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구역 생태계 보전 및 관리강화를 위한 조사사업 개선방안

        임정철 ( Lim¸ Jeong-cheol ),안경환 ( Ahn¸ Kyung-hwan ),최병기 ( Choi¸ Byeong-ki ),이경연 ( Lee Gyeong-yeon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환경부는 2004년부터 자연성이 높은 하구역 보전을 위해 매년 2~3개 하구역을 정밀조사 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적 하구역 생태계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누적된 현황자료는 우리나라 전반의 하구역 현황과 환경 특성에 대한 궁금증뿐만 아니라 생태계가 우수한 하구역에 대한 보전 논리를 제시하기에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대한 인식 발전에 비해 하구역이라는 생태적 공간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수집체계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하구역 생태계 관리의 정책 지원과 생태계 우수 하구역 보전이라는 근본적인 조사목적 달성이 미흡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생태계 보전 및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 하구역 생태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 자연성이 우수한 하구의 보전과 훼손된 하구역 복원 및 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전략 제시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전세계의 자연환경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물론 생태계 변화는 예측할 수 없는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현황 파악과 모니터링, 정밀조사 등이 이어지면서 적극적인 생태계 관리를 통한 완만한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기후 변화에 따른 하구역 생태계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그동안 한국의 자연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대한 인식은 크게 발전했지만 하구역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일부 지역의 자료만으로 기후변화와 도시개발, 환경오염 등 생태계 변화 양상과 추이 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앞으로 하구역 생태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 자연성이 우수한 하구의 보전과 훼손된 하구역 복원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전략 제시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하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는 우리나라 생태계 보전 및 관리 정책을 질적으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진 하구역 생태계 조사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하구역 생태계 조사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다양한 환경조건의 영향을 받아 서서히 변화하는 생태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륙습지의 일부분으로서 타 조사사업과의 통합적인 관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 조사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준전문가와 시민이 참여하는 새로운 조사체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제안을 토대로 하구역 특성과 연계된 조사사업을 지금부터 철저하고도 체계적으로 준비할 것을 주장한다. 계획을 세우고 조 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움도 따르겠지만, 철저하고도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소중한 자연생태계의 훼손 방지와 보전을 위한 발전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Since 2004,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surveying 2∼3 estuaries every year to preserve the estuaries with high ecological value. However, it is insufficient to present the preservation logic for the estuaries with excellent ecosystems as well as foster curiosity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stuari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 Despite the increasing awareness of Korea's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for the estuaries was in a state of stagnation. In fact, it was evaluated that the achievement of the fundamental research objectives of supporting estuary ecosystem management policy and preserving estuaries was insufficient. Recently, the importance of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s increasing. In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estuary ecosystem management will be more emphasized, and it will be necessary to present an active conservation 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of estuaries with excellent nature with solid plans for the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damaged estuari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survey system for the estuary ecosystem. First, as part of the "Inland Wetland" scheme, it was propos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estuaries by integrating them with other wetland research projects. Secon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urvey system,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a new survey system involving semi-professionals and citizens. Based on the above proposal, it is strongly urged that preparing a thorough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project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stuaries is established from now on. Although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implementing a plan,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event and preserve the natural ecosystem through a thorough and systematic preparation.

      • KCI등재

        한국 마을숲 생태계 취약요소 발굴 및 취약성 평가

        임정철 ( Lim Jeong-cheol ),류태복 ( Ryu Tae-bok ),안경환 ( Ahn Kyeong-hwan ),최병기 ( Choi Byoung-k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4

        마을숲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한국 전통 마을경관의 핵심요소이다. 그러나 근대 이후 다양한 영향으로 많은 수의 마을숲이 소실되었거나 쇠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역사적, 문화적, 생태적 다양한 보전가치를 가진 마을숲의 체계적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499개의 마을숲에 대하여 구성 식물종 및 서식처, 입지 특성 등을 바탕으로 국내 마을숲에 대한 생태학적 복원 및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리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을숲 생태계를 위협하는 대표적인 6가지 범주의 위협요인을 발굴하고 각 요인별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마을숲 생태계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대해 위협요인별 가중치 평가를 AHP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평가결과 6가지 범주 가운데 면적 축소가 국내 마을숲의 존립에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지목되었다. 그 다음으로 지형, 토양환경 변화가 마을숲 생태계를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위협 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식생의 구조와 질적 변화는 서식처 변화보다 마을숲 소실 및 쇠퇴에 낮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요인별 가중치를 바탕으로 100점을 최고점으로 수치를 환산한 평가틀을 이용하여 마을숲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졌다. 국내 마을숲의 취약성 평가결과 가장 빈도 높은 값을 보이는 등급은 Ⅲ등급이며, 낮은 등급에서 높은 등급으로 정규분포 경향을 보였다. 높은 자연성을 보이는 Ⅰ등급의 마을숲이 38개소 존재했으며, 취약요인들에 의해 마을숲 존폐를 위협받는 Ⅴ등급의 마을숲도 10개소 확인되었다. 각 마을숲별 취약성 평가결과에서도 국내 마을숲의 지속가능성 보장을 위해 마을숲 고유의 면적 회복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었다. 국가 중요 생태자원으로서 각각의 취약요소별 국가수준의 생태적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aeul-soop(Village forest) is a key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landscape historically and culturally. However, a number of Maeul-soops have been lost or declined due to various influences since the modern age. For this Maeul-soop that has a variety of conservation values including historical, cultural and ecological ones, attention and efforts for a systematic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aeul-soop are need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ecological restoration and sustainable use and management of Maeul-soops based on component plant species, habitat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499 Maeul-soops spread throughout Korea. Major six categories of threat factors to Maeul-soop ecosystem were identified and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was evaluated. For the evaluation of weight by threat factors for the influence on the vulnerability of Maeul-soop ecosystem, more three-dimensio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method. In the results of evaluation using AHP analysis method, reduction of area, among six categories, was spotted as the biggest threat to existence of Maeul-soops. Next, changes in topography and soil environment were considered as a threat factor of qualitative changes in Maeul-soop ecosystem. Influence of vegetation structure and its qualitative changes on the loss or decline of Masul-soop was evaluated to be lower than that of changes in habitat. Based on weight of each factor, the figures were converted with 100 points being the highest score and the evaluation of vulnerability of Maeul-soop was conducted with the converted figures. In the result of evaluation of vulnerability of Maeul-soops, grade III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a normal distribution was formed from low grade to high grade. 38 Maeul-soops were evaluated as grade I which showed high naturality and 10 Maeul-soops were evaluated as grade V as their maintenance was threatened. Also in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vulnerability of each Maeul-soop, restoration of Maeul-soop`s own area was found as top priority to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of Maeul-soop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ed to prepare a national level ecological response strategy for each vulnerability factor of Maeul-soop, which was important national ecological resource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항공사진 및 퇴적물 분석을 통한 순천 동천하구의 지표경관 변화 및 퇴적환경 연구

        이예슬 ( Lee Ye-seul ),임정철 ( Lim Jeong-cheol ),장동호 ( Jang Dong-ho ) 한국지형학회 2021 한국지형학회지 Vol.28 No.1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topographical landscape and the sedimentary environment to evaluate the ecological value of the Dongcheon Estuary and protect the wetland, and presented the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Dongcheon Estuary. Based on the result of topographical landscape analysis, agricultural land tended to decrease continuously, and artificial structures gradually increased. Moreover, in sediment analysis, the Dongcheon Estuary showed both the characteristics of river sediments and coastal sediments, and in some areas problems such as acidification and nutritional imbalance appeared.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and manage the Dongcheon Estuary with high ecological valu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development around micro topography and minimize the artificial damage in the Dongcheon Estuary. In addition, efforts such as securing facilities for reducing pollutants and freshwater wetlands for pollutants, that flow in from nonpoint pollutants are required.

      • KCI등재

        생태계교란식물의 부산광역시 분포 실태

        류태복(Tae-Bok Ryu),임정철(Jeong-Cheol Lim),이철호(Cheol-Ho Lee),김의주(Eui-Ju Kim),최병기(Byoung-Ki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4

        부산광역시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식물에 대해 종 다양성과 분포현황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부산광역시에는 10종의 생태계교란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내에서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집괴분석을 통해 미국쑥부쟁이 우점군락, 가시상추 우점군락, 돼지풀 우점군락, 애기수영 우점군락, 도깨비가지 우점군락 등이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태계 교란식물은 우점군락 내에서 다른 생태계 교란식물이 함께 혼생하는 경향을 보여, 유사한 서식처를 공유하고 있는 것올 밝혀졌다. 부산시에서 가장 광범위한 분포경향을 보이는 종은 가시상추(16개 구)이며, 돼지풀(11개 구), 미국쑥부쟁이(11개 구), 애기수영(10개 구) 등이 넓은 분포를 보였다. 행정구역 중 가장 다양한 생태계교란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강서구(8종)와 북구(8종)이며, 인위적 간섭이 높으면서 다양한 서식처가 존재하는 지역들로 확인되었다. 부산광역시의 종별 서식처 환경정보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부산광역시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현황파악과 더불어 효율적 관리와 확산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diversity and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South Korea. According to our results, we discovered 10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distributed in Busan, demonstrating that this urban area has a high domestic plant diversity. A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dominant communities of Aster pilosus, Lactuca serriola, Ambrosia artemisiifolia, Rumex acetosella and Solanum carolinense were highly similar in species composition. Different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tended to occur together in dominant communities, indicating their preference for shared habitats. The most extensively distributed species in Busan were Lactuca serriola (16 districts), followed by Ambrosia artemisiifolia (11 districts), Aster pilosus (11 districts) and Rumex acetosella (10 districts).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the most diverse invasive alien plants were Gangseo-gu (8 species) and Buk-gu (8 species), which are both areas with high human interference and diverse habitats. Ad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collected for these species’ habitat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Busan and can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effectively controlling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invasive plants.

      • KCI등재

        위성영상과 Maxent를 활용한 생태계교란생물 분포지역 예측 : DMZ의 단풍잎돼지풀을 대상으로

        박현철 ( Park Hyun-chul ),임정철 ( Lim Jeong-cheol ),이정환 ( Lee Jung-hwan ),이관규 ( Lee Gwan-gyu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0 No.1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 site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the DMZ and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in managing the future DMZ natural environment. From 2007 to 2015,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or the advent of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through fieldwork around the DMZ area, and simulated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using Maxent model among the models of species distribution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the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was concentrated in the western DMZ with relatively low altitude and scanty in the central east regions with relatively high elevation and forest cover rate. Because the invasive alien vegetation is a significant threatening factor in the agriculture and restoration of ecology and it costs a lot to restore the area already invaded by invasive alien vegetation, advance precautions are necessary to prevent biological invasion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disturbed ecosystems through this study for the efficient land use within DMZ in the future and to apply this study in setting up the areas for th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within the DMZ.

      • KCI등재

        도동 측백나무군락지의 식물상 및 보전방안

        최병기 ( Byoung Ki Choi ),임정철 ( Jeong Cheol Lim ),이창우 ( Chang Woo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3

        천연기념물 제1호인 도동 측백나무군락지에 대한 식물상 연구를 통하여 측백나무와 함께 지역 고유의 식생을 구성하는 식물종의 다양성을 발굴하고, 생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국가식생/식물자원의 가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도동 측백나무림의 식물상은 67과 147속 199종 16변종, 4품종, 21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출현종 가운데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IUCN 기준의 취약종인 모감주나무와 약관심종인 측백나무, 가침박달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연구지역은 지질학적 연구에서 비석회암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측백나무를 포함한 부싯깃고사리, 금털고사리, 돌좀고사리, 산조팝나무, 분꽃나무, 청가시나무 등의 호석회식물이 다소 많은 수(15종)가 분포하고 있으며, 털개살구, 털조록싸리, 큰구와꼬리풀, 개나리(식재기원) 등 한국 특산식물도 4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어, 지역 종급원 형성에 중요한 서식처의 하나로 판단된다. 귀화식물은 큰닭의덩굴, 소리쟁이, 물냉이,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등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가 3.6%와 2.2%로 대구지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귀화식물에 의한 지역 생태계의 교란위협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지역은 측백나무가 고유의 식생경관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뿐 아니라 국내에서 자생하는 측백나무림의 최남단분포지라는 것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서식처를 반영한 고유한 지역식물 구성종들이 독특한 종조성을 형성하고 있어 생태학적 보존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나아가 측백나무 자생지의 서식처에 대한 질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보존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방안들을 고찰하였다. A plant diversity, which consists of indigenous plant community with Orientla thuja community (Natural monument no. 1) in Dodong, Daegu, is identified and analyzed as ecological characteristic to consider worth plants and vegetation resource of the region. The vascular plants of Thuja orientalis community were listed as 219 taxa (3.7% of all 4,881 taxa of Korean vascular plants); 67 families, 147 genera, 199 species, 16 varieties, and 4 forms. Vulnerable species (VU) and least concerned species (LC) were recorded based on IUCN standard; Koelretueria paniculata (VU), Thuja orientalis (LC), and Exochorda serratifolia (LC). Although the study site is a non-limestone area, a total of 15 taxa of calciphilous plants were identified; Cheilanthes argentea,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Asplenium retamuraria, Thuja orientalis, Spiraea blumei, Smilax sieboldii, etc. A total of 4 taxa endemic plants were identified; Prunus mandshurica for. barbinervis,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Forythia koreana (artificial origin), and Veronica pyrethrina. Among the list, 8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Fallopia dentatoalalta, Rumex crispus, Nasturtium officinale, Bidens frondosa, Erigeron annuus etc. Naturalization rate (NR) was 3.6%, of all 219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2.2%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Thuja orientalis occupies a lot of indigenous landscape in this study area which is the southern-limited part of a natural distribution where it can survive. The T. orientalis community, where indigenous plants have formed a characterful species composition based on habitat, has been confirmed as a worth national vegetation resource in an indigeous flora. It has been considered of plans for persistent conservation.

      • KCI등재

        섬진강침실습지의 2020년 홍수 전·후 토지피복 및 퇴적환경 변화 연구

        이예슬 ( Ye-seul Lee ),임정철 ( Jeong-cheol Lim ),장동호 ( Dong-ho Jang ) 한국지형학회 2021 한국지형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land-cover and sedimentary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flooding through drone images and sediment analysis for the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ea of some land-covers such as sand bar, grass, and trees were continuously changed. The acidity level of the sediments in the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was weakened gradually by flooding and EC was also decreased. The levels of organic matter, effective phosphoric acid, and CEC, however, were fluctuating depending on branches, which seems to be the result of landization as new sedimentary environment was developed and vegetation was settled after the flood. Average mean size of river sediments was found to be fine sand, and it exhibited various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from granule to medium silt depending on the location. As the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d due to the effects of floods and typhoons, the particles were granulated or grain refined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there were factors that could interfere with geomorphic development and sedimentary environment, contamination sources in and around the wetland, and natural threat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was proposed to remove these threat factors and to preserve the scarcity, naturalness, and dynamics of Seomjin River Chimsil Wetland.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