate the risk of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pre-trial detention abroad by factoring in various circumstances related to sentencing along with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the fact that served as the cause of pre-trial detention and the criminal charge, period of pre-trial detention, and extenuating circumstance behind the defendant having been detained pending trial abroad. However, the dissenting justices argued that: (a) assuming pre-trial detention executed abroad and sentence executed abroad were substantially identical, the legislative purpose of Article 7 of the Criminal Act should be sufficiently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is, protecting a criminal defendant’s personal liberty to the fullest by mitigating the risk of inordinate punishment of the defendant facing double punishment at home and abroad; and (b) associating pre-trial detention executed abroad with sentence execution rather than sentencing ground through analogical application of Article 7 of the Criminal Act would be consistent with our current criminal legal system, the constitutional spirit of human rights protection, as well as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regarding Article 7 of the former Criminal Act which resulted in said Article being revised to better safeguard the personal liberty of those held in pre-trial detention abroad.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 lies in the fact that the Supreme Court rendered a decision shortly after Article 7 of the former Criminal Act was revised to better protect a criminal defendant’s rights, not to mention, amidst heightened concerns regarding physical detention following the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supra. In particular, the logical reasoning of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Dissenting Opinion was reviewed from a broad legal aspect by taking into account: (i) the legislative purpose of Article 7 of the Cr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