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성봉 국립특수교육원 1994 특수교육연구 Vol.1 No.-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composition skill factor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ddress the standards to measure the level of current writing competence of the mentally retarded, and to attain the concrete resources for the teaching module of literacy through addressing the particular limitations and the strategies in writing. The subject were 90 nondisabled children and 90 mentally retarded children from 6 to 8 years old. They were selected from 8 schools having self-contained classroom and from 4 special school in Seoul and in kyongki-do. The findings were as follow ; (1) The two groups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 nondisabled)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uency, syntactic maturity, vocabulary, and contents factors of the composition, but not convention factor ; (2) In both two groups, fluency, syntactic maturity, contents, and convention were developed with age. But, in vocabula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 (3) Nondisabled children showed high correaltions between the composition skill factors (fluency, syntactic maturity, vocabulary, contents, and convention) whereas mentally retarded children exhibited low correlations - on relation between contents and convention, no correlation. The findings may give the basis on which standards for each age group are established for writing instruction, and may provide concrete information for making a teaching modul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이성봉 국립특수교육원 1998 현장특수교육 Vol.5 No.2
쓰기는 문자를 가지고 자기의 생각이나 정보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는 정보 전달자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글을 통하여 다른 사람에게 깨우침을 주는 지혜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이러한 쓰기는 학교에서 학습의 도구로 쓰이고, 일상생활에서 간단한 메모나 각종양식에 사용되는 등 중요한 도구로 쓰여진다. 따라서 쓰기의 장애는 종종 그 결과로 심각한 학습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에 중요한 관심거리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쓰기 수업은 언어 시간의 일부분으로 글씨쓰기 위주의 쓰기 활동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는 경우가 많다. 쓰기 학습의 목표인 의사소통으로서의 쓰기보다 철자법, 띄어쓰기, 구두점 등과 같은 쓰기의 기제들에 초점을 맞추어 쓰기 수업을 하는가 하면, 심지어 일부 교사들은 교과수업 시간 중에 시간이 남으면 쓰기 활동으로 시간을 메우는 경우도 있어 쓰기 학습에 대한 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쓰기 기술은 하루아침에 길러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령기부터 체계적인 지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고에서는 쓰기의 본질을 이해하고, 쓰기 영역의 세 부분인 글씨 쓰기(handwnting), 철자(spelling), 작문(composition)을 설명하면서 실제 학습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전략들을 간단히 소개할 것이다. 이러한 쓰기 학습 방법들을 실제 쓰기 수업에 이용한다면 학생들의 쓰기 학습에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사려 된다.
서비스분야 외국인투자의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관광업분야 외국인투자기업의 마케팅활동의 전시효과를 중심으로
이성봉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6 국제경영리뷰 Vol.20 No.3
외국인직접투자가 투자유치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아니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하는 연구는 그동안 제조업 분야를 대상으로는 많이 다루어졌지만 서비스 분야를 대상으로 경우는 많이 않았다. 본 연구는 외국인직접투자가 투자유치국에 미치는 스필오버효과를 서비스 분야에 대해서 확인한다는 목적을 갖고 수행되었다. 다국적기업의 우수한 선진적인 경영 방식이나 노하우의 국내기업에 대한 전시효과를 주목하고, 한국 관광업 분야에 대한 외국인투자기업들의 마케팅 활동의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분야 외국인투자의 전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 활동과 경영성과의 정의 관계, 외국인투자기업 경영성과의 우수성, 외국인투자기업의 마케팅 활동과 경영성과의 정의 관계 등 세 가지 가설이 동시에 성립할 경우 긍정적 파급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고 보고, 2002년부터 2006 년까지 5년 기간의 한국 관광업 분야 외국인투자기업과 국내기업에 대한 기업재무자료를 토대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마케팅 활동과 경영성과의 정의 관계와 외국인투자기업 경영성과의 우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확인이 되었지만, 외국인투자기업의 마케팅 활동과 경영성과의 정의 관계가 아닌 부의 관계가 확인되었다. 서비스분야 외국인투자의 국내기업에 대한 긍정적 전시효과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외국인투자기업의 성과가 국내기업의 성과에 비해서 우수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데이터에 대한 보완과 방법론의 정교화를 통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re are various economic effe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o the host economy. One of the positive effects of FDI is so called the 'demonstration effects' of foreign firms to domestic firms. The effects might exist and be great if the foreign invested enterprises demonstrate domestic firms their advanced management practices, which are proven to bring better performances, and so the domestic firms are eager to follow the practices. Most of prior studies related to these demonstration effects have been done mainly by treating them as a subordinate concept of the 'spill-over effects' of FDI, especiall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Unlike the well-known technology spillovers of FDI in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demonstration effects of advanced management practices of foreign invested enterprises in service industries might be more noticeable.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s to look for the featured demonstration effects of FDI in services sectors using the firm level data FDI in Korean tourism industry. The empirical analyses on the firms' marketing activities in Korean tourism industry show how the demonstration effects of FDI appear, and which conditions are important to maximize these effects.
이성봉 국립특수교육원 1999 특수교육연구 Vol.6 No.-
본 연구는 정서장애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일상생활에서 직접 관찰을 통해 수집하여 기능평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은 공격행동, 자해행동, 방해행동 등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정서장애 아동 3명이다. 문제행동 수집은 직접관찰 카드를 사용하였고, 분석은 기술과 유목화 단계를 거쳐 아동들의 문제행동 의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아동들의 문제행동 의도는 아동 1이 관심끌기와 구체물을 얻으려는 행동으로 나타났고, 아동 2와 아동 3은 도피와 구체물을 얻으려는 행동으로 나타나 문제행동 의도가 한 가지 기능만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들의 문제행동 상황은 관심끌기 행동이 독립과제, 그룹활동, 이동, 타인과의 대화, 기타 상황으로 나타났고, 도피행동이 과제 완성, 성인이나 동료의 부정적인 피드백, 좋아하지 않는 과제, 기타 상황에서 나타났고, 구체물을 얻기 위한 행동은 음식물이나 좋아하는 활동을 얻기 위한 상황에서 나타나 아동들의 문제행동이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능평가를 통해 나타난 아동들의 문제행동 의도와 상황 분석 결과에 따라 아동에게 맞는 적절한 기능적 의사소통 지도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rpose and the situation of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behavior disorders by using functional assessment. The subject were 3 children demonstrated aggressive, self-injurious, disruptive, and stereotypic hehaviors. The findings were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problem behaviors for subject 1 was to get attention and tangible items, whereas for subject 2 and 3 to escate and to get tangible items. Second, problem behaviors to get attention were displayed in doing independent work, participating group activities, transitions, and teacher's talking to another adults. The behaviors to escape were shown in completing a task, facing negative feedback of peers or adults, and performing a nonpreferred task. The behaviors to obtain tangible items were found in which the subject could get food or a favorite activity. The results suggest that problem behaviors shown by the behavioral disordered have more than one purpose and the behaviors display various situations.
이성봉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1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iveness of R&D tax incentive system in Korea in the age of global value chain restructuring after Covid-19 pandemic, and suggests some reform ideas for the R&D tax incentives. The GVC restructuring after Covid-19 pandemic challenges Korea to transform it’s economy into an more innovative power house.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untry’s innovative capacit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mote firms’ R&D activities, especially b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D tax incentives. This study finds out three problems of Korean R&D tax incentives. Firstly, R&D tax incentives in Korea focus on only input side of R&D activities. Secondly, they don’t provide enough choice sets for companies, as main incentives are only tax credits for R&D expenditures. Thirdly, there are too big differences in R&D tax credits by the firm size. Large firms can enjoy tax credit too much less than small and midium enterpris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ree reform ideas on R&D tax incentives in Korea. First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atent box system, which promotes more R&D activities by providing corporate income tax cut for the business income from intellectual properties. Secondly, the adoption of R&D expenditure allowance system is needed to increase the flexibility of firms R&D activities. Thirdly, this study suggests decreasing the gap of R&D tax credit ratio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밸류체인(GVC)의 안정성이 중요시되면서 공급망을 자국내 또는 지역내에서 완결하려는 노력을 증가하면서 GVC는 지역가치사슬 및 국가가치사슬 구축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GVC 재편은 우리 경제에 소재・부품・장비분야에서 국내 완결형 공급망 강화 및 혁신역량 강화라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에 대한 조세지원의 효과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이후 GVC 재편 관점에서 현행 연구개발 조세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토한 결과 현행 연구개발 지원세제는 세 가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연구개발의 투입측면에 집중되어 있어 성과지향적 연구개발활동을 유인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둘째,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수익성 악화 및 유동성 문제는 세액공제방식 중심의 지원제도로는 지속적 연구개발활동의 수행을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연구개발 세액공제율이 기업규모에 따라 지나치게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투자여력이 있는 대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유인이 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활동 조세지원과 관련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연구개발활동의 산출물인 특허권과 같은 지식재산권을 사업화하여 발생하는 소득에 대해서 조세감면을 제공하는 특허박스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의 연구개발계획의 선택지를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연구・인력개발준비금 제도를 한시적으로 재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셋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제율 차이를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율에서 제시된 2배를 넘지 않는 범위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이성봉 통일신학교 1998 원리와 신학 Vol.2 No.-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자아(self 또는 ego)에 관한 이론을 개관한다. 둘째, Erikson의 ego-id-entity 이론을 고찰한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의 가능성을 찾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