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산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 이용 특성분석

        하정욱 ( Ha¸ Jeong-wook ),안경환 ( Ahn¸ Kyung-hwan ),배양섭 ( Bae¸ Yang-sup ),김형후 ( Kim¸ Hyung-hoo ),신화용 ( Shin¸ Hwa-yong ),송세규 ( Song¸ Se-kyu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수달은 하천을 주 서식지로 이용하기 때문에 하천 주변 서식지의 훼손은 개체군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영산강 하구와 제1 지류하천이 속한 행정권역을 중심으로 5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영산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 이용을 알아보았다. 조사지역은 하천별로 4㎞ 간격을 두었고, 총 238지점에 대하여 계절별로 최소 1회씩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총 238개 수달 조사 지점의 수달 서식흔적 분석에서는 권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154개 지점에서 발견된 수달의 흔적수는 권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329, p<0.05, d.f.=4). Ⅰ권역과 Ⅱ권역이 다른 권역들에 비해 발견된 흔적 수가 많았고, Ⅲ, Ⅳ, Ⅴ권역이 상대적으로 발견된 흔적 수가 적었다. 이는 Ⅲ, Ⅳ, Ⅴ권역이 다른 권역에 비해 시가화 지역이 넓거나 승촌보, 죽산보와 같이 주변이 노출되어 있고 하천 흐름이 정체된 지역(Ⅲ권역) 하천공사 등의 인위적 교란이 높은 지역(Ⅳ권 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활동이 소극적으로 나타나 권역에 따라서 흔적 발견개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인위적 교란과 훼손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수질이 양호한 중·상류 지역은 수달 서식흔적 확인 빈도 높게 나타났다. 수달의 흔적이 발견되는 장소는 권역별로 부분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 교량하부와 바윗돌이 가장 많았다. 수달에게 교량하부나 바윗돌과 같은 지역은 체온유지를 위해 털을 말리거나 영역 표시, 먹이 자원을 관망하는 장소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계절별 수달 서식흔적 차이에 관한 분석에서 봄과 가을에 서식 흔적 확인 빈도가 높았으나 여름과 겨울은 비교적 서식 확인 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달의 경우 여름과 가을은 출산 및 수유기로 새끼가 태어난 후 2개월 동안은 어미가 하루 종일 새끼와 함께 서식 굴에 있으면서 하루에 한 번만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여름철 장마로 인한 하천 수위 상승으로 바위지역 등과 같이 수달이 배설지로 이용하는 지역이 감소하거나 고수위에 노출된 바위 지역이라도 장마에 따른 빗물로 인해 흔적이 씻겨 내려간 것이 원인이다. 겨울철은 하천의 결빙으로 인해 먹이활동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서식흔적의 확인율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영산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정확한 자료 확보를 위한 보완의 방법으로 무인카메라나 무선추적 등을 활용한 조사 방법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수달의 서식지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하천환경의 건강성(수량, 수질 등)과 수달의 서식지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상세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otters use the river as their main habitat, damage to the habitat around the river has a great impact on their population changes. In this study, from May 2012 to April 2014, the use of habitats of otters living in the Yeongsan River was surveyed by dividing them into five areas, centering on the administrative area in which the Youngsan River estuary and the first tributary river belong. The survey area was separated by 4km for each river and a total of 8 surveys were conducted at least once per season for a total of 238 points. In this study, in the analysis of otter signs at a total of 238 otter survey sit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each region. The number of otter signs found at 154 spo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y region (F=3.329, p<0.05, d.f.=4). Areas Ⅰ and Ⅱ had more traces than the other areas, and areas Ⅲ, Ⅳ, and Ⅴ had relatively few traces. Areas Ⅲ, Ⅳ, and Ⅴ have wider urbanization than other areas or are exposed in surroundings such as Seungchon-bo and Juksan-bo. Areas where the river flow is stagnant (area Ⅲ) and areas with high artificial disturbances (area Ⅳ) showed that their activities were more passive than other areas.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igns. On the other hand, in the middle and upper stream areas where the intensity of artificial disturbance * 한국수달보호협회 and damage was relatively low and the water quality was good, the frequency of otter habitat traces was high. The places where the traces of otters were found were partially different by region, but most of them were at the base of the bridges and nearby rocks. For otters, areas such as the lower part of bridges and rocks are considere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as a place to dry their hair, mark their territories, and observe food resources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signs of otters by season, the frequency of habitat traces was high in spring and autumn, but the frequency of habitat traces was relatively low in summer and winter(6.42, p<0.1, df=3). This result is because otters are born and the lactation period is in the summer and autumn, and for two months after the pup is born, the mother stays in the habitat with the pup all day and feeds only once a day (Kruuk, 2006). In addition, due to the rise in river water levels caused by the rainy season in the summer, the areas used for excretion by otters such as rocky areas decrease, or even in rocky areas exposed to high water levels, and also are washed down by rainwater. In winter, it is considered that the rate of finding habitat traces is low because feeding activities are not easy due to freezing of the river. As a complementary method to secure accurate data on the use of habitats of otters living in the Youngsan River watershed area, a survey method using sensor cameras or Radio-Telemetry Systems should be used in parallel.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habitat vulnerability of otters, and detail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quantity, water quality, etc.) of the river environment and the habitat of otters should be supplemented.

      • 백두대간(육십령-덕치)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현황과 등산객의 간섭

        이화진 ( Hwa Jin Lee ),하정욱 ( Jeong Wook Ha ),박성준 ( Seong Joon Park ),김우열 ( Woo Yuel Kim ),김영채 ( Young Chae Kim ),이중효 ( Jung Hyo Lee ),차진열 ( Jin Yeol Cha ),오홍식 ( Hong Sh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생물다양성은 어떤 지역에서 나타나는 종 다양성과 종풍부성으로 대변할 수 있다(Lande, 1996). 이러한 종 다양성과 종 풍부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종의 존재와 분포에 대한 데이터는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해 계획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백두대간은 한반도 핵심생태축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포함한 다양한 동·식물1,300여종 이상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도로 및 개발 등의 훼손행위에 의해 백두대간을 비롯한 산림생태계가 단절되는 구간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더불어 국내 등산인구는 연간 1,800만명으로, 등산을 통해 삶의 활력과 건전한 여가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요인들은 야생동물과 인간이 산림내 활동하는 중첩 공간과 마찰되는 공간을 증가시켜 야생동물의 활동범위와 서식공간을 줄어들게 한다. 본 연구는 백두대간 보호지역(육십령∼덕치) 52.5㎞ 구간을 대상으로 2015년 5월부터 12월까지 주요 능선부에 카메라 트래핑(Camera trapping, CT)을 통해 백두대간에 서식하는 육상 포유류와 조류의 모니터링과 등산객의 출현빈도를 관찰하여 백두대간 핵심지역에서 등산객의 간섭이 야생동물 출현현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카메라 트래핑을 통해 총 75,613컷의 사진이 촬영되었으며, 포유류, 조류, 인간으로 구분된 유효사진 4,679컷을 추출(포유류 992컷, 조류 439컷, 등산객 3,248컷)하였다. 사진자료 분석시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 조류는 5분 이내에 동일한 종이 2회 이상 촬영된 것은 중복으로 고려하여 단일 컷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사진 확인 결과 화각 범위내에서 빠른 이동으로 인한 흔들림이나 일부 몸체 부위만촬영되어 동정이 불가능한 사진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카메라 트래핑을 통해 촬영된 포유류는 5목 9과 14종이확인되었으며,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인 종은 고라니가208컷(21.0%)을 차지하였다. 청설모와 다람쥐는 주간에만 출현하였으며, 나머지 12종은 주로 야간시간대에 출현빈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류는 16종으로 팔색조, 진홍가슴, 들꿩 등 관찰이 용이하지 않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또는 관찰빈도가 낮은 종과 회피성이 강한 종이 확인되었다. 특히 멸종위기 야생동물(Ⅱ급)인 팔색조의 확인은 앞으로 조류 조사방법으로 카메라 트래핑의 활용가능성과 필요성을 시사한다. 등산객의 출현은 전체 4,679컷 중 3,248컷(69.4%)을 차지하였으며, 센서의 오작동이나 등산객의 그룹산행, 1회 촬영 후 딜레이 타임을 고려하였을 경우 백두대간을 등산하는 등산객의 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간(07시-18시)과 야간(18시-익일07시)산행으로 구분하면 주간 2,874컷(88.5%), 야간 374컷(11.5%)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헤드랜턴을 착용한 야간산행은 빛에 민감한야행성 포유류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는 백두대간 동일지역에서 확보된 카메라 트래핑 자료를 통해 등산객에 의한 인위적 간섭이 야생동물의 재출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정량분석을 시행할 예정이다.

      • KCI등재후보

        조류모니터링에서 카메라트래핑의 적용이 가능한가?

        김우열(Woo-Yuel Kim),이화진(Hwa-Jin Lee),하정욱(Jeong-Wook Ha),박성준(Seong-Joon Park),박종철(Jong-Chul Park),최승세(Seung Se Choi),박진영(Jin-Young Park),이중효(Jung-Hyo Lee),차진열(Jin-Yeol Cha)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서 실시된 생물 조사 중 카메라 트래핑 결과가 조류의 고정 조사 결과에 활용될 때 보완 조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카메라 트래핑 사진 439컷 중 283컷(64.4%)이 유효 하였고 분석결과 16 종이 기록되었다. 그리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팔색조와 흰배멧새, 양진이, 진홍가슴, 힝둥새가 카메라 트래핑 결과에서만 기록되었다. 또한 연구자의 직접 모니터링 결과와 카메라 트래핑 결과의 결합된 생태 지표가 연구자의 직접적인 결과만으로 유도 된 것보다 유의 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카메라 트래핑 포인트의 시공간적 연구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은 조류 활동 시간(일출, 일몰)에 따라 기록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작은 데이터양의 약점에도 불구하고, 고도에 따른 종수의 변화가 확인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 연구는 임도에서의 카메라 트래핑을 보여 주었지만, 회피성이 강하고 숲 내부에서 주로 서식 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이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카메라 트래핑을 이용한 모니터링이 직접조사 결과에 보완 결과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14, 2015 to December 15, 2015 in order to compare camera trapping and direct survey results in the Baekdudaegan sites. As a result, 283 (64.4%) cuts of 439 cuts of the camera traps were analyzed and 16 species were recorded. And Pitta nympha (endangered wildlife class II), Emberiza tristrami, Carpodacus roseus, Luscinia calliope, Anthus hodgsoni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Also, I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as a complementary survey when the result of camera trapping survey results be used to secure the bird.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spatio - temporal study of the camera trapping point confirmed that it was recorded in accordance with birds active time (sunrise, sunset). And, Despite the weakness of the small data volume of this study, the change in species number by altitude showed similar tendency to the study conducted in India.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camera trapping on the most open road in the forest, but it was identified as the dominant species in preference to the inside of dark forest which is evasive. This suggests that supplement as a result the survey is monitored using the camera trapping direct result suggests a possibility.

      • KCI등재

        생태,자연도의 관,민원 현황에 대한 고찰

        안경환 ( Kyung Hwan Ahn ),신영규 ( Young Kyu Shin ),김지연 ( Ji Yeon Kim ),이율경 ( Yeoul Kyung Lee ),임정철 ( Jeong Cheol Lim ),하정욱 ( Jeong Wook Ha ),권혁수 ( Hyuk Soo Kwon ),서재화 ( Jae Hwa Suh ),김명진 ( Myung Ji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1

        The Ecosystem and Nature Map (ENM) is basic map for current status of natural resources. The map has been offered information to ecologic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s well as to land use planning and policy making. The map composed of 794 sheets in 1:25,000 scale classifies total areas into three grade zones (1st, 2nd and 3rd grade zones) and separately managed zone. In 2005, the first draft Ecosystem and Nature Map was prepared by the second National Ecosystem Survey. It was opened for the people to search and appeal. So 1,419 cases of public appeals on the first draft Ecosystem and Nature Map were submitted in 2005. After partial revision, the first Ecosystem and Nature Map was announced in 2007. The second draft Ecosystem and Nature Map was prepared by the third National Ecosystem Survey and opened to public in 2012. As a result, 1,263 cases of public appeals were submitted in 2012. Since the first announcement of the Ecosystem and Nature Map in April 2007, 182 cases of public appeals on the Map were submitted until December 2013. Among them, 159 cases were announced with revision. According to the first Ecosystem and Nature Map announced in 2007, graded areas covered 7.5% in the 1st grade zone, 39.2% in the 2nd grade zone and 44.7% in the 3rd grade zone of the national land area, respectively. In the second draft Ecosystem and Nature Map in 2012, areas of the 1st grade zone and the 2nd grade zone were 9.2% increased 1.7 percentage points and 45.5% increased 6.3 percentage points, and areas of the 3rd grade zone were 36.6% decreased 8.1 percentage points. Among areas of the 1st grade zone, Gangwondo occupies 54.3% in 2007 and 47.6% in 2012. Gangwondo consists of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1st grade zone and the smallest of the 3rd grade zone. Seoul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3rd grade zone. There were the highest increase of the 1st grade zone in Gyeongsangbukdo and the highest decrease in Jeollabukdo and Seoul. Vegetation is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factor to determine the grade of the Ecosystem and Nature M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