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요로감염증과 연관된 방광요관역류 이외의 선천성 요로계 이상에 관한 고찰

        정소희,김정심,김현정,이미나,엄미령,진동규,신화숙,Chung So-Hee,Kim Jung-Sim,Kim Hyun-Jung,Lee Mi-Na,Uhm Mee-Ryung,Jin Dong-Kyu,Shin Hwa-Sook 대한소아신장학회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2

        목적 : 요로감염이 있을 경우 방광요관역류를 포함한 선천성 요로계 이상을 25-55%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중 방광요관역류는 8-52%이나 이러한 역류성 병변이 일차성 역류인지,선천성 기형과 동반되는 이차성 역류인지 구별하기 어렵고 역류 자체에 의해 기존의 선천성 병변은 무시되기 쉽다. 이에 저자들은 방광요관역류 여부와 관계없이 선천성 요로계 이상이 요로감염과 동반된 경우에 대하여 성별 연령별 빈도, 선천성 요로계 이상의 종류 및 방광요관역류와의 관련성 여부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요로감염증으로 입원치료받은 환아로 신초음파검사 단독 또는 초음파검사 및 배뇨중 요도조영술검사(voiding cystourethrography)를 모두 시행하여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던 65례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59례에서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고 배뇨중 방광요도조영술은 51례에서, $^{99m}Tc-DMSA$ scan은 45례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 1) 방광요관역류 여부와 관계없이 선천성 요로계 이상이 요로감염과 동반된 경우는 요로감염환아 65례 중 9례(13.8%)로 남아 7명 여아 2명이었다. 2) 연령별 분포를 보면 1세 미만이 1명, 1-2세 5명, 3-5세 1명, 5세 이상 2명이었다. 3) 선천성 요로계 이상의 종류는 각각 양측이소성신, 방광요관이행부폐쇄, 다낭신, 방광신우이행 부협착, 방광신우이행부폐쇄 및 수신증, 후부요도판막, 방광격막, 요막관잔유물, hutch diverticula 등이었다. 4) 역류 이외의 선천성 요로계 이상 9례 중 배뇨중 방광요도조영술은 8례에서 시행되었고 이 중 4례에서 방광요관역류가 발견되었다. 5) 요배양 검사에서는 E. coli가 3례(33.4%)에서 동정되어 가장 많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선천성 요로계 이상을 방광요관역류 여부와 관계없이 고찰한 것으로 13.8%에서 관찰되었다. 연구 대상의 예가 적어서 그 결과를 단정짓기는 어려우나, 다른 요로계 기형도 적지않게 동반되는 것으로 관찰되는바 요로감염증과 연관된 역류 이외의 다른 기형의 중요성도 간과되어서는 안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urinary tract infection(UTI) in infants and children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vesicoureteral reflux(VUR). However, the publishied papers dealing with congenital anomalies associated with UT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UR only. The aim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type, incidence and spectrum of urologic anomalies associated with UTI. Methods : Medical records of clinical, bacteriologic and radiologic study were assessed retrospectively in 65 infants or children with documented UTI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Seoul Hospital from March 1996 to February 1998. Results : Spectrum of anomalies were associated with UTI as follows: VUR(n=23), both ectopic kidney(n=1), ureterovesical junction(UVJ) obstruction(n=1), multicystic dysplastic kidney(n=1), ureteropelvic junction(UPJ) obstruction with hydronephrosis(n=1), hutch diverticulum(n=1), UPJ stenosis(n=1), posterior urethral valve(n=1), urachal remnant(n=1) and bladder diverticula(n=1). Congenital urinary anomalies other than VUR were detected in 9 children among 65 patients with UTI(13.8%). 4 children among 9 congenital urinary anomalies other than VUR were combined with VUR. Sex distribution with congenital urinary anomalies other than VUR was more prevalent in male than female (7 males : 2 females). Age distribution at the time of UTI was less than 5 years in most patient (under 1 year in 1 patient, 1-2 year in 5 patients, 3-5 year in 1 patient, and above 5 year in 2 patients). And age distribution at the time of UTl associated with VUR was less than 5 years in most patient (under 1 year in 6 patients, 1-2 year in 8 patients, 3-5 year in 5 patients, and above 5 year in 4 patients), too Conclusion : Because congenital urinary anomalies other than VUR are seen in as high as 13.8% of patients, more careful evaluation of all possible congenital urinary anomalies as well as VUR is mandatory in pediatric patient with UTI.

      • KCI등재후보

        Menkes 병의 뇌 자기공명 영상 및 자기공명 혈관 조영술의 소견

        정소희(So Hee Chung),이문향(Mun Hyang Le),윤혜경(hye Kyung Yoon),김보경(BoKyung Kim),정희정(Hee Jung Chu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1

        저자들은 심한 발달 저하 및 발작을 주소로 방문한 8개월 남아에서 특징적인 머리카락, 혈액, 소견 등을 통해 드문 질환으로 알려진 Menkes 병을 진단하였고 또한 Menkes 병의 특징적인 뇌 자기공명 및 자기공명 뇌혈관 조영술의 소견을 보고하는 바이다. 자기공명 뇌혈관 조영술은 이 병이 의심되는 환아에서 조기 진단을 내릴 수 있는데 도움이 될뿐만아니라 추적 검사시에도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Menkes disease is an X-linked recessively inherited neurodiegenerative disorder of copper metabolism leading to death in early childhood. This disease is characterized by low serum, liver and brain Cu levels, whereas the Cu content in nearly all other organs is increased. the main clinical features are irregular kinky hair, characteristic face, progressive degenera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bone changes, arterial rupture and thrombosis, and instability of temperatur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Menkes disease in a eight months old male patient, who manifested by seizure, developmental delay, hypotonia, characteristic hair and face along with low lwvels of serum copper and ceruloplasmin. We report the characteristic findings of cranial MRI and MR angiography in this Menke's patient. I n cranial MRI, he showed progressive brain atrophy with subdural hemorrhage and effusion. MR angio-graphy revealed tortuosity of vessels clearly obviating necessity of more invasive conventional arteriography in diagnosis of this disease. This study suggested that cranial MRI and especially MR angiography might be helpful in making early diagnosis of this disease.

      • KCI등재후보

        서양음악형식: 역사적 발전과정을 통한 이론적 조망

        정소희 ( So Hee Chung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7 이화음악논집 Vol.11 No.1

        새로운 음악의 창작은 서양음악사에서 그 작곡 원리를 밝히려는 시도 즉, 분석이란 작업을 동반해 왔다. ``음악 분석``이란 음악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적 요소들의 총체적 관계에 대한 해석이라 부연할 수 있다. 음악 분석론은 19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독자적인 학문으로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중세 시대에서도 이미 음악 분석이 음악 연구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인식되고 있긴 했지만, 음악을 분석적으로 보고자 하는 시도는 1750년을 전후로 시작되었으며, 독자적 분야로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부터 이다. 현재까지 소개되어진 다양한 분석 이론들 중에서도 특별히 ``형식 분석``은 특정한 한가지 음악 요소를 다룬 음악 분석과는 달리 작품 전체의 구조적 조직을 총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중요성을 지닌 음악 형식 분석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그 새로운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기존의 모든 음악 형식들을 조사한 후 다양한 음악형식들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따른 분류와 함께 서로 다른 형식의 개념적 차이에 따른 구분을 통해 그 발전 계통을 연구하였다. 즉, 서양 음악사에서 생성된 음악 형식들을 그 형식의 계보 즉, 생성-발전-소멸의 과정과 함께 그 유사성에 따른 개념적 차이와 발전단계 및 이론적 근거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음악 형식``은 음악 이론에 의한 진행의 결과로서 초래된 산물로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여러 개의 형식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 근원은 같은 것임이 증명되었다. 즉, 이와 같은 이유로 3부분 형식이 선법 및 조성 음악을 통해 지배적 형식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논의되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음악 형식의 생성-발전-소멸의 역사를 이끌어 가고, 궁극적으로 ``음악 형식``을 결정하는 가장 근원적이고도 핵심이 되는 요소는 ``이론`` 체계임이 논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에 의해, 1900년대 이후 새로운 이론체계 하에서는 고전, 낭만 시대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소나타와 같은 대표적 형식은 아직 생성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지만, 서양 음악이 계속 존재하는 한 다성 음악 (polyphony)의 논리적 원칙은 공존하기 때문에 새로운 이론 하에서 새로운 형식이 창출 될 것임을 확신하는 바이다.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Western music, the creation of new music always derived from an effort to find a fundamental of the composition, the analysis. The theory of analysis began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curricula from the 19th century. From the Medieval period, the musical analysis was already considered as an assisting tool for academic studies but not until 1750s, the analytical approach was widely accepted. Among many analytical theories, the formal analysis is counted as the most important one, which deals with over all aspects of music rather than a fragment of the entire work. This thesis is focusing to the development of formal analysis and its new possibility through following processes: 1) all existing musical form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currently available published materials, 2) the list of different forms is completed by studying every form ever created, 3) researched on the necessity of a theory for origins, evolutions and disappearance of musical forms. During this research, it has been proved that the theory is a leading factor for musical form`s creation, evolution and disappearance. The theory also is the core of deciding the type of a musical form. Among many theories, the most important musical factor to decide a form is scale system. This system evolved from modal to tonal and to atonal (12-tone music included), dominated and manipulated the development of a musical structure from polyphony to homophony and back to polyphony. One can conclude that the musical form was born out of structural boundaries of a scale system. For example, a representative form of a tonal theory is the sonata form. The reason that other similar forms such as rondo and fugue also has three parts like sonata lies on the fact that the progression of tonic-dominant-tonic is the main organization of a scale. After 1900`s, the new scale system failed to create a major form like Sonata. However, it is feasible that a new form would be created out of a new theory because the logical principles of polyphony will coexist with the Western music.

      • KCI등재후보

        뇌세포 이주장애에 의한 소아 간질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 전략

        은소희(So Hee Eun),정소희(So Hee Chung),이문향(Munhyang Lee),주찬웅(Chan-Uhng Joo),조수철(Soo-Chul Cho),김선준(Sunjun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8 No.2

        배경 : 뇌 영상기법의 발달과 간질의 수술적 처치가 이루어지면서 신경세포의 형태적 이상이나 중추신경계의 기저질환이 알려지고 있다. NMD는 신경세포 이주 과정 중 뇌의 허혈, 저체온, 특정약물 등으로 인해 초래되는 질환군이다. NMD의 경우에는 대부분 뇌성마비, 정신지체, 발달지연, 간질 등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간질은 77-90%의 동반률을 보이며, 대부분은 난치성 간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는 대부분 간질 수술을 받은 성인 연령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소아 연령에서 진단된 환자의 정확한 간질의 경과 및 예후를 알 수 없었다. 이에 소아 연령의 NMD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병변 분류, 임상특징, 뇌파소견 치료 및 경과 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 1993년 3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과 삼성의료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MRI 또는 간질 수술 후 조직학적으로 NMD로 확진 된 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록지를 통한 후향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57명 중 피질이형성증이 26례로 가장 많았고, 활택뇌증 9례, 다소뇌회증 7례, 분열뇌증 6례, 일측성 거대 뇌증 4례, 이중 피질 2례 등이었다. 가장 흔한 임상증상은 간질발작으로 54례(94.7%)에서 있었고, 전반적인 발달지연 19례(33.3 %)였다. 간질발작 시기가 가장 빨랐던 경우는 활택뇌증 환아로 생후 4일째에 발작이 시작되었으며, 활택뇌증, 분열뇌증, 일측성 거대뇌증엔서 비교적 조기에 간질이 시작되었다. 뇌파소견상 발작파가 57례 중 51례(89.5%)에서 나타났고, 비정상 비발작파는 35례(61.4%)에서 나타났으나 정상적인 소견을 보인 경우도 있었다. 항경련제에 대한 간질발작 조절 효과는 약물요법으로만 경련을 조절한 경우는 41례(75.9%)이며, 반응이 좋은 경우가 31례(57.4%)이었다. 수술적 치료를 실시한 경우는 전체 중 14례였고, 피질이형성증에서 10례로 가장 많이 실시하였다. 병변의 완전절제를 실시한 경우에는 발작 없이 관찰 중이나, 부분절제를 실시한 경우에 지속적인 발작의 양상을 보였다. 결론 : NMD의 임상소견 중 간질발작이 가장 흔하였고 기타 다른 신경증상은 활택뇌증에서 좀 더 흔하게 보였지만 특징적인 소견은 아니었다. NMD 환자의 발작이 난치성 간질을 보이는 확률이 높지만 본 연구에서는 57.4%에서 약물치료에 간질이 조절되었다. NMD 진단 후 조기 수술을 시행하기 보다는 합리적이고 적극적인 약물요법을 충분히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e the clinical features, natural histories, and results of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of NMD i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during childhood.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of 57 patients with NMD who were newly diagnosed by MRI or pathologically in epilepsy children since March 1993 to June 2000. Results: These 57 patients with NMD consisted of 26 with cortical dysplasia, 9 with lissencephaly, 7 with polymicrogyria, 6 with schizencephaly, 4 with hemimegalencephaly, 3 with heterotopias, and 2 with double cortex. Clinically, 94.7% of these patients showed seizures, 33..3% with developmental delay, 21.1% mental retardation, 15.8% cerebral palsy, and 7.0%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ir response to antiepileptic drugs was good to 31 patients(75.6%), moderate to 3(7.3%), and poor to 7(17.1%). Twelve patients were completely seizure-free after receiving medication for at least 15 months. Seventeen patients tolerated with monotherapy with antiepileptic drugs. Fourteen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The results of operatio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mplete removal of epileptic focus. Six patients who underwent complete resection were seizure-free after operation. On the other hand, Eight patients who had incomplete resection of the epileptic focus showed poor outcome. Conclusion: Most of previous reports suggested that NMD is associated with refractory to medical treatments, and early surgical operation has been recommended. Our study demonstrates remarkably good responses of NMD patients with medical treatment only.

      • KCI등재후보

        혈변을 동반한 용혈성 요독 증후군 5례

        김정심,박은정,정소희,고시환,엄미령,박문수,이흥재,진동규,Kim Jung-Sim,Park Eun-Jung,Chung So-Hee,Ko See-Hwan,Uhm Mee-Ryung,Park Moon-Su,Lee Heung-Jea,Jin Dong-Kyu 대한소아신장학회 199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 No.2

        목적 : 용혈성 요독 증후군은 서구에서 영아 및 소아의 가장 흔한 급성 신부전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발생 빈도가 적다. 이 질환은 아시아 및 일본지역에서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었으나 최근 몇년 동안 출혈성 설사를 동반한 용혈성 요독 증후군이 급속히 증가 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본원에서 경험한 5례를 대상으로 임상적인 특성과 경과를 관찰 하였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삼성 서울 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용혈성 요독 증후군으로 진단 받고 치료한 5례의 소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병록 검토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발병 당시 연령은 3세 이하가 3례, 9세이상이 2례였다. 2) 계절적 분포는 모든 예에서 여름과 가을에 발생하였고, 전구 증상이 있기전에 여행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3례, 오염된 지하수나 약수를 마신 경력이 있는 경우가 4례 였다. 3) 임상 증상으로는 전신 부종 5례, 핍뇨 4례, 무뇨 2례, 육안적 혈뇨 1례였다. 소화기계 증상은 설사가 전예에서 있었고 1례에서 급성 충수염으로 오인 하여 개복 수술 받았다. 4) 혈액 및 배변 배양 검사에서 동정된 균은 없었다. 5) 무뇨증이 2주일 이상 지속된 2례에서 경피적 신생검이 시행 되었으며, 1례는 주로 사구체를 침범한 혈전성 미세 혈관증을 보였고, 1례는 신부전으로 이행된 국소적 신피질 괴사와 사구체 경화가 있는 만성 괴사성 사구체 신증 소견을 보였다. 6) 임상적 예후는 완전 회복된 경우가 4례, 고혈압이 동반된 만성 신부전이 1례였고, 이 1례에서 시행한 복부 단층 촬영상 전형적인 신피질 괴사 소견과 담석이 관찰 되었다. 결론 : 유행성이면서 예후가 좋은 전형적인 용혈성 요독 증후군은 주로 서구에서 많이 보고되어 왔으나, 최근 몇년 동안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급속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국내에서도 출혈성 설사를 동반한 용혈성 요독 증후에 대한 면밀한 임상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Hemolytic uremic syndrome(HUS), known as a most common cause of childhood renal failure in western countries, has been a relatively rare disease in Korea. Although the reported cases were not related to any specific cause in Korea, there was an outbreak of HUS with bloody diarrhea in Japan last year. We report here that we experienced the several typical HUS last year. Patients : From Jan.1996 to Dec. 1996, five patients were diagnosed as HUS at Samsung Seoul Medical Center, Dept. Pediatrics. Results : 1) The age of onset was below 3 years in 3 cases and above 9 years in 2 cases. 2) All the cases happened between summer and autumn. Three patients had domestic travel and 4 patients drank well or spring water before the symptoms. 3) The clinical manifestation was generalized edema, oliguria, anuria and hematuria. The bloody diarrhea were present in 5 cases and 1 patient had operation with the impression of appendicitis. 4) There was no bacteria which was isolated from the blood or stool samples. 5) Renal biopsies were performed in 2 cases, because of protracted clinical course. One showed microthrombotic angiopathy and the other cortical necrosis with necrotizing glomeruli. 6) Complete recovery was the outcome in 4 cases and one case progressed to chronic renal failure. Conclusion : In conclusion, typical HUS associated with bloody diarrhea, epidemic and good prognosis can be found in Korea and careful surveillance of the pre-clinical cases will be necessary.

      • 선천성 후두열 1 례

        손진아(Jin Ah Son),정소희(So Hee Jeong),김정희(Jeong Hee Kim),강이석(I Seok Kang),이상일(Sang Il Lee),백정환(Chung Hwan Baek)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1997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7 No.1

        Congenital laryngeal cleft is a rare anomaly, which can cause serious problems of airway and repeated aspiration pneumonia. It is due to failure of fusion of the posterior cricoid cartilage lamina. Dysphagia with aspiration of food is commonly seen with resultant bouts of pneumonia. Detection of an unsuspected minor cleft may be difficult, but the pediatrician should suspect the possibility of cleft from the clinical features. This paper includes. A detailed case report of one patient with congenital laryngeal cleft and the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난치성 소아간질환자의 임상양상과 간질수술의 효과

        이호영(Ho Young Lee),천정미(Jeong Mi Cheon),정소희(So Hee Chung),이문향(Munhyang Lee),서대원(Seo Dae Won),홍승봉(Seung Bong Hong),홍승철(Seung Chul Hong),윤혜경(Hye Kyung Yoon)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 적절한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간질에서 간질 수술을 받은 소아 간질환자의 임상양상과 간질수술의 성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5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15세 이하의 간질환자로 적극적인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발작을 하는 환자 중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2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 27명의 환자 중 남자는 17명이었으며 여자는 10명이었다. 처음 발작이 발생한 나이는 1개월에서 15년(median : 6.0년), 수술을 받은 나이는 1년 7개월에서 15년 7개월(median : 11.0년), 수술 전 간질의 이환 기간은 3개월에서 13년 6개월(median : 3.0년)이었으며, 추적관찰기간은 14개월에서 7년 2개월이었다. 발작양상은 복합 부분발작이 25명(92.6%)으로 가장 많았고, 발작빈도는 1일 1회 이상인 경우가 12명(44.4%)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술 직전 복용하던 항경련제의 수는 3가지 이상의 항경련제를 복용한 환자가 전체 환자의 48.1%이었다. 비디오 뇌파검사결과 발작간 뇌파상 발작파를 보인 24명 중 18명(66.7%)이 한쪽으로 편측화 되었고, 발작시 뇌파상 발작파를 보인 26명 중 22명(81.5%)에서 한쪽으로 편측화 되었다. 뇌 자기공명영상상 이상소견을 보인 23명 중 국소적 병변을 보인 경우가 22명이었다. 수술 후 병리 소견은 피질이형성증이 10명으로 가장 많았다. 간질수술 후 발작감소는 class I이 21명(77.8%), class II가 1명(3.7%)이었으며, 13명의 측두엽 간질환자 중 12명(92.3%)이 class I인 반면, 14명의 측두엽외 간질환자 중에서는 9명(64.3%)이 class I이었다. 측두엽 간질환자 중 국소적 병변이 있는 10명의 환자에서는 모든 환자(100%)가 class I인 반면, 측두엽 외 간질환자 중 국소적 병변이 있는 12명 중 9명(75%)이 class I이었고, 병변을 보이지 않는 환자는 모두 class III와 class IV이었다. 뇌 자기공명영상상 국소적 병변이 있으면서 수술 전 검사결과가 일치하는 11명 중 10명(90.9%)이 class I이었고, 국소적 병변이 없으면서 수술 전 검사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4명 중 1명은 class I, 다른 1명은 class III, 나머지 2명은 class IV이었다. 영아연축의 병력이 있는 2명의 환자 모두 수술 후 발작소실을 보였으며, 7명의 종양 환자는 수술 후 모두 발작소실을 보였다. 결론 : 난치성 소아 간질환자에서 간질수술 성적은 매우 양호하였으며 간질수술 대상자를 선택할 시 임상증상 뿐만 아니라 수술 전 검사를 자세히 함으로써 간질수술의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cognitive and psychosocial morbidity of medically refractory epilepsy is considerable. Epilepsy surgery can play a important role in these patients.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 surgical outcome of our patients with medically refractory epilepsy. Methods : We studied 27 patients under 15 years old who had epilepsy surgery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March 1995 and December 2001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median age at first unprovoked seizure was 6 years, the median age at surgery was 11.02 years and duration of follow-up was 14 months to 7 years 2 months. Complex partial seizure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s. Interictal and ictal discharges were lateralized in 66.7% and 81.5%, respectively. MRI showed abnormal findings in 23 patients and the cortical dysplasia was the most common pathologic finding. As per surgical outcomes, 77.8% of the patients became seizure free. Among patients with temporal lobe epilepsy(TLE), seizure free rate was 92.3% whereas patients with extratemporal lobe epilepsy(ETLE) showed 64.3% seizure free rate. All patients with TLE with focal lesions became seizure free. Patients with focal lesions which were concordant with findings of EEG, SPECT, and PET showed excellent surgical outcomes. However, patients with no focal lesion in MRI and discordant preoperative examinations showed poor outcom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epilepsy surgery in our patients were quite satisfactory. Good surgical outcome can be expected when the decision of surgery is made based on a good correlation among clinical, neuroradiological, and other preoperative exam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