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순둘(Jung, Soon-Dool),정주희(Jeong, Ju Hi),김미리(Kim, Mi Ri)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4

        본 연구는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각 세대별로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세대갈등 을 줄이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이 진행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한국의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00명의 조사대상자들을 인구 비율에 따른 가중치 를 적용한 후 청년층 476명, 중년층 369명, 노년층 155명의 3개의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각 집 단의 세대갈등인식의 차이, 연령주의 관련 변수와 연령통합 관련 변수가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하기 위해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로 세대갈등인식에 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대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모든 연령집단에서 연령 주의 관련 변수 중 연령차별 심각성 인식이 세대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 차별을 심각하게 받아들일수록 세대 간 갈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세대갈등인식이 연령 그 자체에서 기인하는 인식과 편견들로부터 시작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연령주의 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ageism and age integration influence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for each age group, and to seek alternatives to decrease intergenerational conflict.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age: adolescence, middle age, and old age groups. For each group, the effects of ageism and age integration related variables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were examin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on influencing factors to explain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Among those factors, especially, the severity of the perception of age discrimination, which is one of ageism related variables,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for all age groups. That is, the more people perceived the severity of age discrimination, the more people perceived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because this study revealed ageism and age integration could be causes to trigger intergenerational conflict.

      • KCI등재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정순둘(Soondool Chung),김수현(Su-Hyun Kim),구미정(Mi-Jung Koo)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들의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를 비교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해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들의 노후준비로서 죽음준비의 필요성을 제고하고자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이며, 15개 광역시도별로 비례추출하여 죽음준비, 죽음에 대한 생각, 죽음대비 사전조치에 대한 인지정도와 동의정도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예비노인은 가족의 죽음과 자기 자신의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할수록, 존엄사에 대한 내용을 잘 인지할수록, 유언장 작성에 대한 동의정도가 강할수록 죽음준비가 높았다. 베이비부머는 일반적인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할수록, 존엄사에 대한 내용과 유언장 작성에 대해 잘 인지할수록, 유언장 작성과 장기기증에 대한 동의정도가 강할수록 죽음준비가 높았다. 인구사회학적특성 중에서는 예비노인의 경우 치료중인 질환 여부와 삶의 만족도가, 베이비부머의 경우 주관적 신체건강과 주관적 경제상태 인식이 죽음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관련 요인으로서, 죽음에 대한 생각은 베이비부머보다 예비노인이 더 자주 하며, 죽음대비 사전조치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정도와 동의정도는 예비노인보다 베이비부머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죽음준비가 좋은 죽음을 준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앞으로 남은 삶에 대한 준비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층이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인식하고 죽음준비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related factors and death preparation among pre-elderly people and baby-boomers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as a part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Study participants were pre-elderly people and baby-boomers and they were selected proportionately by 15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Data concerning death preparation, thinking about the death, degree of perception and agreement to the prior actions to death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by regression. For pre-elderly people, death preparation was higher when they were thinking frequently about death for oneself, perceiving more about death with dignity, agreeing more about a written will. For baby-boomers, death preparation appeared to be high when they think more about general population"s death, perceive more about death with dignity and a written will, agree more about a written will and organ donation. Further discussion about the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as a part of life was provid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정순둘(Soondool Chung),정윤경(Yunkyung Jung)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ublic perceptions of aging Korean society and related factors in the context of population aging and generational difference. Data are from 1,498 individuals older than 20 who were recruited through the quota sampling techniqu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reported less then three as the number of positive aspects of aging Korean society.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population aging, such as knowledge about aging, perceptions about family care, anxiety about later life, and perspectives about generational conflict, anxiety about later life was shown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rception of aging Korean society across age groups. Respondents 65 and older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aging Korean society and this association was conditioned by perspectives about generational conflict. Perspectives about generational conflict revealed positive associations with perception of aging Korean society among respondents aged 20-44 and 45-64, while no association was found among those 65 and older. Discussions focused on ways to alter perceptions of aging Korean society and needs for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가치체계와 세대차이의 맥락 속에서 고찰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을 대상으로 할당표집을 통해 추출된 20세 이상 성인남녀 1,498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령화 사회 인식의 8개 영역 중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영역은 세 개 이하였다. 노화에 대한 지식, 부양인식, 노후불안, 세대 갈등으로 측정된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변수들 중, 노후에 대한 불안이 모든 연령 집단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65세 이상 연령 집단이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이 20~44세, 45~64세 집단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세대갈등 변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대 갈등적인 인식은 20~44세와 45~64세 집단들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나 65세 이상 집단에서는 두 요인 간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구성원의 고령화 사회 인식의 전환의 방향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가정의 시부모가 지각하는 외국인 며느리와의 관계 및 그 영향요인

        정순둘 ( Soon Dool Chung ),박현주 ( Hyun Ju Park ),이혜정 ( Hye Jung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29 No.-

        본 연구는 외국인 며느리를 둔 시부모가 며느리와의 관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북 문경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외국인 며느리를 두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부모였으며, 모두 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며느리와의 관계는 시부모가 외국인 며느리와의 관계에 대해서 느끼는 가깝고 친밀한 정도로 측정되었으며, 시부모의 인구사회적인 특성과 며느리와의 관계적 특성 변수들이 고려되었다. 연구 결과, 시부모는 외국인 며느리와 관계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은 시부모의 건강상태와 며느리와의 의사소통 정도였다. 시부모의 건강이 좋지 않을수록 관계는 친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며느리와의 의사소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수록 며느리와의 관계를 친밀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ive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in-law and their foreign daughters-in-law an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3 elderly people aged 60 and over who have foreign daughter-in law. The perceived relationship was measured by the level of intimacy with daughter-in-law.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elderly and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in-law and their foreign daughters-in-law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daughters-in-law and parents-in-law was relatively good. It was also appeared that lower level of self-rated health status of parents-in-law was associated with greater perception of relationship. Communication with foreign daughter-in-law was foun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the perceived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관의 사례관리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변화분석

        정순둘 ( Soon Dool Chung ),조지혜 ( Ji Hye Jo ),신수정 ( Soo Jung Shi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관리 분석틀을 개발하여 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관의 사례관리 평가체계 및 지표의 변천을 분석하였으며, 이들 통해 향후 사례관리에 대한 평가체계와 지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틀은 선행연구고찰과 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사례관리 교과목 지침서, 전미사회복지사협회 사례관리 표준지침, 매뉴얼 등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분석틀에 따라 사회복지관은 2003년, 노인복지관은 2009년 이후 발간된 사회복지시설평가 지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기관의 사례관리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는 서로 다르게 발전해 오고 있었으며, 노인복지관의 경우 현재 지표만으로는 사례관리의 개념과 목적을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앞으로 사례관리 평가체계와 지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how cas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nd indicato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senior centers have been changed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cas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 framework for analysis was developed based on the systematic reviews of literature, curriculum guideline of Korean Council of Social Work Education, Standards for Social Work Case Management of NASW, and four case management manuals published by Seoul Welfare Foundation, Kyunggi Wefare Found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Content analysis was utilized as analyzing method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whether concepts and purposes of case management were properly reflected in these indicators. Subjects of analysis wer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valuation indicators published since 2003 for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2009 for multipurpose senior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individual indicators of case management evaluation have been improved but indicators for senior centers were limited to express the concepts and purpose of case management. Further discussions for enhancing cas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s and indicators were provided.

      • KCI등재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정순둘 ( Soon Dool Chung ),김고은 ( Go Eun Kim ),김정원 ( Jung Won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1

        본 연구는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들을 대상으로 결혼만족도의 수준을 살펴보고,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사회복지적인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중고령 여성들이며, 총 143명의 표본이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의 결혼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39점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부부가 함께 하는 취미생활 여부, 배우자 은퇴 후에 대한 계획수립 정도, 배우자의 은퇴기간, 배우자 건강상태, 함께 대화하는 시간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에 대한 결혼만족도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부부가 함께 하는 은퇴준비 프로그램이나 부부 여가활동,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 등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observ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wives with retired husbands and to explo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marital satisfaction after the retirement of their spou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43 women aged 50 and over who are living in the Seoul and Kyunggi provinces. Data were analysed by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of wives` marital satisfaction was 3.39 on a 5-point scale. The factor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were whether husband and wife spend together for hobbies, the extent of planning for after retirement, the length of retirement of spouse,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spouse, time to spend with spouse. The implications of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wives` with retired husbands for developing marital satisfaction were suggested in several ways.

      • KCI등재

        재가노인의 사회정서적 요인과 영양상태의 관계

        정순둘(Soon Dool Chung),한경희(Kyung Hee Han),최미숙(Mi Sook Choi),박정숙(Jung Sook Park) 한국노년학회 2002 한국노년학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motional factors and nutritional status of participants in a meal service for the elderly. For this study, 309 subjects were selected and survey research method was adop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variables. This research offers evidence that there are important relationships between socio-emotional factors and nutritional status. Our findings could be helpful to social workers in planning meal service programs and interventions. Social support systems for the elderly may be further developed and enhanced by programs that include social and psychological compon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급식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의 사회정서적 요인과 영양상태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고찰하여 노인들이 보다 건강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개입방안을 찾아보는데 있다. 309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들 여러 가지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사회정서적 요인은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급식서비스가 제공될 때 노인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개발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회복지적 서비스가 함께 주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노후설계상담사의 상담교육 참여와 실제 상담경험

        김미혜(Kim, MeeHye),정명희(Jung, MyoungHee,)정순둘(Chung, SoonDool),권금주(Kwon, KumJu),윤희수(Yoon, HeeSoo)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4

        본 연구는 현장에서 노후설계상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상담사들을 대상으로 상담교육 참여에서부터 실제 상담에 이르기까지의 상담사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하며, 도출된 결과를 통해 노후설계상담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 상담에 대한 함의를 찾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해 노후설계상담사 교육과 정을 이수하고 자격증을 취득하여 실제 현장에서 노후설계상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12명의 상담사를 대상으로 상담교육 참여부터 실제 상담경험에 대해 FGI(포커스집단면접: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에 따라 의미를 분석하고 그 개념을 구조화함으로써 이들의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총 50개의 개념과 1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4개의 범주가 도출되 었다. 분석결과는 도출된 4개의 범주, 즉 (1) 노후설계상담사 교육참여 동기, (2) 노후설계상담 교육참여 경험, (3) 노후설계상담사 실제 상담경험, (4) 노후설계상담사 역량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직까지 노후설계상담 업무의 수행체계 및 전문인력, 관련 제도가 정착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현 실정 에서 앞으로 노후설계상담사의 교육과정과 상담업무는 물론 역량강화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 였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eeply the meaning of training and counselling experiences of life planning counselors for the later life.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training and counselling experiences of counselors and tried to structur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2 counselors who got the license after completing life planning training and do counselling. This study found 4 categories, 15 sub-categories and 50 concepts. These results analyzed are : 1)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life planning counselor training for the later life ; 2) Training experience of life planning counselor for the later life ; 3) Counselling experience as a life planning counselor for the later life ; and 4) Way to improve capacity as a life planning counselor for the later life.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practice and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training curriculum, working process and building capacity of counsellors. Lastly, this study stated the limit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also suggested another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 KCI등재

        균형성과평가(BSC)모델을 활용한 청년ㆍ고령자 고용상생기업의 경영성과측정 -일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문정 ( Kim Moon-jung ),정순둘 ( Chung Soon-dool ),김주현 ( Kim Ju-hyu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7 산업노동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기업 경영적 측면에서 청년ㆍ고령자 고용상생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대 간 고용상생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일본 기업의 고용상생 전략과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경영전략은 인사조직 전략, 생산전략, 기술개발 및 인재육성 전략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경영성과는 균형성과평가 모델(BSC)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년ㆍ고령자 고용상생기업의 경영전략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청년ㆍ고령근로자의 협업과 유연근무제 도입, 기술개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균형성과평가(BSC)를 활용하여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 증가 및 원가절감(재무 관점), 신규 거래처 증가 및 시장점유율 확대(고객 관점)와 같은 재무적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무적 성과 외에도 제품 및 서비스 품질개선(내부프로세스관점), 청년ㆍ고령근로자의 기술향상(학습과 성장 관점)과 같은 비재무적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 기업의 청년ㆍ고령자 고용상생을 실천해 나가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management strategy and performance of companies that have been pursuing Generational Diversity. The management strategies were examined in terms of productio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kill development. Performance was then evaluated using Balanced Scorecard (BSC). We selected four Japanese companies that practice Generational Diversity between the younger(age less then 34) and older generation(age older then 65). Our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The common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four companies include 1) creating generation-diverse teams 2) ensuring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3) providing skill training programs. These strategies have yield positive outcomes such as sales increase, cost reduction (financial perspective) and expansion of the market share (customer perspective). Non-financial performance includes improvement of product and service quality (internal business perspective) and skill improvement of both the young and the old workers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domestic companies for their successful management of generational diversity in workplace.

      • KCI등재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안순태(An, Soontae),오현정(Oh, Hyun Jung),정순둘(Chung, Soondool)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본 연구는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노인 인구에 대한 타 세대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낙인은 노인의 삶의 질 저하와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사회문화적 성격을 반영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해 기존 문헌과 43명의 젊은 성인들로부터 추출한 항목들을 바탕으로 총 3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척도를 1차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자문과 내부 연구자 회의를 거쳐 총 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를 잠정 개발하였다. 척도의 차원성,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252명의 65세 미만 성인남 녀를 대상으로 지각된 노인 낙인,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 노인 태도, 노인 공경을 측정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28개의 항목으로 최종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기질’, ‘능력’, ‘외모’, ‘권위주의적 의존’, ‘자 식집착’의 5개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차원의 세부 항목들은 적절한 내적 합치도를 보였다.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이론적으로 정적 관계에 있는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개념적으로 반대에 있는 노인 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노인 공경 인식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연구는 세대통합을 위한 노인 낙인 해소 연구와 실무의 기초가 되는 척도 개발을 통해 노인 낙인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효과적인 정책 변화와 홍보 전략 수립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for intergener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Although negative stereotypes on elderly population have worsen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older people, there has been a lack of systematic efforts to measure and monitor stigmatic perception and behavior of younger generation on elderly people. We initially constructed a 34-item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by integrating the processes of literature review and exploratory item generation. After confirming the face validity of the scale, a 31-item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was tested with 252 adults recruited from an online research panel. The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ggests a 5-factor solution with 28 items: ability, personality, appearance, authoritarian dependancy, and family-obsession. The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examining its relationships with ageism, elderly discrimination, attitude toward elderly, and respect for elderly. After a series of refinement and empirical tests,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discrimination in our society and to develop necessary policies and promotion strategies to elimin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