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봉덕리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장식신발 새문양의 형태·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따오기 동정

        김우열(Woo-Yuel Kim),빙기창(Gi-Chang Bing),서지혜(Ji-Hye Seo),백운기(Woon-Kee Paek),이두표(Doo-Pyo Lee)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본 논고는 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봉덕리 고분출토 유물 금동장식신발에 장식되어 있는 새 형태의 문양에 대하여 형태학적, 생태학적 검토를 통해 의 멸종위기종 적색목록 위급(CR, critically endangered) 단계이며,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198호인 따오기(Nipponia nippon)로 동정하고, 그 의미를 보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금번 검토한 출토된 신발에 조각된 새 문양은 전반적으로 가마우지류의 몸 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부리의 형태적 측면에서 부리의 휘어진 곡선과 머리 크기와 비교해 부리의 비율이 2-3배로 길고, 부리 기부가 머리 윗부분부터 시작되는 형태는 부리 기부가 머리 하단부에서 시작되는 마도요류의 곡선 부리와는 형태적으로 차이가 나 비교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체를 포개어 표현한 장식은 따오기의 무리 행동의 생태적 특징이 잘 표현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금동장식 신발의 옆면에 있는 새 문양 부리는 따오기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고(古)유물에 주로 확인되는 조류 8종류(고니, 기러기, 닭, 제비, 황새, 원앙, 두루미, 백로)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적 표현으로 기록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 야생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고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록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조선시대 이전에는 따오기에 대한 서식 정보가 전무했으나, 본 연구의 5세기 봉덕리 금동신발에서 따오기 문양이 확인됨에 따라 삼국시대에도 따오기가 서식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삼아 세가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첫째, 한·중·일 3국에서 따오기와 관련되는 유물을 대상으로 연대 측정을 통한 생물 및 서식지 분석에 대한 공동연구, 둘째, 본 연구의 유물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출토되고 발견된 고 유물에 포함된 새 문양의 세밀한 검토를 통해 고생물학적 해석과 고생물학적 현황 재검토. 셋째, 본 연구에서 “쌍조”로 표현된 따오기 문양의 일부가 부리가 짧은 형태로부터 어린 새의 모습이 유추되는바, 현재까지 알려진 겨울철새의 기록 이전에는 우리나라에서 따오기가 번식했을 가능성을 암시하므로 보다 면밀한 검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the finding of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a natural monument, through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analyses of bird patterns on the fifth century gilt bronze decorative shoes excavated from the Bongdeok-ri tombs. The overall body pattern of birds carved on the excavated shoes resembles that of a cormorant. However, the beak appears to be 2–3 times longer than the head, and it starts from the top of the head, as opposed to the curved beak of curlew (Numenius sp.) that starts from the bottom of the head.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several individuals is consistent with the ecological herding behavior of wild crested ibis. Therefore, based on beak patterns on the sides of the gilt bronze decorative shoes, the birds can be considered Crested Ibis. This finding is significant because it represents a new morphological expression in addition to the eight bird species (e.g. cygnus, geese, chickens, swallows, storks, mandarin ducks, cranes, and egrets) that are often depicted in ancient artifacts. Crested Ibis is extinct from Korea, and wild restoration efforts are underway. In this context, the present record is paleoecologically significant. Our findings can be used to formulate three fundamental research proposals: (1) a joint biological and ecological analysis through dating the relics related to ibis from Korea, China, and Japan; (2) reconsideration of paleontological status and interpretation through detailed review of new bird patterns on ornaments; and (3) confirmation of whether some “twin birds” with short bills in the observed pattern represent juveniles. This finding implies the possibility of the breeding of Crested Ibis in Korea; therefore, closer examination is imperative.

      •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올빼미의 세력권 추적 연구 - 첫 사례연구 보고 -

        김우열 ( Woo-yuel Kim ),최원석 ( Won-suk Choi ),강태한 ( Te-han Kang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올빼미(Tawny Owl, Strix aluco)는 전 세계적으로 유라시아대륙, 소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북부, 히말라야에서 중국 동부와 남부, 한국, 대만 등에 널리 분포하며, 지리적으로 11아종으로 구분된다(김선숙 등 2012). 한국에 서식하는 올빼미는 S. a. ma 에 해당하며 중국 북동부와 한국에 분포한다(del Hoyo et al. 1999). 세력권이란 개체 또는 집단이 다른 개체 또는 집단으로부터 먹이자원, 번식 등을 위해 방어하여 점유하는 지역을 말한다(Gill 1995; 강연희 2008). 올빼미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지만 흔하지 않은 텃새로, 환경부지정 멸종위기II급 및 천연기념물 제324-1호로 지정된 보호종이다(이우신 등 2014; 박진영 2002). 올빼미는 주로 숲이 발달한 곳에 서식하지만, 유럽에서는 도시환경에도 비교적 잘 적응한 종으로 숲이 조성된 공원, 농장에서도 자주발견된다(del Hoyo et al. 1999; Konig and Weick 2008). 한국에서 올빼미의 기록은 대부분 직접적인 관찰보다는 울음소리로 확인된 경우가 많으며, 산림이 발달한 지역, 특히강원도에서 기록이 가장 많다(김창회 등 2010). 올빼미는 야행성(nocturnal)으로 낮에는 주로 산림에서 휴식을 취하고 야간에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에, 관찰 및 기본적인 번식생태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이탈리아에 서식하는 올빼미의 경우 작은 공원이나 도시 근교의 지역에서는 3.0/km²정도의 행동권을 형성하고, 개방된 장소나 숲이 우거진 곳에서는 5.0/km² 정도의 행동권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anazzi et al. 2000). 그러나 국내에서 수행된 올빼미에 관한 기초적인 번식생태와 행동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지금까지 휴식처로의 동굴 이용(김선숙 등 2012), 유전자에 의한 올빼미과의 분자계통(류시현 등 2003) 등이 수행되어왔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올빼미의 세력권 파악을 통해 멸종위기종인 올빼미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올빼미 개체군을 보호하고 보전하며 관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진행했다. 경북일대에서 현지조사와 청문조사를 병행하여 관찰된 올빼미개체를 추적 조사하여 번식하는 둥지를 확인하고 번식하는 올빼미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둥지를 비운틈에 둥지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후 둥지 특성을 고려하여 포충방 등을 이용하여 번식하는 암컷 올빼미를 포획하였다. 포획된 개체의 각 부위별 측정조사를 버니어캘리퍼스와 날깨와 꼬리 측정자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위치추적기(WT-300: 한국환경생태연구소가 개발한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를 올빼미 등에 Backpack 형태로 부착 하였고 행동제약에 관한 최소무게를 고려한 대상개체의 5% 이하(Kenward, 1985)를 초과하지 않았다. 부착된 추적기로 인한 비행 능력 등 행동에 이상이 없음을 현장 추적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올빼미 번식기간 세력권 연구에서 국내 1kg 이하의 중형 야행성 맹금류이며 번식 중인 올빼미를 추적하는데 국내최초로 성공했다. 암컷올빼미는 번식기 동안 둥지 중심으로 4,395㎡의 지역을 이용했으며, 이 지역의 고도는 370~380m였다. 올빼미가 둥지중심으로 이용한 세력권 내부으, 토지유형은 대부분 경지정리가 안된 밭과 혼효림, 단독주거시설, 시설재배지, 초지, 나지가 혼합 산재된 지역이였으며 세력권 주변지역은 대부분 침엽수림과 혼효림, 과수원, 자연초지, 활엽수림, 묘지, 호소의 유형이 있는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암컷이 주로 둥지 주변에서 새끼를 돌보고 수컷이 먹이를 공급하는 행동을 보였으며, 암컷은 번식시기인 육추기간 동안 둥지 주변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세력권을 형성했다. 향후 번식기 암컷에 비해 행동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을 것으로 판단되는 수컷의 행동을 조사하는 등 올빼미의 서식지 분포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 KCI등재

        한반도 서남해의 특정도서(병풍도, 탄항도, 백야도, 납태기도, 행금도)의 보호조류 서식현황 연구

        김우열 ( Woo Yuel Kim ),성하철 ( Ha Cheol Sung ),빙기창 ( Gi Chang Bing ),최원석 ( Won Suk Choi ),이지용 ( Ji Yong Lee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보호 조류의 생태적 특징을 고려한 지속적 보전방안의 활용을 목적으로 2012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조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역에 속해있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호’에 의해 지정된 한반도 서남해 남단 다도해해상 진도군일대의 특정도서(병풍도, 탄항도, 백야도, 납태기도, 행금도)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2종 765개체(최대개체수 기준)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20종의 국내보호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의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이상 등급은 총 49종으로 나타났으며, 위기근접종(NT, Near Threatened) 2종, 취약종(VU, Vulnerable) 1종이 함께 조사되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취약종(LC) 초과 등급 3종으로 전체 5.8%를 차지하였다. 또한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국내·외 보호조류는 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 중 국내 법정보호종과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전체 보호종 수를 기준으로 국내 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는 9.6%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학과 식물생태학적 측면에서 조류와 서식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면적이 가장 넓은 병풍도에서 종수와 고도가 가장 높았고 면적이 가장 작은 탄항도에서 종수와 고도가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서식지가 넓을수록 종수와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고 서식지가 작을수록 종수가 적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서식지가 넓을수록 종수와 개체수가 많이 관찰되는 경향을 보였고, 고도와 조류 종수의 비교에서는 최대 고도와 식생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line with the continuous conservation plans for birds protected by law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rea, Korea, we surveyed the bird communities of five islands (Byeongpungdo, Tanhangdo, Baekyado, Naptaegido and Haenggeumdo), which are all appointed by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in Island Areas including Dok Island". We conducted the survey once or twice every year from May 2012 to September 2014, each considering birds`` breeding (summer) and migratory (fall) seasons. In total, 768 individual birds and 52 species were observed within the five islands, and 20 species were protected by law in Korea. According to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Red List Status, 49 species were classified as least concerned (LC), 2 near threatened (NT) and 1 vulnerable (VU). Thus, 5.8% were recorded above the LC level, and 9.6% were listed on the endangered category I and II.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richness and their habita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Byeongpungdo showed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covered the largest area with the highest altitude. On the other hand, Tanhangdo had the smallest area and lowest altitude and showed the lowest species richness. This relationship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has a high correlation with size, altitude and the islands ’vegetation structure.

      • KCI등재

        한국에서 올빼미 번식기 추적 조사 및 서식지 연구- 첫 추적조사 사례<sup>1a</sup>

        김우열 ( Woo-yuel Kim ),최원석 ( Won-suk Choi ),박종철 ( Jong-chul Park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6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올빼미의 실질적인 행동권 파악을 통해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올빼미 개체군을 보호하고 보전하며 관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2016년 4월 14일~5월 20일까지 번식기 육추시기에 약 한달 간 진행했다. 그 결과 경북 일대에서 전장(Total Length) 423.5㎜ 와 무게 550g 의 암컷 1개체를 포획하였고 우리나라 최초로 추적에 성공했으며 직접관찰과 위성추적 관찰 좌표 6지점을 획득 하였다. 가장 먼 지점의 거리는 둥지로부터 93m의 이격 거리였다. 그리고 육추시기에 약 100m 반경에 대한 서식지 분석결과 밭 34.2%, 혼효림 30.6%, 과수원 10.5%, 자연초지 9.4% 순의로 토지피복도 우점 순위가 나타났다. 이는 이전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한 결과로 향후 수컷 또는 다른 개체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바탕으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 올빼미의 보호와 보전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rix aluco, which i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category II species. Towards this, we identified the actual home range of Strix aluco that breed in Korea, and collected the data necessary for protecting, preserving and managing owl popul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4 to May 20 of 2016 during the breeding season of Strix aluco as part of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and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e captured and subsequently released a female owl with a total length of 423.5㎜and a weight of 550g in Kyungbuk area, succeeded in tracking i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secured 6 points of direct observation and satellite tracking observation. The distance from the nest to the farthest point was 93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abitat points within a100m-radius during breeding period, it was established that their habitat consists of 34.2% of non-irrigated land, 30.6% of mixed forest land, 10.5% of orchard, and 9.4% of natural grassland.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estimate of home range studies. Further research based on follow-up studies on males or other individuals is required to develop a stronger basis for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endangered wildlife class II owls.

      • KCI등재후보

        조류의 다양성과 산림면적 및 인접거리와의 상관관계

        김우열(Woo-Yuel Kim),박치영(Chi-Young Park),이두표(Doo-Pyo Le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서구 도시림에서 도시림별 도시산림조류의 출현 종수와 도시림의 면적 및 도시림간의 거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광주광역시 서구의 산림 10개소(사월산, 발산, 소매봉, 봉황산, 화방산, 개금산, 송학산, 한생이산, 백마산, 금당산)를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12월까지 조류상을 조사한 결과 야생조류 7목 22과 38종이 관찰되었다. 번식조류는 27종이었으며 최우점종은 물까치(14.0%)로 나타났다. 전체 종다양도는 2.69, 종풍부도는 5.70, 균등도는 0.74로 나타났다. 도시림간 유사도지수는 평균 0.47±0.13로 나타났다. 도시림의 면적과 조류의 총 종수, 번식 종수, 철새 종수와의 상관관계는 모두 도시림의 면적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수와 면적과의 상관관계는 면적이 넓어질수록 종풍부도는 높았고 균등도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면적이 넓어질수록 종다양도는 높아졌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도시림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도시림간종 유사도 지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류의 종수는 면적이 넓을수록 많고 산림의 인접거리가 가까울수록 조류의 이동이 원활하다고 판단된다. To provide essential basic information for increasing bird diversity of urban forest, bird censuses were conducted at the 10 forests (Sawolsan, Balsan, Somaebong, Bonghwangsan, Hwabangsan, Gaegeumsan, Songhaksan, Hansaengisan, Baengmasan, Geumdangsan) in Seo-gu, Gwangju. It from May to December in 2007. And from the result,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diversity and forest area and forest isol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 of census, a total of 663 birds of 38 species, 22 families and 7 orders was recorded in the 10 forests. Twenty seven breeding species were observed. The first dominant species was Cyanopica cyana (14%). Species diversity was 2.69. Richness was 5.70. Evenness was 0.74. Similarity index was average 0.47±0.13. A relationship between forest area and number of species, number of breeding species, number of migrant species and species richness appeared to positive, but that of species evenness showed negative. As the distance between forests was near, similarity index of bird species was higher. These results showed that more species live in large patches of forest, and that the less isolated a forest the more likely is a species to move it.

      • KCI등재후보

        조류모니터링에서 카메라트래핑의 적용이 가능한가?

        김우열(Woo-Yuel Kim),이화진(Hwa-Jin Lee),하정욱(Jeong-Wook Ha),박성준(Seong-Joon Park),박종철(Jong-Chul Park),최승세(Seung Se Choi),박진영(Jin-Young Park),이중효(Jung-Hyo Lee),차진열(Jin-Yeol Cha) 한국조류학회II 2018 한국조류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서 실시된 생물 조사 중 카메라 트래핑 결과가 조류의 고정 조사 결과에 활용될 때 보완 조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카메라 트래핑 사진 439컷 중 283컷(64.4%)이 유효 하였고 분석결과 16 종이 기록되었다. 그리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팔색조와 흰배멧새, 양진이, 진홍가슴, 힝둥새가 카메라 트래핑 결과에서만 기록되었다. 또한 연구자의 직접 모니터링 결과와 카메라 트래핑 결과의 결합된 생태 지표가 연구자의 직접적인 결과만으로 유도 된 것보다 유의 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카메라 트래핑 포인트의 시공간적 연구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은 조류 활동 시간(일출, 일몰)에 따라 기록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작은 데이터양의 약점에도 불구하고, 고도에 따른 종수의 변화가 확인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 연구는 임도에서의 카메라 트래핑을 보여 주었지만, 회피성이 강하고 숲 내부에서 주로 서식 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이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카메라 트래핑을 이용한 모니터링이 직접조사 결과에 보완 결과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14, 2015 to December 15, 2015 in order to compare camera trapping and direct survey results in the Baekdudaegan sites. As a result, 283 (64.4%) cuts of 439 cuts of the camera traps were analyzed and 16 species were recorded. And Pitta nympha (endangered wildlife class II), Emberiza tristrami, Carpodacus roseus, Luscinia calliope, Anthus hodgsoni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Also, I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as a complementary survey when the result of camera trapping survey results be used to secure the bird.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spatio - temporal study of the camera trapping point confirmed that it was recorded in accordance with birds active time (sunrise, sunset). And, Despite the weakness of the small data volume of this study, the change in species number by altitude showed similar tendency to the study conducted in India.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camera trapping on the most open road in the forest, but it was identified as the dominant species in preference to the inside of dark forest which is evasive. This suggests that supplement as a result the survey is monitored using the camera trapping direct result suggests a possibility.

      • 특정도서(행금도, 납태기도, 백야도, 탄항도, 병풍도)의 보호조류 서식현황 연구

        김우열 ( Woo Yuel Kim ),빙기창 ( Gi Chang Bing ),최원석 ( Won Suk Choi ),이지용 ( Ji Yong Lee ),이효선 ( Hyo Seon Lee ),성하철 ( Ha 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본 연구는 2012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지역에 속해 있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호’에 의해 지정된 특정도서(행금도, 납태기도, 백야도, 탄항도, 병풍도)를 대상으로 이지역에서 관찰된 보호조류의 생태적 특징을 고려한 지속적 보전방안 활용을 목적으로 조류의 번식시기(하계)와 이동시기(춘계, 추계)에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정도서 중 병풍도는 멸종위기 동물 매 및 슴새 서식이 지정사유를 포함하고 있고 탄항도와 남태기도는 천연기념물 흑비둘기 서식이 지성 사유에 포함되어 있다. 이 지역모두 지형· 경관이 우수하고 상록 활엽수립 등 조류의 서식처가 잘 발달되어 있어 식생이 우수한 지역이다. 조사결과 전체 조류는 최대개체수 기준 52종 765개체가 관찰되었고 이중 국내 보호조류는 전체 20종이 나타났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의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이상 등급은 총 49종으로 나타났으며, 위기근접종(NT, Near Threatened) 2종, 취약종 (VU, Vulnerable) 1종이 기록되었다. 연구지역에서 확인된국내·외적 보호종 수치는 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에 기록된 전체 보호종 수를 기준으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중 세계자연보전연맹적색목록의 취약근접종은 3%, 취약종이 4%의 비율이며 특정도서 5곳(행금도, 납태기도, 백야도, 탄항도, 병풍도)에서기록된 비율은 취약근접종이 4%로 더 높은 비율을 보이며 취약종은 절반인 2%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지역은 보호조류의 번식과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보전방안 마련에 있어 보호조류의 번식 및 서식지 보존을 위해 지리적, 생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정도서에 방목되어 있는 염소구제 및 어로행위를 위한 불법입도 등 인간의 간섭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이용한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의 분포현황과 생물지표종의 제안

        김우열 ( Woo Yuel Kim ),배소연 ( So Yeon Bae ),오수정 ( Su Jeung Oh ),윤희남 ( Hee Nam Yoon ),이중효 ( Jung Hyo Lee ),백운기 ( Woon Kee Paek ),성하철 ( Ha 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토대로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의 시·공간적 분포현황과 흰물떼새가 선호하는 서식지 유형을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흰물떼새는 전국 824 도엽 중 97개 도엽(약 11.8%)에서 기록되었고 주로 서해안과 남해안의 해안선을 따라 집중 분포하였다. 또한, 일부 동해안과 내륙의 주요 강(한강, 금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주변, 제주도의 동쪽과 서쪽 해안선 일대와 대청도에서 관찰되었다. 주요관찰된 시기는 봄철 이동시기와 번식기, 가을철 이동시기이며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 분석 결과 수역과 습지의 넓이가 흰물떼새의 서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환경부 세분류 토지피복의 연안습지 면적 분석 결과 흰물떼새가 관찰된도엽의 대부분(약 90%)에는 연안습지가 형성되어 있었고, 연안습지의 형성여부가 흰물떼새의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물떼새는 서식지의 변화에 따라 번식지를 이동하며, 서식지 환경변화에 민감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흰물떼새는 생물지표 기준으로서 연안습지 지역의 서식지 환경의 변화와 관련이 있고 시기별 개체수 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조간대 연안의 생태적 가치를 판단하는 지표종으로 활용할 만한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and preferred habitat type of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based on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Kentish plovers were observed in 97 maps out of a total 842 maps (11.8%) between 2006 and 2012, mainly along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They were also observed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inland rivers (Han, Geum, Nakdong, Seomjin, and Yongsan River), the western and eastern coast of Jeju island, and Daecheong Island in the Yellow Sea. The observations were mainly made during the spring breeding season and migration seasons in spring and autumn. The occurrence of kentish plovers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area of water and wetland according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level of land cover type analysis and the area of coastal wetlands in the detailed classification level of land cover types. Most (90%) of the kentish plovers recorded maps had coastal wetlands. Kentish plovers were known to be susceptible to change of habitat. As the occurrence of kentish plovers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habitat-change of coastal wetlands and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number of individuals, it is recommended that kentish plovers be used as a bioindicator species for the ecological assessment of ecosystem in intertidal zones.

      • KCI등재

        고립된 서식지의 녹색 이동통로 생물유입 가능 디자인 제시 - 서울시 한강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

        서지혜 ( Seo¸ Ji-hye ),김우열 ( Kim¸ Woo-yuel ),윤정도 ( Yoon¸ Jung-do ),반영운 ( Ban¸ Yong-un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도시화가 심화된 지역의 파편화된 서식지들의 고립적 형태를 섬생물지리학적 이해를 통해 가장 광범위하게 도시화가 진행된 서울시 내 탄천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단계는 대표적인 서식지와 생물종의 정보 수집에서부터 인문, 사회적 환경요인에 근거한 디자인과 설계 방향으로 다섯 단계(①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조류서식지 관련 이론에 대한 정보 수집 등, ② 철새도래지 서식환경 요인과 인문·사회 환경 요인 근거 마련, ③ 조류서식모형 디자인 구현, ④ 탄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철새도래지 서식환경 설계 방향 결정, ⑤ 탄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철새도래지 서식환경 설계 디자인 도출 및 제시)의 연구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서울시지정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탄천은 도심 속 철새도래지로 지정되어 있다. 이 지역은 주변 지역의 생물 서식지가 다양한 물리적, 인위적인 도심화에 따라 파편화된 도시 섬이 존재하는 지역이다. 이에 생태계 최상의 포식 분류군 조류 중 흰뺨검둥오리, 비오리, 백할미새, 박새 4종의 핵심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종의 서식 유형에 따른 수계의 수면성, 잠수성, 수변성, 주변 식생 및 녹지 이용에 따른 서식특징을 기준으로 주변 환경의 물리적 환경, 생물상, 수환경 등을 고려해 조류의 서식공간 모형 디자인하고, 조류 서식지와 주변 물리적 환경을 통합한 서식지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하천 습지 서식지에 해당하는 어류의 주요 종들의 최소와 최대 범주를 고려하였고, 양서류 중 금개구리를 선정하였다. 이런 녹색 하천의 이동통로 형태의 서식환경을 설계함에 앞서 생물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식재 계획, 방음벽 설치 계획,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전략계획을 제안하였다. 1. 조류 서식환경 회복을 위해 서식환경을 고려한 조류 서식 모형, 2. 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행로를 최소화하고, 3. 조류의 비간섭거리를 고려해 횃대, 인공섬, 징검다리, 식생완충대를 조성, 4. 조류관찰대와 환경생태교육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시된 디자인을 통해 주변 공간이 일부 재구성된다면 단절된 주변 산림 서식지의 생물적 공간의 공유를 통해 생물다양성 증진과 인간의 상생에 질적 향상이 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시민을 위한 환경생태복합 공간으로 발현되어 지역 커뮤니티 등 생물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생물이 공존하는 멀티 생물 다양성 핵심지역으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most widely isolated (in terms of fragmented habitats) urban areas and the deepening of understanding over the island bio-geographic status in Seoul/Tancheon amid increased urbaniz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from collecting information on representative habitats and species, to designing based on humanitie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①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ories related to bird habitats in the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etc. ② Establish the basis for the habitat environment factors of migratory birds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③ bird habitat model design implementation, ④ Determination of the design direction of habitat environment for migratory birds in the Tancheo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⑤ Derivation and presentation of design for habitat environment for migratory birds in the Tancheon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Tancheon is designated as a place for migratory birds in the city center among 17 areas allocated as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in Seoul. In this area, there are urban islands on which the biological habitats of the surrounding areas are fragmented according to physical and artificial urbanization. Therefore, among birds in the ecosystem's best predatory taxa, 4 four key species (Spot-billed Duck, Common Merganser, Black-backed Wagtail, and Great Tit) were selected. A model design of habitat for birds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biota, and aquatic environments of the surrounding envir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f habitat of the selected species, water surface, submersion, water transformation, surrounding vegetation and green space was created. It is intended to present a habitat design that integrates the bird habitat and the surrounding physical environment if the surrounding space of Tancheon is partially reconstructed through the proposed design. In addition, the minimum and maximum categories of the major fish species corresponding to the river wetland habitat were considered, and the golden frog was selected among amphibians. In designing this river of green corridors in the form of habitats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on organisms, the following were previously proposed: a planting plan, noise barrier installation planning, general planning, and various strategic planning programs. These include: 1. A bird breeding model that considers the habitat environment ecosystem to restore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2. Minimizing pedestrian paths to reduce human interference, 3. Considering the non-interference distance of birds, construct aperches, artificial islands, stepping stones, and vegetation buffers. 4. Provide ornithologists (bird watchers) a place which provides appropriate ecology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biodiversity and human coexistence will come through the sharing of the biological space of the disconnected surrounding forest habitat.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emerge as a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mplex space for citizens and develop into a multi-biodiversity core area where not only living things such as local communities, but also human and natural organisms coexist.

      • KCI등재후보

        전남 무안의 농어촌지역에서 서식지 유형별 조류군집의 특성 비교

        박치영(Chi-Young Park),김우열(Woo-Yuel Kim),이두표(Doo-Pyo Lee) 한국조류학회II 2009 한국조류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전라남도 무안군 농어촌지역 일대(약 30㎢)에서 서식지 유형에 따른 조류의 군집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 6월부터 2008년 2월까지 9회에 걸쳐 조류 센서스를 실시하였다. 10개 유형의 서식지에서 논병아리류 3종, 백로류 7종, 오리류 17종, 섭금류 14종, 갈매기류 4종, 맹금류 8종, 참새목조류 39종, 기타 13종으로 총 105종 9,063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17종 4,680개체가 관찰된 오리류가 우점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저수지에서는 논병아리류, 백로류, 오리류의 이용비율이 높았으며, 갯벌에서는 섭금류와 갈매기류, 초지에서는 맹금류와 참새목조류의 이용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서식지 유형별 종수, 개체수, 종다양도, 종풍부도는 각 유형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수지, 논, 초지, 침활혼효림이 다른 유형보다 높았다. 유사도지수(RO)를 이용한 UPGMA 군집분석 결과, 갯벌과 저수지, 논과 갈대밭, 하천과 그 외 유형들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ccording to habitat types, we conducted a survey on avifauna nine times in rural area of Muan-gun, Jeonam Province divided into 10 types of habitats, between June 2007 and February 2008. Total 105 species and 9,063 individuals, including 3 species of grebes, 7 species of herons, 17 species of ducks, 14 species of waders, 4 species of gulls, 8 species of raptors, 39 species of passerine, and 13 other species, were observed. Of them, ducks were the most dominant group with 17 species and 4,680 individuals. In use rates for habitat types, grebes, herons, and ducks were high at reservoir, and waders and gulls were high at the tidal flat, and raptors and passerine were high at the grassland. The mean number of species,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H’), and species richness (R’)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habitat type. All of these index were higher in reservoir, paddy field, grassland and mixed forest than in the others. Cluster analysis by Unweighted Pair-group Method using Arithmetic Average (UPGMA) applying similarity index (Ro) revealed that tidal flat and reservoir, paddy field and reed field, river and the other types were similar to one an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