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희소성’ 개념의 교과 융합적 활용 방안 - <장화홍련전>의 가족 갈등을 중심으로

        정보미,김종철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59 No.-

        본고는 문학 교과와 경제 교과의 융합교육 내용 마련을 위한 시도로 ‘희소성(scarcity)’ 개 념에 주목하여 고전소설 <장화홍련전>의 가족 갈등을 이해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제 교과에서 교육의 전제로 삼고 있는 바는 ‘희소성’이다. 이 개념은 인간의 합리적 선택 을 위한 행동 방식을 다루는 데 사용된다. 그런데 희소성은 비단 경제 교과에서만 다룰 수 있는 개념이 아니다. 문학 작품에도 한정된 재화를 두고 벌이는 갈등이 등장하며, 특히 고전소 설에는 ‘재산 분배’와 관련하여 가족 간에 벌어지는 갈등을 핵심 갈등으로 다루는 경우가 많기 에 희소성 개념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희소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의 가능성을 살피기 위해 본고에서 주목한 문학 작품 은 고전소설 <장화홍련전>이다. <장화홍련전>은 경제적 문제를 둘러싼 가족 갈등이 집약적 으로 형상화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기에, 이 갈등을 ‘희소성’, ‘기회비용’, ‘합리적 선택’과 같 은 용어를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고 풍부한 이해가 가능하다. 이렇게 문학 작품에 나타난 인물의 선택을 경제적 개념을 활용해 분석하는 교육 내용은 구체적인 상황을 통해 생동감 있게 경제 원리를 이해하는 방법이 된다는 점에서 경제 교과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또 <장화홍련전>을 단순한 선악 구도가 아닌 경제적 문제를 둘러싼 갈 등 구도로 이해할 가능성을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문학 교과에도 도움이 된다. 서로 다른 교과 의 시각이 융합됨으로써 인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교육 내용이 마련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ntents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 concept of ‘scarcity’ in order to deepen understanding of family conflict of Janghwahongnyunjeon. The scarcity is a major premise of economy education, which is used to deal with the way people behave for rational choice. This concept can be handled not only in economic subjects but also in literary works especially in themes of which are family conflicts about distribution of an estate. Janghwahongnyunjeon is a proper classical novel as a material of convergence education of economy and literature, because of its intensive conflict around the issue of distribution of an estate. For this purpose, the family conflicts of Janghwahongnyunjeon were analyzed by using the economic terms like ‘scarcity’, ‘opportunity cost’, and ‘rational choice’, and the contents of analyzing were applied in a class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learn the economic principles more specifically and actively, to understand Janghwahongnyunjeon not just in a perspective of good and evil but in a wide perspective including economical issues, and in the en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 KCI등재

        서사 구조를 통해 본 <숙영낭자전> 판소리화의 의의

        정보미 판소리학회 2020 판소리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features of pansori Sookyoungnangjajeon as an example of reformation and to reveal its significance. Pansori Sookyoungnangjajeon was included in the twelve pieces of pansori, but it is considered to have not been as popular as five pieces which had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The reasons for this were pointed out by excessive contraction and tragic beauty, lack of probability, and absence of sympathetic character. However, despite these limitations, pansori Sookyoungnangjajeon is a remarkable example of reformation in that it transform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novel to diversify the character of the narrative, or effectively realized the genre of pansori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ending. Although the route taken by pansori Sookyoungnangjajeon cannot be said to be perfect between the requirement to be faithful to the original and the properties of the revised genre, it is valuable as a reference in present day that reformation using multimodal texts are actively carried out. 본고는 판소리화된 고전소설 <숙영낭자전>의 구조적 특징을 검토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판소리 <숙영낭자전>은 판소리 열두 마당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전승 5가만큼 인기를 끌지 못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 이유로는 과도한 축약과 비장미, 개연성 부족, 공감 가능한 서민 캐릭터의 부재 등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판소리 <숙영낭자전>은 소설의 서사 구조를 변형시켜 서사의 성격을 다채롭게 하거나, 결말의 변형을 통해 판소리라는 장르의 속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오늘날 주목할 만한 매체 전환의 사례라 할 수 있다. 원작에 충실해야 한다는 요건과 개작된 장르의 속성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요건 사이에서 판소리 <숙영낭자전>이 취한 노선이 완벽하다고는 할 수 없겠으나, 복합 언어 양식을 활용한 매체 전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오늘날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참고할 만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고전소설 교육에서 문화콘텐츠의 위상과 역할: 드라마 <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과 영화 <전우치>를 중심으로

        정보미 한성어문학회 2022 漢城語文學 Vol.46 No.-

        이 논문은 고전소설 교육에서 문화콘텐츠가 담당하는 위상과 역할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전소설이 문화콘텐츠에 기본 내용을 제공하고 문화콘텐츠가 고전소설의 반경을 넓혀주는 점을 고려하면 고전소설과 문화콘텐츠는 상생의 관계에 놓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가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을 높여준다고 할 때 그 관심이 정확히 고전소설의 실체를 향한 것인지, 고전소설의 교육적 의의가 그것을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의 교육적 의의와 곧장 연결되는지 등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현실적으로 교육용 문화콘텐츠 마련이 어려운 실정이고 이를 학생들의 창작 활동으로 돌린다 하더라도 예시가 될 만한 콘텐츠는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양질의 문화콘텐츠를 선별할 수 있는 논리와 기준을 마련하여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화콘텐츠가 고전소설 교육에 있어 담당해야 하는 역할은 해당 작품의 문제의식을 계승 및 변형하면서도, 그것이 지니는 핵심 메시지를 더욱 명료하게 드러내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 점에서 활용할 가치가 큰 문화콘텐츠의 사례로, <홍길동전>을 기반으로 제작된 드라마 <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과 <전우치전>을 기반으로 제작된 영화 <전우치>를 들었다. 두 콘텐츠는 고전소설 교육의 장에서는 다소 소략하게 다루어지는 교육 내용을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기반이 되는 작품 외에도 다른 설화나 소설을 환기시키는 장치를 추가하여 문화적 리터러시 함양의 가능성도 보여 주었다. 이렇게 문화콘텐츠가 고전소설 교육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고전소설에 대한 앎이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창작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것은 문화콘텐츠가 산업으로서뿐만이 아니라 교과 내용으로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입증하는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role of cultural contents in classical novel education. Considering that classical novels provide basic contents to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contents broaden the radius of classical novels, it can be said that classical novels and cultural contents are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However, when it is said that cultural contents raise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it is a matter of reconsideration whether the interest is directed towards the reality of classical novels and whether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lassical novels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m.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prepare cultural content for education, and even if it is attributed to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examples are absolutely deman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logic and criteria to select high-quality cultural contents and select usable contents. In this paper, the role that cultural contents should play in teaching classical novels is to inherit and transform the problematic awareness of the work, while revealing the core message of the work more clearly. The drama “Rebel: The Thief Who Stole the People” based on “Honggildongjeon” and the movie “Jeon Woo Chi” based on “Jeonwoochijeon” are examples of such cultural contents. The two contents have the potential to expand the educational contents, which has been briefly discussed so far in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also play a role in showing the potential of classical literature as cultural literacy. In this way, judging how cultural contents can help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how knowledge of classical novels can help students produce and create cultural contents reminds us that cultural contents have sufficient value not only as an industry but also as a curriculum content.

      • KCI등재

        기준레시피로 조리된 국내 다소비 나물류의 엽산, 베타카로틴 및 토코페롤류 분석 검증

        정보미,박은영,천지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0

        This study underwent method validation and analysis of the folate, β-carotene, and vitamin E contents of Namul consumed widely in Korea to construct a national food nutrient database. Nineteen types of Namul were cooked according to standard recipes and analyzed using the trienzyme-L. casei microbiological method for folate, and saponification coupled with HPLC for β-carotene and vitamin E. The folate, β-carotene, and vitamin E contents of the 19 cooked Namul were 2.29∼204.46 μg/100 g, 21.84∼3,599.76 μg/100 g, and 0.15∼5.51 mg α-tocopherol equivalent (TE)/100 g, respectively. In particular, Bangpung-namul showed the highest folate and vitamin E contents among the 19 samples, whereas the β-carotene content was highest in Gochuip-namul. In addition, Youchae-namul was high in both water (folate 140.00 μg/100 g) and fat-soluble vitamins (β-carotene 2,717.59 μg/100 g and vitamin E 2.16 α-TE mg/100 g) while Gosari-namul was relatively low in both levels (folate 10.23 μg/100 g; β-carotene 33.12 μg/100 g; vitamin E 1.06 α-TE mg/100 g). Vitamin E was detected in all cooked Namul due to sesame or perilla oil added for taste enhancement. Both microbiological (folate) and HPLC (β-carotene and vitamin E) analyses showed good accuracy (>95% recovery) and precision (repeatability <3% RSD and reproducibility <6% RSD). All assays were conducted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based on quality control charts. This study provides reliable analytical data on folate, β-carotene, and vitamin E of Korean cooked Namul, which will be used to update the national food nutrient database.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조리 및 섭취되는 기준레시피로 조리된 국내 나물류 19종의 엽산,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 E 함량을 분석하여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가데이터베이스로서의 활용을 위한 신뢰도 확보를 위해 엽산 분석은 trienzyme-L. casei 미생물학적 분석법,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E 분석은 saponification-HPLC를 이용한 기기분석법을 적용하고 이를 분석법 검증(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및 직선성) 및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미생물학적 분석법과 HPLC 기기분석법 모두 우수한 정확성(>95% recovery)과 정밀성(repeatability <3% RSD, reproducibility <6% RSD)을 보였으며 낮은 수준의 정량한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리된 나물 19종은 엽산 2.29 ~204.46 μg/100 g, 베타카로틴 21.84~3,599.76 μg/100 g, 그리고 비타민 E 0.15~5.51 mg α-tocopherol equivalent(TE)/100 g으로 종류에 따라 넓은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 함량 범위를 나타내었다. 특히, 방풍나물(204.46 µg/100 g)은 엽산과 비타민 E에서 19종 나물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베타카로틴 함량은 고춧잎나물(3,599.76 µg/100 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채나물의 경우도 수용성(엽산 140.01 μg/100 g)과 지용성 비타민(베타카로틴 2,698.60 μg/100 g, 비타민 E 2.16 α-TE mg/100 g)에서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낸 반면, 고사리나물의 경우 세 비타민 함량 수준이 모두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엽산 10.23 μg/100 g, 베타카로틴 33.12 μg/100 g, 비타민 E 1.06 α- TE mg/100 g). 나물 조리 시 첨가되는 참기름, 들기름, 고춧가루, 고추장 등과 같은 양념류는 조리된 나물류의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E의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한국에서 다소비되는 19종의 조리 나물은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의 좋은 급원식품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분석법 검증 및 품질관리 신뢰도를 통해 19종 나물류의 지용성 및 수용성 비타민 분석 데이터를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연암 박지원의 <백이론(伯夷論)>을 통한 논증 교육의 모색

        정보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9 고전문학과 교육 Vol.42 No.-

        This study proposes that classic writing methods can be significantly applied to argumentation education and aims to search for direction for argumentation education through <Boyiron> of Park Jiwon. Current argumentation education teaches argumentation elements such as assertion, cause, and grounds along with methods of how to write using those elements. While this follows the paradigm of informal logic, it has a tendency to reinforce objectivity and science. However, such methods have limitations in being fully persuasive of the value that argumentation actions have as human activities. Moreover, due to content dependency, they do not fully provide alternatives regarding “value argumentation” which prompts sharp opposition in argumentation situations. To resolve this, this study proposes argumentation education through classical prose. In particular, it selected <Boyiron> of Park Jiwon as the focus material. This piece is a result of the “Boyi Theory” that was actively discussed at the time. The “Boyi Theory” deals with value assessment discussion topics regarding the important and sensitive matter of the overthrow of the dynasty. When considerations are made that the ultimate goal of today’s argumentation education is to unravel the value assessment of socially controversial matters using essays, <Boyiron> serves as an important piece of material that shows how to add personal opinions and logic to social problems. <Boyiron> of Park Jiwon emphasizes that the topic of discussion of the Boyi Theory of “how should the actions of Boyi be assessed?” has a “dilemma” type character. Instead of an assessment that is based on black and white reasoning, it makes a new assessment that the actions of “King Mu” and “Boyi” have the same value. From the assertion stages, it rejects common ideas and presents new perspectives. Further, it applies the same logic to the historical event of the “subjugation of King Mu” and to characters who each acted differently, illustrating that there are several ways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times. In this way, the argumentation methods of Park Jiwon, which overcome dilemmas and show one’s macroscopic views of history by expanding discussion topics, show new argumentation possibilities to learners who are used to persuading participants of limited discussion topics. Through this, learners move away from the mechanical applications of argumentation schemes and utilize social resources using methods that assert one’s values and approach argumentation in a way that merges self-expression and persuasion. 이 연구는 ‘논증 교육’에 고전 글쓰기의 방식이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 연암 박지원의 <백이론>을 통한 논증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의 논증 교육은 주장, 이유, 근거 등의 논증 요소를 익히고 그러한 요소를 갖추어 글을 쓰게 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는 비형식논리학의 패러다임을 따르되 객관성과 과학성을 보강하려는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인간 활동으로서 논증 행위가 지니는 가치를 충분히 설득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내용 의존성으로 인해 논증 상황에서 첨예한 대립을 촉발하는 ‘가치 논증’에 대해서 충분한 대안을 마련해주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이 연구에서는 고전 산문을 통한 논증 교육을 제안한다. 그 중에서도 연암 박지원의 <백이론>을 중심 제재로 선정하였다. 이 작품은 당시에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백이 담론’에 참여한 하나의 성과이며, ‘백이 담론’은 왕조의 전복이라는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에 대한 가치 평가적 논제를 다루고 있다. 오늘날의 논증 교육이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는 사안에 대한 가치 평가를 ‘논술’로 풀어내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백이론>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개인의 견해에 논리를 부여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박지원의 <백이론>은 주장보다는 통념을 충분히 언급하는 방식으로 상반되는 입장에서의 질문이 충분히 제기될 수 있도록 대화적인 접근을 취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백이’는 물론 ‘무왕’과 ‘탕왕’, ‘태공’과 ‘기자’, ‘미자’, ‘비간’의 행동까지 범위를 확장하여 각기 다른 사실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도리’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박지원은 ‘백이와 무왕과 탕은 같은 생각이었다’, ‘기자, 미자, 비간, 백이, 태공은 상호보완적으로 인(仁)을 이루었다’와 같이 사실 논제를 둘러싼 주장을 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거론된 인물들의 행동을 규범화하는 기획이 자리하고 있어 가치 논증으로서 인식이 된다. 이러한 박지원의 논증 방식은 독자를 고려한 논증의 구체적인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 딜레마적 사안에 대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방법을 통찰케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 논증 도식의 기계적 적용에서 벗어나 자기표현과 설득을 아우르는 논증에 접근할 수 있다.

      • KCI등재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의 서술 목적과서술 방식에 대한 고찰

        정보미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의 서술 목적에 대하여 상반된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이유를 분석한 후, 작품의 서술 방식을 바탕으로 일관된 해석을 도출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그간 <열녀함양박씨전>의 연구사는 두 방향으로 나뉘어 전개되어 왔다. 한 방향에는 이작품이 ‘열(烈)’ 이데 올로기를 교조적으로 신봉한 조선 후기의 사회 풍조를 비판하였다고 본논의들이 있고, 다른 방향으로는 이 작 품의 서술 목적이 여타 열녀전과 다르지 않게 순절 열녀를 찬양하는 데 있다고 본 논의들이 있다. 최근에는 < 열녀함양박씨전>의 특징이 두 방향의해석 가능성에 있다는 점을 들어 그러한 특징이 지니는 의미를 분석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연구들 또한 두 방향의 해석 중 어느 한 방향을 택하고 있음은 다르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이 두 방향으로 나뉘는 이유가 가치에 대한 서술과 인물에 대한 서술을 구분하지 않고 고 찰한 데 있다고 보았다. 여타 전(傳) 작품이 가치를 기리기 위한 서술 목적에 방점을 둔 반면 <열녀함양박씨전 >은 가치와 함께 인물 자체를 기리고자 한 작품이기에 두 가지 서술 목적을 두루 고찰해야 일관된 해석이 가 능하다고 본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위해 본 연구는 <열녀함양박씨전>의 서술 목적을 가치를 기리는 서술 목 적과 인물을 기리는 서술 목적으로 나누어 살피고, 각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서술 방식이 사용되었는지분 석하였다. 그 결과, 구조적 측면에서 ‘서(序)’를 삽입하는 서술 방식을 통해 ‘열(烈)’의 내용을 구체화함으로써 가치를 기 리는 서술 목적을 달성하였고, 표현적 측면에서 ‘보여주기(showing)’의 서술 방식을 통해 인물의 외면과 내면 을 총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인물을 기리는 서술 목적을 달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서(序)’에서 익명의 ‘ 명환(名宦) 모친’의 심리 서술을 통해 ‘죽음을 참음(忍死)’으로써 성취되는 열에 대해 칭송한 것은 가치를 기리 는 효과를 자아냈다. 그리고 ‘보여주기(showing)’의 방식으로 입전인물 박씨의 행적을 서술한 후, 그녀의 죽음 을 반복된 ‘인사(忍死)’와 그 완성으로서의 ‘종사(從死)’로 재개념화한 것은 박씨의 외면과 내면을총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인물을 기리는 효과를 자아냈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a consistent interpretation of <A Biography of a Virtuous Hamyang Park Woman (Yeolleohamyangbakssijeon)> by examining the description techniques used in the work and exploring the opposing arguments regarding the purpose of descriptions. Research on Yeolleohamyangbakssijeon has taken two separate directions. The first approach argues that this work criticized social trends of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dogmatically believed in the ideology of “virtue.” The other approach argues that descriptions in this work, which is not unlike a biography of a chaste woman that praises a woman who dies in defense of her own chastity. Recently, scholars have begun actively studying these two interpretations of the text. However, their studies focus on one of the two approaches. In order to integrate the interpretations obtained through these two approaches, this study will investigate viewpoints focusing on value and character separately. To validate this assumption, the study divides descriptions in Yeolleohamyangbakssijeon into those that are meant to honor value and those that honor characters. Then, it analyzes the techniques that are used to serve these purpos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terms of structure, the technique of adding prefaces(Seo) is used to produce descriptions that honor value. With regard to expression, the inner and outer selves of characters have been rendered using the description technique of showing. In the preface, the description of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anonymous woman praises endurance of death as a virtue; that is, it honors value.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the descriptive technique to emphasize the achievements of the character Bak leads to reconceptualization of repeating “death forbearance” and “self-immolation upon the husband’s death” as its completion shapes the inner and outer being of Bak and thus has the effect of honoring the character.

      • KCI등재

        매체와 문학의 통합 교육을 위한 시론 - 매체 중심 문학사 교육을 중심으로-

        정보미 우리문학회 2024 우리文學硏究 Vol.- No.81

        이 연구는 보다 구체적이고 정교화된 매체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뚜렷한 실체가 있는 문화적 산물과 관련하여 매체의 개념과 영향력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매체와 문학의 통합 교육을 제안하였다. 문학은 ‘언어로 된 예술’이기에 어떤 언어가 어떤 환경에서 어떤 장치를 통해 소통되느냐를 ‘매체’와 관련해 논할 수 있다. 그런데 문학 교육에서는 오늘날 새로운 매체의 출현에는 주목하지만 과거에 있었던 매체의 변화와 그로 인해 변화된 문학의 존재 양상에는 충분히 주목하고 있지 않다. 이는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편견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과거의 실상에 근접한 앎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문학과 매체의 통합적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이전의 매체를 계승하면서도 극복하려는 시도가 문학사에서 어떻게 이어졌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미래의 문학과 매체는 어떠할지를 예측하는 안목이 생성될 수 있다는 점도 문학과 매체의 통합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새로운 매체와 그에 따른 시대정신을 혁신적 기술이나 세대의 개성으로만 바라보고 그치기보다는 그로 인한 득과 실을 문학사 현상과 결부지어 바라봄으로써 ‘창조적 관점’에서의 문학사 교육도 가능해질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implementing an integrated education of media and literature considering how media need to be connected to cultural products with a distinct substance to produce more specific and sophisticated contents for media education. Since literature is considered the “art of language,” the kind of language used for communicatio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communicated, and the device through which it is communicated can be discussed in relation to “media.” Although literary education focuses on the emergence of new media today, it does not pay enough attention to changes in media in the past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the features of the literature that followed. Since this aspect is closely related to learners’ prejudice against classical literary work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media is necessary to secure knowledge that is close to the reality of the past. Another reason for integrating education of literature and media is that this would provide insights to predict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literature and media in the future. Rather than viewing new media solely as a set of innovative technologies or as representative of the uniqueness of each genera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literary history education from a “creative perspective” by examining its pros and cons in conjunction with the phenomenon of literary history.

      • 문화재단 이용이 시민 만족도와 지방정부 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영향 연구: 마포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정보미,김태은 한국정책학회 2019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정부 문화재단 이용 만족도와 지방정부 이미지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Schmitt(1999)의 체험 마케팅 이론에 따르면 개인이 특정한 장소에 대해 형성된 호의와 긍정적인 이미지 등은 궁극적으로 해당 지역의 가치를 높여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문화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지방정부는 문화재단을 설립 공공재 확산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중이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문화재단의 참여로 형성된 이용자의 긍정적인 태도가 궁극적으로 지방정부 이미지 제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마포문화재단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설계했다. 이에 따라 문화재단 프로그램 이용경험자를 대상으로 표적 집단 면접을 실시했으며, 지방정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했다. 본 연구는 문화재단 이용 만족이 지방정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 등을 비교적 심층적으로 확인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 재단은 지방정부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