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부장적 이원론의 극복을 위한 도덕경과 생태여성신학의 대화

        구미정(Koo Mi-J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6 신학사상 Vol.0 No.133

          "하나"가 되는 삶은 기독교적 이상이자, 성령을 받은 증거라고 말해진다. "하나" 가 되는 길은 만물이 서로 나누어질 수 없는 온전한 전체(通全)를 이루고 있음을 아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자연과 하나님 사이에 완전한 조화를 이루고 있던 에덴동산을 떠난 후, 인간은 "하나"를 상실하고 말았다. 선악과를 따먹은 인간은 이기적인 잣대로 세계를 나누고 지배하는 일에 익숙해져서, 하나됨의 은총을 누리지 못한 채 분열과 억압을 일삼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가부장적 세계를 떠받치는 고질적인 이데올로기인 위계적 이원론을 극복하기 위해 도덕경과 생태여성신학의 대화를 시도한다. 여성과 자연을 중심에 둔 동서양의 사상체계를 검토함으로써, 분열된 심성과 세상을 치유할 지혜를 모색한다.   Jesus prayed that we are to be one with each other, just as he is one with God and God is one with him. To become one, we need to know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not separated but interconnected. But, in fact, we do not know how to be one, because we are accustomed to divide and control in the patriarchal world.   This paper tries to dialogue between Tao Te Ching and Ecofeminist theology to overcome the hierarchical dualism which is peculiar to patriarchy. By cross-reading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focused on women and nature, we can find some holistic wisdom to heal our divided and split mind and world.

      • KCI등재

        아나키즘과 무교회주의의 대화

        구미정(Mi-jung Ko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1,2

        아나키즘은 ‘무지배ㆍ무권력을 관철하는 철두철미한 인간사상’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아나키즘적 인간형을 구현한 인물로 예수만한 이가 없다. 예수는 인간을 외적 권위(율법) 아래 종속시킨 당대 종교권력에 맞서 투쟁하며 인간의 자유를 끝까지 옹호했다. 그런 예수를 따르는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가종교가 된 것이야말로 역사의 아이러니다. 박해 당하던 종교에서 권력자의 종교로 자리바꿈을 하자, 기독교는 예수의 아나키즘적 특성을 저버리고 곧장 박해를 단행했다. 기독교가 아나키즘의 주적이 된 것은 이 때문이다. 종교개혁 이후 출현한 개신교는 가톨릭과 다르지 않냐고 항변할는지 모르나, 종교개혁이 특히 ‘만인사제론’과 관련하여 미완으로 끝났다는 사실을 부인하기란 어렵다. 그러하기에 기독교와 아나키즘의 대화는 필경 제도교회가 아닌 주변부에서 찾아져야 할 것이다. 이 글은 바로 그 주변부에서 종교개혁을 더욱 철저화 하기 위해 등장한 무교회 운동에 주목한다. 아나키즘과 무교회주의는 거의 비슷한 시기에 이 땅에 전래된 바, 그 역사적 맥락을 짚어보는 작업도 병행한다. 특히 김 교신의 무교회주의의 한 축이었던 노동운동에서 ‘공동체 아나키즘’의 가능성을 추적하고, 아나키즘과 무교회주의의 대화를 통해 양자가 더욱 풍요롭게 될 가능성을 질문하며 글을 맺는다. 이 시론적 연구는 그 어느 때보다 국가의 도착현상을 심각히 경험하는 오늘날 매우 유용한 삶의 길을 제시할 것이다. As long as anarchism is the radical philosophy that advocates self-government without any authorities ruling-over, it can be said that Jesus is a prototype realizing anarchism in his life and personality. He struggled to restore the perversion of Judaism letting the Jewish people to be subordinated to the law, far from trying to love God freely. It is misfortune, however, for Christianity to become the state-religion of Roman Empire in the western history. After its switching position, Christianity started to misuse and abuse its power to oppress the other religious beliefs. That is why it became the main enemy for the anarchists. This article review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eing introduced anarchism and non-churchism to Korea in the 1920’s. And it defines some points of contact between them focusing on Uchimura Kanzo and his disciple Kim Kyo-shin. The author concludes to ask what outputs will come from the further dialogue between anarchism and non-churchism. This exploratory study can be useful in these days when we experience the perversion of the state existing not for the people but the state itself.

      • KCI등재

        〈아바타〉에 나타난 생태적 가치

        구미정(Mi-Jung Ko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1 현상과 인식 Vol.35 No.1·2

        미국의 제임스 캐머런 감독이 만든 < 아바타> 는‘3D’입체영화의 새 장을 엶으로써 전 세계 흥행 기록을 다시 썼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과학의 놀라운 성과를 경탄하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한편에서는 이 영화가 서양문명의 고질병인 제국주의를 옹호한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를테면, 지구인이요 백인이며 남성인‘제이크 셜리’가 원시적 자연과 여성성을 상징하는 판도라 행성의 구원자로 나오는 것은 아무래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를 영웅시하는 제국주의적ㆍ가부장적 시선을 닮았다는 것이다. 〈아바타〉 에 대한 정치적 독해가 분명히 의미 있는 시사점을 던져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의 눈에 이 영화의 최대 장점은 바로 오늘의 지구 문명이 지향하고 있는 지배적인 가치를 비판적으로 드러내는 데 있다고 본다. ‘지구의 종말’담론이 심심찮게 거론되는 오늘의 생태 위기 상황에서 이 영화가 재현하고 있는 판도라식 삶의 방식은 인류에게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선택하도록 도전하며 유혹한다. 이 글은 〈아바타〉 에 대한 생태적 독해를 시도하려는 것이다. 대중이 이 영화에 열광한 이유는 지구 문명에 대한 환멸과 가상의 별‘판도라’에 대한 동경이 동시에 작용한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바타〉 를 읽으면, 우선 그것이 맘몬 숭배에 저항하는 텍스트임을 알게 된다. 또한 여성 생물학자인‘그레이스 어거스틴’의 캐릭터는 오만하고 탐욕적인 과학을 넘어서 겸손하고 애정 어린 과학으로 나아가는 가능성을 타진케 한다. 결국 필자는 타자를 이용하고 지배하고 정복하는 데 익숙한 지구인의 삶의 방식을 치유하려면 ‘샤하일루’(shahaylu : 판도라에서 연결 혹은 결속을 의미하는 나비족의 언어)로 압축된 판도라식 삶의 가치를 체득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글을 맺는다. 〈Avatar〉(2009), a science fiction film written and directed by James Cameron, broke several box office records right after its release and became the highest-grossing film worldwide. The film was admired its highly advanced technology so called ‘3D’ viewing and even ‘4D’ viewing. However, some people have criticized the film due to its covert supporting imperialism which has been one of the deep-seated problems of western civilization. For example, Jake Sully(starred by Sam Worthington), who is a white earthling, becomes the savior of Pandora as if Christopher Columbus played a messianic role for ‘primitive’ people from an imperialistic perspective. Despite such a political reading of 〈Avatar〉 gives us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it seems to this author that the best point of this film is its critical disclosing about the predominant values of our comtemporary civilization. Navi, the inhabitant humanoids of Pandora, who live in harmony with the nature and worship a mother goddess called Eywa, teach us how to live for just and sustainable future. This article, thus, attempts to read 〈Avatar〉 through the ecological eyes. In doing so, we come to understand that it is the fine text to resist mammonism. And also, the way of doing science conducted by Dr. Grace Augustine(Sigourney Weaver), a female botanist, can be the alternative model of ‘humble and compassionate science’ instead of arrogant and acquisitive science. This article suggests to embody the Navi’s way of life that is symbolized ‘shahaylu’ to heal our chronic disease to exploit and rule over other human beings as well as the nature.

      • KCI등재

        이제의 신민, 올제의 시민

        구미정(Mi-jung Ko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4

        국망의 위기 앞에서 한말 지식인들은 국가란 무엇이며, 국민이란 누구인가를 치열하게 묻고 답했다. 석주 이 상룡 또한 예외가 아니다. 중세 봉건 시대의 해체를 체감한 그는 근대 ‘국민국가’의 도래를 깨닫고, 여전히 왕조 치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신민’(新民)으로 깨어날 것을 촉구했다. 망국 이후 망명하여 경학사와 신흥무관학교 설립을 주도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령으로 활약하기까지 그의 삶은 온통 ‘천하위공’(天下爲公)의 세상을 열어가기 위한 ‘자기 비움’의 실천으로 빛났다. 이 글은 이러한 이 상룡의 사상 전환을 추적한다. 안동에서 이름 난 재지사족(在地士族)으로 아흔 아홉 칸 임청각의 주인이었던 그는 많은 유림들이 독립운동의 목표를 ‘왕정복고’에 두고 있을 때 ‘민주공화국’을 지지함으로써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석을 닦았다. 전형적인 주자학자였던 그가 만민평등과 참 자유의 가치에 도달하는 과정은 ‘삶의 지식인’의 모범을 보여준다. 왜곡된 ‘경제주의’의 심화로 민주주의 가치가 심각히 유린되는 오늘, 오롯이 선비정신으로 초월을 단행한 그의 삶의 이야기는 감동과 깨침을 동시에 선사한다. In face of Korea Empire"s falling into ruin, many intellectuals asked what the "nation state" was. Sukju Yi Sang-ryong(1858-1932) was no exception. Realizing the breakup of the feudal system and the advent of the modern democratic system, he urged the people of Korea Empire to become "new people" of Republic of Korea. Being exiled after the Japanese colonization, his life, which showed leadership to build up Geonghaksa and Singheung Military School in Manchu and to take charge of the Premier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shined as the value of self-sacrifice to pave the way for "Dae-dong world", the utopian society of Confucianism. This article traces the changing process of Sukju"s thought which ranges from traditional Chuhsi"s learning to democracy. It is very exceptional for the Confucian scholar like Sukju to advocate the Democratic Republic system instead of restoration of the Monarchy. His story as a intellectual of life embodied self-transcendence through the Sunbi spirit challenges us to rethink the precious value of democracy today when it is threatened by economism.

      • KCI등재

        3·1운동과 여성의 주체화 : 그 미완의 혁명성에 관하여

        구미정(Mi-jung Ko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현상과 인식 Vol.43 No.3

        3·1운동은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을 가르는 분기점이다. 그런 점에서 과연 ‘혁명’이라 부를 만하다. 이 혁명성은 여성의 높은 참여율에서도 드러난다. 조선사회의 엄격한 ‘내외법’에 따라 바깥출입조차 자유롭지 않던 여성들이 역사의 주체로 등장했다. 여기에 기독교가 들어선다. 기독교는 여성들에게 다양한 활동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삼종지도’와 같은 유교적 이데올로기에 매여 남성의 하위주체로 머물러 있던 여성들을 자기 삶에 능동적으로 책임지는 자율적이고 자유로운 근대 주체가 되게 하는 데 공헌했다. 그러나 기독교 여성의 이런 ‘신여성’ 이미지는 서양(미국)에서 온 여선교사들을 모방한 것으로, 이러한 모방 행위자체에 식민지 주체의 비애가 놓여있는 것이다. 일제강점 후기 전시동원체제에서 등장한 ‘총후 부인’ 담론은 모방이 어떻게 의식의 식민화를 낳는지 보여준다. 이후로도 ‘뒤틀린 해방체제’ 아래서 한국교회는 여신도들에게 ‘구국의 영웅’ 이미지를 부추기며 관변 종교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3·1운동 백 돌의 해에 다시 생각해보아야 할 미완의 혁명성이다.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the turning point of our history, where the Korean Empire was replac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is radical movement was highlighted by the women’s high participation. It is quite revolutionary that the women, who were not even permitted to go out of the house in Confusianized Chosun society, appeared as the public subjects i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is context, the Christianity played a key role in providing women with a wide range of spaces from a religious community to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clubs. Becoming a Christian woman at that time meant becoming a modern girl like western (mostly American) female missionaries who were regarded as the autonomous and free. However, this politics of mimicry had a double effect. One was to encourage women to achieve their own life’s purpose. while the other was to thoroughly colonize their unconsciousness. The discourse of ‘The Women in the rear guard’ (Chong Hoo Bu-in) that emerged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showed the latter effect of such mimicry. After 1945, the Korean Church took part of the role as ‘a State Religion’ under the ‘Distorted Liberation’ system, where the Christian women were forced to be ‘national heroins.’ This article claims that we should critically think how the Korean Church has polluted the spiri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by carrying out the politics of the extreme right in our society.

      • KCI등재

        ‘1인 가구’ 사회현상에 대한 해부학 : 기독교윤리의 관점

        구미정(Mi-jung Ko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1

        우리 사회가 산업화․도시화의 흐름 속에서 확대가족이 줄고 핵가족이 늘어난 것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부부 없이 자녀끼리만 사는 가구도 많다. 그러나 ‘나 홀로’ 삶을 꾸리는 ‘1인 가구’의 수가 ‘2인 이상 가구’의 수를 넘어선 사실은 한 번쯤 짚어 보아야 할 기현상이다. 언론에 자주 오르내리는 ‘독거노인’ 이야기가 아니다. ‘1인 가구’는 전 연령층에 걸쳐 발견되는데, 특히 20․30세대에서 두드러진다.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 전체의 소비 패턴에도 큰 변화가 일고 있다. 무엇보다 ‘혼밥족’과 ‘혼술족’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이 그 보기다. 그런데 이처럼 20․30세대가 가족을 이루지 않고 혼자 삶을 꾸리는 현상을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으로만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삶을 구성하는 토대가 견고하지 못한, 이른바 ‘액체 근대’의 귀결로서 신자유주의라는 변종 자본주의에 의해 강요된 뒤틀린 삶으로 내몰린 정황이 짙다. 이러한 고민을 담아내며 연구자는 성서의 지혜로부터 인간 존재론의 바탕을 이루는 ‘관계성’에 대한 고찰을 빌려온다. ‘초개인주의’를 강화하는 1인 가구 시대의 해법으로 작게나마 기여하기를 바라면서 말이다. There is nothing new that the nuclear families were increased while the extended families declined in the cours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our society. Even a lot of married couples live by themselves without having any baby. However, it is something new that the number of single-member household has been exceeded two-member household as National Statistics Korea made in 2018 showed. A number of single-member households are observed all though age groups, remarkably amongst 20-30 generations. And also, there are huge changes in the consuming patterns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single-member households. Above all things, we can easily notice that ‘the Hon-bap tribe’(those who eat alone) and ‘the Hon-sul tribe’(those who drink alone) are common here and there. Then, is it normal or natural that the young people are living alone without any date or marriage, to say nothing of giving birth? Should we regard this new trend as just free choice of young generations?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questions and attempts to answer that this kind of life style is the consequence of ‘liquid modernity’, which carried over ‘hyper-individualism’ under the neoliberal economic order. In this context, the author recalls the ‘relationship’ or ‘living together’ as the basic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from the biblical wisdom hoping to contribute to resolve the problem of hyper-individualistic life style which might be pervaded in single-member households.

      • KCI등재

        세월호와 함께 침몰한 한국사회의 인권

        구미정(Mi-Jung Ko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5 현상과 인식 Vol.39 No.1, 2

        오늘날 한국사회의 인권 논의는 반드시 세월호 참사를 짚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절박함이 이 글의 직접적인 동기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한 달여 만에 <문학인 시국선언>이 있었다. 그리고 그로부터 한참 뒤에 <신학자 호소문>이 나왔다. 그러나 한국교회 역사상 최초의 인권선언이라 할 <1973년 한국 그리스도인 선언>의 뒤를 잇겠다는 당찬 포부에도 불구하고, 이 <호소문>에 담긴 인권의식은 오히려 퇴행적일뿐더러 문학인들에 비해서도 한참 뒤떨어지는 실망스런 수준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래서 이 글은 문학과 신학의 대화를 시도한다. <문학인 시국선언>에 이어 곧바로 출간된 세월호 추모시집을 텍스트로 삼아, 문학인들이 밝히는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들여다본 뒤, <신학자 호소문>에 마땅히 담겼어야할 인권의식을 헤아려보려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전래의 천부인권설(天賦人權說)에 호소하는 형이상학적 인권개념이 얼마나 허약한지를 살펴보는 한편, 세월호 유가족들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의 냉혹함 이면에 깔린 ‘타자화’의 폭력을 검토한다. 아울러 이 폭력은 독재개발 시대의 ‘국민주체’ 강령과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하의 ‘성공한 소수’ 기표를 무비판적으로 내면화한 한국사회 및 한국교회의 집단무의식의 산물임을 밝힌다. 그러고 나서 애도와 연대의 윤리를 회복하는 길만이 세월호 참사 이후의 인권담론이 나아갈 방향임을 제안하는 것으로 글을 맺는다. This article is motivated by a sense of urgency that today"s discourse of human rights in Korean Society need to mention the Sewol ferry disaster on 16th of April in 2014. There was <A Declaration of the State of Affairs by Literary Writers> regarding the Sewol-ho, and then <Theologians" Letter of Plea>. It is my opinion, however, that the awareness of human rights appeared in <Theologian"s Letter of Plea> did not reach to the level of <A Declaration of Korean Christians in 1973>, which is regarded as the first discourse of human rights in the history of Korean Church, to say nothing of falling far behind <A Declaration of the State of Affairs by Literary Writers>, although it revealed its strong ambition to succeed <A Declaration of Korean Christians in 1973>.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ttempts to dialogue between literature and theology. Briefly describing the truth of the Sewol ferry tragedy pointed by literary writers, especially poets, it is the main purpose to figure out what kind of perception of human rights should have been included in <Theologian"s Letter of Plea>. For this, I explore the weakness of the traditional and metaphysical concept of human rights which appeals to the theory of natural rights. And I analyze the violence of "otherization" lay behind the cold-hearted eyes towards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Then, it is clarified that this violence has been resulted from the collectives of unconsciousness of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 in which both "subject of people" propelled in dictatorship development ages and "few people of success" under the, so-called, neoliberal economic system have internalized. At this point, I conclude by suggesting that the discourse of human rights after the Sewol ferry tragedy must include the ethics of mourning and solidary, that is, it is not enough only to plea for help the bereaved families.

      • KCI등재

        어떤 근대, 누구의 근대인가

        구미정(Mi-jung Koo) 한국사회이론학회 2017 사회이론 Vol.- No.51

        이 땅에서 ‘근대’에 대한 논의는 통상 두 가지 이론으로 대별된다. 하나는 ‘식민지 근대화론’이고, 다른 하나는 ‘내재적 발전론’이다. 전자는 근대화를 순전히 외부에서 이식된 것으로 보는 반면에, 후자는 우리 안에 이미 근대화의 역량이 있었다고 본다. 그러나 이 두 관점은 정작 이 근대가 어떤 근대이며 누구의 근대인가는 묻지 않는다. 근대를 ‘서구 자본주의’와 동일한 개념으로 전제하고, 그 전제에 대해 질문하지 않는다. 동아시아의 근대는 중화주의가 저문 자리에서 시작되었다. 당시는 사회진화론으로 무장한 서구 제국주의가 세계를 단일정서아래 묶으려 획책하는 즈음이기도 했다. 따라서 이 땅의 지식인들은 전래의 중국 중심주의와 외래의 서구 중심주의를 동시에 극복해야 하는 과제 앞에서 씨름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글은 그러한 이중 과제에 충실히 응답한 지식인으로 백암 박 은식을 들어, 그의 사상 행보를 추적한다. 안으로는 주자학적 조선을, 밖으로는 사회진화론적 제국주의를 극복해야 하는 이중의 난관에 봉착하여, 박 은식은 우리 민족 고유의 자가정신과 상무기질을 강조함으로써 새 길을 찾고자 모색했다. 이러한 그의 지적 투쟁은 신자유주의 경제 질서 속에서 길을 잃은 오늘 우리에게 큰 깨달음으로 다가온다. A discussion of the ‘modern times’ or ‘modernity’ in Korea is classified into two perspectives; one is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nother,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While the former considers that the Korean modernization owes to Japan for its colonization of Korea, the latter argues Korea in itself has the capability of modernization regardless of the Japan. These two perspectives, however, never ask ‘what kind of modern times and whose modernity’ is, only presumed the modernity is the same as the western capitalism. As a matter of fact, the modern times in East-Asia began with the collapse of Sino-centrism. At the same time, western imperialism attempted to combine the world with one idea called as social Darwinism. In this context, the intellectuals in the late Chosun Korea had the responsibility to overcome the traditional Sino-centrism and the new Euro-centrism as well. This article suggests Baekam Pak Eun-sik is the example to respond to those two tasks and traces the changing process of his thought. Facing with the difficulties to challenge Confucian Chosun Korea inwardly as well as the western imperialism based on social Darwinism outwardly, Pak tried to find a new way by emphasizing ‘the Korean modern idea’ with self identification and self-mind and ‘the fighting-spirit’ which lurks in every Korean heart. His intellectual struggle gives us insights to seek for a way-out in the neoliberal economic order.

      • KCI등재후보

        동물의 권리와 '하나님의 형상'

        구미정(Mi Jung Koo)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4 생명연구 Vol.33 No.-

        영화 <노아>는 2014년 개봉과 더불어 '반(反)기독교영화'라는 비난에 휩싸였다. 성서를 '있는 그대로' 묘사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경전에 대한 기계적ㆍ문자적 읽기에 집착하는 근본주의 신앙은 성서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고자 하는 대중예술의 입지를 좁힐 뿐만 아니라, 기독교 자체를 독선적으로 만들 우려가 있어, 평화로운 공존이 화두인 이 시대에는 더욱 유해하다 아니할 수 없다. 이에 연구자는 <노아>가 펼쳐내는 인문학적 상상력을 높이 평가하되, 노아를 하나님의 창조세계의 수호자, 특히 동물들의 보호자로 설정한 점을 눈여겨보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기독교인들에게 '노아의 방주' 이야기는 '의인' 노아와 그 가족의 구원 드라마로 읽히는 경우가 많았다. 동물들도 방주에 탔다는 성서의 증언을 모르지 않으나, 그 점이 두드러지게 조명되는 경우란 드물었다. 구속사와 관련하여 이러한 인간중심주의야말로 전통 기독교 신학의 뚜렷한 특징 혹은 한계인 바, 그 뿌리는 인간의 존재론적 지위와 정체를 '하나님의 형상'으로 묘사한 창세기적 보도에 있다고 하겠다. 하나님의 형상이 인간을 피조세계의 나머지 존재들과 구분 짓는 근거로, 나아가 동식물을 비롯한 자연만물보다 우월한 증거로 해석되다보니, 동물권 운동 따위는 기독교와 친화적일 수 없었다. 그러나 영화 <노아>는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실마리를 제시한다. 인간은 자신의 어떤 고유한 능력이나 속성 때문에 하나님의 형상이 되는 것이 아니고, 오직 하나님의 자비를 따라 행동할 때에만 하나님의 형상이 된다는 깨달음 말이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해체철학자 데리다의 개념을 빌어 노아의 방주를 일종의 '탈구 공간'으로 재해석해본다. 인간과 동물 사이에 주종관계가 성립되지 않으며 심지어 동물들 사이의 먹이사슬 구조마저 해소된 그 공간이야말로, 두발가인으로 상징된 제국주의 체제를 전복하는 '하나님 나라'의 은유로 손색이 없다. 이처럼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관계론적' 해석, 동물의 '권리'에 대한 근본적 성찰, 노아의 방주에 대한 실험적 재해석 과정을 거친 뒤에, 이러한 논의가 광우병과 구제역과 조류독감이 창궐하는 우리 시대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간략히 짚어보는 것으로 글을 맺는다. <Noah>, a 2014 Hollywood epic biblically inspired film, has been beset by controversies and criticisms from Korean-Christian-audiences on the ground of that it does not portrait the story of Noah 'as it is' in the Bible. However, it is apprehended that the fundamentalism, which is the demand for a strict adherence to the literal and mechanical reading of Bible, constricts the popular art not to utilize the Bible-contents by no means and also makes Christianity itself behave self-righteously, so that it can be harmful to our age having responsibility to grope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In that sense, the author highly appreciates the theological imagination, expecially its description of Noah as the guardian of God's creation. As a matter of fact, the traditional reading of the story of Noah's Ark mostly tends to limit to the God's drama for delivering 'the righteous' Noah and his family. Even if most Christians know that Noah brought into the Ark with a male and a female of every kind of animal and bird as well as a male and a female of every reptile because God did not want them to be destroyed, it is seldom, if ever, take notice of that. It is resulted from the anthropocentric understanding based on the biblical testimony saying that God created humans in 'the Image of God'. As the traditional theology has considered 'the Image of God' as the ground of differenti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rest of all beings in God's creation and even the evidence of superiority of humans to the other beings, it is difficult for many Christians to be eco-friendly. Besides, the film <Noah> suggests new interpretation of the Image of God as something relational, not substantial attribute, that is, we become the Image of God only when we love the others as God did as constant as ever since He created the world. In this context, the author tries to reinterpret the Noah's Ark as 'the space of coming out of joint' borrowing from Jacques Derrida. It is safe to say that in the way of that there is no more the subject-object relation between humans and animals, the Noah's Ark can be the metaphor of the Kingdom of God which subverts the imperialistic system symbolized by Tubal Cain in the film. Furthermore, the author mentions at the conclusion what this discussion has meaning in the age of a worldwide epidemic such as mad cow disease, foot and mouse disease, avian influenza, and so fo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