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식품안전에 관한 민간표준 연구

        최정순(Choi, Jeong Soon)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1 국제경제법연구 Vol.9 No.2

        민간표준의 출현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 민간표준으로 인한 시장접근장벽에 관한 논란을 가져왔다. SPS관련 민간표준논의의 주요쟁점은 첫째 민간표준이 정부에 의해 제정한 표준이 아니라는 이유로 WTO체제 내에서 논의하는 것이 적절한가 라는 문제이다. 둘째 쟁점은 민간표준의 정의 및 범위에 관한 문제이다. WTO/SPS 위원회는 공식, 비공식회의에서 회원국의 의견 및 CODEX, OIE, IPPC 세자매기관의 작업을 기초로 민간표준의 제정 및 운영시 WTO/SPS위원회의 구체적인 역할에 대하여 논의 중이다. 정부에 의한 민간표준에 관한 지나친 간섭은 자제되어야 하나 SPS관련 민간표준이 지속적인 국민 생명·건강보호 또는 시장접근 촉진을 위해 필요하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식품안전과 시장접근의 확보라는 상반되어 보이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SPS관련 민간표준을 포함한 민간표준 전반에 걸친 대한 우리나라 정부의 일관된 입장정리 및 표명이 필요하다. SPS관련 민간표준은 국제무역에 관한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을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민간표준을 적절히 준수함으로써 얻어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국제무역에서 SPS관련 민간표준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민간표준의 제정 및 운영시 WTO/SPS협정상의 주요원칙인 과학주의원칙, 비차별의 원칙, 필요성의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시장 접근의 촉진을 위하여 공공표준과 민간표준의 적절한 조화 및 이행을 강조하여야 한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민간표준이 무역을 제한하는 위장된 조치로 활용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의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및 협의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The advent of private standards have brought a hot debate on whether private standards are an impediment to access to food market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in international trade. Key issues of the debate on SPS related private standards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private standards could be discussed within WTO legal framework? Second, whether the definition and scope of private standard could be clarified? WTO/SPS Committee has been discussing its specific roles of WTO/SPS Committee on the basis of Member states" opinions and work done by three sister organizations called the CODEX, OIE and IPPC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ivate standards in formal and informal meetings. Although excessive intervention of a national government to private standards should be constrained, it is difficult to deny the role of the private standards in the sustainable protection of human life and health or facilitation of access to food market.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decide and express its consistant stance on private standards encompassing SPS and TBT to address seemingly conflicting issues: food safety and market access. As private standards have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international trade,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exporting companies through maximizing positive effects as a result of compliance with detailed private standards of developed countries. The setting and operation of private standards should be managed in accordance with key principles of WTO/SPS Agreement, which are non-discrimination, necessity and science-based principles to positively activate private standards in international trade. The adequate harmonization of public and private standard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ose standards should be highlighted to promote access to market. In any circumstances, private standards should not be used as a disguised measure to restrict trade and it is critical to build monitoring and consultative mechanism to prevent this.

      • KCI등재후보

        생물다양성의 최근 동향과 향후전망 -환경, 지적재산권, 전통지식 중심으로-

        최정순 ( Jeong Soon Choi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2009 과학기술법연구 Vol.14 No.2

        Simultaneous discussions on the conservation and commercial use of biodiversity are indispensible, because biodiversity itself comprises an essential part of the human environment, and people recognize potential economic value in genetic resources. These days, interest in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the development of biodiversity has been heightened due to the dilemma of how to stably secure food, energy, and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at the national security level. This article deals with the significance of sustainable biodiversity in relation to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economic growth, as well as trends and prospects regarding biodiversity, focusing on the twelfth and thirteenth sessions of the WIPO Intergovernmental Committee on Intellectual Property and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and Folklore(the “IGC”). The IGC is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agenda items: (i) source disclosure requirements and alternative sugges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genetic resources; (ii) the interface between patent systems and genetic resources; and (iii) intellectual property aspects of access and benefit?sharing, and other contracts on genetic resources. Discussions on source disclosure requirements focus on a defensive system to prevent the unjust granting of patent rights, accompanied by technical measures to improve search tools for better prior art searches on disclosed genetic resources. The debate on the interface between patent systems and genetic resources highlights how to potentially incorporate new or expanded source disclosure requirements into existing patent systems, or multilateral alterative measures. A vital means for the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generated by the commercial use of genetic resources is through mutually?agreed conditions, and such sharing should be made between the provider and user of genetic resources in order to secure fair access to same. The lates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raft Guidelines on Access and Equitable Benefits Sharing reconfirms that continuing or further WIPO IGC?related work must be conducted in such a way as to support, and not prejudice, the work of other fora such as the CBD, CGIAR, FAO and UNEP. A promising solution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benefits sharing dilemma arising from the global use of biodiversit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IPs Agreement and the CBD. Another solution is to explore the appropriate level of benefits sharing b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 disclosure requirements and access to, and benefits?sharing of, genetic resources. For sustainability of biodiversity,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s to establish law and policies-however complex-which consider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pects of biodiversity. A composite approach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the economic use of biodiversity is required to compensate the actual and potential value of biodiversity; namely,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which do not have economic value, and an improved or new regulatory system for the commercial use of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which do have economic value.

      • KCI등재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최정순(Choe, Jeong-so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한국고전연구 Vol.0 No.27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as been growing rapidly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t has seen meaningful development as an academic field; the learner groups are more diverse than before; and the number of learners has increased. This paper aims to: 1) examine the current development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well as teaching Korean culture; 2) re-think the roles of the two; and 3) discuss the issues/controversies and possible answers to them. I will propose that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should tak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pproach.' I will also argue that teaching Korean culture should focus more on practical usability of cultural knowledge than knowledge itself. I believe intercultural approach (inter-cultural communicative approach) is an ideal alternative, which will enable learners to be aware of and have ample experiences with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ultimately to form positive personality and identity. 근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양적ㆍ질적으로 크게 발전했다. 학문적으로도 발전을 했고, 학습자 집단도 다양해졌으며, 학습자 수도 증가했다. 본고에서는 그간의 한국어교육의 발전 현황과 한국문화교육의 발전 현황을 점검하고,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이 담당해야 할 역할을 재정립할 것이며, 그 과정에서 등장하는 과제 및 이의 해결 방안 등을 다룰 것이다. 대안의 모색을 위해 앞으로의 한국어교육은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며, 문화교육은 지식 정보의 전달만이 아닌 실제적이고 활용도 높은 사용성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제안할 것이다. 상호문화적 접근법(문화 간 의사소통적 접근법)을 대안으로 제시할 것이며, 이는 한국어교육의 역할과 기능을 학습자로 하여금 다른 언어와 문화의 이질성을 풍부하게 경험하게 하여 긍정적인 인성과 정체성을 형성하게 하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하게 할 것이다.

      • Risk Analysis Criteria in GM Crop Trade

        Jeong Soon Choi(최정순) 한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한림법학 FORUM Vol.17 No.-

        바람직하고 실행 가능한 기준을 빠른 시일 내에 확립하는 것은 유전자변형 농작물의 시장판매와 유전자변형농작물 안전성에 관한 분쟁을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수출국과 수입국이 함께 받아들일 수 있는 표준화된 기준을 도출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 어려움은 수출국과 수입국간에 안전성 기준에 관한 정치적 합의의 부재, 과학적 확실성의 정도에 있어서의 견해의 차이, 그리고 문화적 차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바이오 관련 무역시대가 시작되었지만, 아직은 유전자변형농작물이 인체와 환경에 대하여 안전한가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충분한 역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유연하면서 상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안전성 기준의 확립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논문은 유전자변형식품의 위해성평가를 뒷받침하고 현재 및 미래 행정입법의 근간으로서 제공되는 이론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4가지의 이론 즉 실질적 동등성, 사전주의원칙, 국제무역에서의 동종성 이론 및 사례별 분석방법에 대하여 다루어보고자 한다. 실질적 동등성에 대한 분석은 크게 세가지로, 실질적 동등성 전반, 화학적 유사성 및 알레르기성에 대한 분석, 그리고 실질적 동등성의 적용 및 적용의 한계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사전주의원칙에 대한 분석은 사전주의원칙의 주요개념, 및 국제규범에의 편입, 관습국제법으로서의 가능성, 그리고 사전주의원칙의 적용 및 그 적용의 한계를 포함하고 있다. 그 다음에 이 논문은 국제무역에 있어서의 동종성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국제무역에서 유전자변형 농작물과 자연농작물(natural crops)이 동종상품으로 간주된다면 국제법 공동체에게 유전자변형농작물을 위한 별도의 규제를 확립할 의무가 부여되지 않지만 아직은 확고한 입장이 정립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동종성에 대한 분석은 동종성에 대한 개념분석, 두 가지 대표적인 이론, 경계지역 세제조정이론(The Border Tax Adjustment theory)과 원인 및 효과이론(the Aim and Effect theory)), 동종성 분석에 있어서의 카타헤나 의정서, 경계지역 세제조정이론에 대한 상세한 분석 및 동종성 분석의 이론적 한계 순으로 다루게 될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사례별 분석방법의 불가피성과 한계를 서술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 논문은 언급한 제 이론들에 대한 문제점 및 현실적 해결방법을 다룬다. 요컨대 실질적 동등성, 사전주의원칙, 그리고 동종성 이론은 국내적 및 국제적 차원에서 정의의 불명확함과 상이한 해석으로 인하여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론상의 문제점은 공정하고 투명한 무역환경 확립에 하나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위해성 평가분석이론의 바람직한 적용을 위해서는 관련 법문서에서 명확한 정의를 포함시키고, 통일된 해석을 장려함과 동시에 사례별 의사결정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본질적으로 요구된다. 국제 및 국내규제당국은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공평한 효율적인 기준과 규제를 개발해야 하는 중요한 의무를 지고 있다. 환경보호 및 인체건강과 시장접근에 있어서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게 하는 단일(single) 이론은 아직 존재하고 있지 않는 듯하다. 이론적인 접근방법은 공정하고 일관성 있는 기준의 확립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하나의 현실적인 해결책은 향상된 대안이 제시되기 전에는 결합된 이론에 근거한 위해성평가를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과도기의 해결책은 수출국 및 수입국 모두에게 공정하고 투명하게 확립해야 한다.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한국어교육 제3의 중흥기에 돌아본 교육 현황과 해결 과제

        최정순 ( Jeong Soon Choe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본고는 한국 내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문제점을 제기한 후 그에 대한 대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어교육의 성장 과정과 한국어학습자 수의 증가를 수치로 제시함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한 성장을 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의 중심에 있는 교원의 자격 부여 제도와 관리 등에 대해 몇 가지 제약점을 제시한다. 그러면서 이러한 양적인 발전만큼 질적인 발전도 이루어졌는가에 대해 의문을 갖고 한국어교육 전반-학습자, 교수자 관련 문제들에 초점을 두고 고려해야 할 점과 대안을 대략적이나마 살펴본다. 한국어교육의 발전은 결국 한국어학습자 수의 증가와 밀접하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 수를 늘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일정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학습을 하는 유학생을 중심으로 대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육학의 발전과 교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국어기본법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의 보완 및 자격증 부여 기준에 대해 강화할 것을 제안하면서, 부분적으로는 학부과정과 대학원과정의 교과목명의 차별화 및 내용 깊이의 차별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아울러 자격증과 관련하여 수업 시수 및 수강 교과목의 취약점을 근거로 석사학위과정의 자격 부여의 축소 및 폐지를 제안했다. 나아가 `교원`으로서의 자질과 소양의 함양을 위해 교직 과목의 추가 이수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현재 활동 중인 교원의 재교육을 제안했으며, 시험 준비 위주의 한국어교실 운영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수업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보다 각 대학의 자율적 운영을 권장해야 함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dicate problems after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in Korea and makes an alternative proposal. First, it verifies the rapid growth of Korean educ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presenting figures for developing process and increasing of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it presents some limitations for granting teaching certificate and management system which play central roles in Korean education. It checks approximately the points to be considered and alternatives for overall Korean education - focusing on related issue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with a question whether the quality has been improved as much as quantity. Korean education`s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rise of Korean learners in the end. Therefor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is proposed, particularly associating with international students who study intensive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nd intenf teacher`s professionalism, it suggests complementing curriculums and strengthening certification criteria as much as the fundamentals of Korean Act demand, specifically arguing the need for differentiation of course names and depth of contents betw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As for the teaching certificate, it suggests to reduce or abolish to grant to the Master degree graduates for the lack of hours of lessons and courses. It suggests also adding more courses to develop the teachers`quality and knowledge. Finally, it proposes current active teachers to have further education and indicates the problem of exam-oriented Korean lessons. In order tohave Korean learning classes work more properly, the institutions should be more self-governing being away from Government`s interventions.

      • KCI등재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최정순(Jeong-soon, Choe),윤지원(Ji-won, Yoo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4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rough analysing the aspects and issues of each field in Korean Education and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Before that,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by the criteria and procedure will be done. To do that,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as refined. In this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defined as ‘Korean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students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Korean from entering the University to graduation’ which included from general Korean to study skills needed in academic situation.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until 2011 are 209(104 dissertations for Masters andDoctorate, 105 academic journal papers). They were analysed after classifying by the year and the category, by the topic(present condition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evaluation), and by the research method(data analysis, needs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Research papers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ere presented less than 10 pieces every year from 2000 to 2005 but from 2006 more than 10 papers were presented every year. Furthermore when it was compared total papers presented between 2000 and 2011, they were increased about 40 times in 10 years which indicates that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ill constantly be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he development of this fiel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topic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contents, method, reference, present condition, evaluation in order were studied. In language skill field, ‘writing’ was mostly studied and ‘vocabulary and grammar’,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as follow. Lastly,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method, ‘data analysis’, ‘study skill analysis’, ‘needs analysis’, ‘present condition analysis’ and ‘complex analysis’ in turns were researched. This paper suggests 4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e notion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must be clarified clearly. It is needed a profound discussion on detailed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the matter of the subject an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related to employment and specialities. Secondly, diverse material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nd evaluation tools must be developed. The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for various reading material in the level of general education course, text books for improving writing skill specified by the speciality like writing report, text book development or strategy for improving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kills. Thirdly, research for association between other skill to make not to lean too much toward on one skill must be needed. Integrated approach is necessary in Korean study after acquiring certain level in proficiency. Such as writing and reading skill, writing and speaking skill, writing skill and listening skill, appropriated association with other skills and balanced research in language skill area must be studied. ‘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 which is differentiated by the area of speciality. Fourthly, the necessity of research method variation and associated research must be reconsidered. The research method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leaned too much on data analysis and analysis of study skill. For more systematic and various research, the research result must be found through the diverse research method. 본고는 2011년까지의 한국어교육 연구 중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결과물들을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구분하고 정리하여 각 영역 연구의 쟁점과 양상을 분석한 후, 그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통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학문 목적 한국어’에 대한 개념부터 재정리하였다. 본 고에서는‘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않는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입학 전부터 졸업할 때까지 학업 수행과 관련된 전반적인 모든 한국어’를 ‘학문 목적 한국어’라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는 ‘공통 한국어’에서부터 대학(원)학업 상황에서 필요한 학업 기술(study skills)까지도 포함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범주 또한 교양ㆍ전공 별로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이다. 2011년까지의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총 209편(석ㆍ박사 학위 논문 104편, 학술지 논문 105편)이다. 먼저 연도별ㆍ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다음 주제별(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현황, 내용, 방법, 자료, 평가)로, 그리고 연구 방법별(자료분석, 요구분석, 학습 기술 분석, 현황분석)로 분류한 후 분석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2000년에 학술지 논문을 시작으로 2005년도까지 1편에서 9편으로 매년 10편 이하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2006년부터 해마다 약 1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또한 2000년과 2011년의 전체 논문 편수를 비교하면 10년 사이 약 40배 이상이 증가하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향후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 분야 연구가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내용, 방법, 자료, 현황, 평가 관련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에 기능 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쓰기’ 영역의 연구가 압도적이며, ‘어휘 및 문법’, ‘읽기’, ‘말하기’, ‘듣기’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를 연구 방법별로 분류해보니, ‘자료 분석’, ‘학습 기술 분석’, ‘요구 분석’, ‘현황 분석’, ‘복합 분석’ 순이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총 네 가지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문 목적 한국어’의 개념 정립이 명확해져야 한다. 한국어 특수성을 고려한 상세 구분 및 대상의 문제, 전공 및 취업과의 연계를 통한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필요하다. 둘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 개발 및 평가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양 수준의 다양한 읽기 자료라든지, 보고서 등 전공별 특성화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토론 및 발표 능력의향상을 위한 전략이나 교재의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연구 및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어느 한 기능에만 편중되지 않고 기능 간의 연계를 위한 연구가 절실하다. 어느 정도의 숙련도를 갖춘 상태에서의 한국어 학습은 더 이상 분리적일 수 없고 통합적인 접근이 절대적이다. 즉, 쓰기 기능과 읽기 기능, 쓰기 기능과 말하기 기능, 쓰기 기능과 듣기 기능 등 다른 기능 영역과의 적절한 연계와 함께 균형 있는 기능 영역 연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공 영역별로 차별화된 ‘특정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Korea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s)’을 위한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연구 방법의 다양화 및 협업연구의 필요성을 재인식해야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연구 방법은 자료 분석 및 학습 기술 분석에만 너무 치우쳐 있다. 좀 더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위해서는 복합적인 연구 방법론의 적용을 통해 결과가 도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나치게 큰 주제를 선정한다든지, ‘학문 목적’ 다음에 이어지는 반복적이고 비슷한 주제 연구, 당위성 주장 및 이론 소개 등의 연구에서 벗어나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주제나 문제들을 찾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중국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과 실천적 대안으로서의 내용 중심 수업 활용 방안 연구

        최정순 ( Choe-jeong Soo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국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 개선의 한 방편으로서 교육방법론적 제안을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의 한국어과 전공생들은 중국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기 때문에 한국어에 노출되는 시간과 기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교육과정 특성상 3, 4학년이 되면 내용학 교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중국 한국어과의 이러한 특수성에 주목한 본 연구는 내용학 교과목을 한국어 교육으로 포괄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한국어학 전공생들이 한국 관련 전문 배경지식을 쌓으면서 동시에 한국어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으로 언어 교수 방법론 중 하나인 ‘내용 중심 수업(CBI, Content-based Instruction)’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내용 중심 수업의 개념과 주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정한 과목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하면서 그 과정에서 목표 언어의 학습을 도모하는 내용 중심 수업 방식은 내용과 언어의 통합 정도에 따라 크게 네 가지 모형으로 분류된다. 몰입 수업 모형, 내용 보호 수업 모형,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 주제 중심 수업 모형이 그것인데, 3장에서는 이들 모형 각각의 특징과 중국의 한국어과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내용 중심 수업을 중국 한국어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학년별, 교과목별로 모색하였다. 1, 2학년 때는 한국어 수업 시간에 주제 중심 모형을 적용하고, 3, 4학년 때는 내용학 수업 시간에 내용 보호 수업 모형과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내용학 교과목 중 한국 관련 전반적인 배경 지식을 쌓는 과목에는 내용 보호 수업 모형을, 그리고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보다 전문적 지식을 가르치는 과목에는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내용 중심 수업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 관심을 두지 않았던 중국 한국어학과의 내용학 교과목에 초점을 맞추고, 내용 중심 수업이라는 언어 교육의 방법론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suggestion regarding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curricular improvem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in China.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China cannot but have limited time and chances to be exposed to Korean Language because they learn Korean in China and are required to take the subjects of contents when they are juniors and seniors, as needed by the curriculum. Paying attention to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his study aimed to indicate the need to include the subjects of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which is a type of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providing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with more chances to accumulate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Korea as well as to be exposed to Korean. To do this, Chapter 2 reviewed the concept and major principles of CBI. The method of CBI to help learn a target language while giving instruction based on a specific subject or topic can largely be presented in four models: Immersion Model, Sheltered Instruction Model, Adjunct Model, and Theme-Based Model. Chapter 3 tried to find out how to apply CBI to the curriculum for each year and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and the situation of the department in China.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the Theme-Based Model during Korean classes for freshmen and sophomores and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and Adjunct Models during contents classes for juniors and seniors. Of the subjects of contents, it would be desirable to introduce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for the subjects to accumulate general background knowledge about Korea and the Adjunct Model for the subjects to get expertise based on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s. Although this study failed to present a specific way of implementing CBI,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subjects of cont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which had not been the foc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 that the approach was made to the methodology of language education: CBI.

      • KCI등재

        영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공동경비구역JSA >를 중심으로

        최정순 ( Choe Jeong-soon ),송임섭 ( Song Im-seop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2 국제어문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영화 < 공동경비구역JSA >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특히 지금까지는 잘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인 한국의 정치 및 역사 문화 교육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왜냐하면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은 언어 교육을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으며 그 내용면에서도 일상생활문화 및 전통문화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은 세계 속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이다. 이러한 특수한 정치 상황은 한국, 한국인, 한국의 언어와 문화에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남북분단`의 문제를 다룬 영화 < 공동경비구역JSA >를 활용한 교육 방안으로 `보기 전 단계`, `보기 단계`, `보기 후 단계`로 나누어 구체적인 활동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과제들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무엇보다도 민감하고 어렵게 느낄수 있는 주제인 한국의 정치 및 역사문화에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고 더불어 한국의 특수한 정치 상황에 대한 이해뿐 만 아니라 분단의 역사가 있는 다른 나라 혹은 자국과 비교하여 생각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문화 교육 방안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ducational method of teaching Korean culture using the movie < JSA > in Korean education. It is specially focused on Korean politics and history as well as culture which are not well dealt with in Korean Education. Until now in Korean education, teaching Korean culture was only a tool to teach Korean language, furthermore its contents were concentrated on daily life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e. Korea is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world. This special political situation is inherent in Korea, Korean an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etter, Korea`s special political situation must be taught. This paper presents specific tasks for `before watching`, `during watching` and `after watching` as a teaching method using < JSA > that is dealing with divided situation of Korea. Those specific tasks will be effective method in teaching Korean culture by leading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pproach and understand Korea`s special political situation, history and culture easily and interestingly which can be sensitive and difficult issue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