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 균주 발효 추출물 Nargenicin 및 그 유도체의 항생제 대체 효과능 평가

        조승식,홍준희,채정일,심정현,나종삼,유진철,Cho, Seung-Sik,Hong, Joon-Hee,Chae, Jung-Il,Shim, Jung-Hyun,Na, Chong-Sam,Yoo, Jin-Cheol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3

        본 연구진은 신규 미생물인 Nocardia sp. CS682 균주에서 항균물질인 nargenicin을 확보하고, 그 유도체 5종을 확보하여 그람양성, 음성 및 다약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 효능 및 LPS로 자극된 대식세포에서의 nitric oxide 생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Nargenicin 유도체들은 nargenicin 및 vancomycin에 비교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compound 4 및 5는 광범위한 항균 효능 외에 nitric oxide 생성 억제능을 보여 항균-항염효과를 가지는 dual effector로써 감염, 면역 질환에 응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Nargenicin 유도체들은 향후 염증반응에서의 면역 조절 기작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nargenicin and its derivatives were investigated. Nargenicin, an unusual macrolide antibiotic with potent anti-MRSA (methici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ctivity, was purified from the culture broth of Nocardia sp. CS682. And variety of novel nargenicin derivatives was synthesized from nargenicin. Two compounds (4 and 5) exhibit a broa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infectious bacteria.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derivatives against fifteen organisms was assessed us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he MIC values were in the ranges of $0.15{\sim}80{\mu}g/mL$ (w/v) for compound 1 and 2, $5{\sim}80{\mu}g/mL$ (w/v) for compound 3, $1.25{\sim}40{\mu}g/mL$ (w/v) for compound 4, and $1.25{\sim}80{\mu}g/mL$ (w/v) for compound 5, depending on the pathogens studied. In vitro, we investigated cytotoxicity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of synthesized compounds 1-5 in Raw 264.7 cells. LPS-induced nitric oxide releases were significantly blocked by compound 3, 4 and 5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high concentrations ($5{\mu}g/mL$) compound 5 inhibited the NO production by 95%. Compound 4 inhibited the release of NO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by 75% at the concentration of $10{\mu}g/mL$. Compound 3 inhibited the release of NO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by 65%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On the other hand, nargenicin, compound 1 and 2 did not inhibit NO produc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mpound 4 and 5 displayed antimicrobial activity and blocked LPS-induced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in macrophages, which might be responsible for its therapeutic application.

      • KCI등재

        피부와 섬유

        조승식 ( Seung Sik Cho ) 한국의류학회 1979 한국의류학회지 Vol.3 No.2

        우리들이 입는 옷을 흔히 第二의 피부라고 한다. 上古時代에는 우리 祖上들의 피부엔 지금의 산 짐승들과 마찬가지로 털이 茂盛하였을 것이며, 지금의 원숭이와 恰似하였을 것이라 하는 進化論을 主張하는 動物學者들은 말하고 있다. 사람은 다른 動物과 달라서 知能이 發達한 까닭으로 불을 사용할 줄 알았으며 먹는 飮食과 싸움에서 또는 몸을 保溫하는 데 있어서 불이 利用되면서 털은 자연히 없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따라서 옷을 걸치게 되고 모양도 내고 威嚴도 갖추게 된 것이 約 5000年 前에서 오늘까지 내려온 것이라고 우리는 쉽게 알 수 있다. 피부는 오늘날 아주 복잡한 機能을 갖고 있다. 누군가는 피부를 다음과 같이 定義하고 있다. 「피부는 우리 生體의 안팎을 境界하는 엷은 膜이다, 事實인즉 피부는 單只膜의 役割만 하는 것이 決코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理解하여야 하겠다. 卽 피부는 아주 復雜한 機能을 갖고 있으며 우리 生體와 生命活動을 外界에서 保護하는 重要한 臟器이다. 피부는 우리 生體에서 不必要한 物件을 積極的으로 排出하면서도 必要한 것은 決코 體外로 내 보내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된다. 또한 必要한 것은 體內에 取入하나 不必要한 것은 결코 侵入되지 못하게 한다. 이런 것은 物質에서만 作用하는 것이 아니라 光, 熱, 機械的 힘에 대해서도 作用한다. 또한 이것이 한쪽 方向으로만 進行하는 것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逆方向으로 作用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오늘날 아무리 進步한 科學의 힘을 가지고서도 到底히 피부는 合成하지 못하고 代用品이 없다는 것을 보아도 잘 알 수 있다. 人工心臟, 人工血管은 있어도 人工皮膚가 없다는 것을 두고 하는 말이나 現在 이들 代用藏器의 原料도 大部分이 plastie合成고무 合成섬유 등을 사용하고 있고 高分子化合物 領域이라고 하는 것도 注視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면 피부의 構造라고 할까 모양새를 알아 보기로 하자.

      • KCI등재

        수지가공시 중에 잔존한 유리 Formaldehyde에 관한 연구

        송화순,조승식,김성련,Song Wha Soon,Cho Seung Sik,Kim Sung Reon 한국의류학회 1978 한국의류학회지 Vol.2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clarify (1) the release of free formaldehyde (2) transfer of free formaldehyde to the contacted fabrics during storing, and (3) the removal effect of free formaldehyde by washing from resin finished fabr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 decrease rate of free formaldehyde content in fabrics was higher during storing in open air, poly bag, and glass tube in descending order and the content of free formaldehyde in fabrics was decreased in glyoxal resin finished but, increased in Melamine M-3 resin finished when the fabrics was stored in polybag and in glass tube. 2. Increased amount of formaldehyde transfer to contacted fabrics was noted with Melamine M-3 resin finished than that of glyoxal resin finished. Increased amount of formaldehyde transfer as well as more free formaldehyde were noted in cotton fabrics than in polyester/ cotton blend. 3. The effect of removing free formaldehyde from the fabrics was better in case of solid alkaline soap, synthetic alkaline powdered detergents, neutral detergents in descending order. The romoval of free formaldehyde was marked after the 1st washing and almost no increase in free formaldehyde was found after three times of washing. 4. After first washing, the content of formaldehyde in Melamine M-3 resin finished fabrics increased more rapidly than that of glyoxal resin finished fabrics in condition of closed storing.

      • KCI등재
      • KCI등재

        건강기능식품 원료로서 나주 배박 추출물의 지표성분 분석법 벨리데이션

        조은정(Eun-Jung Cho),방미애(Mi-Ae Bang),조승식(Seung-Sik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1

        본 연구진은 배박 추출물이 지방세포 대사를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배박을 건강기능식품 개별 인정형 소재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소재 개발에 앞서 배박 분석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배박에서 확인된 성분인 caffeic acid 및 chlorogenic acid를 HPLC/UV system을 이용해 분석방법을 최적화하였다. 분석법이 타당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분석법 벨리데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직선성, 일간 일내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및 검량한계를 확인하였다. 본 시험분석법으로 배박 추출물 분석 시 지표물질이 다른 물질의 간섭 없이 안정되게 분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분석방법은 배박 추출물 기능성 원료 표준화를 위한 시험법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시험법에 따라 에탄올 투입량에 따른 배박 추출물 내의 caffeic acid 및 chlorogenic acid의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에탄올 투입에 따른 대상 성분의 추출율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분석법이 배박 추출물 개별 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HPLC analysis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as part of materials standardization for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s from pear pomace.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ethod of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as marker compounds of pear pomace extract (PPE) was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a C18 column (5×250 mm, 5 μm) with a 0.2% elution gradient of acetic acid and methanol as the mobile phase at a flow rate of 0.8 mL/min and detection wavelength of 330 nm. The HPLC/UV method was applied successfully to the quantification of marker compounds in PPE after validation of the method with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method showed high linearity of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SUP>2</SUP>) of 0.9999, and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fication were 1.14 μg/mL (caffeic acid) and 1.61 μg/mL (chlorogenic acid) as well as 4.9 μg/mL (caffeic acid) and 4.9 μg/mL (chlorogenic acid), respectively. Relative standard deviation values from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less than 3.1% (caffeic acid) and 4.0% (chlorogenic acid), respectively. Recovery rates of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at 12.5, 25, and 50 μg/mL were 93.66∼106.32% and 97.33∼105.68%, respectively. An optimized method for extraction of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in PPE was established through diverse extraction conditions, and the validation indicated that the method is very useful for evaluation of marker compounds in PPE to develop a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

      • KCI등재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낙과 배 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신보연(Bo Yeon Shin),정보람(Bo Ram Jung),정종기(Jong Gi Jung),조승식(Seung Sik Cho),방미애(Mi Ae B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에서는 낙과 배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미백기능 유효성분으로써 arbutin을 선정하여 HPLC를 통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낙과 배 물 추출물로 미백 효과를 알아보았다. 낙과 배 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내 tyrosinase 저해 효과, melanin 생성 저해 효과, tyrosinase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낙과 배 물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과 B16F10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MiTF와 tyrosinase의 발현의 억제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mushroom tyrosinase 결과를 통해 melanin 생성 과정에 있어 tyrosinase를 직접 저해하는 것이 아닌 세포 내에서 tyrosinase의 발현 조절을 통해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낙과 배 물 추출물은 천연 arbutin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낙과 배를 이용한 새로운 뷰티케어 소재를 개발하고 이들의 피부 기능성을 밝혀냄으로써 낙과 배의 다양한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하여 국내 과실 농가 및 관련 사업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of fallen pear (FPWE)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FPWE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B16F10 melanoma cell tyrosinase activity, melanin contents, and expression of melanogenic enzyme proteins such as tyrosinase. An apparent down-regula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was observed when B16F10 cells were incubated with FPWE. Results of melanin assay using B16F10 cell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50, 125, and 250 μg/mL) of FPWE showed a dose-dependent decrease in melanin cont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FPWE indirectly affects tyrosinase activity, we assess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upon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125, 250, 500, and 1,000 μg/mL) of FPW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rotein level of tyrosinase by using Western blotting. Tyrosinase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expression levels in B16F10 melanoma cells were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FPW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PWE reduced melanin formation by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Therefore, we suggest that FPWE could be used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for skin.

      • KCI등재

        Bacillus subtilis BC-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분석

        박성용,방미애,오병준,박정훈,송원섭,최경민,정의수,부희옥,조승식,Park, Sung-Yong,Bang, Mi-Ae,Oh, Boung-Jun,Park, Jeong-Hoon,Song, Won-Seob,Choi, Kyung-Min,Choung, Eui-Su,Boo, Hee-Ock,Cho, Seung-Sik 한국미생물학회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진은 청국장에서 수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이중 소화 효소능이 뛰어난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유전학적 분석결과를 통해 본 균주가 Bacillus 속 균주임을 확인하고 Bacillus subtilis BC-P1이라 명명하였다. Bacillus subtilis BC-P1을 starter로 사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으며, protease, xylanase, chitinase activity, 혈전 분해능, 영양성분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을 통하여 B. subtilis BC-P1를 starter로 활용한 청국장 제품의 개선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Bacillus subtilis BC-P1를 starter로 제조한 청국장은 기존 제품에 비해 우수한 소화효소 생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혈전분해효소 생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환원당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균주를 starter로 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경우 기능성분, 생리활성의 증가,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대규모 생산시 균주, 제조 조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with new starter, Bacillus subtilis BC-P1. Twenty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commercial cheonggukjang and 1 Bacillus strain (BC-P1) with protease activity was selected. The 16S rRNA gene sequence revealed that the BC-P1 was closely related to B. subtilis with 99% homolog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gukjang fermented with B. subtilis BC-P1, Bacillus nato (PC) and commercial chunggukjang (NC)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were determined by protease, lipase, xylanase, chitinas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reducing sugar, nutrient composition and amino acid contents of cheonggukjang sample.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 subtilis BC-P1 showed the strongest fibrinolytic, xylanase, and chitinase activities. Reducung sugar contents of Cheonggukjang samples were $30.16{\pm}2.11$ mg/g (NC), $28.56{\pm}1.52$ mg/g (PC), $32.39{\pm}1.87$ mg/g (BC-P1). And their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338.99 mg% (NC), 445.19 mg% (PC), 741.35 mg% (BC-P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 subtilis BC-P1 was suitable to be used as a starter to enhance the quality and effects of cheonggukjang.

      • KCI등재

        시판 정유의 성분 분석과 다약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 효능 평가

        유영월(Yeong wol Yoo),이효정(Hyo Jeong Lee),김승(Seung Kim),배민석(Min Suk Bae),이미자(Mi Ja Lee),심정현(Jung-Hyun Shim),조승식(Seung Sik Cho)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판 중인 정유의 화학적 구성,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정유의 성분 분석은 GC-MS법을 이용하였다. 정유는 그람음성, 양성 및 다약제 내성균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 범위를 보여주었다. 정유 5종의 항균활성은 40개 병원성 세균에 대한 MIC로 측정하였다. Lemongrass와 manuka는 0.0625-0.5% (v/w), tea tree는 0.03125-1.0% (v/w), thyme 0.0625-1.0% (v/w) 및 ravensara는 1-4% (v/w)의 MIC 수치를 나타내었다. 정유의 항산화 활성은 환원력 및 DPPH법으로 평가하였다. 5종의 정유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DPPH free radical 저해 및 환원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thyme이 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비교 시 가장 높은 항 산화능을 보였다. 5종의 정유 모두 고른 항균 및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thyme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 및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어 천연 항균 항산화제로써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진은 국내 시판중인 정유 5종의 성분분석,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처음으로 비교 분석하여 보고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essential oil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essential oil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y exhibit a broa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 positive, gram negative, and multidrug resistant (MDR) strain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ive of the essential oils against 40 organisms was assessed us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he MIC values were in the ranges of 0.0625-0.5% (v/w) for lemongrass and manuka, 0.03125-1.0% (v/w) for tea tree, 0.0625-1.0% (v/w) for thyme, and 1-4% (v/w) for ravensara, depending on the pathogens studied. This study revealed that, among the essential oils tested, lemongrass and thyme oil showed bro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infectious bacteria.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reducing power of the essential oils were determined with a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ssay. Thyme oil exhibit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comparing with ascorbic acid.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essential oils against infectious bacteria and MDR strains acquired from Korean hospital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써 장흥 차조기 열수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로즈마린산 분석법 검증

        박성용(Sung-Yong Park),김정은(Jung-Eun Kim),최철웅(Chul-Yung Choi),이동욱(Dong-Wook Lee),김기만(Ki-Man Kim),윤구(Goo Yoon),윤인수(In-Su Yoon),문홍섭(Hong-Seop Moon),조승식(Seung-Sik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

        차조기 열수 추출물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성분 표준화를 위한 rosmarinic acid의 분석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실시하였다. 1% acetic acid가 첨가된 water와 methanol을 이동상으로 하고 Zorbax extended-C18(4.6×150 mm, 5 μm) 칼럼을 사용하여 기울기 용리(gradient elu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법을 확립하고 분석법에 대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과 정밀성 그리고 회수율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Rosmarinic acid의 검량선은 R2=0.9995로 좋은 선형성을 보였으며 정량한계와 검출한계는 각각 1.2 μg/mL와 0.36 μg/mL였다. 일내와 일간 분석에서 상대 표준편차(RSD)는 각각 3.21%와 1.43% 미만으로 나왔다. 정밀성 측정 결과에서는 97.04~98.98%로 나왔고, RSD는 0.25~1.97%였다. 그러므로 HPLC를 이용한 rosmarinic acid의 분석법이 차조기 열수 추출물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시험법에 따라 분석한 차조기 열수 추출물 내의 rosmarinic acid의 함량은 세 lot를 3회 분석하였을 때 평균 0.03%로 나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rosmarinic acid의 분석법이 차조기 열수 추출물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n HPLC analysis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as a part of material standard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materials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ethod of rosmarinic acid as a marker compound of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extract (PFE) was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a C18 column (4.6×150 mm, 5 μm) with 0.1% acetic acid as the elution gradient and methanol as the mobile phase at a flow rate of 1 mL/min and detection wavelength of 280 nm. The HPLC/UV method was applied successfully to quantification of the marker compound in PFE after validation of the method with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method showed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at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5, and the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tation were 0.36 μg/mL and 1.2 μg/mL, respectively.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data from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less than 3.21% and 1.43%, respectively. Recovery rate test at rosmarinic acid concentrations of 12.5, 25 and 50 μg/mL scored between 97.04~98.98% with RSD values from 0.25~1.97%.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ablished HPLC method is very useful for th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 in PFE to develop a health functional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