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수도권 고교생들의 온정적 성차별주의와 기사도 정신 -‘의존 지향적 도움’과 ‘보호를 명분으로 한 제지’의 수용도를 중심으로-
이미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7 시민교육연구 Vol.49 No.4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benevolent sexism (BS) on their cross-gender behaviour typ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wo issues. Firstly, does BS affect cross-gender helping style? Secondly, does BS predict respondents to accept male's protectively justified prohibitions against female's behaviour? The present research found that BS tends to increase male students to offer female students dependency-oriented help, rather than autonomy-oriented help or no help. The endorsement of BS predicted female students to prefer dependency-oriented help rather than autonomy coping, too. In addition, the higher the respondents support BS, the more they agreed with the male's protectively justified restrictions on female's experience regarding their job or everyday life, regardless of the dangerous degree of the situation. The same trend appeared not only in the romantic context but also in the occupational context.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d that what BS offers high school girls is not autonomous coping but dependency-oriented help. When BS says men protect women, what it meant is that women accept men's protectively justified prohibitions. Therefore students should be taught girls should conquer BS' offering chivalry-gentlemen should protect as well as help women- for their own self-guided independent challenging life. 이 연구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573명을 대상으로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이성 간 행동 양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1)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남녀학생들이 의존 지향적 도움을 주고받는데 영향을 미치는가? 2)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서 ~을 하지 말게 해야 한다.’라는 식의 보호를 명분으로 한 제지를 더 수용하게 만드는가? 라는 두 가지 연구 이슈를 설정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들의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높을수록, 자율 지향적 도움이나 방관보다는 의존 지향적 도움을 (남학생들은) 주고 (여학생들은) 받으려는 경향이 높았다. 또한 응답자들의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높을수록, 보호적 정당화로 여성에게 직무와 일상 경험의 폭을 제한하는데 더 찬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상황이 위험하건 아니건, 로맨틱 맥락이건 직업적 맥락이건 동일하게 나타났다. 발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학생들에게 주는 도움이 자율 지향적 도움이 아니라 의존 지향적 도움이며, 보호라는 것이 보호적 정당화라는 명분하에 여성의 삶의 반경을 줄이는 제재임이 드러났다. 사회과는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약한 여성을 돕고 보호한다.’는 기사도 정신이라는 미명 하에, 여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이고 독립적‧도전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방해를 한다.”는 것을 우리 청소년들에게 알려야 할 것이다.
이미나 국제한인문학회 2019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25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을 총련계 작가와 총련을 탈퇴한 작가, 민단계 작가와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작가들의 시적 특성을 고찰하여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총련계 시문학의 주제의식을 민족교육의 중요성과 ‘조국’ 예찬과 통일 지향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민단계와 그 외 시인들의 시세계를 고찰하면서 ‘재일’의 현실과 정체성의 혼란과 근원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당시 재일 동포들에게 빼앗긴 언어와 문화, 역사를 되찾아 민족성을 회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으며, 모국어를 모르는 자녀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재일 동포가 빼앗긴 문화와 민족적 자긍심을 회복하고 ‘조국’과의 연계의식을 보존하기 위해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은 정체성을 획득하는 중요한 일이었기에, 총련계 시인은 민족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민족교육과 함께 ‘조국’에 대한 예찬이 중요한 주제로 나타났다. 총련계 시문학이 북한을 지향하는 것은 당시 북한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민단계 시인과 그 외 시인들의 작품은 이방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재일’의 현실과 근원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출하고 있으며, 총련계 시인들에 비해 고단하고 힘겨운 재일동포들의 현실을 보다 핍진하게 묘사하고 있다. 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들의 안타까운 현실과 고물을 팔고 사며 어렵게 살아가는 ‘재일’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총련계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주된 주제로 나타나고 있지만, 남과 북 어느 쪽으로도 편향되지 않은 근원적 고향을 향한 그리움을 그리고 있다.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재일 한민족 문학 연구에 있어 배제되어 왔던 시문학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일은 향후 연구의 종합적인 토대를 마련하여 재일 한민족 문학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일조하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이미나 광신대학교 출판부 2023 光神論壇 Vol.33 No.0
This study is a service design study for 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Immigrant women face acculturation issues in Korean society as they enter and live in Korea. Immigrant women need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the needs and difficultie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so we attempt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m from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using a service design method. The service design process was centered on the discovery, definition, development, and delivery stages using the double diamond model. The service design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suggestions, such as identifying needs, shadowing, personas, participant interviews, and service blueprints, with migrant women as service participants at the center. It is a method of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and solving problems centered on participants through the service design proces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ree immigrant women (one from Vietnam, one from the Philippines, and one from China) centered around the family center in District D. The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to 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was conducte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over a total of 10 session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future research on immigrant women's cultural adaptation and service design, as well as immigration policy.
이미나 춘원연구학회 2018 춘원연구학보 Vol.0 No.13
1930년대 농촌소설의 계보에 놓인 이광수의 『흙』은 농촌계몽운동과 애정의 삼각관계라는 두 축의 서사로 전개된다. 가난한 농촌 출신의 고학생 ‘허숭’이 농촌사업을 통해 농민을 계몽하고자 하는 자력갱생의 의지를 보여주면서 ‘정선’과의 결혼으로 극적인 신분상승을 이루는 것이 『흙』의 핵심 서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작품론에 머물고 있으며, 소설 『흙』의 영화화에대해서는 단편적인 언급에 그치고 있어 본격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광수 소설 중에서도 가장 많이 영화화되었던 소설 『흙』의 영화화 양상을고찰하였다. 이광수가 한국영화계에 계속해서 호명되었던 연유는 시대적․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할 때 그 의미가 더욱 분명해진다. 1950년 중반 이후부터 이광수의 소설은 ‘문예영화’의 원작으로 각광받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1960년대를 거쳐 1970년대까지 이어진다. 식민지시기를 제외하고라도 근 30년 동안 이광수의 소설은 계속해서 초청된 것이다. 여기에는 대중에게 끊임없이 사랑 받는 이광수의 작가적 입지와 전집 발간 등 그의 문학이 집대성되는 당시 출판 시장과의 역학 관계가 놓여있다. 또한 이광수의 납북과 민족 작가로의 복권, 국가가 국책으로 내세운 ‘민족계몽’ 사상과 ‘문예영화’라는 문화적 담론 등이 여러 가지 요인으로 복잡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광수의 소설 『흙』은 당시 문화적 담론과 상호작용하면서 시대적 자장 안에서 일정한 차이를 갖으며 전유되는 양상을 보인다. 1960년의 <흙>은 전후 ‘새로운 국가의정립’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흥하고자 원작 소설을 충실히 옮기는 데 주력한 것으로형상화되며, 1967년의 <흙>은 국가의 개입으로 형성된 ‘문예영화’라는 이데올로기적담론의 자장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한국영화 암흑기에 제작된 1978년의 <흙>은 국책을 내세워 이중검열을 피하고, 대중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선정성을 강조하면서원작과는 다소 거리가 멀어진다. 이처럼 이광수 소설 『흙』과 영화 <흙>의 매체전이양상과 서사의 대중적 변형은 시대적으로 많은 함의를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온정적 성차별주의와 부성적 기사도가 여고생들의 행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 - 이상적 배우자상과 외모관리 행동을 중심으로 -
이미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4
The present study (n = 525) explores the effects of high school girls’ benevolent sexism (BS) and paternalistic chivalry on their ideal type of romantic partner and their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Regarding these issues, this study finds that (1) endorsement of benevolent sexist beliefs (BS) increases paternalistic chivalry preferences. (2) Respondents high in BS make greater emphasis on male partners’ status/resources. (3) Paternalistic chivalry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of BS and preference on romantic partners’ status/resources. (4) Paternalistic chivalry is a partial mediating variable between BS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bad romance recommended by BS and paternalistic chivalry”, based upon its finding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oints out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s who are high in BS or who seek for paternalistic chivalry. They may pursue financial security and high status indirectly through their future husband rather than directly through their own achievements. If so, they will not be interested in their own potentially high-status career and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s but in meeting a powerful partner instead. Female students won’t make efforts in enhancing their competence for occupying better social positions. They may invest time and money for appearance-enhancement in order to meet better romantic partner in terms of status/resources. This study discusses how their behaviors influence gender equality in society as well as their own lives and what should be taught by teachers of Social Studies to reduce these risks to female high school students. 이 연구는 고등학교 1, 2학년 여학생 525명을 대상으로 ‘온정적 성차별주의’와 ‘부성적 기사도(에 대한 로맨틱 판타지)’가 여고생들의 행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4개의 가설을 세웠다. 1) 응답 여고생들이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지지할수록, 부성적 기사도 정신을 선호할 것이다. 2) 응답 여고생들의 온정적 성차별주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배우자의 요건으로 ‘지위/자원’을 더 중시할 것이다. 3) 응답 여고생들의 기사도 정신 선호도는 BS지지도와 ‘(배우자 요건으로서의) 지위/자원 선호도’의 매개변인이다. 4) 응답여고생들의 ‘기사도 선호도’는 온정적 성차별주의 지지도와 외모관리 정도의 매개변인이다. 설문지 조사에서 나온 데이터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네 개의 가설이 모두 통계적 유의도를 확보하였다. 발견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이 연구는 ‘사회가 조장하는 나쁜 로맨스’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온정적 성차별주의나 (로맨틱 판타지의 핵심을 이루는) 부성적 기사도에 빠진 여고생들은 자기-의존(self-reliance)적인 태도를 못 가지고 지위/자원이 많은 신랑에 의존하려는 것은 아닌지?; 그래서 학업이나 커리어 관리보다 외모관리에 치중하는 것은 아닐까?; 이것이 여고생 자신의 삶이나 사회 속 남녀불평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사회과는 여기서 무엇을 가르쳐야 되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국내 타일산업의 효율적인 디자인경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미나 한국도자학회 2007 한국도자학연구 Vol.4 No.1
Tile products have been actively manufactured in Korea since about 40 years ago. Until now, tiles produced in Korea have been imitated to the tiles, which were produced in Italy or Spain, and manufactured few years later than produced in Italy or Spain. Thus it is true that Korean tile products can not possek ss sufficient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in terms of quality, crafts, design, and cost. Especially, in the cases of high-value-added products represented by Porcelain-rustic, High-glossy, etc. it is very difficult to catch up the advanced countries in the area of tile industry from the supporting base to develop design. Even th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including China, which are also the followers in tile production, have been ahead of us in the area of tile industry. Presently various kinds of tile products have been manufactured in Korea. However, we have to import certain amount of high-costed tiles from foreign countries to meet the domestic demands because Korean tile products have less attraction to the domestic customers due to the lack of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un-modernized design. Nevertheless, it may be cautiously said that there are bright perspectives in the tile industry of Korea because most of raw materials can be supplied domestically and there are many promising talented designers. Therefore, to produce the upgraded tiles in quality, which shall meet the domestic demands, which require high-quality products, as well as shall be exported to the foreign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tile materials, production technology, and design suitable to the customers' taste should be undergone in the near future. In such demand, this paper can make people draw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design through the study of effective design management, which can follow up the future demand of domestic tile industry and deals with the solution to be able to provide the firm foundation to the domestic tile industry as the distinguished industry, which can face flexibly to such trend chang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ands. 타일이라는 제품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생산된 지 약 40여년이 되었다. 그동안 이태리나 스페인 등에서 만든 타일을 그저 몇 년 뒤쳐져서 모방하는데 안주함으로서 품질이나 기술, 디자인, 가격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타일 제품은 세계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포셀린러스틱(Porcelain-rustic), 하이그로시(High-glossy) 등으로 대표되는 고부가가치 제품은 타일분야 선진국에 비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지원 기반에서부터 따라가기 어려운 실정이며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의 많은 타일 후발국들도 이 타일 생산에 있어서 우리보다 훨씬 앞서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각종 타일 생산품이 제작 되고 있지만 산업시설의 미비와 디자인의 낙후로 인한 수요부진을 이유로 국내수요의 상당량을 외국의 고급품을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원료의 대부분을 국내에서 조달할 수 있고, 능력 있는 디자이너들이 잠재되어있는 우리나라의 제반여건을 살펴 볼 때 업계의 전망은 밝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점차 고급화 되어가고 있는 국내 타일 수요를 충족시키고 나아가서는 외국에도 수출 할 수 있는 우수한 타일을 생산하기 위하여 타일재료의 개발과 더불어 낙후된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디자인 개발이 시급한 당면과제로 생각 된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타일산업의 미래에 보다 유리하게 대처 할 수 있는 효율적 디자인 경영의 연구를 통해 보다 혁신적인 디자인의 개발을 유도해내고, 이를 기점으로 국내 타일산업이 변화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별화된 산업으로서의 기반을 확실히 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이다.
동아시아 냉전 질서 형성과 해방 직후 ‘공간’ 연구 -채만식의 「역로」와 허준의 「잔등」을 중심으로
이미나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냉전은 전후 국제 질서를 이르는 말로 정치적․경제적 발전의 경로가 서로 다른 글로벌한 양극 간의 충돌, 극단으로 분단된 세계의 세력 및 의지 다툼과 그 지배적 질서 체제를 의미한다. 동아시아 냉전 체제는 앞선 일본 제국주의와 그에 반한 움직임의 복합적 작용으로서 식민지 체제에 국제적 힘이 더해진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이 냉전체제는 전 세계에 압도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에서도 한반도는 지금까지도 냉전 문제가 가장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다. 한반도의 해방은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계기로 맞이한 것인 동시에 한국이 미국과 소련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된 역사적 사건이었고, 때문에 해방이 곧 남북 분단을 의미하게 되는 아주 특수한 양상이 만들어졌다. 냉전은 세계적 질서이기도 하지만, 민족국가에서 지역적으로 경험된 갈등이라는 점에서 그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경험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냉전 시대에 양극단 진영의 사회적 변화를 사회사․문화사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일은 남북한 질서의 전환이 어떠한 상관관계 속에서 재구성되는지 밝히는 일이 된다. 본 연구는 문화 지리적 공간이 냉전이 구축되는 공간 지표를 따라 물질적 토대인 ‘실제 공간’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역사적 맥락 안에 위치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냉전의 질서가 구체적인 장소에서 어떻게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는지, 해방 공간의 치열한 정치적․군사적 대결의 형태로 경험되었던 ‘일상생활의 정치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해방기 창작된 소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소설로 평가받는 허준의 「잔등」과 채만식의 「역로」는 모두 ‘여로’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해방 정국의 혼란한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해방 직후 한국은 미․소 양국의 분할점령 하에 냉전 체제를 구축하게 되었고, 이는 지리적 공간이 분할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허준과 채만식 작품의 ‘공간’은 해방 직후 미․소를 중심으로 구축된 냉전체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남한과 북한에서 맞이하는 ‘해방’의 현실이 그 ‘냉전’과 맞물려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주목을 요한다. 「잔등」과 「역로」는 소련과 미국이라는 거대 냉전 권력이 해방 직후 탈식민화 과정과 교차하는 접점의 공간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면서 남북으로 분할된 두 진영의 사회적 정체성과 동아시아 냉전의 초기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explore the actual and imaginary space of literature, to meticulously examine its interaction and the ways literary imagery is formed to reveal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 and to further interpret the meaning of “space” divided under the Cold War system during the period of liberation with a new perspective. It also observes at how literary and geographical space interacts with “real space,” a material foundation, while following the spatial indicator in which Cold War is established to examine it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By taking issue of the literary and geographical theory, the writing strives to newly interpret the literary space Korean novels. Heo-Jun's “The Faint Lamplight(Jandeung)” and Chae Mansik's “Passing Road (Yeongno)”, which are both acclaimed as the best novels written in the period of liberation, have the common structure of “Traveling Road” and also the common traits of realistically drawing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liberation. Heo-Jun's “The Faint Lamplight” depicts the traveling road of returning from Changchun in Manchuria to Seoul and Chae Mansik's “Passing Road” is set in the train space that starts from Seoul to the Jeolla provinces that pass through Daejeon. After the liberation, the structure of Cold War was established under the divisional occupation of America and Soviet Unionl, leading to the division of geographical space. The “space” of Heo-Jun and Chae Mansik's pieces directly reflects the Cold War structure established around the U.S. and the Soviet Union right after liberation, and the reality of “liberation” in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ws different aspects in line with the ‘Cold War’ which requires attention. By focusing on the ‘Cold War’ represented by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and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toward it, the reality of ‘Cold War’ which was extrapolated in the period of liberation in Korea will be explored and through literary and geographical ‘space’, the writing will examine the situational cause that led to the division of the territory from the 38th parallel. In addition, by focusing on that ‘Seoul’, which was the final destination of Heo-Jun ‘The Faint Lamplight’ was set as the starting point at Chae Mansik's “Passing Road”, the meaning that ‘Seoul’ held as the ‘connective site’ in Korean railways will be examined from the aspects of ‘placeness’ established through movement in ‘space’ represented in both works. This study will in earnest discuss the ‘space’ of Korean literature in Cold War perio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eocriticsism and holds significance as the contemplative procedures of space i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of Cold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