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레르기비염 인지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 개발

        최은혜 ( Eun Hye Choi ),강빈 ( Ben Kang ),이희영 ( Hee Young Lee ),강희숙 ( Hee Suk Kang ),김정희 ( Jeong Hee Kim ),임대현 ( Dae Hyun Lim ),손병관 ( Byong Kwan Son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3

        목적: 알레르기비염은 유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질환에 대한 교육 부족과 잘못된 정보로 인하여 질환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 지도에 근거한 효율적인 교육 도구 개발이 필요하나 현재 국내에는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부재하다. 이에 저자들은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지도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알레르기비염의 이론적 측면에 관한 문헌 및 전문가의 조언과 알레르기비염 교육 및 상담을 통한 환자 보호자들의 질문을 수집하여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문항은 알레르기비염에 관한 일반지식 증상 진단 및 환경관리 치료 4가지 영역으로 나누었다. 8회의 예비조사를 통해 60문항의 설문지를 만들었고 알레르기비염 환자 보호자 일반인으로 구성된 성인 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된 결과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내적 신뢰도가 0.67인 20문항의 인지도 측정 도구를 완성하였다. 문항의 설문 결과 알레르기비염의 정의 일반지식 증상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고 환경관리 중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관리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알레르기비염과 천식과의 연관성 정기적인 검사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는 낮았다. 유지치료 비강흡입식 스테로이드제 치료의 중요성 치료가 환자의 면역력 성장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인지도도 낮았다. 결론: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저자들이 개발한 도구는 알레르기비염에 관한 교육 효과를 증대시키는 자료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Despite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there are difficulties in early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due to lack of education and misunderstanding of the disease. Development of efficient education materials base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Methods: Questions related to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were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professional advice and inquiries from patients and caregivers. These items were categorized into 4 areas: (1) basic knowledge, (2) symptoms, (3) diagnosi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4) treatment. Through the eight preliminary survey on 38 adults, a questionnaire of 60 items was develop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Results : A tool for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was completed, which was composed of 20 items with an internal reliability of 0.67.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with 60 items, the areas of basic knowledge, symptom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llergic rhinitis showed high awareness. The item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necessity of regular checkup, awareness of maintenance treatment, importance of treatment with intranasal steroids, and the influence of treatment on immunity, growth and development of patient showed low awareness. Conclusion: A reliable tool wa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It may be useful in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to optimize its educational effect on allergic rhinitis

      • 소아에서 잡초류 알레르기 감작률의 증가와 알레르기성 잡초류의 연중 화분량과의 상관관계

        오재원 ( Jae Won Oh ),강임주 ( Im Ju Kang ),김성원 ( Sung Won Kim ),국명희 ( Myung Hee Kook ),김봉성 ( Bong Seong Kim ),신경수 ( Kyung Soo Shin ),한윤수 ( Youn Soo Hahn ),신수아,이하백 ( Ha Baik Lee ),손명현 ( Myung Hyun Shon ),정지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2

        목 적 : 잡초류의 대표적인 돼지풀이 최근 그 분포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아연령에서도 돼지풀에 대한 감작이 증가하게 되어 소아알레르기 환자에게 위험인자로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잡초류 특히, 돼지풀의 증가가 실제적으로 어떤 임상적인 의의가 있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국에 화분 분포를 조사하고 있는 지역(서울, 구리, 대구, 부산, 광주)을 대상으로 화분에 대한 알레르기 피부시험을 실시하여 소아연령(0-18세)에서 각 화분에 대한 감작률을 파악하고 그 지역의 연중 화분량을 조사하고 각 화분알레르겐에 대한 감작률을 조사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잡초류의 화분량과 이에 대한 알레르기 감작률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잡초류 화분은 돼지풀과 쑥의 화분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전국 평균의 최고치가 1997-2000년에는 89-128 grains/m3/day이었으나 2001-4년 275-302 grains/m3/day로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3년의 돼지풀에 대한 소아 감작률이 7.1%였는데 이는 성인 감작률(6.6%)과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소아연령에서의 매년 잡초류의 감작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1999년 4.4%, 2000년 7.1%, 2001년 7.4%) 결 론 : 소아에서 돼지풀에 대한 알레르기 감작률이 매년 증가되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돼지풀 등과 같은 잡초류 번식의 급증 뿐 아니라 교통량의 증가와 아파트 건축, 공장 등에 따른 공기오염이 돼지풀과 같은 식물의 번식에 증식 효과를 더 배가하게 되어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위해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allergic diseases have gradually increased in schools and among preschool aged childhood. Pollen amount of weeds also, especially ragweed, were increased. We evaluated the increased pollen count of weed was associated with the sensitization rate to weed in childhood. Methods : Airborne particles carrying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from eight stations nationwide(Seoul, Guri, Cheongju, Daegu, Kwangju, Busan, Kangneung, and Jeju) by using 7 days-Burkard sampler(Burkard Manufacturing Co Ltd, Hertfordshire, UK), for 7 years in South Korea(July 1, 1997-June 30, 2004). They were counted and recorded along with the weath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pediatric patients with allergic symptoms, who visit the pediatrics allergy clinics and capable of allerfy skin test among hospitals that have pollen collecting centers. Results : Airborne pollen has two peak seasons : May and September in Korea. There were the tree pollen seasons from the middle of February to late July, then followed the grasses and weed season from the middle of July to the end of October. Ragweed was one of the most common pollens of autumn in Korea. In skin prick tests, Mugwort was the highest sensitization rate(7.6 percent), followed by ragweed(7.1 percent), birch(6.1 percent), alder, grasses mix among the pollen extracts in Korean school aged children. Ragweed pollen counts have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0. In the same period, sensitization rates for airborne pollen, especially weeds, in Korean children have increased annually(1999 : 4.4 percent, 2000 : 7.1 percent, 2001 : 7.4 percent, 2002 : 8.5 percent, 2003 : 7.7 percent). Conclusion: Sensitization rates for outdoor airborne pollens have increased in Korean children. These findings might result from the changes of life styles and living environments in Kore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114-121]

      • 소아 호흡기질환에 대한 소아 기관지경술의 임상적 적용

        김광우(Kwang Woo K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0 No.3

        목 적 :소아 기관지경술은 소아 호흡기질환의 진단과 치료의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혀가고 있다. 그러나 소아 기관지경술의 적응중, 수기, 기관폐포세척술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은 없다. 저자는 1년간 110례의 소아 기관지경술을 실시하여 이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소아과 외래 및 입원 환자 중 기관지경술의 적응이 되는 110례(남아 78례, 여아 32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3.5㎜ 직경의 3C30 소아기관지경(올림푸스)과 경직성기관지경(울프)을 사용하여 시술하였다. 시술 30분전에 아트로핀을 전치지제로 투여하였고, 주 진정제로 midazolam(dormicum)을, fentany과 droperidol을 시술 중 통증감소를 목적으로 투여하였다. 시술하는 동안 상하기도 소견을 VTR로 필요한 만큼 녹화하여 참고 자료와 보호자에게 설명을 위하여 기록하였다. 필요한 경우 기관지폐포세척술(BAL)을 하였고 흡입된 세척액으로 세포수와 백분율을 검사하였고 원인 세균검출을 위한 배양을 하였다. 결 과 : 1) 총 110례중 남아는 78례(72%), 여아는 32례(28%)였으며 연령분포는 3-6세가 42례(37%), 1-3세가 21례(19%) 였고 중앙값은 4세였다. 2) 기관지경의 적응증은 만성기침 42례, 급성 중증폐렴 26례, 만성/계발성 폐침윤 10례, 비정상적 흥부사진을 동반한 폐결핵 10례, 천명(stridor) 6례, 비정상적 기도 방사선 소견 6례, 비정상적 목소리 5례, 지속적 천명(wheezing) 4례, 기도 이물이 의심된 경우 4례, 중증환자의 기도청소 1례, 인공기도의 유지 1례였다. 기관지경 소견으로는 기도 분비물(pus) 40례, 후두연화증 19례, 기도연화증 9례, 점막이상 5례, 기관지연화증 3례, 기도 부중 2례, 기관지폐쇄 2례, 기관지협착 1해, 비정상적 기관(tracheal bronchus 1례) 등이었으며, 정상 소견도 21례 있었다. 3) 기관지경술의 합병증으로는 소수에서 발열, 저산소증, 기도수축, 비 출혈을 경험하였다. 4) BAL의 세포분석은 49례에서 실시하였는데 33례(68%)에서 호중구가 우세하였으며, 대식세포가 주된 소견인 경우는 8례(16%), 호산구가 주된 소견인 경우는 2례(4%)였다. 5) BAL의 세균배양은 Stenotrephomonas maltophilia가 17례. Streptococcus mitis가 13례, alpha-hemolytic-Streptococcus 6례, Klebsiella pneumoniae 6례였으나 주로 오염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호흡기 감염의 주된 원인이 되는 Moraxella species나 H. influenza등의 균도 검출되었다. 6) 10례에서 AFB가 도말 검사에서 발견되었으나 이 중 단 1례에서 TB-PCR 양성을 보였고 2례에서는 mycobacterium other than tuberculosis(MOTT)의 PCR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것은 MOTT가 소아의 만성기침의 원인 감염균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다. 결 론 :소아 기관지경술은 소아 호흡기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큰 진보를 가져왔으나 기관지경에 의한 소견과 술기, BAL액의 분석에 대한 표준을 설립하기 위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Purpose : Pediatric bronchoscopy is becoming an essential too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diatric respiratory tract diseases. But there is no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indication, procedure and bronchoalveolar lavage. We experienced 110 cases over 1 year for pediatric bronchoscopy and reported datas for them. Method : We used Olympus 3C30 pediatric bronchoscope and Wolfs rigid bronchoscopes for the bronchoscopy. Atropine intravenous injections was given as an premedication before 30 minutes of the bronchoscopy procedure. Midazolam was used as a main sedative and fentanyl, and droperidol was used for reduction of pain during procedures. We recorded the findings using videotapes and discussed the findings later. BAL was done if it needed and made a cell count and cultured the BAL fluid for the identifying the causative organisms. Results : 1) Among 110 cases, male were 78(72%), female were 32(28%). Age distributions were 42(37%) in 3-6 year of age, 21(19%) in 1-3 year of age and the median is 4 year of age. 2) Indications are followings; Chronic cough 42, acute severe pneumonia 26, chronic/recurrent infiltrate 10, pulmonary TB with abnormal radiograph 10, stridor 6, abnormal airway radiograph 6, abnormal voices 5, persistent wheezing 4, foreign body suspected 3, pulmonary toilet with debilitated patient 1, management of artificial airway 1. Primary bronchoscopic findings were as followings; normal findings 21, pus 40, laryngomalacia 19, tracheomalacia 9, mucosa abnormality 5, vocal cord abnormality 5, bronchomalacia, 3, edema 2, obstruction, 2, constriction 1, tracheal bronchus 1 case. 3) Complications of bronchoscopy were fever, hypoxia, laryngospasm and epistaxis 4) Cell differential analysis of 49 cases, neutrophil predominance 33(68%), lymphocyte predominance 6(12%), macrophage predominance 8(16%), eosinophil predominance 2(4%) 5) Cultures for bacteriae were included as followings; Stenotrephomonas maltophilia 17, Streptococcus mitis 13, alpha-hemolytic-Streptococcus 6, Klebsiella pneumoniae 6 cases. But it seems to be contaminated. But some organisms, Moraxella species, H. influenza may be causative organisms of pulmonary infections 6) Ten AFB smear positive cases were discovered. Among them only one case was TB-PCR positive and the other nine cases were TB-PCR negative and two cases were PCR positive for mycobacterium other than tuberculosis(MOTT). It suggests that MOTT infections may be a role for pediatric chronic cough. Conclusion : Pediatric bronchoscopy made us far advanced improvement i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ediatric pulmonary diseases.

      • 알레르기비염과 천식 소아에서의 기관지확장제 반응 및 기관지과민성과의 연관성

        서동인 ( Dong In Suh ),이주경 ( Ju Kyung Lee ),이진희 ( Jin Hee Lee ),고영률 ( Young Yull Ko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1

        목적: 기도폐쇄와 그 가역성은 천식의 주요 특징으로서 기관지확장제 반응 검사로 평가한다. 소아의 경우 기관지확장제 반응에 대한 적절한 양성 기준치가 제시되지 않아 임상적 활용에 많은 제약이 있고, 기관지과민성과의 상관관계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 알레르기비염 환자에서도 하부기도의 기능장애가 관찰됨이 보고되고 있는데, 알레르기비염 소아의 기관지확장제 반응 및 기관지과민성과의 연관성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방법: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알레르기 클리닉에 내원한 천식 환아 170명, 알레르기비염 환아 80명, 정상 대조군 59명을 대상으로 메타콜린 기관지유발시험과 기관지확장제 반응 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상대조군의 95 백분위 수를 기준으로 기관지확장제 반응 양성 기준치(Cut-off value)를 설정하고 세 군의 기관지확장제 반응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천식 환아 및 알레르기비염 환아에서 각각 기관지확장제 반응과 메타콜린 Provocative concentration causing 20% fall in FEV1 (PC20) 그리고 기관지확장제 흡입 전 1초간 강제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 FEV1)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소아들의 기관지확장제 양성 기준치는 7.53%이었다. 천식환아와 알레르기비염 환아는 정상 대조군보다 높은 기관지확장제 반응을 나타내었다. 천식환아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 메타콜린 PC20, 기관지확장제 흡입 전 FEV1사이에 상호 연관성을 보였다. 알레르기비염 환아에서는 기관지확장제 반응과 기관지확장제 흡입 전 FEV1사이에 연관성이 관찰되었으나 기관지확장제 반응과 메타콜린 PC20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소아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의 양성치를 제시하고, 알레르기비염 환아에서 기관지확장제 반응의 정도 및 기관지과민성 지표와의 연관성을 천식환아의 경우와 대조하여 고찰하였다. 알레르기비염이 상부기도뿐만 아니라 하부기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기도기능의 한 지표인 기관지확장제 반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Bronchial impairment has been observed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AR) as well as asthma. Few reports exist on bronchodilator response (BDR) and its relationship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BHR) in children with AR. Methods: A total of 309 children (170 asthmatic children, 80 children with AR and 59 control subjects) were included. After conducting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and BDR tests, we compared the mean of BDR between the 3 group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DR, prebronchodilator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nd provocative concentration causing 20% fall in FEV1 (PC20) in both AR and asthmatic patients. Results: Asthmatic children showed a higher mean BDR than those with AR or control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BDR, PC20 and prebronchodilator FEV1 in asthmatic children. Children with AR also showed a higher BDR than control subjects. Though AR children with elevated BDR had lower prebronchodilator FEV1, they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DR and PC20. Conclusion: Children with AR as well as asthma demonstrated an elevated BDR a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BDR and BHR in AR subjects was not so remarkable as in asthmatic children, the elevated BDR was associated with the decreased airway caliber in AR patients. These results may reflect the lower airway impairment in children with AR, which suggests a close link between AR and asthm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0;20:59-67]

      • 소아 알레르기질환에서의 Tyrophagus putrescentiae 감작률

        최봉석 ( Bong Seok Choi ),이용주 ( Yong Ju Lee ),백지영 ( Ji Young Baek ),김경원 ( Kyung Won Kim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 Earn Kim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2

        목적: 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putrescentiae, Tyr p) 는 저장진드기의 한 종류로 저장고뿐 아니라 집먼지 내에서도 발견되며 우리나라 가옥 집먼지 내 진드기 분포상Dermatophagoides 다음으로 흔히 분리된다. Tyr p는 천식 등 알레르기질환에서 중요한 원인 항원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임상적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알레르기질환에서 Tyr p 감작률 및 다른 알레르기 지표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로 내원한 662명의 알레르기질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중 천식군 472명 알레르기비염군 102명 아토피피부염군 59명, 만성 두드러기 472명, 기타 질환군 22명이었다 혈액 총호산구수 혈청 ECP 및 총IgE를 측정하였고, Tyr p를 포함한 대표적인 32가지 항원에 대한 피부단자시험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662명에서 32종의 알레르기 피부시험 중 한가지 이상에서 양성을 보인 경우는 592명(89.4%)이었다. Tyr p에 양성을 보인 경우는 129명(19.5%)이었다. 알레르기 피부시험에서 Tyr p의 팽진크기는 나이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102, P=0.009) 또한 Tyr p의 팽진크기는 house dust (r=0.298, P<0.001), Der p (r=0.272, P<0.001)및 Der f (r=0.272, P<0.001)의 팽진크기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yr p 팽진크기는 혈액총호산구수(r=0.101, P=0.015) 및 IgE (r=0.153, P<0.001)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피부단자시험 양성 항목수(r=0.272, P<0.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천식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 만성두드러기의 질환별 Tyr p 감작률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Tyr p는 우리나라 알레르기 환아들에서 비교적 높은 감작률을 보이고 있어 감작 여부에 대한 확인 및 임상적 고려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yrophagus putrescentiae(Tyr p) is known as the third most common mite following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er p) and Dermatophagoides farina (Der f) in Korea. And it is an important allergen in allergic diseases, but there have been no reports on its sensitization rate in Korean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ts sensitization ra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yr p and other parameters related to allerg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62 allergic patients who visited the allergy clinic of Severance Children s Hospital between 2005 and 2008. Patients consisted of 472 asthmatic children, 102 pa ` - 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59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7 patients with chronic urticaria and 22 patients with other diseases. Skin prick tests with 32 common allergens and measurements of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serum total IgE level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were performed in subjects. Results: Of the 662 patients, 592 (89.4%)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more than one allergen. The number of patients sensitized to Tyr p was 129 (19.5%). The wheal size induced by Tyr p was positively related to age (r=0.102 P=0.009) as well as the wheal size induced by house dust (r=0.298 P<0.001), Der p (r=0.272, P<0.001) and Der f (r=0.272, P<0.001). The wheal size induced by Tyr p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serum total eosinophil counts (r=0.101, P =0.015) and IgE (r=0.153, P<0.001) and number of positive skin prick test (r=0.272, P<0.001). Conclusion: Sensitization to Tyr p is prevalent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 Therefore, this result should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allergic childre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nsitization to Tyr p.

      • 소아 천식의 근황과 치료 경향에 관한 조사

        차재국(Jae Kook Cha),윤혜선(Hae Sun Yoon),이혜란(Hae Ran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8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8 No.2

        목 적 : 지난 20년간 우리 나라에서도 소아천식이 증가해왔으며, 천식의 병태 생리가 밝혀지면서 치료방법에도 않은 변화가 왔고, 지난 1994년 소아천식의 치료지침이 발표된 바 있다. 따라서 실제 일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천식 치료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소아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소아천식의 실태와 진료에 관한 24개 문항의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 과: 1) 소아천식 환자의 연령적 분포는 3-5세 이하가 전 소아천식 환아 중 72-90%를 차지하였으며, 천식의 중증도에 관한 조사에서 경중 천식이 71-80%로 대부분이었다. 2) Cough variant asthma의 분포는 전 소아천식 아동 중 약 10%로 나타났으며, 운동 유발성 천식도 응답자의 1/3에서 전 천식소아 환아 중 10%이내라고 하였다. 3) 처음 천식 환자 진료시에 환자나 보호자에게 설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5-9분간이 대부분이었고, 증상 일기를 쓰게 하는 경우와 최대호기유속(PEFR)을 측정하도록 하는 경우가 각각 약 20-10% 이내로 소수였다. 4) 급성 천식 치료에 있어 흡입제 또는 네뷰라이저로 치료하는 경우보다 아직도 경구용을 사용한다는 경우가 73%로 많았으며, 특히 개인의원에서 경구용을 선호하고 있었다. 5) 만성 천식 치료에 있어 대학병원에서는 항염증제의 네뷰라이저 혹은 흡입제 치료가 일차 선택 약제로 사용되는 분포가 높았으나, 개인 의원에서는 60-70%에서 경구용 베타2 자극제의 사용이 흔하였다. 예방적 치료로는 케토티펜(ketotifen)이 가장 널리 (91.5%) 사용되고 있었다. 6) 면역 치료는 전체 소아 천식 환아 중 약 10% 이내에서 흔히 실시되고 있었다. 결 론 : 소아천식은 5세 이하가 대부분이었으며 경증 천식이 않았다. 천식 치료는 소아 천식치료지침이 실제 임상에서 잘 적용되고 있지 못했으며 따라서 더욱 많은 교육과 이에 대한 홍보가 요구된다. Purpose : During the past two decades in Korea, the prevalence rate of childhood asthma has been increased, and also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evolution in the management of asthma. In 1994, a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sthma was establish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real picture of clinical practice in the management of childhood asthma. Methods :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data on 24 items of questionnaires from pediatricians working in private clinics,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We investigated the age distributions, severity of asthma, educational levels, management of asthma, and current trends of medication. Results : 1) In age distribution, childhood asthma was most prevalent in 3-5 years old age group(30-40%), followed by 2 years old age group, and was least prevalent in 10-15 years old age group. 2)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ugh variant asthma was about 10% of all childhood asthma. 3) A period of 5-10 minutes was the most common period consumed for the explanation of child asthma during each medical practice. Cases recording symptom diary and cases monitoring PEFR(using peak flow meter) were less than 10% each. 4) With regard to the use of β2 agonist in the treatment of acute asthmatic attack, rate of using oral drugs and nebulizer or inhalers of β2 agonist are similar in the university hospitals, but the rate of using oral drugs was over 80% in private clinics. 5) With regard to the use of anti-inflammatory drugs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asthma, nebulizer or inhaler therapy was the first-line choice in the university hospitals(rate over 60-90%), oral drugs were main therapy in private clinics. The administration of anti-allergic medication as a preventive measures was recommended in about 40-50%, and ketotifen was used most frequently. 6) Immunotherapy was being performed in about 10% of childhood asthma patients. Conclusion : Childhood asthma was most prevalent in the age group under 5 years and severity was mostly mild. For the management of childhood asthma, the education and control for asthma are still insufficient and previously published guidelines have been inappropriately used in practical field.

      • 학동 전기 소아에서 알레르기 질환과 모유 수유와의 연관성

        신지원 ( Ji Won Shin ),김우경 ( Woo Kyung Kim ),윤혜선 ( Hae Sun Yoon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4

        목적: 알레르기 질환의 영유아시기 발병률이 높음에도 이 시기의 소아에 대한 조사가 미미한 상태로 이에 학동 전기 소아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국내 모유 수유정도와 기간을 조사하고 특히, 모유 수유와 알레르기 질환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5-6월에 서울지역의 5개 유치원생 60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병률은 `지난 12개월간 치료받은 적이 있었습니까?`를 기준으로 하였다. 각 설문의 항목에 대하여 부모나 보호자가 응답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 계 분석하였다. 결과: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근거한 유병률은 각각 천식 4.5%, 알레르기비염 11.3%로 나타났고 아토피피부염은 19.0%이었다. 출생 후 첫 4개월간 모유만 수유한 경우는 21.8%였고 모유와 분유를 병행한 경우는 55%였으며 분유만 수유한 경우는 23.2%로 나타났다. 모유 수유 기간은 완전 모유 수유와 혼합 수유를 모두 포함하여 6개월 이하와 7개월 이상으로 분류하였고 각각 57.6%, 19.2%였다. 지난 12개월 동안의 천명을 묻는 질문에서는 모유를 7개월 이상 수유한 소아에서 유병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아토피피부염에서는 모유 이외에 분유를 병행하였거나 분유를 먹인 경우 상대적 위험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모유 수유 기간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서울지역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과 모유 수유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아토피피부염에서는 모유 이외에 분유를 병행하였거나, 분유만 먹인 경우 모유 수유보다 상대적 위험도가 의미 있게 높았으나 모유 수유 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지난 l2개월 동안의 천명은 모유 수유를 오래 할수록 예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동전기 소아에서 부모에게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경우 천식 및 알레르기비염에서 위험이 높아진다. Purpose: The effect of breastfeeding on the development of allergic disease has been assessed in many studies but remains controversial. Thus,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and its association with breastfeeding among preschool children.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604 kindergarten children from 5 different kindergartens in Seoul between May and June, 2004. Parents or guardians were asked to answer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and the time of weaning diet. Results: For the question, "Have you been treated for allergic disease during the past 12 months?" showed 4.5% of in asthma, 11.3% and 19.0% were in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respectively. Exclusive breast-feeding for the first 4 months was noted in 21.8% of the children, compared with 55%, partial breast-feeding or only formula milk feeding in 23.2%. The prevalence of wheezing during the past 12 months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ildren with prolonged breast-feeding than in those with short-term breast feeding infants.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risk for atopic dermatitis in breastfeeding compared with formula milk feeding. Conclusion: Breastfeeding seems to have a preven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The risk for wheezing, during the past 12 months was higher for in children with formula milk feeding.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374-382]

      • 꽃가루 농도와 알레르기 유발과의 연관성 연구

        오영철 ( Yung Chul Oh ),김현아 ( Hyun A Kim ),정지태 ( Jee Tae Cheong ),강임주 ( Im Joo Kang ),김성원 ( Seong Won Kim ),박강서,김봉성 ( Bong Seong Kim ),국명희 ( Myung Hee Kook ),이하백 ( Ha Baik Lee ),오재원 ( Jae Won O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4

        목적: 꽃가루와 연관되어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을 화분증(pollinosis)이라 부르며,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공증화분에 의한 알레르기비염, 천식 및 알레르기성 각결막염 둥 꽃가루연관 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알레르기 환자와 일반 국민을 위한 알레르기 예보식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물들 종별로 꽃가루 수와 알레르기증상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우리 나라 고유의 알레르기 지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이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2007년 3월 1일부터 2008 10월 3l일까지 8개월간 전국적으로 서울, 구리, 강릉, 충주, 대구, 광주, 부산, 제주 등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상 건물의 옥상에 지면으로부터 1.5미터 높이에 Burkard seven days Sampler률 설치하여 공중화분을 매일 측정하여 수집된 글리세린 접착 비닐을 Calberla`s fuchsin 용액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공중화분을 관찰 동정하여, 평방미터 당 각 공중화분 수를 계산하여 기록하였다. 알레르기성 꽃가루에 대한 감작률올 조사하기 위하여 각 해당 병원에서 알레르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알레르기 피부시험과 혈액 검사 등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지역별 등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환자의 증상을 객관적으로 기록하기 위하여 10개 항목의 증상 지수를 이용하여 주 3회 전화 설문으로 증상 중증도를 분류하고, 증상지수와 꽃가루 수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알레르기 꽃가루에 대한 감작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돼지풀(5.9%), 산쑥(5.8%), 오리나무(4.9%), 자작나무(4.8%) 순으로 감작률이 높게 나타났다. 대상 알레르기 환자들에게 전화 통화를 통해 질문을 하여 발생한 증상에 대해 증상지수를 기록하여 해당일의 꽃가루 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증상지수와 꽃가루 수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꽃가루 지수와 환자발생과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밝힐 수 있는 방법으로 계절성 알레르기 환자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임상증상과 꽃가루 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바 꽃가루 수와 알레르기 환자의 임상증상 간에 의미 있는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알레르기 증상 등급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꽃가루 예보제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distribution of pollens in the air is mainly related to the weather conditions, especially temperature and humid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llen count and the outbreak of allergic diseases (symptom index) from allergic patients in Korea in order to determine Korean own allergy risk grade for the pollen forecasting system. Methods: Airborne particles carrying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in nationwide 8 stations (Seoul, Guri, Daejeon, Daegu, Kwangju Busan, Kangneung, and Jeju) by using 7 day-Burkard sampler in South Korea for 8 months (March 1, 2008-October 31, 2008). They were counted and recorded along with weather factors. Symptom index was calculated and recorded by phone calling to allergic patients 3 times a week. Results: Airborne pollens have 2 peak seasons (May and September) in Korea. In the skin prick test, ragweed was the highest sensitization rate (5.9%), followed by mugwort (5.8%), alder (4.9%), birch (4.8%) and oak grasses among the pollen extracts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index of allergic patients and allergic pollen concentrations. Korean own risk grade of pollen allergy was made by using the data from this study. Conclusion: Risk grade of pollens for allergy pollen forecast among each allergic plant was establish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it our result. [Pediatr Allergy Respir Dis (Korea) 2009;19:354-364]

      • 개방 경구유발시험으로 확진된 속발형 식품알레르기 : 병력 및 알레르기 피부시험의 진단적 의의

        이기영(Ki Young Lee),김규언(Kyu Earn Kim),정병주(Byung Ju Jeo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7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7 No.2

        목 적 :식품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식품의 종류는 나라마다 다르고 임상양상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에 앞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식품알레르기의 진단을 위해 병력조사을 포함한 식품 특이 IgE항체 검사, 알레르기 피부시험 및 유발시험을 실시 하지만 이들의 진단적 의의에 관한 보고는 드문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개방 경구유발검사에 의해 식품알레르기로 진단된 환아들을 대상으로하여 병력과 알레르기 피부시험의 진단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방 법 :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알레르기클리닉에서 알레르기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아 중에서 병력조사 및 알레르기 피부시험 결과 식품알레르기가 의심되었던 환아(3-15세) 208례를 대상으로 하여, 총 276회의 개방 경구유발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방 경구유발시험의 결과를 중심으로하여 식품알레르기 병력 및 알레르기 피부시험 결과와 개방 경구유발검사 결과 사이에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276회의 개방 경구유발시험중 128회에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서 경구유발시험의 양성률은 46.4%이었다. 2) 경구유발시험에 20회 이상 사용했던 6가지 식품을 중심으로 한 식품별 양성률은 메밀이 72.3%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꽃게(60.0%), 새우(45.8%), 우유(41.6%), 계란(41.4%) 및 이스트(25.0%)의 순이었다. 3) 식품알레르기 병력 또는 피부시험 양성반응과 경구유발시험의 결과와 일치율은 각각 44.8%와 31.1%였다. 그러나 병력과 피부시험 모두가 양성인 경우에는 그 일치율이 91.2%로 매우 높았다. 4) 식품알레르기 병력만 있는 경우에서 경구유발시험의 양성 및 음성 예측도는 67.8% 및 68.9%였지만, 피부시험만 양성인 경우에는 양성 및 음성 예측도가 46.8%와 55.2%로 다소 낮았다. 그러나 병력이 있으면서 피부시험에도 양성인 경우는 양성 예측도가 91.2%, 음성 예측도가 65.3%로 양성 예측도가 매우 높았다. 5) 경구유발시험시에 나타났던 증상의 대부분은 두드러기(84.4%)였는데 천식, 비염과 결막염 및 식품이 인후부에 닿는 순간 타는듯한 느낌,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와 아낙필락시스 쇽이 일어난 경우도 있었다. 6) 경구유발시험시 증상을 일으키는데 필요했던 식품량은 소량(1-100gm)인 경우가 많았지만(51.5%), 원인식품을 입술에 살짝대거나 혀로 핥기만 하여도 알레르기 증상이 유발되었던 경우도 있었다(21.1%). 결 론 : 개방 식품경구유발시험을 실시한 결과, 식품별 유발시험 양성률은 메밀을 투여한 경우에 가장 높았으며 유발시험시 나타났던 증상중에는 두드러기가 가장 많았는데, 대부분에서 소량의 식품으로 증상이 유발되었다. 그리고 경구유발시험시 유발여부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식품알레르기 병력이 피부시험 양성인 경우보다 더 의의가 있었으며, 동일식품에 대해 병력과 피부시험 모두가 양성인 경우에는 거의 모든 례에서 증상이 유발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Food allergy is one of the common allergic diseases and elicits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in children. Although the offending food could be suspected by history of food allergy and skin test with food allergen, it should be confirmed by food challenge test. We investigated the result of open food challenge test(OFCT) with offending food as suspected by history and/or skin test. Thereafter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history of food allergy and positive skin test to food allergen, and positive food challenge test.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208 children (age range, 3-15 years) with history of food allergy and/or positive skin test to food allergen. Open food challenge test was performed in 276 cases with 33 kinds of suspected foods. Increasing doses of natural food were given every 20 minutes, an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elicited by challenge test were observed for 1 hour. Results : 1) One-hundred twenty eight of 276 cases were positive for OFCT, and the provocation rate was 46.4%. 2) The provocation rate of individual food was highest in buckwheat flour(72.3%), followed by crab(60.0%), shrimp(45.8%), milk(41.6%), and egg(41.4%). 3) OFCT elicited allergic manifestations in 44.8% of positive history alone and 31.1% of positive skin test alone. Allergic manifestations were elicited in 91.2% when both the positive history and skin test were positive for the same food. 4)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OFCT were 67.8% and 68.9% in history, 46.8% and 55.2% in skin test, and 91.2% and 65.3% in history and skin test respectively. 5) Urticaria was the most common symptom(84.4%) elicited by OFCT. There were various allergic manifestations such, as asthma, rhinitis, conjunctivitis and burning sensation in throat. Anaphylactic shock was observed in 3 cases with buckwheat flour allergy. 6) For the most cases(51.5%) symptoms occurred by the ingestion of small amount(1-100gm) of offending food. But symptoms in 27 cases were elicited just by scrubbing the food on lips or licking it by tongue. Conclusions: Open food challenge test showed the highest positive provocation rate with buckwheat. The most common symptom was urticaria, which was elicited with only a small amount of offending food. In predicting the result of OFCT, food allergy history was more reliable than the positive skin test, and if both the history and the skin test were positive for the same food, almost all the cases showed positive results with OFCT.

      • 소아 아토피성 천식에서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 사이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고찰

        이영진(Young Jin Lee),김용관(Young Kwan Kim),강혜영(Hye Youn Kang),김규언(Kyu Earn Kim),이기영(Ki You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목적 : 원인 회피가 용이하지 않은 항원에 의한 아토피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환아에서 여러 지표 중 혈청 총 IgE치와 알레르기피부시험 반응 정도, 면역치료에 사용된 항원의 수, 기관지천식 및 알레르기성 비염과 결막염 둥의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 여부 및 이들 알레르기 질환의 중증도, 운동유발성천식의 동반 여부등이 알레르기 면역요법의 유효성 여부를 미리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기관지천식으로 면역요법을 받았던 환아들 중에서 기관지천식의 추정 진단 하에 시행한 혈청 총 IgE가 증가되어 있거나 알레르기피부시험상 한가지 이상의 항원에 대하여 양성으로 18개월 이상의 면역요법 결과 추적 평가에서 임상 증상의 90%이상이 소실되었다고 한 33명을 대상군(effective group)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의 연령과 성별이 같으면서 면역요법의 효과가 없었던 33명을 대조군(ineffective group)으로 하여 이들 유효군과 무효군 총 66명에서의 총호산구수, 혈청 IgE치, 피부반응 검사상 양성인 항원수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 1) 기관지천식만 있었던 경우는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15.2%. 무효군 9.1%였고, 기관지천식과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었던 경우는 유효군에서 39.4%, 무효군에서 36.4%였으며 기관지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이 같이 있었던 경우는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에서 각각 42.4%, 54.5%로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에서 아토피의 가족력, 운동유발성천식이나 아토피 피부염의 동반 유무 등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3) 면멱요법 시행전 혈청 총 IgE치는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515±381 IU/ml, 무효군에서 382±318 IU/ml 로 두 군사이 에 유의 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없다. 또한 면역요법 시행전 총 호산구수치도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500±354/㎣, 무효군에서 626±422/㎣로 역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4) 알레르기피부시험상 양성인 항원의 수가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3.7개, 무효군에서는 4.5개로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주요 항원의 알레르기 시험상 양성율은 면역요법 유효군과 무효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면역요법에 사용한 항원의 수는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2.2개, 무효군에서 2.8개로 면역요법 유효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0.02). 결론 : 가능한한 면역요법에 사용하는 항원의 수를 적게하는 것이 면역여요법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 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immunotherapy, we evaluated the various allergic indices, such as serum total Ige, total eosinopil count, allergy skin test response, number of antigens used for immunotherapy between each 33 patients with atopic diseases of effective and ineffective with atopic diseases of effective and ineffective immunotherapy group. 1) There was no predictive value for the effectiveness of immunotherapy in the pretherapy severity of allergic diseases before treatiment. 2) The level of pre-immunotherapy serum IgE and total eosinophil count were not related with the effectiveness of immunotherapy.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llergen included in the immunotherapy. : 2.2±0.5 in effective group, 2.8±1.4 in ineffective group It is suggested that as possible as small numbers of allergen should be included for the more effective immuno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