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유기농업(韓國有機農業) 운동(運動)의 발달(發達)과 당면과제(當面課題) 및 전망(展望)
손상목 ( Sang Mok Sohn ),정길생 ( Kil Saeng Chung ) 한국유기농업학회 1997 한국유기농업학회지 Vol.5 No.2
유기농산물은 질 좋은 농산물이며 그 생산농법이 환경친화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어 참여농가수도 증가일로에 있고 소비자들에 의한 유기농산물 구입 역시 점차 증가 주세에 있으나, 한국유기농업은 국제적 유기농업과 다르게 잘못 정의된 채 확산되고 있어, 그 핵심기술의 환경영향평가와 과학화에 대한 시대적 요청과 유기농업 기본규약 제정 필요성이 학계 일부에서 제기 되고 있는 등 한국유기농업은 최근 발전을 위한 진통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유기농업이 태동된 배경과 70년대 말로부터 80년대 초에 걸쳐 태생된 한국유기농업이 국민적 관심을 얻게된 배경과 정농회, 한국유기농업협회, 한국자연농업협회, 한살림 등의 유기농업단체와 한국유기농업학회, 환경보전형농업생산소비단체협의회, 흙살림연구소 등의 발전과정 및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서울에서 개최된 IFOAM Asia대회, 한국자연농업협회의 “자연농업 연구소”, 한국유기농업협회의 “건강과 자연농업” 등에 관해서 뿐만 아니라 우리 정부의 21세기를 향한 농림환경정책중 유기농업부문에 대한 각종 장기지원책, 즉 중소농대책의 일환의 유기-자연농업 지원책, 유기농산물에 대한 품질인증제 및 팔당상수원보호구역내 유기농업지원 등이 소개되고 있다. 한편 한국유기농업기술의 핵심내용이었던 유기질비료 과다시용 문제가 “유기농산물 채소의 고 질산염 함량”으로 촉발된 식품안전성 논쟁 후에 유기질비료의 추천시용량이 다 다익선적 개념에서 80t/ha으로 낮아졌다가 다시 50t/ha으로 낮아졌으며 1996년 6월부터는 20t/ha로 크게 낮추어 졌음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일부 선도적 유기독농가의 경험적 기술이 토대가 되어 성립된 현 유기농업기술은 과학적 기술검증을 거쳐야 함과 퇴비시용 만으로 실시하는 현 유기농업기술에 의해 야기되는 근권내 질산 및 인산염 집적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윤작, 녹비작물 및 두과작물의 재배로 토양비옥도 향상을 통한 유기농업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IFOAM 기본규약과 FAO/WHO Codex의 핵심 내용을 수용하는 한국유기농업 기본규약 제정이 절실히 요구됨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유기농업 핵심기술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와 기본규약제정 필요성를 역설하고 한국유기농업의 과학화와 질 좋은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등 몇몇 단체들의 최근 활동이 언급되고 유기농업에 대한 농과대학내 연구와 강의 등이 소개되었다.
손상목 ( Sang Mok Sohn ) 한국유기농업학회 2002 한국유기농업학회지 Vol.10 No.4
현행 유기식품생산에 관한 국제규격인 IFOAM Basic Standard와 Codex guidelines이 지나치게 유럽과 미주의 밭농사 위주에 적합하도록 규정되어져 있어, 논농사 위주의 아시아 유기농업에 얼마나 불공정한 국제규약인가를 지적하고 있으며, 가까운 장래에 이러한 불공정 유기농업 국제규격이 대폭 수정 개정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세계3대 식량 작물의 하나인 벼에 대한 유기식품생산규격이 없는 까닭에 소농규모 및 논농사 중심의 아시아 유기농업이 어떠한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는지를 보고하고 있으며, 향후 벼 재배의 중심지인 아시아 유기벼 생산기술과 현실을 반영하는 국제 유기벼 재배 기본규약이 제정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를 위해 IFOAM기본규약을 개정하기 위한 절차와 그 방법과 Codex유기식품규격을 개정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 들에 대해 논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국제유기식품규격의 수정을 위한 국제공조 과정에서 ARNOA (아시아유기농업연구기구)와 각국 정부 및 유기농업 학자들이 과연 어떻게 역할을 분담하고 협력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한국유기농업학회 한국유기농업학회 2015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3 No.3
Botrytis cinerea infects stems, leaves and fruits of greenhouse tomato and can cause serious economic los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organic farming control method against tomato gray mold. Twenty two organic farming materials including mineral and plant extracts were screened for the suppressive activity against Botrytis cinerea, in vitro and in vivo. Among the organic farming materials, sulfur, copper, Chinese twinleaf extract and rhubarb extract decreased by 51.7-90% of the spore germination of Botrytis cinerea. Also, gray mold incidence was reduced more than 90% on tomato stems by treating sulfur, seaweed extracts, rhubarb root extracts and Chinese twinleaf extract. After the selected four organic farming materials were applied on tomato cultivated in greenhouse, their control effects against the tomato gray mold were tested. When the water soluble sulfur was foliar-sprayed on the tomato leaves infected by artificial inoculation with spore suspension of Botrytis cinerea, it showed 87.9% of control value. Also, control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sulfur was paralleled with chemical fungicide, diethofencarb+carbendazim.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ndicate the sulfur for-mulation can be used as chemical fungicide alternatives for controlling tomato gray mold in the greenhouse.
유자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 방제를 위한 유기농업자재 선발 및 방제효과
박지성,조웅준,김우식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1
본 연구는 유자나무에 발생하는 주요 병을 방제하기 위한 친환경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homopsi scitri에 의한 유자 검은점무늬병은(Meloanose)과 Elsinoe fawcettii에 의한 유자 더뎅이병(Scab)은 유자나무에서 가장 일반적인 병으로 알려져 있다. 병 발생은 6월 하순경에 피해가 큰 것은 6월 동안의 강우량과 상대습도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병들은 수령이 낮은 유자보다는 수령이 높은 유자에서 심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유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농가의 관행재배구가 78.3%였으며,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49.1~72.6% 방제효과를 보였다. 반면, 유자 더뎅이병 시험에서 농가의 관행재배구에 대한 방제효과는 82.6%였으며, 공시자재인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41.1~71.8%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각각의 시험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본 시험결과에서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유자의 검은점무늬병 및 더뎅이병에 대한 방제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for controlling the main disease of Yuzu (Citrus junos Sieb). Meloanose caused by Phomopsi scitri and Scab caused by Elsinoe fawettii are the most common disease in Yuzu. In this study, of which Meloanose disease severity was severe at late of June corresponded with high humidity due to frequent rainfall at that time. In addition, occurrence of two disease have shown in old tree than young. After processing with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reduction of disease severity was 51~73% and 41~75% in case of Meloanose and scab, respectively. Based on result,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tested in this study may source for controlling both Meloanose and scab diseases on Yuzu.
유덕기,국동전 한국유기농업학회 200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Development policies on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EA) and find out some implications. As consump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products increasing, administrative policies on EA began 1997s and it has been generally expanded in Korea. The strategies for EA aim to promote among human beings and between humanity and nature require. In addition, support to develop horizontal and vertical productions-organization, regionalization, and political support must be further developed. The necessary investments for such concepts can clearly be reduced through cooperation.
쌀 수급안정과 식량안보를 위한 친환경・저탄소 농업 전환방안
양승구,박평식,손장환,안규남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 한국유기농업학회지 Vol.26 No.1
The cultivation area of rice as staple grains is decreasing in the domestic situation in Korea. Import volume of a duty in foreign rice is 409,000 tons for a year regardless increasing of production per unit area and decreasing of rice consumption. The total stock of rice is increasing cumulatively despite the effort for production mediation of rice. Therefore, maintenance of cultivation area and reduction of production are necessary for national foodstuffs security problems.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and low-carbon technology as alternative of global warming and aging of farm labor power is very important responsibility for descendants with creation of sustainable agriculture environment. As alternative for demand and supply stabilization of rice from all angles, first stage: extension of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area as 17% Jeollanam-do level with maintenance of cultivation area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second stage: extension of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area as 25%, third stage: extension of environment- friendly cultivation area as 35%. From above mentioned scenario, reduction of rice production (60,000 tons), increases of production cost (59,200,000,000 Won), and reduction of income (201,500,000,000 Won) are estimated in first stage. Reduction of rice production (90,000 tons), increases of production cost (122,100,000,000 Won), and reduction of income (313,700,000,000 Won) are estimated in second stage. Reduction of rice production (380,000 tons), increases of production cost (222,000,000,000 Won), and reduction of income (464,500,000,000 Won) are estimated in third stage. From analysis results for partial tillage in transplanting cultivation complex (10ha), rice production is decreased 1.3~1.5 ton by complex. Production cost of rice is decreased and increases of income cultivation type. Gradual extens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nd low-carbon partial tillage could be expected for environment maintenance of the territorial integrity, confidence of consumer, and high-efficiency of low-cost. 국내에서 주곡인 쌀은 재배 면적이 감소되고 있으나,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증가되고 쌀 소비는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 쌀 의무수입량은 연간 409천 톤으로 쌀 생산조정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고량이 누적되고 있다. 따라서 비상 시 식량안보를 위하여 현 재배면적을 유지하면서 생산량을 감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농촌노동력의 노령화 및 지구온난화에 대응하여 노동력 절감과 생산비를 절감으로 농가 소득을 증대하고 친환경 유기농업으로 토양에 유기탄소의 저장력을 높이며,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는 저탄소 농업기술을 개발, 지속가능한 농업환경을 조성하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책무가 있다. 쌀 수급안정에 대한 대안으로서 현 재배면적을 유지하면서 전국의 친환경재배 면적을 현재의 전남 수준인 17%까지 확대하는 1단계, 점차 확산하여 25%까지 확대하는 2단계, 중점확대로 친환경 면적을 35%까지 확대하는 3단계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쌀 단가를 동일한 고정단가로 분석한 결과 1단계에서는 쌀 생산량은 6만톤 감축되고 생산비는 592억원 증가되며, 소득은 2,015억원 감소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2단계로 친환경농업을 점차 확산할경우 쌀 생산량은 9만 톤 감축되고, 생산비는 1,221억원 증가되며, 소득은 3,137억원 감소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3단계에서는 쌀 생산량이 38만 톤 감축되고, 생산비는 2,220억원 증가되며, 소득은 4,645억원 감소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변동단가를 적용하면 친환경재배는 관행 일반재배에 비하여 소득은 11.5~14.5% 증가되며, 순소득은 -2.9~27.8%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저탄소 벼 부분경운 동시 이앙 시범재배 단지 10 ha 조성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단지별로 쌀 수량은 1.3~1.5톤이 감소되지만 쌀 생산비 감소로 농가소득은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생산조정 면적 8만 ha를 시행하는데 소요되는 정부 재정지출 예산을 감안하면 정부재정 범위 내에서 친환경 및 저탄소 농업 확대에 일정부분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현재의 쌀 재고량 감축을 위한 재고관리에 일정한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 및 저탄소 농업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나 소득감소를 재정적으로 뒷받침해 타작목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지속가능한 농업 환경 보전은 물론 식량안보와 소비자의 안전에도 기여하는 등, 친환경과 저탄소농업 확대는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진영 ( Jin Young Jeong ) 한국유기농업학회 2002 한국유기농업학회지 Vol.10 No.4
CODEX의 유기농업기준에 대하여 기본적으로는 공감하고 있으나, 아시아적 기후의 특성과 농가당 소유면적이 유럽이나 미주ㆍ오세아니아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무 협소한 점을 감안하여 아시아의 유기벼 재배농가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선에서의 유연성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윤작이나 휴경의 경우, 지역에 따라 벼-딸기 등의 과채류-벼-토마토 등 과채류-벼 행태나, 벼-보리 또는 호밀 등의 사료 또는 녹비작물-벼-자운영 등의 사료 또는 녹비작물-벼 행태의 윤작 또는 녹비작물 재배형태의 윤작 또한 유기재배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완충지배 역시, 일정거리 보다는 경계선상에 주작물보다 상당히 키가 큰 다른 식용이나 녹비용 작물을 재배하면서 이웃 관행농장으로부터의 영농화학물질의 비산을 막아줄 수 있는 조처만으로도 유기재배 인증획득이 가능토록 해야 할 것이다. 제초작업 또한 오리를 이용할 경우,기본적인 제초효과는 물론 해충포식이 이루어지며, 배설물에 의한 자연적인 시비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볏대를 튼튼하게 자극시켜주며, 고랑사이의 공기 유통 촉진과 흙탕물에 의한 잡초 발아억제효과 등 다양한 부대효과를 올리 수 있게 된다. 왕우링이 제초법 또한 논의 건조와 백로 등 조류의 접근만 차단해 주면 완벽한 제초가 이루어지고 있으며,불시 경운에 의한 제초법도 유기농업 실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