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ODIS NDVI 시계열 패턴 변화를 이용한 산림식생변화 모니터링 방법론

        정명희,이상훈,장은미,홍성욱,Jung, Myung-Hee,Lee, Sang-Hoon,Chang, Eun-Mi,Hong, Sung-Wook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정규식생지수(NDVI)는 식생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식생지수(VI-Vegetation Index) 중 하나로 여러 응용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수이다. 산림 분야에서도 NDVI가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산림 변화 모니터링을 위해 MODIS NDVI를 활용하는 방법론이 연구되었다.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NDVI 값을 비교 및 분류하여 변화를 탐지하는 방법은 기계나 기상상태의 영향으로 자료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장기적인 변화를 탐지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하모닉 모형을 이용하여 NDVI 시계열 자료를 통해 NDVI 패턴을 고려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먼저 하모닉 모형을 적용하여 미관측 자료나 자료의 오류를 보정한 NDVI 시계열 자료를 재구축하고 추정된 하모닉 요소의 모수를 기준으로 장기적 패턴을 통해 식생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한반도 지역의 2009년 8월 21일부터 2011년 9월 6일까지 총 49개의 MODIS NDVI 시계열 자료에 적용하여 모형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has been used to measure and monitor plant growth, vegetation cover, and biomass from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It is also a valuable index in forest applications, providing forest resource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an approach for monitoring forest change using MODIS NDVI time series data is explored. NDVI difference-based approaches for a specific point in time have possible accuracy problems and are lacking in monitoring long-term forest cover change. It means that a multi-time NDVI pattern change needs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an efficient methodology to consider long-term NDVI pattern is suggested using a harmonic model. The suggested method reconstructs MODIS NDVI time series data through application of the harmonic model, which corrects missing and erroneous data. Then NDVI pattern is analyzed based on estimated values of the harmonic model. The suggested method was applied to 49 NDVI time series data from Aug. 21, 2009 to Sep. 6, 2011 and its usefulness was shown through an experiment.

      • KCI등재

        신약개발에서의 AI 기술 활용 현황과 미래

        정명희,권원현,Jung, Myunghee,Kwon, Won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2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 중 가장 핵심적인 기술로 꼽히고 있는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면서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오고 있다. 바이오 분야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컴퓨터, 전기·전자, 기계 등 타 학문과 융합되면서 방대한 데이터 기반의 AI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신약개발에서 AI 기술 도입은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효능 및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신약개발은 다학제 분야가 접목된 융합 분야이고 개발 과정 단계별로 결과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어 실용적 수준의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화학, 생물학, 독성학, 약동학 등 전문지식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AI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신약개발은 크게 주어진 질병에 대한 타겟 물질 발굴 및 검증, 히트 및 선도물질 발굴, 도출된 화합물에 대한 합성 가능성 및 효능 등에 대한 평가(Scoring)를 거쳐 최적의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마지막으로 전임상과 임상 과정의 단계를 거친다. 이때 AI 기술은 모든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고 단계마다 특화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약개발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AI 기술 현황과 현재 기술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신약개발에서 AI 기술의 발전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nsidered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dopted in various fields bringing about a huge paradigm shift throughout our society. The field of biotechnology is no exception. It is undergoing innovative development by converging with other disciplines such as computers, electricity, electronics, and so on. In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big data-based AI technology has a great potential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drug development, rapidly advanc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drug development process. AI technology is to be specialized and developed for the purpose including clinical efficacy and safety-related end points based on the multidisciplinary knowledge such as biology, chemistry, toxicology, pharmacokinetics, etc.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AI technology applied for drug discovery and consider it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 SCIESCOPUSKCI등재

        '흑보석' 포도의 GA<sub>3</sub>와 Thidiazuron(TDZ) 처리에 따른 과육 연화 지연 및 과실특성

        정명희,이별하나,박요섭,오진표,김희섭,박희승,Jung, MyungHee,Lee, ByulHaNa,Park, YoSup,Oh, Jin Pyo,Kim, HeeSeob,Park, Hee-Seung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2

        본 연구는 $GA_3$와 TDZ 처리에 따른 '흑보석' 포도의 품질 특성변화와 과실 연화 지연을 위한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최종생산량은 저농도 $GA_3$ 단용처리에서 목표생산량 대비 88.3%로 낮았으나 TDZ를 2차에 혼용함으로써 최종생산량은 회복되었다. 착색을 기준으로 수확하였을 때 만개 후 100일까지의 수확률은 $GA_3$ 단용처리시 낮은 수확률을 보였으며 TDZ를 혼용할 경우 상쇄되었고 특히 2차에 혼용할 경우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생장조절제 처리시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만개 후 90일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산 함량은 만개 후 90일부터 급격히 감소되어 당도와 산도를 기준으로 할 경우 오히려 무처리구에 비해 일찍 성숙기에 도달하였다. 경도는 $GA_3$와 TDZ 처리에 의해 활발한 세포비대와 세포분열로 과피가 두꺼워지고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처리구에 비해 만개 후 최종 수확시까지 높게 유지되었으며 특히 1, 2차 $GA_3$ $2.5mg{\cdot}L^{-1}$ + TDZ $2.5mg{\cdot}L^{-1}$ 처리구에서 연화가 지연되어 과실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무핵과실은 TDZ를 혼용시에도 가장 높은 무핵률이 65.5%에 불과하여 무핵유기가 어려웠으며 열과발생은 모든 처리구에서 0.0-0.9%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흑보석' 포도는 1, 2차 $GA_3$ $2.5mg{\cdot}L^{-1}$ + TDZ $2.5mg{\cdot}L^{-1}$로 처리하여 경도가 급격히 낮아지기 전인 만개 후 100일 이전에 수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the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on the characteristics of fruit and flesh softening, using GA3 and thidiazuron (TDZ) treatments in 'Heukboseok' grapes. The total yield obtained under PGR treatment was 88.3% lower than the target production when a single treatment with $GA_3$ of low concentrations was used, but the expected yield was recovered by combined treatment with TDZ and $GA_3$. When harvested on the basis of color, the harvest rate up to 100 days after full bloom (DAFB) was low with the $GA_3$ single treatment, but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TDZ, with the second TDZ mixed treatment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The soluble solids content in the PGR-treated sample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changes after 90 DAFB, while the acidity content decreased rapidly starting from 90 DAFB. Measured on the basis of sugar and acidity content, maturity was reached much earlier in treated fruit than in the non-treated fruit. Firmness was maintained at a higher level until the final harvest time after PGR treatment compared to untreated grapes according to epidermis thickness and flesh density increase to activity cell division and expansion by $GA_3$ and TDZ. In particular, the fruit quality was improved based on the delay of softe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of $25mg{\cdot}L^{-1}\;GA_3+2.5mg{\cdot}L^{-1}$ TDZ. The production of seedless fruit was difficult, even with the inclusion of TDZ, reaching the highest seedless rate of only 65.5%. Fruit cracking was rare, occurring at a rate of about 0.0~0.9% in all treatments. Accordingly, 'Heukboseok' grapes should be harvested within 100 days after full bloom (DBFB) before a rapid decrease of firmness, conferred by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s with $25mg{\cdot}L^{-1}\;GA_3+2.5mg{\cdot}L^{-1}$ TDZ.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실용주의 사상에서 본 이명박 정부의 ‘능동적 복지’평가

        정명희 ( Jung Myoung He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5 No.1

        본 연구 목적은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운영철학이자 정책기조였던 실용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 5대 국정지표 중 하나인 ‘능동적 복지’에 초점을 두어 어떻게 실용주의 사상이 반영되고 국정에 운영되었는지를 고찰하는데 있다. 실용주의 정책기조를 취하면서 정책을 전개한 이명박 정부에서는 크게 세 가지 차원으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 ‘능동적 복지’를 지향하는 본 정부는 복지예산 편성과 관련해서는 ‘능동적’이라기보다는 ‘소극적’ 혹은 심하게는 ‘명목적’ 복지예산을 보여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창조적 실용주의’의 5대 국정지표인 하나였던‘능동적 복지’라는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평가이다. 셋째, 민심을 잃기도 하였고 글로벌 경제위기에 대응한 나름의 ‘친기업’ 중심의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한 ‘친서민’ 중도실용 노선을 타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고는 하나, 실제 회의적이면서도 실제적인 모습은 찾기 어려웠다는 평가이다. 이렇듯, 이명박 정부의 ‘능동적 복지’에서 어떻게 실용주의 사상이 운영철학과 정책기조로 반영되어 운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창조적 실용주의’와 ‘친서민 중도실용주의’에 입각하여 ‘능동적 복지’의 특징들과 한계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With focusing on 'active welfare' which was the one of five government goals unde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based on pragmatism that was the policy and philosophy to govern the nation, this study has been done to review how pragmatism was reflected on the management of the government.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policy expressing pragmatic direction was able to summarized into three major points. First, the Lee Government oriented 'active welfare' showed 'passive' or even 'nominal' welfare budget policy regarding welfare budget allocation. Second, I evaluated that 'active welfare' which was the one of five government goals under the 'creative pragmatism' paradigm was no substance clear. Third, the Lee Government had made efforts to pursue 'pro-worker' and central pragmatic policies to regain losing public trust and to break away from its image of 'pro-business' that the government took the position to respond global economic crisis. However I also evaluated that this efforts were skeptical as well as failed to gain tangible results.

      • KCI등재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대흥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 거제시(도) 노자산을 중심으로 -

        정명희 ( Jung¸ Myung-hee ),문현식 ( Moon¸ Hyun-shik ),김태운 ( Kim¸ Tae-woon ),주정운 ( Joo Jeong-woon ),김소진 ( Kim¸ So-jin ),원종태 ( Won¸ Jong-tae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거제도 노자산은 우수한 경관과 보전가치가 높은 생태자원이 풍부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개발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환경부 멸종위기식물이면서 산림청희귀식물인 대흥란이 거제도 노자산에서 대규모로 확인되어 대흥란 자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된 조사지 6곳을 선정하여 입지환경, 토양환경, 식생구조, 종간상관관계 등 생태적 특성을 2020년 6월~8월사이에 현장조사하였다. 대흥란 자생지는 해발고 84m에서 137m의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사도는 2~12o로 비교적 완경사지였다. 노암률은 평균 16.2%였으며 범위는 9%에서 22% 사이였다. 유효토심과 낙엽층 두께는 각각 19.3 cm와 10.9 cm로 나타났다. 조사구별 대흥란 개체수는 1번 조사구 212개체, 2번 조사구 63개체, 3번 조사구 45개체, 4번 조사구 117개체, 5번 조사구55개체, 6번 조사구 200개체로 확인되었다. 대흥란 개체수가 가장 많이 확인된 조사구 1과 6에서 노암률과 유효토심 그리고 낙엽층 두께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토양수분 함량은 평균 25.9% (24.2∼27.9%)로 비교적 습한 환경이었으며, pH는 5.76(5.52∼5.99), 유기물함량은 6.86%(5.25∼8.48%), 전질소는 0.34%(0.28∼0.42%), 유효인산은 5.52 ppm(3.0∼10.8 ppm), CEC는 16.9 cmol+/kg(15.2∼18.9cmol+/kg)의 값을 보였다. 치환성양이온 함량은 Mg2+>K+>Ca2+>Na+ 순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경향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조사구의 교목층에서는 중요치의 값의 차이는 있지만 곰솔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의 중요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목층에서는 덜꿩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초본층에서는 모든 조사구에서 주름조개풀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층에서 0.520∼0.980, 아교목층 0.718∼1.133, 관목층 0.919∼1.201의 범위에 있었으며, 균재도와 우점도는 각각 교목층에서 평균 0.730, 0.270, 아교목층에서 0.722, 0.278, 관목층에서 0.847, 0.153로 조사지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earson의 종간 상관관계에서 대흥란은 가지청사초, 옥녀꽃대 계요등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마와는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Spearman의 순위상관에서 대흥란은 산족제비고사리, 둥근털제비꽃, 그늘사초, 우산나물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mbidium macrorrhizum habitats in Nozasan (Mt.) of Geoje-city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ield investigations including site characteristics,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were conducted in 24 sites from Jun. to Aug. 2020. The altitude of C. macrorrhizum habitats ranged from 84 m to 137 m with slopes of 2∼12o. The rock exposure rate was on average 16.2%, and it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9% to 22% for each site. Effective soil depth and litter depth were on average 19.3 cm and 10.9 cm, respectively. Rock exposure rate, effective soil depth, and litter depth were relatively high in sites 1 and 6, where the number of C. macrorrhizum was large. In soil environments, it was found out that average soil moisture content was 25.9% (24.2 to 27.9%); 5.76 (5.52 to 5.99) for soil pH; 6.86% (5.25 to 8.48%) for soil organic matter; 0.34% (0.28 to 0.42%) for total N content; 5.52 ppm (3.0 to 10.8 ppm) for available phosphorous, and 16.9 cmol+/kg (15.2to18.9cmol+/kg) for CEC. Exchangeable cations were decreased in order of Mg2+>K+>Ca2+>Na+, which was different from general results decreasing in order of Ca2+>Mg2+>K+>Na+ in forest soils. The dominant species of site 1 were Pinus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and Sorbus alnifolia at the subtree layer, Viburnum erosum at the shrub layer,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 2 were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E. japonica at the subtree and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 3 was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 japonica at the sub-tree layer, Callicarpa japonica at the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s 4, 5 and 6 were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 japonicus and L. erythrocarpa at the sub-tree layer, with Callicarpa japonica, Lindera erythrocarpa and Zanthoxylum piperitum at the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dex ranged 0.520 (site 5)∼0.980(site 1) at the tree layer, 0.718 (site 3)∼1.133 (site 6) at the sub-tree layer and 0.919 (site 5)∼1.201 (site 6) at the shrub layer. Evenness and dominance were on average 0.730 and 0.270 at the tree layer, 0.722 and 0.278 at the sub-tree layer, and 0.847 and 0.153 at the shrub layer, which illustr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udy sites. In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 macrorrhizum had positive association with Carex polyschoena, Chloranthus fortunei and Paederia scandens but negative association with Discorea batatas. C.macrorrhizum had negative association with Dryopteris bissetiana, Viola collina, Carex lanceolata, and Syneilesis palmata in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hich identifi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 macrorrhizum habitats,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 macrorrhizum.

      • 웨이블렛 기반 변화탐지 기법에 관한 연구

        정명희 ( Myunghee J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현재 인공위성 영상은 지구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매우 효율적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표에 대한 변화탐지는 원격탐사영상으로부터 지표변화를 찾아내 정량화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웨이블렛을 이용한 텍스쳐 분석의 효율성이 연구되었다. 분석된 영상은 0.6m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 지진 전후로 하여 지진피해 지역을 탐지하기 위해 영상에서 관찰되는 풍부한 텍스쳐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텍스쳐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GLCM이 이용되었는데 직접적인 GLCM의 적용보다는 웨이블렛변환 후 GLCM의 적용이 텍스쳐 특징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임이 검사되었다. 이러한 웨이블렛 텍스쳐 특징 추출 후 상관관계에 기반한 변화탐지 기법을 적용하면 피해지역을 매핑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