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소처리 팽화미 분말로 제조한 타락죽의 이화학 및 소화 특성

        김민지,천지연,최갑성,Kim, Min Ji,Chun, Jiyeon,Choi, Kap Seo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5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gruel using rice extrudates and to evalu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arakjuk (milk porridge; MP) prepared with milk (M) and rice powder (RP, control), rice extrudate (RE), or enzyme treated rice extrudates (ETR). Pasting property of ET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RP or RE with significantly low peak viscosity, breakdown and setback values in the ETR sample. Viscosity of MP prepared with ETR was also significantly low,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 900 cP). The total solids and spreadability of MP with ETR was higher than those with RP or RE. Hunter color value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enzyme treatment levels in ETR samples with enzyme dose-dependent increase in b-value. Average starch digestibility of ETR sample was higher by 10.2% than that of control sampl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TR samples were greater than those of RE or R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TR could be beneficial for preparing easy-drink and diet food with higher starch digestibility and fluidity, especially for gastric tube-fed patients.

      • SCOPUSKCI등재

        Trienzyme과 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한 국내 수산 자원의 엽산 분석 및 유효성 검증

        정보미,남기호,김연계,천지연,Jeong, Bomi,Nam, Ki-Ho,Kim, Yeon-Kye,Chun, Jiyeon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6

        Fishery resources have been widely consumed as protein- and vitamin-rich food sources in the Korean diet. However, information regarding their vitamin levels is extremely limited. In this study, trienzyme-Lactobacillus casei method was validated and used to determine the folate contents in fishery foods. The trienzyme-L. casei method for folate analysis showed excellent accuracy (85.2 to 95.3% recovery) and precision (repeatability 1.4% RSD and reproducibility 2.4% RSD). Folate contents of 20 fish foods (4 fish, 3 crustaceans, 3 sea algae, 3 cephalopods, 4 shellfish, and 3 others) ranged from 1.75 to 97.98 ㎍/100 g.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folate content in seaweed fusiform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gulfweed (69.73 ㎍/100 g). Folate analysis using the trienzyme-L. casei method was determined excellent based on the z-score of -0.3 in the 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 test. Analytical and method validation data genera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update the national food composition table on vitamin B9 in Korean fishery resources. 본 연구에서는 trienzyme 추출 및 L. casei 분석법을 국내 다양한 수산 자원의 엽산 분석에 적용하기 위해 분석수행지표(직선성, 민감성, 정확성, 정밀성)를 분석 평가하여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분석법의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562 ㎍/100 g와 1.057 ㎍/100 g으로 엽산 함량이 낮은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법으로 나타났다. 시료 중 엽산 함량에 대한 L. casei 생육 관계는 다항식 모델(y=4-1.132/((1+X/0.0502)1.02)+1.26)로 분석한 결과 R2=1.0000을 나타내는 우수한 상관성을 얻었다. 또한, 분석법의 정확성과 정밀성이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산 자원 6개 군별에 따른 엽산 회수율 분석에서도 약 87-108%의 신뢰도가 확보된 회수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수산자원 20종의 엽산 함량분석 및 검증 데이터는 국내 수산 자원에 대한 신뢰도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인접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일상 식단에서 다양한 수산 자원이 자주 이용되고 있는 바 trienzyme-L. casei 분석법을 향후 수산 자원의 엽산 함량 분석에 확대 적용하여 국가수준의 영양성분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고추와 파프리카의 색과 조리방법의 차이에 따른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의 함량과 잔존율

        김현영(Hyeon Young Kim),김홍균(Honggyun Kim),천지연(Jiyeon Chun),정혜정(Heajung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6

        본 연구는 파프리카와 고추 간의 품종별, 색깔별로 나누어 조리방법에 따라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의 함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4종류의 시료를 서로 다른 조리방법(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 찌기, 로스팅, 전자레인지)을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의 잔존율과 각각의 함량에 대한 색, 종류, 조리방법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파프리카와 고추는 모두 조리과정에서 중량이 감소하였다. 베타카로틴, 엽산의 함량은 색깔, 종류, 조리방법의 영향을 받았고(P<0.05), 비타민 E의 함량은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조리 전 시료의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 함량(mg/100 g) 범위는 각각 95.4(풋고추)~2,441.1(홍고추), 0.7(녹색 파프리카)~4.2(적색 파프리카), 6.2(풋고추)~148.7(홍고추)로 나타났다. 조리 후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의 함량은 각각 튀긴 홍고추, 로스팅한 홍고추, 삶은 홍고추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잔존율의 경우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이 각각 77.3(홍고추-삶기)~356.4(풋고추-로스팅)%, 2.0(홍고추-전자레인지)~789.3(녹색 파프리카-튀기기)%, 20.9(홍고추-전자레인지)~445.1(풋고추-찌기)% 범위로 나타났다. 홍고추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시료에서 베타카로틴, 비타민 E, 엽산이 조리방법에 상관없이 75% 이상의 높은 잔존율을 보였다. 홍고추의 비타민 E와 엽산은 튀기기와 전자레인지에서 2.0~32.1% 범위로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파프리카와 고추의 조리 전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며,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방법에 따른 영양소 파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β-Carotene, vitamin E, and folate contents according to color and species of Capsicum annuum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four C. annuum species were cooked by using different methods (boiling, pan-cooking, pan-frying, deep-frying, steaming, roasting, and microwaving), and retention rates of β-carotene, vitamin E, and folate affected by color and species were evaluated. Weight loss was observed in all paprika and pepper species using all cooking methods. β-Carotene and folate contents of C. annuum samp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olor, species, and cooking method (P<0.05), whereas vitamin E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species. β-Carotene, vitamin E, and folate contents (mg/100 g) of raw C. annuum showed ranges of 95.4 (green pepper)∼2,441.1 (red pepper), 0.7 (green paprika)∼4.2 (red paprika), and 6.2 (green pepper)∼148.7 (red pepper). As a result, the highest β-carotene, vitamin E, and folate contents were detected in deep fried red pepper, roasted red pepper, and boiled red pepper, respectively, among the cooked samples. Retention rates of C. annuum varied by cooking method, resulting in ranges of 77.3% (boiled red pepper)∼356.4% (roasted green pepper) for β-carotene, 2.0% (microwaved red pepper)∼789.3% (deep-fried green paprika) for vitamin E, and 20.9% (microwaved red pepper)∼445.1% (steamed green pepper) for folate. Over 75% retention rates were observed for β-carotene, vitamin E, and folate in all samples except for red pepper. However, in red pepper, vitamin E and folate retentions were remarkably lowered by deep frying and microwaving, resulting in rates of 2.0∼32.1%.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effective cooking methods for vitamin retention in C. annuum depending on color and species.

      • SCOPUSKCI등재

        한국인 상용 수산물 식단의 비타민 B<SUB>9</SUB>과 B<SUB>12</SUB> 함량

        박은영(Eun-Young Park),정보미(Bomi Jeong),천지연(Jiyeon Chun)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2

        본 연구는 한국인이 주로 상용하는 수산물을 이용한 다소비 메뉴 39종을 선정하고, 이를 기준레시피로 조리한 후 이들에 대한 비타민 B9 (엽산)과 B12 (코발라민류) 함량을 분석하였다.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비타민 B9 (trienzyme-L. casei법)과 B12 (immunoaffinity-HPLC/PDA)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으며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각 성분 분석법의 정확성, 정밀성, 특이성, 상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AOAC 가이드라인 수용 기준에 충족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분석품질관리도표를 전 분석 기간 동안 작성하여 확보된 분석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상용 수산물 메뉴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각 1.83-523.08 μg/100 g과 0.11-38.30 μg/100g의 범위로 사용된 재료와 조리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비타민 B9 함량은 구이류의 김구이 (523.08 μg/100 g)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볶음류에서 건새우볶음 (128.34μg/100 g)과 잔멸치볶음 (121.53 μg/100 g)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B12 함량은 찜 · 조림류의 꼬막찜 (38.30 μg/100 g)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구이류의 김구이 (29.79 μg/100 g)와 볶음류의 멸치마늘종볶음 (18.99 μg/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사 재료의 조리법에 따른 비타민 B9과 B12 함량을 비교하면 비타민 B9의 경우 물 사용량이 많은 국 · 탕 · 찌개류는 다른 시료군 (볶음, 찜, 조림, 구이, 튀김 및 무침)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수산물과 다양한 채소류를 함께 볶는 볶음 메뉴가 비타민 B9 섭취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 B12의 경우 식물성 식품에는 발견되지 않고 주로 동물성 식품에만 존재하는데 본 연구 결과 김 및 미역과 같은 해조류 메뉴는 채식주의자들에게 비타민 B12의 좋은 급원메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분석법 검증 및 품질관리를 통하여 분석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이와 함께 제공된 한국 상용수산물 메뉴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데이터는 한국인의 보건영양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 total of 39 seafood menu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recipe, and analyzed for vitamin B9 (folate) and B12 (cobalamins) contents, using validated applied analytical methods. The menus included Guk/Tang/Jjigae (boiled or stewed dishes, n = 10), Bokkeum (stir-fried dishes, n = 10), Jjim/Jorim (braised or steamed dishes, n = 7), Gui (baked or grilled dishes, n = 7), Twigim (deep-fried dishes, n = 2) and Muchim (dried or blanched-seasoned dishes, n = 3). Methods: The contents of vitamin B9 and B12 in all food samples were determined by the trienzyme extraction-Lactobacillus casei and immunoaffinity-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detection methods. Analytical quality control was performed in order to assur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Accuracy (97.4-100.6% recoveries) and precision (< 6%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for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vitamin B9 and B12 analyses were determined to be excellent. The vitamin B9 and B12 contents of the 39 seafood menus evaluated, varied in the range of 1.83-523.08 μg/100 g and 0.11-38.30 μg/100 g,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The vitamin B9 content was highest in Jomi-gim (523.08 μg/100 g), followed by Geonsaeu-bokkeum (128.34 μg/100 g) and Janmyeolchi-bokkeum (121.53μg/100 g). Vitamin B12 was detected in all seafood menus, with highest level obtained in Kkomack-jjim (41.58 μg/100 g). The seaweed dish was found to have high levels of both vitamin B9 and B12. All assays were performed under strict quality control. Conclusion: Guk and Tang menus, which contain a large amount of water, were relatively lower in the vitamin B9 and B12 contents than the other menus. Bokkeum menus containing various vegetables were high in the vitamin B9 content, but the vitamin B12 content was dependent on the type of seafood used in the menu.

      • KCI등재

        국내 다빈도 가공식품 중 볶음밥류의 영양성분 함량 비교

        정의환,차승현,김병희,윤성원,김인환,천지연,이기택,김영화,신의철,서동원,이삼빈,이준수,장금일,Jung, Ui-Hwan,Cha, Seung-Hyeon,Kim, Byung Hee,Yoon, Sung-Won,Kim, In Hwan,Chun, Jiyeon,Lee, Ki-Teak,Kim, Younghwa,Shin, Eui-Cheol,Seo, Dongwon,Lee, 한국식품영양학회 201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2 No.6

        In this study, 70 kinds of nutritional composition for five bokkeumbap products(spicy chicken, shrimp(saeu), haemul, nakji, and barbecue bokkeumbap) in high-frequency processed foods were analyzed. Raw data of intake amounts were collected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garding proximate composition, spicy chicken bokkeumbap had lower water content and higher carbohydrate content than other bokkeumbaps, resulting in the highest total calories.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other bokkeumbaps were all distributed within a similar range. Vitamin content differed according to ingredients added to the bokkeumbaps. Haemul bokkeumbap had high content of vitamins B<sub>1</sub> and B<sub>2</sub>, nakji bokkeumbap had high content of vitamin C and β-carotene, and barbecue bokkeumbap had high content of total niacin, folic acid, and vitamin A. For mineral content, barbecue bokkeumbap showed the highest content distribution, while nakji bokkeumbap showed the lowest content distribution. Regarding fatty acid and fat content, the highest content of fatty acids, saturated fats, and trans fats was detected in shrimp(saeu) bokkeumbap. For amino acid content, barbecue bokkeumbap showed highest content distribu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salient basic data for a food nutrient composition database an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consumers' health.

      • KCI등재

        한국 지역특화음식의 콜레스테롤, 레티놀,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 E 분석

        박선혜(Sun-Hye Park),송원주(Wonju Song),천지연(Jiyeon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에서는 각 지역특화음식 42종에 함유된 콜레스테롤, 레티놀,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 E 함량을 분석하고 각 성분 분석에 적용된 분석법의 유효성과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여 국내 지역식단에 대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생산하여 국가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각 분석법의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및 정밀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지표에서 AOAC 가이드라인 기준에 충족되었으며 품질관리도표 관리를 통하여 전 연구기간 동안 모든 분석이 검증된 조건에 따라 신뢰성 있게 수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분석된 지역특화음식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짚불구이곰장어(기장), 모래집튀김(대구), 붕장어 소금구이(고흥), 오징어순대(속초), 닭갈비(춘천) 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들 음식을 한 끼 식사로 250 g을 섭취 시 일일 상한섭취량의 50%가 넘는 수준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티놀 함량의 경우 짚불구이곰장어(기장, 1,101.48 ㎍/100 g), 붕장어소금구이(고흥, 438.72 ㎍/100 g), 곰치국(삼척, 139.00 ㎍/100 g)에서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으며, 그 외 음식들은 0.00~25.05 ㎍/100 g 범위로 대부분 낮은 함량을 보이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반면에 베타카로틴은 짚불구이곰장어를 제외한 모든 음식에서 넓은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곤드레나물밥(정선, 1,185.91 ㎍/100 g), 밴댕이무침(인천, 1,028.97 ㎍/100 g), 붕어찜(광주, 760.42 ㎍/100 g), 매생이국(장흥, 728.37 ㎍/100 g), 서대회무침(여수, 700.77 ㎍/100 g)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 끼 식사량 250 g으로 지역특화음식을 섭취 시 섭취되는 ㎍ RAE로 환산된 비타민 A 함량은 0.08~2,753.70 ㎍ RAE 범위였는데, 이는 짚불구이곰장어, 붕장어소금구이, 곰치국을 제외한 나머지 음식은 비타민 A 하루권장량의 30% 이하 수준을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 α-TE/100 g으로 나타낸 지역특화음식의 비타민 E 함량은 서울 및 경기 0.09~2.08, 강원도 0.18~1.75, 충청도 0.36~0.97, 경상도 0.07~2.80, 전라도 0.10~3.05 범위를 보였는데 이를 한 끼 식사로 250 g을 섭취 시 비타민 E 일일 충분섭취량(12 ㎎ α-TE)의 약 1.40~63.52%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생산된 지역특화음식 중의 지용성 성분 데이터는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통하여 데이터의 신뢰도가 확보된 결과로서, 국내 지역특화음식에 대한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 total of 42 regional foods of South Korea were regionally sampled (metropolitan city 8, Gangwon 8, Chungcheong 5, Gyeongsang 10, and Jeolla 11) and analyzed for their cholesterol, retinol, β-carotene, and vitamin E contents. All applied analytical methods were verified, and analytical quality control was performed during the entire of study. The cholesterol contents (㎎/100 g) of the 42 regional foods were high in the order of Jipbulgui kkomjangeo (Gyeongsang) 170.9, Moraejip twigim (Gyeongsang) 167.9, and Bungjangeo sogeum gui (Jeolla) 167.1, which indicate that 100 g intake of these foods would exceed 50% of the upper intake level per day (UL, 300 ㎎ for adult). However, on the basis of 100 g intake, the other foods contained cholesterol contents of less than 20% of cholesterol UL. Retinol content (㎍/100 g) was high in a few foods prepared mainly from animal sources such as Jipbulgui kkomjangeo (1,101.5), Bungjangeo sogeum gui (438.7), and Gomchi guk (139.0), while it was not detected in the 25 other foods. On the other hand, β-carotene was detected in all foods except for Jipbulgui kkomjangeo, showing a range from 0∼1,185.9 ㎍/100 g. Vitamin A content (㎍ retinol activity equivalent/100 g) was highest in Jipbulgui kkomjangeo (1,101.5) while Chodang sundubu (0.03) showed the lowest content. Vitamin E contents (㎎ α-tocopherol equivalent/100 g) of regional foods ranged from 0.07 (Dwaeji-gukbap)∼3.05 (Bungjangeo sogeum gui), which correspond to 0.6∼25.4% of the daily adequate intake amount (12 ㎎ for adults). All analytical methods for fat-soluble components using HPLC and GC showed good accuracy (85.5∼101.6% recoveries) and precision (<5%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which met the requirements of official method validation guidelines. All verification and quality control data in this study indicate that all analytical data are reliable enough to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cholesterol, retinol, β-carotene, and vitamin E databases for regional diets in Korea.

      • SCOPUSKCI등재

        수산물의 비타민 B<SUB>12</SUB> 분석을 위한 Pepsin-Assisted Extraction 및 Immunoaffinity-HPLC/DAD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

        문금주(Geumju Mun),최용민(Youngmin Choi),천지연(Jiyeon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2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 쌓여있어 연중 다양한 수산물이 식단에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수산물은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자원과 함께 한국 식단에서 비타민 B12 섭취를 위한 우수한 급원이 되고 있다. 식품 중의 비타민 B12는 단백질과 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국내 수산 자원의 비타민 B12 함량에 대한 신뢰도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서는 비타민 B12 추출법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트릭스가 다른 수산물 4종(바지락, 꽃게, 고등어, 오징어)을 선정하여 pepsin을 이용한 비타민 B12 추출을 immunoaffinity column을 이용한 clean-up 및 HPLC/DAD 분석에 적용하는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시료는 생물을 구입하여 가식 부위만 균질화한 다음 pepsin 처리 없이 추출된 자유 비타민 B12와 pepsin을 처리하여 결합된 비타민 B12를 포함한 총 비타민 B12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법 검증(특이성, 민감성,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을 수행하였다. 효소 처리 여부와 상관없이 특이적으로 cyanocobalamin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우수한 직선성(y=2008x-19.757, R²=0.9992)을 나타내었다.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pepsin 무처리 시 각각 0.006과 0.061 μg/100 g을 나타내었으나 pepsin 처리 시 약 2배가 높은 0.015와 0.106 μg/100 g을 나타내었다. 인증참고물질 BCR-487(pig liver)을 분석한 회수율 측정에서 pepsin 처리가 99.4%, 무처리 추출이 96.3%로 효소 처리법이 다소 높은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정밀성 시험에서는 pepsin 무처리 추출의 반복성과 재현성이 각각 6.0과 10.5%, pepsin 처리 시 각각 9.4와 13.6%로 나타나 효소를 이용한 추출에서 정밀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분석법 모두 AOAC에서 제안하는 수용 범위 수준을 충족하는 정확성과 정밀성을 나타내어 식품 중의 비타민 B12 분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Pepsin 처리 추출법을 적용한 immunoaffinity-HPLC 분석법으로 4종 수산물(raw, wet basis)의 비타민 B12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바지락의 자유와 총 비타민 B12 함량은 각각 46.9와 55.2 μg/100 g으로 총 비타민 B12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꽃게와 오징어의 경우 각각 6.09~6.87 μg/100 g과 2.39~2.45 μg/100 g의 범위를 보이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바지락과 고등어의 경우 총 비타민 B12 함량중에서 각각 약 18%와 20%가 단백질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pepsin과 같은 효소를 이용한 추출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하겠다. 또한, 본 연구의 LOD와 LOQ 결과는 pepsin 처리를 이용한 immunoaffinity-HPLC/DAD 분석법이 식품 중에 낮은 수준으로 존재하는 비타민 B12를 분석하는 데 적용 가능한 분석법임을 보여준다. Pepsin을 이용한 비타민 B12 분석은 정밀성과 정확성이 수용 범위 수준이기는 하지만 무처리 분석보다는 높기 때문에 다양한 수산 자원의 매트릭스에 따른 이들의 적용여부는 보다 구체적인 접근 방법을 검토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Vitamin B12 exists in free and bound forms in foods. Use of proteolytic enzymes is recommended for vitamin B12 extraction from protein-rich foods, but information applicable to seafood is very limited. In this study, pepsin-assisted extraction (PE) coupled with immunoaffinity-HPLC/DAD (I/H/D) was validated and applied for determination of total vitamin B12 contents (sum of free and bound) in four types of seafood with different matrices (littleneck clam, blue crab, mackerel, and squid). PE-I/H/D showed good specificity and linearity (R²=0.9992).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PE-I/H/D were about twice as high (0.015 and 0.106 μg/100 g, respectively) as those of non-PE-I /H/D. Both PE- and non-PE-I/H/D showed good accuracy based on higher than 95% recoveries from the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BCR-487. Precision of PE-I/H/D was acceptable based on AOAC guidelines, although it decreased upon application of PE (coefficient variations of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9.4 and 13.6% for PE-I/H/D and 6.0 and 10.5% for non-PE-I/H/D, respectively). Free and total vitamin B12 contents of the four types of seafood were analyzed by using the validated PE-I/H/D. The total vitamin B12 contents of littleneck clam (55.16 μg/100 g) and mackerel (5.60 μg/100 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rresponding free vitamin B12 contents (46.91 and 4.64 μg/100g,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18∼20% of total vitamin B12 exists in bound form in littleneck crab and mackere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ee and total vitamin B12 contents in blue crab and squid within the ranges of 6.09∼6.87 and 2.39∼2.45 μg/100 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I/H/D assay would be effective to release vitamin B12 from protein-rich seafood tissues and to produce acceptable selectivity, sensitivity, accuracy, and precision of vitamin B12 analysis, indicating PE-I/H/D is applicable for the determination of vitamin B12 at low levels in seafood.

      • SCOPUSKCI등재

        국내 다소비 베이커리 제품의 레티놀, 베타카로틴,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및 엽산 수준 평가

        김정(Jeong Kim),곽유정(Yu-Jeong Gwak),천지연(Jiyeon Chun)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6

        본 연구는 국내 다소비 베이커리류 26종의 비타민 A, 비타민 E 및 엽산 수준을 분석 및 검증하여 국가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였다. 베이커리류의 비타민 A와 비타민 E 분석을 위한 saponification-HPLC법(각각 DAD 및 FLD 검출), 엽산 분석을 위한 trienzyme-L. casei 분석법을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및 정밀성 평가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분석기간 동안 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분석법의 정밀성과 정확성은 비타민 A, E 및 엽산 모두 AOAC 가이드라인에 충족하는 우수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HPLC로 분석한 비타민 A와 E의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낮은 수준을 보여 미량 수준에 적용할수 있는 검출법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소비 베이커리류 26종의 비타민 A는 0.00-153.71 μg RAE, 비타민 E 0.42-5.62 mg α-TE, 엽산 3.30-47.48 μg/100 g의 범위를 나타내어 베이커리 제품에 사용되는 식물성 및 동물성 원료에 따라 비타민 함량 분포가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법 검증과 품질관리 결과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여 본 연구에서 생산된 다소비 베이커리 제품 26종의 비타민 A, E 및 엽산에 대한 영양정보는 국가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Bakery products are a staple food worldwide. However, information regarding its trace vitamin content is limited. In this study, the vitamin A (retinol and β-carotene), B<SUB>9</SUB> (folate) and E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contents of 26 different types of bakery products commonly consumed in Korea were analyzed. Vitamin A and E were determined using HPLC-PDA and HPLC-FLD respectively, while vitamin B9 (folate) was quantified using a trienzyme-L. casei assay. Vitamin A content ranged from 0.00 to 153.71 μg RAE. Vitamin E content ranged from 0.42 to 5.62 mg α-TE, and folate content ranged from 3.30 to 47.48 μg/100 g, depending on the ingredients of the bakery products. Moreover,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applied analytical methods, the HPLC and microbiological assays showed excellent accuracy (>95% recovery) and precision (both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5% RS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reliable data for the National Food Ingredient Database.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