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비입천장구멍의 형태학적 특징과 해부학적 위치

        전유미(Yu-Mi Jeon),김상범(Sang-Bum Kim),정화해(Haw-Hae Jeong),서윤경(Youn-Kyoung Seo),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0 No.4

        코 내시경 수술시 출혈을 조절하기 위해 혈관을 결찰하거나 마취할 때 해부구조의 이해를 돕고자 나비입천장동맥과 날개입천장신경절의 가지가 지나는 나비입천장구멍의 형태와 위치를 관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고정된 한국 성인 시신 21구(남자 12구, 여자 9구, 평균 나이 62.9세)의 머리뼈 42쪽을 대상으로 나비입천장구멍의 형태를 분류하였고 크기, 앞코가시점과의 거리와 각도, 각 코선반 앞뒤끝점과의 거리, 나비굴과의 거리, 큰입천장구멍과의 거리를 계측하였다. 나비입천장구멍은 난원형이 35.7%로 가장 많았으며, 오른쪽과 왼쪽이 대칭인 경우는 28.6%이고 세로너비는 5.5 ㎜, 가로너비는 5.3㎜이었다. 나비입천장구멍의 가장 앞지점은 앞코가시점에서 54.4 ㎜, 중간코선반 앞지점에서 36.2 ㎜, 중간코선반 뒤지점에서 6.2 ㎜, 큰입천장구멍에서 27.2㎜인 지점에 위치하였고, 나비입천장구멍의 가장 위부분은 나비굴의 가장 위앞점에서 22.3 ㎜, 나비굴의 가장 아래점에서 18.6㎜인 지점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내시경으로 코안 시술시 관찰 가능한 앞코가시점, 중간코선반이나 나비굴을 기준으로 나비입천장구멍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natomical information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leeding control of the sphenopalatine artery and to the blockage of the pterygopalatine ganglion during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Forty-three midsagittal sectioned Korean heads were used in the study. The mucosa on the lateral nasal wall was removed for showing the sphenopalatine foramen. The shapes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were classified by 4 types. Angle from the akanthion and distances from akanthion, conchae, sphenoidal sinus and greater palatine foramen were measured. The sphenopalatine foramen was frequently found as oval shape and bilateral symmetry of 28.6%. The vertical length was 5.5 ㎜ , the horizontal length was 5.3 ㎜ . The most anterior point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was located on 54.4 ㎜ few and angles were between 15.9˚and 22.1˚from akanthion. The distances were 36.2 ㎜ from anterior end of middle nasal concha, 6.2 ㎜ from posterior end of middle nasal concha, 27.2 ㎜ from greater palatine foramen. The uppermost point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was located on 22.3 ㎜ from the most superoanterior end of the sphenoidal sinus, 18.6 ㎜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sphenoidal sinus.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provide the confidence about the location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during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 KCI등재

        한국인의 코선반의 형태계측적 연구

        전유미(Yu-Mi Jeon),김상범(Sang-Bum Kim),정화해(Haw-Hae Jeong),서윤경(Youn-Kyoung Seo),이준희(Jun-Hee Lee),송용태(Yong-Tai Song),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0 No.4

        코안 및 코곁굴 내시경 수술 시 위코선반, 중간코선반, 아래코선반은 코안 구조물을 찾는 표지점이 되기 때문에 위치나 크기에 대한 명확한 해부학적 이해가 요구된다. 고정된 한국 성인 시신 43구(남자 23구, 여자 20구, 평균 나이 66.81세)의 머리뼈 86쪽을 대상으로 코안가쪽벽에서 맨위코선반의 존재 여부를 관찰하고 코안 가쪽벽에서 코점막을 제거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앞코가시점과 코선반 사이의 거리와 코선반뒤끝점사이의 거리, 코선반의 길이를 계측하였다. 나비벌집오목이 뚜렷하여 위쪽에 맨위코선반이 나타나는 경우는 66.7%이었다. 코점막 박리 후 앞코가시점을 기준으로 위코선반의 앞끝점과의 거리는 46.75 ㎜, 중간코선반의 앞끝점과의 거리는 38.23 ㎜, 아래코선반의 앞끝점과의 거리는 18.51 ㎜이었고 위코선반의 뒤끝점과의 거리는 55.11 ㎜, 중간코선반의 뒤끝점과의 거리는 54.72 ㎜, 아래코선반의 뒤끝점과의 거리는 50.26㎜이었다. 코점막 박리 후 위코선반의 길이는 22.20 ㎜, 중간 코선반의 길이는 40.14 ㎜, 아래코선반의 길이는 40.97㎜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코곁굴 내시경 시술 시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을 위한 해부학적 지표가 될 것이다. Recently,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in the endoscopic nasal surgery, it is essential for practitioners to have detailed knowledges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for the successful surger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rovide morphological information of the nasal turbinates as anatomical reference during endoscopic nasal surgery. A total of 43 adult cadaver heads were bisected midsagitally and evaluated morphometr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ighest nasal turbinatee were observed in 66.7% of the case. After removal of the mucosa, the distances from the akanthion to the anterior end of superior, middle, inferior nasal turbinate were 46.75 ㎜ , 38.23 ㎜ , 18.51 ㎜ respectively. The distances from the akanthion to the posterior end of superior, middle, inferior nasal turbinate were 55.11 mm, 54.72 ㎜ , 50.26 ㎜ respectively. The lengths of the superior, middle, inferior nasal turbinate were 22.20 ㎜ , 40.14 ㎜ , 40.97 ㎜ respectively. The detailed measurements of the nasal turbinates performed in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anatomical landmarks for the endonasal endoscopic surgery.

      •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활용에 대한 학습적 의미 탐색

        전유미(Jeon, Yu-Mi),이성엽(Yi, Sung-Yup)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19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3 No.1

        삶을 영위하는 공간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는 공간적 존재로써 인간의 삶 전체에 걸친 활동이 학습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함께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인간의 새로운 공간인 공유하는 업무 공간, 코워킹 스페이스의 공간 을 활용하는 경험이 학습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낯선 공간 속에서 공간적 지식을 쌓아가며 개인적인 공간(公有空間)과 공유 공간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지(無知) 자각(self awareness)과 사유(思惟)를 통해 새로운 배움을 결심하거나, ‘공간을 함께 쓰는 사람’들과 만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자발적으로 학습하고 있었다. 즉, 물리적으로 주어진 공간을 자신만의 공간으로 길들이고 재창조하며, 이렇게 재창조된 공간에서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 자발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As a spatial being, we are learning from variety of experiences in our living space. In addition, the recent expansion of the educational space and the perception that human activities throughout life are learning is expanding. Along with this flow, the study looked at the learning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using the space of the Coworking Space, a new and recently growing workplace for human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using spaces given to them, recognizing unfamiliar spaces, learning space and using them in their own ways. Participants decide to learn of new things through the unknowing and self-awareness or they were learning voluntarily through interaction with people who share space. In other words, they were using physically given space as his own and participating in voluntarily learning activities by motivating new learning.

      • KCI우수등재

        생체신호를 활용한 학습기반 영유아 스트레스 상태 식별 모델 연구

        전유미(Yu-Mi Jeon),한태성(Tae Seong Han),김관호(Kwanho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7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2 No.2

        오늘날 감정 표현이 서툰 영유아가 처한 극도의 스트레스 상태를 자동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영유아의 안전을 위협하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위험 상황의 실시간적인 인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스트레스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기계학습 기반의 모델과 생체신호 수집용 스마트 밴드 및 모니터링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감정을 나타내는 주요한 요인이 되는 음성 및 심박 데이터의 조합을 활용하여 기존에 널리 알려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영유아의 스트레스 상태 패턴을 학습하고 예측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생체신호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스트레스 상태 식별을 자동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서 궁극적으로 영유아의 위험 상황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identification of the extremely stressed condition of children is an essential skill for real-time recognition of a dangerous situation because incidents of children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esent a model based on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stress status identification of a child by using bio-signals such as voice and heart rate that are major factors for presenting a child’s emotion. In addition, a smart band for collecting such bio-signals and a mobile application for monitoring child’s stress status are also suggested. Specifically,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stress patterns of children that are obtained in advance for the purpose of training stress status identification model. Then, the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current stress status for a child and is designed based on convention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 experiment results conducted by using a real-world dataset showed that the possibility of automated detection of a child’s stress status with a satisfactory level of accuracy. Furthermore,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preventing child’s dangerous situa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동강유역의 식물상

        이웅빈 ( Woong Bin Lee ),전유미 ( Yu Mi Jeon ),최청일 ( Chung Il Choi ) 한국하천호수학회 2002 생태와 환경 Vol.35 No.5

        동강유역 내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식물상, 식생 및 녹지자연도를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6과, 314속 내의 474종, 1아종, 69변종 등 모두 551종류인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로 5등급이 6분류군, 4등급이 36분류군, 3등급이 31분류군 등 모두 73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밀 생태종들을 포함하는 학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식물도 층층 둥글레를 포함하여 상당수가 분포하며 한국특산식물은 13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보호수로 지정된 노거수는 2그루가 조사되었다. 한편, 본 조사 지역의 식생은 대부분이 우리 나라의 극상림인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회암 지대의 대표종인 회양목군락도 발달하여 있었다. Flora in the surrounding area along the Dong River Valley from Geoun-ri(Yeongwol-eup) to Gwangha-ri(Jeongseon-gun) was investigated. It revealed that 551 taxa of vascular plants grow in this area, including 7 forms, 69 varieties, 1 subspecies, and 474 species. A total of 73 tax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also distributed in this area. Among them 5th grade was 6 taxa, 4th grade 36 taxa, and 3rd grade 31 taxa respectively. Ecologically important plants were also abundant such as the Polygonatum stenophllum Max. Thirteen Korean endemic taxa were also investigated. Two other individual plants of monumental status such as old age and large size was worth nothing. Oak and/or pine tree populations being typical of Korean climactic forests occupied most of the investigated area. Box tree populations being in limestone soil appeared in wide ranges, and these are the biggest box tree habitats in Korea.

      • 스케이터와 스프린터 패턴운동 후 동적균형과 유연성의 변화

        표아윤,김소희,김태언,나은진,엄민정,전유미,조은아,조효라,김정자,Pyo, Ah-Yun,Kim, So-Hee,Kim, Tae-un,Na, Eun-Jin,Eom, Min-Jung,Jeon, Yu-Mi,Jo, Eun-Ah,Jo, Hyo-Ra,Kim, Jeong-Ja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6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4 No.3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dynamic balance and flexibility for normal group, using skater and sprinter exercise program of PNF pattern. Method. In this study it was participated twenty-one subjects. Experimental group worked skater and sprinter pattern exercise with Thera-band or without Thera-band each 40 times. Evaluation of dynamic balance and flexibility(using the Functional Reach Test and Fingertrip To Floor Test)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Result. In dynamic balance it was observed to significant change except first measure and flexibility was observed to all measures significantly(p<.05). Conclusion. Skater and Sprinter pattern exercise is effective to improve for dynamic balance and flexibility.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is small sample size of normal adult. therefore, I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o disabled person.

      • KCI등재

        치아 유무에 따른 아래턱뼈 겉질뼈 두께와 뼈밀도

        서윤경(Youn-Kyoung Seo),장남진(Nam-Jin Chang),전유미(Yu-Mi Jeon),김경태(Kyung-Tae Kim),최윤영(Yun-Young Choi),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2

        아래턱뼈의 질적, 양적 상태를 알 수 있는 형태계측적 자료는 턱을 시술할 때 매우 중요하며, 아래턱뼈의 뼈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면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아래턱뼈에서 치아유무에 따라 아래턱뼈 단면에서 나타나는 겉질뼈와 해면뼈의 두께, 아래턱뼈 뼈밀도를 측정하여 형태계측적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ㆍ세포생물학교실에 고정된 시신 61구의 아래턱뼈(남자 32구, 여자 29구, 평균나이 66.72세)에서 턱뼈각, 작은어금니와 큰어금니 사이, 앞니부위, 아래턱뼈 전체의 뼈밀도를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로 측정하고, 첫째와 둘째큰어금니를 지나는 아래턱뼈의 단면에서 11가지 항목의 뼈두께와 길이를 계측하여 남녀, 연령별, 치아유무에 따라 나누어 SPSS 12.0 프로그램의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래턱뼈에서 뼈밀도는 위치마다 차이가 있었고, 아래턱뼈에서 뼈밀도는 겉질뼈의 뼈두께와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가장 높은 것은 볼쪽과 혀쪽 겉질뼈 두께의 합(상관계수 r=0.622)이었다. 아래턱뼈 단면에서 겉질뼈의 두께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컸으나 어금니 주변의 뼈밀도와 뼈두께 사이의 상관계수는 여성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아래턱뼈에서 아래턱 전체 뼈밀도, 혀쪽 겉질뼈 두께, 바닥쪽 겉질뼈 두께와 이틀돌기의 높이는 큰어금니가 모두 있는 경우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아래턱뼈의 뼈밀도는 성별, 연령, 치아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아래턱 겉질뼈의 두께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morphometric data which reflec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mandible are very important to the surgeon for the mandible. It is very useful clinically to predict the status of the mandible indirectly by other medical examination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correlations of the mandible and dentition to predict the thick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mandible. Sixty-one mandibles (32 M/29 F, mean age: 66.72 years) obtained from the collection of the Department of Anatomy and Cell Biology of Hanyang Medical College were analyzed. The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the mandible, bone mineral densities at the mandiblular angle, between molars and premolars, around incisors and the thickness, and the length at the sections through the 1st and the 2nd molars were measured. The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12.0 program (One-Way ANOVA) according to age, gender and dentition,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ickness and bone mineral densitie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one mineral density in the mandibular areas were variable,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xcept incisor area. The bone density of the mandibl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hickness of cortical bones an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shown in sum of the thickness of buccal and lingual cortical bone (correlation coefficient, r=0.622) 2. The thickness of cortical bones at the sections through the molars in the man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woma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hick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at the molars were greater in the woman. 3. The bone mineral density of whole mandible, the thickness of lingual and basal cortical bones and the height of alveolar rid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pecimens with both of the 1st and 2nd mandibular molar teet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rese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one mineral density in the mandible according to gender and dentition and also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thickness of cortical bone.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섬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신안군 섬을 중심으로

        조한나(Han Na Jo),김명진(Myung Jin Kim),전유미(Yu Mi Jeon)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1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관광을 통한 섬다움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남 신안군의 섬을 대상으로 섬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방법은 전남관광재단에서 제공한 지역내 숙박업, 여행업 등을 수행하는 업체중에 주민이 직접 운영하는 업체 3개 업체를 선정하였으며, 전남관광 관련 학계 및 전문가집단 중 2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신안군 섬의 지속가능한 섬관광을 위해서는 첫째, 섬을 찾는 관광객이 원하는 휴식, 일상에서의 탈출, 신기성 등을 충족시켜주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섬 자원의 재생을 통한 관광 하드웨어 구축으로 섬자원을 최대한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관광산업 개발을 하여야 한다. 셋째, 섬 주민을 관광산업의 주체로 내세우되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을 위해 부족한 부분은 외부 전문가와의 지속적 소통 및 협업을 통해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단기 프로젝트가 아닌 지속가능한 섬관광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섬관광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 일부를 지역 전통문화 개발사업에 환원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자원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섬 고유성을 살린 문화콘텐츠 복원을 통해 관광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신안군 섬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정책적 함의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장연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는 실제사례에 접목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주장한 제안들의 타당성을 검증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Purpose In order to maximize the value of islandness through sustainable tourism,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for Shinan-gun, Jeollanam-do. Methods Study was conducted Three companies operated by residents were selected from the local lodging and travel business provided by the Jeollanam-do Tourism Organization, and two from the academic and expert groups related to Jeollanam-do tourism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Results First, tourism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o satisfy the rest, escape from daily life, and novelty that tourists visiting the islands. Second,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should be carried out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damage island resources as much as possible by building tourism hardware through the regeneration of island resources. Third, the islanders should be the main agents of the tourism industry, but the lack for the sustainable tourism industry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external experts to operate sustainable island tourism. Fourth, some of the profits from the island tourism project are to be returned to the local traditional culture development project. Finally, tourism value should be created by restoring cultural contents that utilize island uniqueness without damaging local resources.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islands in Shinan-gun,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empirical analysis has not been conducted through field

      • 실험쥐 알레르기성 염증의 한국산 광물 미네랄에 의한 억제

        박슬기(Park Seul-Ki),김점지(Kim Jum-Ji),전유미(Jeon, Yu-Mi),최광만(Choi, Kwang-Man),강정호(Kang, Jung-Ho),이창원(Lee, Chang-Won),이미영(Lee Mi-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한국산 약용광물로부터 얻은 미네랄 혼합물이 실험쥐의 알레르기성 염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혈청 IgE 농도, 염증성 cytokine 농도, 히스타민 방출정도를 측정하였다. 알부민으로 알레르기성 염증을 유도한 실험쥐에 광물성 미네랄을 처리한 결과 혈청 IgE의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쥐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염증성 cytokine의 농도도 크게 감소하였다. 알부민으로 알레르기성 염 증을 유도한 쥐의 폐 조직내 염증세포의 침윤을 확인한 결과 광물성 미네랄을 처리한 쥐의 폐 조직에 서는 염증 세포수가 거의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쥐의 호염기성 백혈병 세포에 anti-DNP-IgE를 감작시킨 후 광물성 미네랄을 처리하고 히스타민 방출양을 측정한 결과 히스타민 방출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산 약용광물의 미네랄이 실험쥐의 알레르기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