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위턱굴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이덕구(Duk-Ku Lee),정화해(Haw-Hae Jeong),서윤경(Youn-Kyung Seo),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1 No.1

        위턱굴은 각 인종마다 위턱굴의 크기와 특징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각 민족을 구분 짓는 기준이 되는 중요한 체질인류학적 구조물이므로 한국인 위턱굴 부피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정된 한국인 시신 44구(남자 23구, 여자 21구, 평균나이 67.7세)의 머리뼈 88쪽을 대상으로 하여 위턱굴의 크기와 부피를 계측한 후 Anagnostopoulou 등(1991)과 Fernandes (2004)의 분류기준에 따라 위턱굴의 유형과 안쪽 코안벽면적을 분류하였다. 위턱굴의 부피는 평균 12.83±5.41 ㎤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양쪽 부피가 대칭인 경우가 70%였다. 위턱굴의 너비는 평균 26.59±4.96㎜이었고, 높이는 26.65±6.16㎜이었으며 위턱굴 방사선사진에서 위턱굴의 앞뒤길이는 평균 36.99±4.72 ㎜, 실측한 위턱굴의 앞뒤길이는 평균 32.84±4.96㎜이었다. 위턱굴의 유형은 반타원구형이 39.19%로 가장 높았으며, 안쪽코안벽면적은 small형이 50%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의 위턱굴 부피의 특성을 구명하고 체질인류학적 지표가 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maxillary sinus is an anthropological landmark because of difference of volume of maxillary sinus among persons of different ethnic origi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rovid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maxillary sinus. The size and volume of maxillary sinus were measured in 44 Korean skulls 23 males and 21 females from cadaver. The shapes of the maxillary sinu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nagnostopoulou et al. (1991) and the sizes of the medial antral wall area of the maxillary sinu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ernandes (2004b). The mean volume of maxillary sinus was 12.83±5.41 ㎤,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Bilateral sy㎜etry of the volume of the maxillary sinus was observed in the 70% of the specimens. The width of maxillary sinus was 26.59±4.96 ㎜. The height of maxillary sinus was 26.65±6.16 ㎜. The anteroposterior length was 32.84±4.96 ㎜. The anteroposterior length measured on C-Arm radiography was 36.99±4.72 ㎜. The shape of maxillary sinus was semi-ellipsoid and the majority (50%) of the shape of medial antral wall area of maxillary sinus was the type of sm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clarify the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xillary sinus in Korean, and to provide an index of ethnic classification for the medial antral wall area.

      • KCI등재

        나비입천장구멍의 형태학적 특징과 해부학적 위치

        전유미(Yu-Mi Jeon),김상범(Sang-Bum Kim),정화해(Haw-Hae Jeong),서윤경(Youn-Kyoung Seo),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0 No.4

        코 내시경 수술시 출혈을 조절하기 위해 혈관을 결찰하거나 마취할 때 해부구조의 이해를 돕고자 나비입천장동맥과 날개입천장신경절의 가지가 지나는 나비입천장구멍의 형태와 위치를 관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고정된 한국 성인 시신 21구(남자 12구, 여자 9구, 평균 나이 62.9세)의 머리뼈 42쪽을 대상으로 나비입천장구멍의 형태를 분류하였고 크기, 앞코가시점과의 거리와 각도, 각 코선반 앞뒤끝점과의 거리, 나비굴과의 거리, 큰입천장구멍과의 거리를 계측하였다. 나비입천장구멍은 난원형이 35.7%로 가장 많았으며, 오른쪽과 왼쪽이 대칭인 경우는 28.6%이고 세로너비는 5.5 ㎜, 가로너비는 5.3㎜이었다. 나비입천장구멍의 가장 앞지점은 앞코가시점에서 54.4 ㎜, 중간코선반 앞지점에서 36.2 ㎜, 중간코선반 뒤지점에서 6.2 ㎜, 큰입천장구멍에서 27.2㎜인 지점에 위치하였고, 나비입천장구멍의 가장 위부분은 나비굴의 가장 위앞점에서 22.3 ㎜, 나비굴의 가장 아래점에서 18.6㎜인 지점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내시경으로 코안 시술시 관찰 가능한 앞코가시점, 중간코선반이나 나비굴을 기준으로 나비입천장구멍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natomical information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leeding control of the sphenopalatine artery and to the blockage of the pterygopalatine ganglion during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Forty-three midsagittal sectioned Korean heads were used in the study. The mucosa on the lateral nasal wall was removed for showing the sphenopalatine foramen. The shapes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were classified by 4 types. Angle from the akanthion and distances from akanthion, conchae, sphenoidal sinus and greater palatine foramen were measured. The sphenopalatine foramen was frequently found as oval shape and bilateral symmetry of 28.6%. The vertical length was 5.5 ㎜ , the horizontal length was 5.3 ㎜ . The most anterior point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was located on 54.4 ㎜ few and angles were between 15.9˚and 22.1˚from akanthion. The distances were 36.2 ㎜ from anterior end of middle nasal concha, 6.2 ㎜ from posterior end of middle nasal concha, 27.2 ㎜ from greater palatine foramen. The uppermost point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was located on 22.3 ㎜ from the most superoanterior end of the sphenoidal sinus, 18.6 ㎜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sphenoidal sinus.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provide the confidence about the location of the sphenopalatine foramen during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 KCI등재

        한국인의 코선반의 형태계측적 연구

        전유미(Yu-Mi Jeon),김상범(Sang-Bum Kim),정화해(Haw-Hae Jeong),서윤경(Youn-Kyoung Seo),이준희(Jun-Hee Lee),송용태(Yong-Tai Song),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0 No.4

        코안 및 코곁굴 내시경 수술 시 위코선반, 중간코선반, 아래코선반은 코안 구조물을 찾는 표지점이 되기 때문에 위치나 크기에 대한 명확한 해부학적 이해가 요구된다. 고정된 한국 성인 시신 43구(남자 23구, 여자 20구, 평균 나이 66.81세)의 머리뼈 86쪽을 대상으로 코안가쪽벽에서 맨위코선반의 존재 여부를 관찰하고 코안 가쪽벽에서 코점막을 제거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앞코가시점과 코선반 사이의 거리와 코선반뒤끝점사이의 거리, 코선반의 길이를 계측하였다. 나비벌집오목이 뚜렷하여 위쪽에 맨위코선반이 나타나는 경우는 66.7%이었다. 코점막 박리 후 앞코가시점을 기준으로 위코선반의 앞끝점과의 거리는 46.75 ㎜, 중간코선반의 앞끝점과의 거리는 38.23 ㎜, 아래코선반의 앞끝점과의 거리는 18.51 ㎜이었고 위코선반의 뒤끝점과의 거리는 55.11 ㎜, 중간코선반의 뒤끝점과의 거리는 54.72 ㎜, 아래코선반의 뒤끝점과의 거리는 50.26㎜이었다. 코점막 박리 후 위코선반의 길이는 22.20 ㎜, 중간 코선반의 길이는 40.14 ㎜, 아래코선반의 길이는 40.97㎜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코곁굴 내시경 시술 시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을 위한 해부학적 지표가 될 것이다. Recently,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in the endoscopic nasal surgery, it is essential for practitioners to have detailed knowledges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for the successful surger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rovide morphological information of the nasal turbinates as anatomical reference during endoscopic nasal surgery. A total of 43 adult cadaver heads were bisected midsagitally and evaluated morphometr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ighest nasal turbinatee were observed in 66.7% of the case. After removal of the mucosa, the distances from the akanthion to the anterior end of superior, middle, inferior nasal turbinate were 46.75 ㎜ , 38.23 ㎜ , 18.51 ㎜ respectively. The distances from the akanthion to the posterior end of superior, middle, inferior nasal turbinate were 55.11 mm, 54.72 ㎜ , 50.26 ㎜ respectively. The lengths of the superior, middle, inferior nasal turbinate were 22.20 ㎜ , 40.14 ㎜ , 40.97 ㎜ respectively. The detailed measurements of the nasal turbinates performed in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anatomical landmarks for the endonasal endoscopic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