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 학술연구 자료 : 창경궁 오층석탑

        조은경,김시현,이난영,김정임,정원주,김사덕,이태종,오정현,조하진 국립문화재연구원 2015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8 No.4

        창경궁 오층석탑은 창경궁(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내 명정전 북쪽, 환경전歡慶殿과 함인정涵仁亭 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는2013년 창경궁의 석조문화재 정밀실측사업을 추진하면서 이 석탑을 포함한 5개의 석조문화재에 대한 실측조사를 실시하고 『창경궁 내 석조문화재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그러나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는 이 창경궁 오층석탑의 양식과 현황, 건립과 이건 연혁 등에 관한 보다 깊이 있는 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중앙박물관에 일제강점기 창경궁 오층석탑 관련 자료의 확인을 요청하는 동시에, 특히 4층이상의 부재 등은 신 부재로 수리된 것으로 기 확인된바, 석탑의 보존현황, 양식적 특징 등에 관한 전문 학술조사연구의 수행을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협의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창경궁 오층석탑에 대하여 석탑의 부재 구성과 기법에 대한 건축적 조사, 문양 및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조사, 보존현황과 암석 특징에 대한 조사에 대하여 건축문화재연구실, 미술문화재연구실, 보존과학센터가 수행하기로 협의하였다. 우선 현장 상황을 확인하고 분야별 조사연구 항목을 설정하였다. 현장조사를 위한 가설 비계 설치 전석탑의 지반에 대한 조사를 위한 물리탐사를 실시하는한편, 분야별 현황 조사 및 사진 촬영 등이 이루어졌으며 현황 조사 결과를 토대로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야별 조사연구 결과에 대한 여러 차례의 논의를 통하여 비지정문화재인 창경궁 내 오층석탑에 대한기초적인 학술조사연구 결과를 작성하였다. 분야별 조사자 및 원고 작성자는 다음과 같다. 국립문화재연구소건축문화재연구실 조은경, 김시현미술문화재연구실 이난영, 김정임, 정원주보존과학센터 김사덕, 이태종, 오정현, 조하진

      • KCI등재

        국내외 흰개미 방제 기술의 발달 과정과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저감을 위한 방안

        이상빈,임익균,김시현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2

        Termites are important decomposers in the ecosystem. They are also economically significant structural pests.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developments of termite control and recent research on termite managemen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termites. In Korea, most of the damage to wooden historical buildings is caused by subterranean termites.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is the main species, which is widely found throughout the country. In the early 1900s, inorganic insecticides, such as arsenic dust, were used for termite control. After the synthesis of chlorinated hydrocarbon pesticide in the 1940s, it was widely utilized and demonstrated high termite control efficacy. However, chlorinated hydrocarbon insecticides were later banned, disappearing from markets after reports emerged concern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ity to humans. Therefore, the termite control industry sought a new termiticide; hence many pesticides were utilized for termite control. Organophosphate (1960s), carbamate (1970s), pyrethroid, and insect growth inhibitor (1980s) were newly synthesized and adopted. In the 1990s, the first commercial baits using chitin synthesis inhibitors (CSI) were developed, providing a means to eliminate an entire colony of subterranean termites around a structure.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soil termiticides (liquid termiticides) and CSI baits to increase their efficacy, and different baits such as aboveground bait stations, fluid bait, and high-durability bait were also developed in the 2000s. In addition, the paradigm of termite control has shifted from localized treatments using soil termiticides to area-wide pest management using CSI baits to create termite-free zones and protect buildings over time. Termite infestations in wooden historical buildings in Korea have been reported since 1980, and considerable attention was drawn in the 1990s when several UNESCO world heritages such as the Jongmyo Shrine and the Janggyeong Panjeon Depositories of Haeinsa Temple were infested by subterranean termites. Since then, a survey of termite infestation in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has been conducted, and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Heritage Care Program regularly monitors those properties. Finally, we suggest termite management using primarily CSI baits, selective application of various soil treatments applied to the object, foundation soil treat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urable termite baits, application of area-wide programs for wooden-building complexes, application of integrated termite management (ITM), and regular education for owners and managers to prevent and reduce termite damage. 이 논문에서는 흰개미 방제의 발달 과정과 최근 연구 동향, 국내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현황과 조사 및 방제 등을 살펴보고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재는 건축 재료로 다양 한 장점이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다수의 목조건축문화재가 남아 있다. 목조건축문화재의 다양한 손상 요인 중 흰개미 에 의한 피해가 다수 확인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3종의 흰개미 중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가 전국적으로 서식하며 목조건축문화재를 가해한다. 흰개미 방제의 발달 과정을 1900년대 초반부터 살펴보면 이 시기에는 비소 등 무기살충제가 주로 사용되다가 1940년대 유기염소계 살충제가 개발되어 흰개미 방제에도 사용되었다. 이후 이 약제들의 인축과 환경에 대한 독성이 알려짐에 따라 1960년대 유기인계 살충제, 1970년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1980년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와 곤충 생장 조절제, 1990년대 페닐피라졸계 살충제, 네오니코티네이드계 살충제 등이 개발되어 흰개미 방제에 사용되었다. 이와 별도로 흰개미의 생태적 특징을 이용한 흰개미 군체 제거제가 1990년대 개발되어 상용화되었으며, 특히 키 틴 합성 저해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살충제를 이용한 토양 처리와 군체 제거제의 특성을 규명하 고 효율성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제형의 약제를 개발하거나, 종합적 유해 생물 관리(IPM) 개념을 차용한 통합적 흰개 미 관리(ITM)을 적용하거나, 개별 건물이 아닌 목조건축물군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흰개미 방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국내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는 1980년대부터 발견되기 시작하였으며 1990년대 후반 유네스코 세계유산 인 종묘 정전, 해인사 장경판전 주변에서 흰개미 피해가 확인되어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이후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흰개미 피해 현황이 조사되었으며 2010년대에는 국립문화재연구소와 문화재돌봄사업단이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정기적인 흰개미 피해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피해 건물의 긴급 방제 실시, 다양한 토양 처리법의 선택 적 적용, 건물 기단 상면의 토양 처리 실시, 고내구성 흰개미 군체 제거제의 개발과 적용, 다수의 목조건축물을 포괄하 는 방제 계획의 수립과 시행, 통합적 흰개미 관리(ITM)의 문화재 적용, 문화재 소유자와 관리자에 대한 교육 등을 제안 하였다.

      • KCI등재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흰개미(R. speratus kyushuensis) 피해 현황 분석

        김시현,정용재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2

        Termites are a group of social insects that are one of the primary causes of damage to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Since termite damage impairs the authenticity and structural stability of cultural heritage, it is imperative to prevent it.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termite damage to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as part of efforts to prevent termite damage to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sites across the country. The extent of termite damage to each cultural heritage was assess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d comparatively analyzed by region usi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Biological Damage to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s” condu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from 2016 to 2019. It involved 362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s(25 national treasures, 157 treasures, 180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s) and 1,104 building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ermite detection dogs reacted at 317(87.6%) of the 362 wooden heritages, with visible termite damage observed in 185 cases(51.1%). Furthermore, termite damage was confirmed using one of two methods(detection dogs or visual inspection) in 324 cases(89.5%). Of the 1,104 buildings, termite detection dogs reacted at 668(60.5%), while 339(30.7%) showed visible termite damage. Employing one of the two methods, damage was confirmed in 702 buildings(63.6%). The country was categorized into nine regions(Seoul Metropolitan Area, Gangwon, Chungbuk, Chungnam, Jeonbuk, Jeonnam, Gyeongbuk, Gyeongnam, and Jeju) to examine the termite damage rate and the degree of damage to each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location. Termite detection dogs reacted to more than 70% of the cultural heritage in all regions. Visible damage was minima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32.1%) and Gangwon(21.4%) but severe in Chungnam(65.6%), Jeonnam(67.3%), and Gyeongnam(68.2%). By quantifying the degree of termite damage of each cultural heritage as a ratio of the absence of termite damage among the total absence, the average termite damage of the cultural heritage across the country was 9.2%. Regional vari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cultural heritage in Jeonbuk and Jeonn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termite damage than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buk, and Gyeongbuk. This paper comprehensively analyzed termite damage to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in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sites in the future. 흰개미는 사회성 곤충의 일종으로 목조건축문화재의 주요 손상 원인 중 하나이다. 흰개미 피해는 문화재의 원형 가치와 구조적 안정성을 저해하므로 흰개미 피해가 발생하기 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목조건축문화재 흰개미 피해 예방을 위한 기초 연구로, 전국에 분포한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 362건(국보 25건, 보물 157건, 국가민속문화재 180건), 1,104동을 대상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가 2016~2019년 실시한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를 통해 각 문화재별 흰개미 피해 현황을 정성적·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62건 중 317건(87.6%)의 문화재에서 흰개미 탐지견의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185건(51.1%)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흰개미 피해가 나타났고 두 방법(탐지견, 육안 조사) 중 하나라도 피해가 확인된 대상은 324건(89.5%)에 달했다. 1,104동의 건물 중 668동(60.5%)에서 흰개미 탐지견의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339동(30.7%)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흰개미 피해가 나타났고 두 방법 중 하나라도 피해가 확인된 대상은 702동(63.6%)에 달했다. 전국을 9개 지역(수도권·강원·충북·충남권·전북·전남·경북권·경남권·제주)으로 구분하여 흰개미 피해율과 각 문화재의 피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지역에서 70% 이상의 문화재들이 흰개미 탐지견 반응이 나타났으며 육안 피해는 수도권(32.1%)과 강원(21.4%)이 적고 충남권(65.6%), 전남(67.3%), 경남권(68.2%)이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총 부재 중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부재의 비율로 각 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정도를 정량화한 결과 전국 문화재의 평균 흰개미 피해 정도는 9.2%로 나타났으며, 각 지역별 분산분석 결과 전북·전남의 문화재들은 수도권·충북·경북권의 문화재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흰개미 피해 정도가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해 전국의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 흰개미 피해 현황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는 향후 문화재 보존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1950년대 일본 문화재보호법과 1960년대 한국문화재보호법의 성립 - 무형문화재와 민속자료를 중심으로 -

        임장혁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1

        한국의 문화재보호법은 1962년에 제정되었는데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을 모방 또는 이식하여 제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은 무형문화재·민속자료·매장문화재를 포함하여 기존의 법률과는 차이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일본의 1950년 법률제정은 독자적으로 입안한 것이 아니며 GHQ와 협의로 제정되었기에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었다. 근년 일본에서 GHQ의 문서가 공개되면서 문화재보호법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문화재보호법은 일본 문화재보호법의 성립과정과 취지를 이해해야 비로소 법률제정의 의미와 성과를 논할 수 있다. GHQ는 일본의 헌법에서 천황을 상징적인 존재로 설정하였고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규정하였기에 일본 문화재보호법의 제정에 있어서 ‘국민의 문화재’라는 개념이 확립되도록 유도했다. 따라서 민간기구인 문화재보호위원회는 독립된 의결기구로 문화재를 지정하고 국립박물관과 문화재연구소를 관리하였다. 이러한 제도는 문화재의 상당수가 황실과 관련되어 있고 박물관이 황실의 소속으로 관리되고 있었기에 민간주도로 관리를 전환하려는 정책이었다. 한편 일본 참의원은 무형문화재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GHQ를 설득하여 문화재보호법에 무형문화재를 포함했다. 이는 황실의 공적 행사에 참여하는 아악부가 해체될 상황에서 이를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민속자료는 당시 학계의 연구 성과를 고려하고 민중의 유형문화재라는 점에서 GHQ의 동의하에 문화재보호법에 포함하였다. 한국의 문화재보호법에서는 문화재 지정의 주체는 문교부이며 문화재위원회는 자문기구로 기능을 한정하였는데, 문화재의 지정은 민이 아닌 관이 주도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문화재위원회는 무형문화재와 민속자료의 개념에 대해 혼돈이 있었다. 이것은 일본의 문화재보호법에서 정한 문화재의 개념을 그대로 수용하여 적용하였지만, 법률의 취지를 이해하지 못해 혼돈을 겪은 결과이기도 하다. 문화재위원회는 일본의 관리 실태에 대한 파악의 필요성을 문교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민속학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문화재위원회는 무형문화재와 민속자료의 개념에 혼돈을 겪었으나, 1964년에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이 제정되며 개념이 정립되었다.

      • KCI등재

        모션캡쳐를 이용한 무형문화재의 기록작성 :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승무.살풀이.태평무를 중심으로

        박원모,고중일,김용석 국립문화재연구원 200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39 No.-

        매체의 발달과 함께 무형문화재에 대한 기록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는데 과거에는 문자 기록에만 의존하던 것에서 최근에는 사진, 음원 및 영상 들을 많이 활용하게 되었고, 그 방식에 있어서도,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방식으로 이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모션캡쳐를 이용한 무형문화재 기록은 3차원적 기록을 필요로 하는 무용종목 등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모션캡쳐란 움직이는 물체에 공간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센서를 부탁시키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센서의 위치를 컴퓨터의 자표공간에 치환하여 기록하는 시스템으로, 모션캡쳐를 이용한 무형문화재의 기록은 형체가 없이 사람의 기예에 의해서 전승되고 있는 무형문화재의 신체적표현을 디지털화 된 데이터로 나타내줌으써 무형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해 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멀티미디어 밑 디지털 시대에 대응하기위해 무형문화재에 대한 새로운 기록방안 개발을 목적으로 영화 및 게임 등의 CG제작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션캡쳐(Motion Capture)장비를 이용하여 국가지정의 중요무형문화재에 대한 기록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사업은 복권기금을 사용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개년에 걸쳐서 국가지정의 중요무형문화재 중 신체적 동작이 중요하게 표현되고 있는 무용 7개 종목 11건의 모션캡쳐 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미 1차년도인 2005년에는 승무, 살풀이춤, 태평무 등 기술적 난이도가 낮은 독무(獨舞)를 중심으로 데이터 축적작업을 실시하였고 2차 년도인 2006년에는 진주검무, 승전무,처용무 등 군무(群舞)의 데이터를 축적할 예정이며, 3차 년도인 2007년에는 학연화대합설무의 데이터 축적과 함께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한 무형문화재의 비교·분석 및 전승을 위한 교육용 프로그램과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3차원 콘텐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사업 초년도인 2005년도에 실시된 보유자 이매방, 이애주, 정재만의 승무, 이매방의 살풀이춤, 강선영의 태평무 등의 모션캡쳐 작업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무형문화재에 대한 새로운 기록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를 소개하려고 한다. 이번 사업에서는 기술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가지 문제가 제기되었다. 첫 번째, 장시간(20~30분 가량)의 보유자의 춤을 끊김 없이 모션 캡쳐 받을 수 있는가라는 문제였다. 수 차례의 사전 모의테스트를 통해 사업수행 적합성 판단을 마쳤고, 결국 사업수행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두 번째, 이타켓팅(RE-Targeting)이 없이 정확한 모션캡쳐 동작을 가공해 낼 수 있는가라는 문제였다. 모션캡쳐 데이터에서 국내 최초로 보유자의 골격구조 역추출 방식을 도입하여 최대한 정확한 보유자의 춤 동작을 구현해낼 수 있었다. 이번 작업에서는 이매방, 이애주, 정재만, 강선영 네 보유자의 전신 삼차원 스캔을 통해 정확한 삼차원 신체 모델링을 얻었고, 보유자 본인의 춤사위 동작을 그대로 모션캡쳐에 적용함으로써 최대한 정확도를 유도할 수 있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he methods for the document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also developed and diversified. As well as the previous analogue ways of documentation, the have been recently applying new multi media technologies focusing on digital pictures, sound sources, movies, etc. Among the new technologies, the document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sing the method of 'Motion Capture has proved itself prominent especially in the fields that require three dimensional documentation such as dances and performances. Motion Capture refers to the documentation technology which records the signals of the time y a ring positions derived from the sensors equipped on the surface of an object. It converts the signals from the sensors into digital data which can be plotted as points on the virtual coordinates of the computer and records the movement of the points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as the object moves. It produces scientific data for the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displaying digital data which represents the virtual motion of a holder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NRICP) has been working 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documentation method for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ed by Korean government. This is to be done using motion capture equipments which are also widely used for the computer graphics in movie or game industries. This project is designed to apply the motion capture technology for 3 years from 2005 to 2007 for 11 performances from 7 traditional dances of which body gestures have considerable values among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erformances. This is to be supported by lottery funds. In 2005, the first year of the project, accumulated were data of single dances, such as Seungmu (monk's dance), Salpuri(a solo dance for spiritual cleansing dance), Taepyeongmu (dance of peace), which are relatively easy in terms of performing skills. In 2006, group dances, such as Jinju Geommu (Jinju sword dance), Seungjeonmu (dance for victory), Cheoyongmu (dance of Lord Cheoyong), etc., will be documented. In the last year of the project, 2007, education programme for comparative studies, analysis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ree-dimensional contents for public service will be devised,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as well as the documentation of Hakyeonhwadae Habseolmu (crane dance combined with the lotus blossom dance). By describing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motion capture documentation of Salpuri dance (Lee Mae-bang), Taepyeongmu (Kang seon-young) and Seungmu (Lee Mae-bang, Lee Ae-ju and Jung Jae-man) conducted in 2005, this report introduces a new approach for the document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first year of the project, two questions have been raised. First, how can we capture motions of a holder (dancer) without cutoffs during quite a long performance? After many times of tests, the motion capture system proved itself stable with continuous results. Second, how can we reproduce the accurate motion without the re-targeting process? The project re-created the most accurate motion of the dancers gestures, applying the new technology to drew out the shape of the dancers's body digital data before the motion capture proces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accurate three dimensional body models for four holders obtained by the body scaning enhanced the accuracy of the motion capture of the dance.

      • KCI등재

        6.25 전쟁기 국립박물관 소장품의 국외반출 과정에 대한 신고찰

        김현정 국립문화재연구원 202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7 No.1

        1950년대 국립박물관의 대표적 성과는 6.25전쟁기 소장품의 부산 피난과 1957년 미국순회전시인 ‘한국국보전’이 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이 두 사건을 개별적 사안으로 다루었다. 하지만 최근 새로운 사료들이 발굴되면서, 이 두 사건은 1950년대 국립박물관을 관통하는 하나의 사안이라는 점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도 두 사건이 어떤 전개 과정을 통해 하나의 사안으로 이어지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국립박물관의 피난을 1950년 12월부터 1951년 5월 사이에 단행된 4차례의 소장품 이전으로만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부산 피난은 국립박물관 전체 피난사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부산 피난 이후 전개된 미국 본토로의 반출 계획과 뒤이은 하와이 호놀룰루로 반출 추진이 문화재 피난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1950년 12월의 부산 피난은 중국군 개입으로 인한 긴급대피이면서 미국으로 이송하기 위한 선행 조치였다. 부산 도착 직후 미국반출 논의가 상당히 진척되었으나, 미국 정부의 반대로 중단되었다. 그렇지만 1951년 3월부터는 미국 본토가 아닌 하와이 호놀룰루로 반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피난 문화재의 국외 반출 문제는 종결이 아니라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정부가 하와이의 사립 기관인 호놀룰루미술관으로 피난 문화재 반출을 도모하면서부터 문화재 피난의 성격은 모호해졌다. 처음에는 피난 문화재 전량을 호놀룰루미술관에 보관 즉 소개(疏開)하려 했다. 그러나 여론의 거센 반대에 부딪히게 되자, 소개 개념을 완전히 제거하고 국가 홍보를 위한 미국 순회전시로 반출목적을 변경해가며 3차례에 걸쳐 국회에 동의를 요청했다. 정부는 호놀룰루미술관으로 반출이 ‘국보파동’이라는 비난을 들으면서도 중단하지 않았다. 그런데 어렵게 국회의 승인을 받은 이후 문화재 국외 반출 성격이 급변하였다. 그동안은 문화재 국외 반출 문제의 중심에는 늘 호놀룰루미술관장 그리핑이 있었다. 그런데 제 3차 국회동의요청안이 통과된 피난 문화재 국외반출은 그리핑이 아닌 미 국무부가 주도하는 미국의 대한문화정책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이때부터는 국외반출의 목적에서 '소개' 개념이 완전히 지워지고 오로지 전시로서 개념화된 것이다. 그 결과가 바로 1957년 개최된 한국국보전이었다. 지금까지는 호놀룰루로의 반출문제가 거의 연구되지 않아 1950년 부산 피난과 1957년 한국국보전 사이에는 오랜 시간적 공백 혹은 단절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래서 두 사건은 마치 별개의 사건으로 인식되어 왔다. 호놀룰루로 반출 문제는 국립박물관의 문화재 피난사 전모를 보여주는 사건이면서, 국립박물관의 부산 피난이 한국국보전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핵심 내용이다. This article reevaluate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pivotal actions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1950s and its aftermath. It argues that the evacuation of the museum’s collection to Busan and the subsequent exhibition “Masterpieces of Korean Art” in the United States in 1957 were not isolated events, but rather interconnected facets of a larger narrative shaping the museum’s trajectory. With newly discovered archival evidence, this study unravels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these episodes, revealing how the initial Busan evacuation evolved into a strategic U.S.-led touring exhibition. Traditionally, the Busan evacuation has been understood solely as a four-stage relocation of the museum’s collections between December 1950 and May 1951. However, this overlooks the broader context, particularly the subsequent U.S. journey. Driven by the war’s initial retreat of the war, the Busan evacuation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evacuation to Honolulu Museum of Art. The path of evacuation took an unexpected turn when the government redirected the collections to the Honolulu Museum of Art. Initially conceived as a storage solution, public opposition led to a remarkable transformation: the U.S. exhibition. To address public concerns, the evacuation plan was canceled. This shift transformed the planned introduction into a full-fledged traveling exhibition. Subsequently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U.S. Department of State spearheaded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marking a distinct strategic cultural policy shift for Korea. Therefore, the Busan evacuation, initially envisioned as a temporary introduction to the U.S., ultimately metamorphosed into a multi-stage U.S. touring exhibition orchestrated by the U.S. Department of State. This reframed narrative sheds new light on the museum’s crucial role in navigating a complex postwar landscape, revealing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cultural preservation, public diplomacy, and strategic national interests.

      • KCI등재

        20세기 한국 문화재 인식의 이데올로기적 영향과 변화

        오춘영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4

        문화재 인식의 출발점이 되는 문화재 ‘선택’에는 당시 지배 권력의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된다는 가정을 세웠고, 이를 20세기 한국의 사례를 통해 증명하였다. 먼저 대한제국 후기(1901~1910)에는 조선시대부터 가져오던 과거 유적들에 대한 관점을 거의 유지하고 있었다. 국가 가 중요하게 보호하려 한 대상은 왕릉과 왕실기록물들이었다. 이 시기에 한국 유적들에 대한 일본인들의 조사가 본격적으 로 시작되었고, 이에 자극받은 계몽주의 지식인들에 의한 주체적 문화재 인식 시도가 있었으나 제도화되지 못하였다. 일제강점기(1910~1945)에는 일본인들 주도로 문화재 조사와 제도화가 진행되었고, 이는 현재 한국 문화재 관리체 계의 출발점이 되었다. 당시 조선총독부가 주도한 고적 조사, 지정, 보호, 선양 활동은 일본 제국주의 지배를 합리화함과 동시에 식민주의 사관을 반영하는 것들이었다. 국내 민족주의자들이 계몽적 차원에서 고적애호 운동을 벌였으나, 이는 일본인들이 기획한 고적조사 성과에 기초하였다는 한계가 있었다. 해방 후(1945~2000)에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기반하여 문화재 복구와 복원 활동들이 있었고, 여기에도 정권의 정통성을 공고히 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었다. 그리고 1997년의 ‘문화유산 헌장’ 제정은 문화재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수단이 되는 것을 넘어 그 자체로 이데올로기가 되는 일이었다. 지난 20세기 동안 한국에서는 정치권력의 선택에 따라 문화재의 내용이 변하였다. 이 선택에는 당시 권력이 문화재 에 대해 가지는 문화적인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었다. 이런 문화재 선택의 배경에는 개념어와 사회의 상호 보완적 관계, 즉 집합기억의 이데올로기적 특성이 작용하고 있었다. 지배집단은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피지배집단에 각인시키려 하는 데, 그 수단으로 정권의 정통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전통문화에 관련된 집합기억, 즉 문화재 선정과 활용에 관여함으로 써 이를 실현하려고 했다고 볼 수 있다. An assumption can be made that, as a start point for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choice” of such would reflect the cultural ideology of the ruling power at that time. This has finally been proved by the case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First, in the late Korean Empire (1901-1910), the prevailing cultural ideology had been inherited from the Joseon Dynasty. The main objects that the Joseon Dynasty tried to protect were royal tombs and archives. During this time, an investigation by the Japanese into Korean historic sites began in earnest. Stung by this, enlightened intellectuals attempted to recognize them as constituting independent cultural heritage, but these attempts failed to be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1910-1945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led investigations to institutionalize Korean cultural heritage, which formed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At that time,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designation, protection, and enhancement activities 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ot only rationalized their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but also illustrated their colonial perspective. Korean nationalists processed the campaign for the love of historical remains on an enlightening level, but they had their limits in that the campaign had been based on the outcome of research plann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1945-2000 period following liberation from Japan,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projects took places that were based on nationalist ideology. People intended to consolidate the regime’s legitimacy through these projects, and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Charter’ in 1997 represented an ideology in itself that stretched beyond a means of promoting nationalist ideology. During the past 20 centuries, cultural heritage content changed depending on the whims of those with political power. Such choices reflected the cultural ideology that the powers at any given time held with regard to cultural heritage. In the background of this cultural heritage choice mechanism, there have been working tradeoff relationships formed between terminology and society, as well as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emories. The ruling party has tried to implant their ideology on their subjects, and we could consider that it wanted to achieve this by being involved in collective memori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so called-choice,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국산 육송 특대재 수급 현황 분석 및 문화재 수리의 활용에 관한 연구

        정영훈,윤현도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4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Douglas Fir timber imported from North America is used in repair work for Korean wooden heritage sites due to an insufficient supply of extra-large sized Korean pine timber.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n the cultural heritage repair field, Cultural Heritage Repair Business Entities (“CHRBE”) prefer North American Douglas Fir timber which is more easily acquired on the market than large Korean pine timber. However, if CHRBE use large quantities of foreign-origin wood in the heritage repair field, this presents the threat of negative domestic impacts on cultural heritage such as breaching the preservation principal and ultimately weakening material authentic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upply status of large Korean pine timber through examination of existing research, interviews with experts engaged in CHRBE, and timber mills. With this information, the authors seek to identify whether the market supply of large Korean pine timber is indeed insufficient or not. In addition to this, this paper identifies the reasons why large Korean pine timber is not widely used if such timber supply is actually sufficient. In order to propose suggestions regarding the issues above, the authors study the distribution channel for large Korean pine timber and the price spectrum of this timber through examination of price information from the public agencies under the Kore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estimation documents from timber mills. This paper also identifies two main opinions about why Korean timber has not been commonly used in the Korean heritage repair field. The first opinion is that the supply of large Korean pine timber really is insufficient in Korea. However, the second opinion is that it is hardly used due to inappropriateness of the government’s procurement and estimation system, despite the fact that the supply of the timbers on the market is actually sufficient. Through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his pape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econd opinion has strong grounds in many aspects. In terms of suggestions, alternative routes are proposed to stimulate the use of large Korean pine timber via supply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echnology’ and surveys of the price spectrum of the timber, etc. 그동안 우리나라 문화재 수리에 필요한 국내산 육송 특대재는 국내에서 수급하기 어려워 부득이하게 북미산 더글라 스 퍼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많았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는 구하기 어려운 국산 육송 특대재보다 구하기 용이한 북미산 더글라스 퍼로 대체하여 수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문화재 원형 보존 의 원칙 훼손뿐만 아니라 재료의 진정성 측면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국산 육송 특대재의 수급 현황을 기존 연구와 목재 관련 종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점검해보고, 실제 국산 육송 특대재가 부족한지와 부족하지 않 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국산 육송 특대재가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사용되기 어려운지를 파악하여 그 해결책을 제시할 필 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사용되는 국산 육송 특대재의 취득 경로를 살펴보고, 산 림청 산하 공공 기관들과 문화재청의 연구 자료, 제재소의 견적가를 수집하여 원목 가격의 변동 폭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산 육송 특대재가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사용되기 어려운 원인을 기존 문헌 연구와 문화재 수리업계 종사자의 인터뷰 를 통해 살펴보았다. 기존 문헌과 인터뷰 조사 결과 국산 육송 특대재가 문화재 수리 현장에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못하 는 주된 원인으로써 첫 번째로는, 국산 육송 특대재가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필요한 수량보다 부족하여 문화재 수리 현 장에서 쓰이기 어렵다는 현장의 의견이 있었다. 두 번째로는, 국산 육송 특대재의 비축량은 충분하나 국산 육송 특대재 의 가격이 입찰제도와 견적의 문제로 구매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었다. 두 가지 의견에 대한 검토 결과, 첫 번째 원인보 다는 두 번째의 원인이 국산 육송 특대재의 문화재 수리 현장 적용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앞선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써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의 국산 육송 특대재의 공급과 실거래가 조사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해결 방안을 통해 국산 육송 특대재가 문화재 수리 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됨으로써, 목조문 화재에서 재료의 진정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의 연구 현황과 성과

        최응천,Choi, Eung-chon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3

        일본에는 우리나라 문화재가 다수 소장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시기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해방 이후인 1945년부터 1980년대까지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에 대한 연구는 일본과 국내 모두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개설서가 증대되면서 자료 보고서 형식의 논고가 지속적으로 발표되었다. 분야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불교회화에서 두드러진 성과가 나왔다. 조각은 일본 학자들에 의한 한국 불상 연구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였으며 일반회화 분야에서 연구 논문 발표와 저술 활동이 국내와 일본 모두 증가하였다. 도자 분야는 다른 어느 분야 못지않게 관련 저서가 증가된 점이 주목된다. 1980년대 후반부터1990년대 말까지는 국내에서 소장학자의 연구가 활발히 개시되고 신 자료를 발굴하여 소개하는 개별 논고가 많아진 시기이다. 일본의 경우 소수 연구자들의 지속적 활동이 이어지며 국내의 경우 기존 학자에 이어 도일 유학생들에 의한 연구조사가 실시되었다. 나아가 조사 지역 및 연구 범위가 확대되어 연구자의 양적 증가가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의 대여 전시가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 새로운 관심이 더욱 집중되기도 하였고 국가기관(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의 미흡하지만 처음으로 조사와 보고서 간행이 시작되었다. 2000년 초부터 현재까지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진 심화된 연구를 바탕으로 개별 작품에 대한 미시적 접근이 점차 이루어진 시기이다. 미술사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논문 주제로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를 다룬 논문이 증가되었고, 연구가 확장되어 여러 방면에 걸친 연구 인력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일반회화, 불교회화, 소수의 불교공예 정도를 제외하고 연구 분야 간 차별화 현상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도자 분야는 국립문화재 연구소에 의한 본격적인 한국 문화재 보고서가 간행되어 소장처별로 체계적인 보고서가 간행된 점은 괄목한만한 성과이다. After independence, more introductory books on Korean culture were published in both Korea and Japan, along with various papers briefly presenting relevant materials.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earch field, however, a considerable number of articles about Buddhist paintings were published. Research on Korean sculpture was quite active among Japanese scholars. And numerous articles and publications on Korean painting were also presented in both Korea and Japan. Publications on Korean ceramics were increased as much as in other fields. From the late 1980's through late 1990's, research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continued to increase, as many young scholars began to conduct research very actively in Korea, producing many articles to introduce new materials. A small number of Japanese scholars also continued to research Korean cultural properties. The overall number of Korean researchers also increased, as existing scholars were joined by students who went to Japan to study and conduct research, thereby helping to significantly expand the area and topics of research. In this period, the exchange exhibi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increased. Also the substantial research reports was began to be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ion. From the early 2000 thrugh present, in all fields, research has progressed and improved since the late 1990's, with many individuals pursuing a microscopic approach to their artifacts and works. More graduate students have been focusing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as the subject of their master's or doctorial thesis in art history, and overall number of researchers in various areas has increased. In the field of Buddhist painting, painting, and Buddhist crafts some important books and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somewhat uneven. In the area of ceramics, several significant examples of substantial research reports were pu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se publications are outstanding references that illustrat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 KCI등재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 연구-「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1933년)」 제정·시행 관련 -

        김종수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2

        「보존령(1933년)」은 식민지 조선의 문화재 보존에 관한 기본 법령으로서 앞서 시행된 일본의 근대 문화재 법제인「고사사보존법(1897년)」,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1919년)」, 「국보보존법(1929년)」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실제 그들 법령의 해당 법조문을 원용하였다. 이로써 「보존령」이 조문 구성에 있어서 일본 근대 문화재 법제를 이식 또는 모방하였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입증된다고 할 수 있다. 「보존령」의 주요 특징과 성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 보존 측면에서 볼 때, 「보존령」은 기존 「보존규칙」보다 보존을 강화하고 확대하였다. 「보존규칙」에서는문화재 범주를 고적과 유물로 한정했으나 「보존령」에서는 보물, 고적, 명승, 천연기념물 등 4가지로 문화재를 분류하였다. 또한 「보존령」은 문화재 보존 기준을 설정하고 문화재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소유권 제한에 대한 명시적 규정과 문화재 지정제도를 도입함과 동시에 국고 보조 지원 근거를 규정함으로써 문화재 보존 법제로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그러나 「보존령」은 식민지 문화재 법제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보존령」제1조에서 보물의 지정 기준으로“역사의 증징(證徵) 또는 미술의 모범”이란 기준을 설정하였으나 이 기준은 일제의 관점에서 총독부의 동화정책에 입각하여 문화재를 취사선택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문화재 보존 기준으로서 한계를 드러내었다. 또한, 일제는 「보존령」의시행으로 문화재 법제가 완비되어 문화재 도굴이 감소하였다고 평가하였으나 「보존령」시행 이후에도 도굴과 밀매매 그리고 일본으로의 반출 등 문화재 약탈과 반출은 끊이지 않았다. 이것은 일반적인 도굴과 밀매 외에도 법령을 준수하고수호해야 할 총독과 총독부 관료들이 약탈과 반출의 당사자가 되거나 그들의 묵인하에 일본인들에 의한 문화재 약탈과반출이 지속적으로 자행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당시 문화재 법제가 총독부가 허용한 또는 묵인한 반출과 약탈에는 법적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법령은 문화재 지정과 보존에 있어서 총독부의 시각에서 선택되고 적용된 식민지의 차별적 법제였으며, 일제의 문화재 정책 또한 그들의 동화정책을 실현하는 수단으로 문화재를 이용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는 일제의 조선에 대한 문화적 식민 지배 체제를 공고히 하고 총독부의 동화정책을실현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