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조조정 세제의 조세회피유인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혜원 한국조세법학회 2017 조세논총 Vol.2 No.2

        구조조정 세제의 도입취지를 정부는 구조조정의 걸림돌을 제거하여 원활한 기업구조조정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하고 있으며, 세제의 목표를 과세중립성 확보 및 형평성 제고로 들고 있다. 또한 기존 많은 연구들에서도 구조조정 세제의 기저로 조세중립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구조조정 세제가 갖는 태생적인 한계인 거래의 복잡성 및 거래구조의 다양성은 당초부터 조세중립성을 구현하기 어렵게 하고, 오히려 정부는 과세를 이연하기 위한 도구로 부분적으로만 조세중립성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완전한 조세중립성이 확보되지 않은 이상 납세의무자는 경제적으로 유리한 구조조정 전략을 계획할 것이며, 특히 구조조정 거래의 상당부분이 특수관계자간 거래로 거래 시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과세특례의 선택조항 등으로 납세의무자가 구조조정을 조세회피 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조정 과세체계의 조세회피 관점에서 문제점 및 한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조정을 통하여 조세절감이 발생되었으나 법 문언이 정한 테두리 내에서는 문제가 없었던 여섯 가지 사례를 제시하였다. 사례는 합병시 이월결손금 승계 문제, 적격물적분할시 시가승계 문제, 구조조정으로 인한 미실현손익 남용 문제, 포합주식에 대한 합병신주 교부시 손금 인정 문제 및 소득변경 목적의 구조조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현행 구조조정 세제 체계 하에서 구조조정이 조세회피유인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별 거래유형별로 세제를 수정하는 것이 어려워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들로서, 구조조정 세제가 특정 거래형태별로 형식적인 요건이나 법문을 세밀하게 수정·보완 하는 것만으로는 조세회피방지를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구조조정 세제의 조세회피방지에 대한 대안으로 기존 다른 연구들에서 제시한 포괄적인 조세회피방지규정의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입법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구조조정 조세절감 사례를 통하여 구조조정 세제가 갖는 조세회피 관점에서의 태생적인 한계를 확인하고 대안으로서 법령의 세부적인 개정 보다는 구조조정 세제에서의 별도의 포괄적인 조세회피방지규정 도입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What would be the main purpose of Taxation of Corporate Reorganizations? The government states that the support of tax payer’s reorganization process by eliminating the obstacle to reorganization is the main purpose while the securement of tax neutrality and the improvement of fairness is the objective of such taxation. Furthermore, the tax neutrality is also presented and used as the base of Taxation of Corporate Reorganizations in prior studies. However, due to the inherent limitation of Taxation of Corporate Reorgani- zations such as complexity of transaction and diversity of transaction structure, ensuring of absolute tax neutrality is not possible. For that reason, it seems that the government has partially applied the concept of tax neutrality in order to defer taxation. Thus, unless the absolute tax neutrality is to be ensured, due to the nature of reorganization transaction such as the availability of related party transactions and right to choose only if favorable relevant special tax treatment, it would be unavoidable for the tax payers to use the reorganization as tax avoidance strategy. In this study, six cases of tax saving through reorganization were presented in order to analyze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ax avoidance in Taxation of Corporate Reorganizations. Cases are related to the issues on i) succession of NOL(Net Operating Loss) carryforwards at the time of Merger, ii) succes- sion of market value at the time of qualified Qualified Physical Corporate Division, iii) abuse of unrealized profit and loss due to reorganization, iv) recognition of tax deduction at the time of issuance of merger new stocks on combined-stocks, and v) reorganization for the purpose of income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ed cases are that they are difficult to revise current taxation by individual transaction types, even though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ax avoidance effect is generated by abusing the Taxation of Corporate Reorganizations structure. Through this case study, it is demonstrated that the continuous amendment of formal requirements in details and complementary actions of current pro- visions would still have the limitation in prevention of tax avoidance due to complexity of reorganization transaction.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Comprehensive Provision for Prevention of Tax Avoidance (substantial require- ments rule), which were introduced in prior studies, has been suggested and the relevant statute has been proposed as the solution for tax avoidance in Taxation of Corporate Reorganiz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view that it proved the specific cases as a basis for the need of introducing Comprehensive Provision for Prevention of Tax Avoidance in the Taxation of Corporate Reorganizations, which has been presented in prior studies, and that it proposed the statute as a practical measure.

      • KCI등재

        조세심판의 심리기준과 결정의 범위

        박종호(Park, Chong-Ho) 한국조세법학회 2017 조세논총 Vol.2 No.1

        「국세기본법」 상 조세심판에 있어 심리기준은 납세자 권리구제의 기본이념과 원칙적 직권심리주의에 비추어 총액주의를 취하되 그 재결을 위한 조사에 있어서는 쟁점주의적 운영이 바람직하다. 결정처분과 경정처분의 법률관계는 「국세기본법」 제22조의2에 대한 문리해석, 이론적 논거 및 입법취지 등을 감안하여 한정흡수설을 지지한다. 다만, 과세 당국은 이러한 한정흡수설이 적용됨을 일반 납세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언을 정교하게 가다듬어야 할 필요성은 있다. 심리원칙은 불고불리의 원칙,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자유심증주의에 입각한 사실판단 등이 합리적이고 합목적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한편, 조세심판의 이행결정에 있어서는 「국세기본법」 상 「행정심판법」 제32조 제5항과 같은 처분재결에 관한 규정이 없다. 조세심판원은 처분청에 대하여 일반적 감독권이 없는 제3자적 기관이므로 의무이행을 구하는 심판청구가 이유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때에도 직접 필요한 처분을 행할 수는 없고 처분청 또는 부작위청으로 하여금 거부처분이나 부작위의 바탕이 된 신청에 따른 필요한 처분을 하도록 명하는 결정을 하여야 할 것이다. 재조사결정은 대법원의 판결과 「국세기본법」의 개정으로 심판결정의 한 유형으로 인정하였으나 그 관계행정청의 기속력에 대하여는 여전히 불분명하므로 「국세기본법」 제80조에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언급하는 것이 입법취지에도 부합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제도운영의 묘를 살리는 것이므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권리구제제도를 구축하여, 관련 법률조항을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 입법미비 또는 불비로 말미암아 납세자의 권익이 침해되는 것을 예방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examination standard upon tax tribunal should be run in the form of gross amount basis by reflecting the basic ideology of relief of taxpayer’s right and the principle ex officio trial examination but regarding its inspection for judgment, it is desirable to run the limitation on the point at issue principle. For the legal relation of decision and rectification, the restricted absorption is supported by considering literally interpretation in accordance with clause 2 of article 22 of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theoretical grounds and; the purpose of legislation. Still, it is necessary that taxation authorities should elaborate words for taxpayers to easily understand the application of the restricted absorption. Examination principle should facilitate rational and purposive application of Nemo iudex sine actore; Verbot der reformato in peius and fact judgment based on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On the other hand, decision for implementation of tax tribunal does not have a regulation for disposition decision as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has clause 5 of article 32 of administrative trial act. The tax tribunal is a third-party organization which does not have general supervisory power over a disposition agency so even in a case that it is acknowledged a request for trial that seeks implementing obligation has a good reason, it cannot directly perform necessary disposition but it should make a decision to order a disposition agency or one of nonperformance to take disposition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a request which served as a basis of refusal disposition or nonperformance. Decision for re-inspection has been acknowledged as a type of adjudication with decisions of Supreme Court and revision of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but the effect of sentence of relevant administrative authorities is still in doubt so it would agree with the purpose of legislation to mention a minimum guideline on article 80 of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make the best use of system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 for relief of right should be established and relevant legal provisions should be elaborated in order to prevent infringement on rights and interests of taxpayer incurred due to incomplete or defective legislation.

      • 조세의 징표로서의 담세력

        이전오 한국조세법학회 2016 조세논총 Vol.1 No.1

        In most cases, taxation aims to serve as a source of government revenue for running a country. Here, the subject of taxation is the ‘ability-to-pay’, such as income, consumption, and properties. Taxation may also be imposed for the purpose of government policies, such as business cycle policy, encouraging or discouraging economic activity, and redistribution of wealth. In such cases where taxation is imposed for the purpose of certain economic or social policies, can taxation be imposed regardless of the ability-to-pay? The answer is no. The ability-to-pay is the minimum necessary standard of taxation and therefore, taxation in our constitutional system should not be imposed to those without the ability-to-pay. Any tax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purpose is in creating government revenues or not, should be based on the ability-to-pay. Imposing taxes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or punishing a certain action to taxpayers without the ability-to-pay and thereby placing them at a disadvantage in their ownership or exercise of properties, should not be allowed. Strong needs in taxation policy does not justify the establishment of a tax system that is against the constitution or the principle of taxation. The nature of taxation does not lie in the regulation or punishment of unethical or antisocial actions. Therefore, however fair the purpose of legislation for achieving policy goals may be, the form or contents of tax laws used in the process should not be against the constitutional ideology or the principle of taxation. 조세는 국가의 구성원인 국민이 그 대표자를 통하여 국회에서 만든 법률에 따라서 국가의 유지・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공평하게 납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조세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그 운영에 필요한 재정 수입을 얻을 목적으로 부과된다. 이 때 조세의 부과대상이 되는 것은 소득・소비・재산 등의 담세력이다. 나아가 조세는 경기조절, 경제활동의 조장 또는 억제, 부의 재분배 등의 정책적 목적을 위하여 부과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세가 경제적・사회적 특수정책의 실현을 위하여 부과될 때에는 담세력과 무관하게, 즉 담세력이 없더라도 부과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담세력은 조세의 최소한의 징표이므로, 담세력이 전혀 없는 곳에 조세를 부과하는 것은 우리 헌법체계에서는 허용하여서는 아니된다. 조세는 재정수입 목적을 위한 것이든 아니든간에 모두 담세력을 기초로 하여야 한다. 담세력이 없는데도 특정행위를 제재 내지 처벌하기 위하여 조세라는 이름으로 납세자에게 재산상 불이익을 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조세는 어디까지나 중립성을 유지하면서 재정수입의 충족이라는 고전적 사명에 충실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조세정책적인 조세가 불가피한 경우에도 정책적인 목적은 부수적인 데에 머무르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재정적인 목적은 전혀 없이 즉, 담세력과의 최소한의 연관성도 없이 오로지 정책적인 목적만으로 부과되는 조세는 명칭만 조세일뿐 헌법상 허용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요컨대, 조세정책상의 필요가 절실하다고 하여 헌법 및 조세법의 원리나 체계에 어긋나는 조세제도를 창출할 수는 없다. 조세의 본질이 비윤리적・반사회적 행위에 대한 제재나 처벌이 아닌 만큼,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입법취지가 아무리 정당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실천하기 위한 조세법률의 형식이나 내용이 헌법 이념 및 조세법 원리에 어긋나서는 아니된다.

      • 실질과세원칙의 적용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대법원 2012.1.19.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신용주 한국조세법학회 2018 조세논총 Vol.3 No.2

        실질과세의 원칙은 조세법률주의에 의하여 의회를 통과한 조세법이 규정한 내용에 의하여 조세를 부과할 때에 과세대상이 되는 소득 · 수익 · 재산행위 또는 거래의 귀속이 사실상 귀속 되는 자가 따로 있을 때에는 사실상 귀속되는 자를 납세의무자로 하여 세법을 적용하는 귀속자에 대한 실질과세의 내용과 부과의 대상이 되는 소득 · 수익· 재산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이나 형식에 관계없이 그 실질에 따라 과세한다는 과세대상의 실질적 과세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실질과세의 원칙은 조세법률이 규정하고 있는 부과요건을 충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래의 명칭이나 형식을 달리함으로써 과세되지 않는 불공평을 제거하여 과세대상으로 파악하여 과세하는 적극적인 역할과 조세법이 규정하고 있는 과세요건의 내용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세하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소극적인 역할이 있는 바 실질과세의 원칙을 해석적용 함에 있어서 적극적인 면에 치중하면 그 과세대상 범위를 확대하여 조세법률주의에 의하여 법적 안정성과 예칙가능성을 보장하려는 기능을 전혀 무시하는 이른 바 조세법률주의의 형해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법원 2012.1.19.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은 모 회사인 (甲)이 100% 출자한 자회사인 (乙) 및 (丙)이 투자한 손자회사인(丁) (戊)회사의 주식을 한 주도 가지고 있지 아니하고 (乙)과 (丙)이 법인격이 부인되는 법인이 아님에도 불과하고 모회사인 甲이 자회사인 (乙), (丙)을 통하여 손자회사인 (丁) 및 (戊)의 경제적 효과를 누린다 하여 모회사인 (甲)에게 (丁), (戊) 회사의 부동산을 간주 취득한 것으로 보아 간주취득세를 부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판결은 조세법률주의와 실질과세원칙이 상호보완적이고 불가분적인 관계에 있다하여 실질과세의 원칙에 대하여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법률에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세형평을 위하여 예칙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합목적적이고 탄력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조세법률주의의 형해화를 막고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하는 입장에 있는 것이라고 변명하나 거꾸로 모 회사가 자회사에 100% 투자하였으나 자회사가 다시 투자한 손자회사의 주식은 한 주도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모 법인을 과점주주로 보아 손자회사 소유 부동산을 과점주주가 취득한 것으로 보아 간주 취득세를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고 있어 조세법률주의를 전형적으로 형해화하는 판결로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조세법률주의는 형법에 있어서 죄형법정주의와 더불어 납세자의 기본권인 인권과 재산권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조세법에서 과세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를 해석적용 하는 것이고 의회를 통과한 조세법률의 실질적인 내용이 무엇이냐를 파악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조세법률에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조세평등을 위하여 과세할 수 없는 것처럼 조세법에서 과세요건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질이 동일하다고 보아 과세하여야 한다고 하는 것은 실질적 법치국가의 실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허용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결국 조세법률주의하에서 실질과세의 원칙은 납세자의 재산권 보장을 위한 조세정의의 실 ...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s classified by the substantial tax of following taxable subjects: income, profit, or property that could be a subject when the tax is imposed by the tax law, which has passed the congres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or if there is a separate person who will be vested in income, profit, or property from a transaction will be selected as a taxpayer and must pay for related tax irrespective of the title or the form.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divides to either an aggressive role that would impose people who try to avoid tax by changing the title of transaction or the format, or a passive role that needs to solve the issue of taxing people who actually do not qualify under the tax requisition. If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focuses on an aggressive role, it may completely ignore the role of legal stability and not guarantee the possibilities of orders under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this may cause the problem that would lead to the titular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En banc judgment of the case number 2008 Do 8499 in January 19, 2012 from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Company A, a parent company, has reasonable responsibility to levy deemed acquisition tax, because although Company A doesn’t have any stock of Company B- a subsidiary company that Company A invested completely - and Company D and E, - affiliated company of Company C - Company A deemed property acquisition of Company D and E, stating that Company D and E has made economical effect through Company B and C even though Company B and C are not qualified as an incorporation company. But the judgment authorized assertively towards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because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and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are in complementary and inseparable relationship. Thus, the judgment can be justified that it will prevent to become a titular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even there isn’t any related regulation in the law, and secure effectiveness with teleological and flexible interpretation for the equity in taxation, within the range of not defaming legal stability and possibility of order. On the other hand, the judgment stated that it’s reasonable to levy deemed acquisition tax to a parent company, which was counted as an oligopolistic stockholder in this case, because it deemed property acquisition of an affiliated company, even if a parent company invested 100% to a subsidiary company, but doesn't have any stock of affiliated company that a subsidiary company invested. This judgment causes a serious problem of turning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ineffective.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in criminal law protects civil rights of taxpayer and property rights, along with the principle of legality: it verifies what the tax law requires for tax requisition, and applies to substantive contents of the tax law that passed the congress, after understanding the contents. As tax can’t be imposed for tax equality even there isn’t any regulation in tax law, it is unacceptable to impose the tax because substances count as same and even the tax law doesn’t regulate as tax requisition; this inhibits realization of law-abiding country. Thus,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under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is a realization of tax justice to guarantee property rights of taxpayer.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s the general principle of foundation of law; it’s obviously inhered value concept in the law itself. Formally, the principle is regarded as appropriate as an effective method to work as passive role, in order to solve the contrast between the justice and application analysis of the law. Therefore, this judgment from the supreme court shows five problems. First, it’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is case and applying economical substance from economical obser...

      • KCI등재

        조세법의 해석방법에 관한 대법원 판례의 검토 : 대법원 2008.2.15. 선고 2007두4438 판결을 중심으로

        김완석(Kim, Wan Suk)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4

        대법원은 대상판결에서 조세법의 해석 및 목적론적 해석의 법리에 관하여 “조세법률주의의 원칙상 조세법규의 해석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문대로 해석하여야 하고 합리적 이유 없이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지만, 법규 상호 간의 해석을 통하여 그 의미를 명백히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조세법률주의가 지향하는 법적 안정성 및 예측가능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입법 취지 및 목적 등을 고려한 합목적적 해석을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할 것이다.”고 설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판례의 태도는 지금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대법원 판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엄격해석의 원칙은 문리해석방법에 우선적 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 있는 해석을 위하여 필요한 목적론적 해석방법 등을 무력화시키고, 결과적으로는 구체적 타당성과는 괴리된 판결을 양산할 우려가 있다. 모든 조세법규의 해석은 법률문언의 언어적 의미가 법 해석의 출발점을 이루기는 하지만 문리해석방법에 그치지 않고 역사적 해석・체계적 해석 및 목적론적 해석방법이 모두 동원되어야 하며, 이 경우 각 해석방법 간에는 우열관계나 우선관계를 인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둘째, 조세법규의 해석은 법문대로 엄격하게 해석하여야 하지만, 예외적으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합리적 이유가 있는 경우 또는 법규 상호 간의 해석을 통하여 그 의미를 명백히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그리고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또는 법문의 가능한 의미 안에서 목적론적 해석을 한다고 판시하고 있다. 조세법의 해석에 있어서 목적론적 해석이 필요한 경우와 그 한계에 관하여 불확정적이고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추상적인 문언으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확립된 기준에 따라 조세법을 일관성 있게 해석함으로써 납세자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하는 데에 좀 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조세법의 해석이 어려운 이유 중의 하나로서 입법자의 정교하지 못한 입법을 들 수 있다. 입법상의 흠결이나 오류 등은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조세법의 해석을 더욱 어렵게 하며, 납세자의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쟁송의 증가를 가져오는 요인이 됨으로써 행정력의 낭비와 납세협력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조세법상 어떤 제도를 도입하거나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규정을 신설하거나 종전의 규정을 개정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충분한 연구와 준비가 필요하고, 조문작업에도 전문가의 자문을 거치는 등 더욱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Regarding the legal principle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and the objective interpretation, the Supreme Court said in the ruling concerned, “As a matter of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the law, the provisions of the tax law shall be interpreted based on the text unless special circum- stances exis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expansively or by analogy without any rational grounds, but if it is necessary to clarify its meaning through mutual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tax law, it is inevitable to interpret them objectively taking into account the legislative intent and purpose, etc. to the extent of not harming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 bility that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the law pursues, and the Court has so far maintained such an attitude in its cases. However, such cas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doctrine of strict interpretation may produce ruling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specific validity by neutralizing the objective interpretation, etc. necessary for securing specific validity by giving priority to the gram- matical interpretation method. Although the linguistic meaning of all the provisions of the tax law is the starting point for interpretation, the historical, the systematic and the objective interpretation methods should be employed as well as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and it is not reasonable to acknow- ledge superior or preferential relations between each interpretation method. Second, the Court judges that the provisions of the tax law shall be strictly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text, but the objective interpretation is allowed only if there is a special circumstance, a rational ground, or a need to clarify its meaning through mutual interpretation of the law, and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harm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that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the law pursues. It would be desirable to present more specific and practical standards rather than insisting on abstract texts that are indefinite and unclear in meaning regarding when the o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is needed and its limitation. And more efforts need to be made to ensure the predictability of taxpayers by consistently interpreting the tax law according to established criteria.

      • KCI등재후보

        현행 조세법의 구조론적 해설

        남두희(Nam doohee) 한국조세법학회 2020 조세논총 Vol.5 No.4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그 목적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원을 조세를 통하여 조달한다. 국가가 국민에게 조세를 부과·징수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재산권이 침해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헌법은 조세의 종목과 세율은 법률로 정한다는 조세법률주의 원칙을 선언하였다. 따라서 국세에 관하여는 「국세기본법」과 13개의 세목마다 각 1개의 법률이, 지방세에 관하여는 「지방세기본법」과 9개의 보통세와 2개의 목적세를 규정한 지방세법이, 관세에 관하여 「관세법」이 각 제정되었다. 학문으로서 조세법학은 조세에 관한 법 전체에 관하여 체계적·이론적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법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세법학이 독립된 법률학의 일분과로 연구되고, 교육의 대상으로 된 것은 그렇게 오래된 일이 아니다. 미국과 독일의 경우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이고 일본에 있어서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이고,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이후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조세법을 바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인 구조(얼게, mechanism)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하여 논의가 필요하다. 많은 조세법을 유기적으로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과세권자와 납세의무자 사이의 조세법률 관계를 기본과정과 선택과정으로 나누고, 기본과정에는 1. 조세채무의 성립과정, 2. 조세채무의 확정과정, 3. 조세채무의 이행과정, 4. 조세채무의 소멸과정, 5. 조세채무의 정산과정으로, 선택과정에는 1. 세무조사과정, 2. 조세채무자의 권리구제과정(조세쟁송), 3. 조세채무자에 대한 제재(制裁)과정으로 나누어서 이론의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기본과정은 조세법률관계에 기본적으로 거치는 과정이라면 선택과정은 과세권자나 납세자의 선택에 의하여 거치게 되는 예외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obtain the necessary funds to carry out their purposes and functions through taxatio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declared the principle of tax legalism that the items and rates of tax are determined by law because there is a risk that the property rights of people will be infringed upon in the process of imposing and collecting tax on the people. Therefore,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One Law for each of the 13 tax types of National Tax and the Framework Act on Local Taxes and the Local Tax Act which prescribes 9 ordinary taxes and 2 objective taxes, and Customs Act were enacted. As an academic, tax law can be said to be a law study aimed at systematic and theoretical research of the entire law on taxation. It is not such a long time that tax law has been studied as a branch of independent law and has been the subject of educatio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are after World War I and Japan is after World War II and in Korea after the 1960s. Discussions are needed on how to do with the theoretical structure (mechanism) that can be applied and easily understood by many tax laws in our country. In order to understand many tax laws easily and uniformly, the tax law relationship between taxable rights holders and taxpayers are divided into the basic processes and the selective processes. And The basic process are 1. The establishment of the tax liability ; 2. The determination of the tax liability ; 3.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tax liability ; 4. The process of the extinction of tax liabilities. 5.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tax liabilities. The selection process are 1. Tax investigation process; 2. Tax relief process for tax payer; and 3. Tax sanction process against tax payer. If the basic process are basically the process of tax legal relationships, the selection process are an exceptional process that is made by the choice of taxation authority or taxpayer.

      • KCI등재

        공익법인 공익성과 조세균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공익성, 조세혜택 중심으로

        홍태화(Tae hwa Hong)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4

        민간 공익법인들이 국가가 감당해야할 공익사업의 일정부분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익법인을 통한 조세회피 수단이나 부의 세습 수단으로 악용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 이유로는, 첫째, 공익법인 설립허가가 행정관청의 재량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되고 세무상 공익법인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공익활동의 성과에 따른 조세형평성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세무상 공익법인의 공익성과 투명성 평가를 통하여 공익법인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그에 합당한 조세혜택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조세법상 공익법인의 공익성과 조세혜택에 대한 고찰을 하고 해외 주요국가의 조세법을 검토하여 조세법상 공익법인 체계구성과 공익성 검증 평가방법 공익성에 따른 과세 형평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법, 공익법인법, 법인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다양하게 열거된 공익사업의 범위를 조세법상 공익법인의 형태로 재구조화하여 국세조세법에 일원화하고 타 세법에서 인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새로운 명칭은 “조세비영리단체”, “조세비영리법인”, “조세공익법인”으로 정하고 법인을 평가하여 일정점수이상을 얻으면 상위법인으로 승급하고, 일정점수 이하를 받으면 하위법인으로 강등하는 방안을 제언 하였다. 둘째, 세무상 공익법인에 대한 공익성 평가기준과 평가 계산방법을 제시하여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공익법인의 등급을 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새롭게 구성된 공익법인별로 조세 혜택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① 조세비영리단체는 고유목적사업에 대하여 비과세하도록 하고, 수익사업에 대해서는 영리법인과 동일한 법인세율을 적용하도록 한다. ② 조세비영리법인은 고유목적사업비과세, 부가세면제, 이자・배당수입 환급가능, 수익사업 과세하되 법인세율을 인하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③ 조세공익법인은 고유목적사업비과세, 부가세면제, 이자・배당수입 면세, 수익사업이라도 공익목적사업이라면 면세, 기타 수익사업에 대한 고유목적전입액 100% 손금인정 등의 세제혜택, 최저의 법인세율 적용, 주식취득에 대한 한도 증대와 영국에서 시행하는 레거시제도를 도입하여 조세공익법인에 상속 재산 중 10% 이상을 기부하는 기부자에게 나머지 재산에 대한 상속세 10%를 감면해주도록 하여 조세공익법인에게 좀 더 많은 혜택을 강화하여 공익성에 따른 조세혜택을 주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공익법인의 공정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이 있으나 정성적인 평가와 선언적인 평가에 그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실무적으로 세무상 혜택을 부여하기 위한 공정성과 투명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방법을 구체적으로 수치화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따라서 공익법인의 정량적인 평가를 통하여 조세법상 공익법인을 구분하였고, 공정성과 투명성에 따라 세제혜택을 차별화 하도록 새로운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fact that private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re in charge of a certain part of public works that the state has to bear, they are criticized for being abused as a means of tax evasion or wealth inheritance through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first, permission to establish a public interest corporation is decided by the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and tax equit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public interest activities has not been properly achieved because the boundaries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re unclear for tax purpo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by stage through the evaluation of public interest and transparency for tax purposes, and to differentiate appropriate tax benefi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examines the scope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under the domestic tax law and evaluation of public interest, and proposes a new proposal by studying advanced foreign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posed to restructure the scope of public services listed in various ways in the Civil Act,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t, Corporate Tax Act, and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o define a definition in the National Tax Act and quote it in other tax laws. The new name will be “tax non-profit organization”, “tax non-profit corporation”, and “tax public interest corporation”. In the evaluation of corporations, if it gets a certain score or higher, it will be promoted to a higher corporation, and if it receives less than a certain score, it will be downgraded to a lower corporation. suggest Secon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calculation method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were presented to enable quantitative evaluation. Third, tax benefits for each newly formed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re proposed as follows. ① Tax non-profit organizations shall be exempt from taxation on their own purpose business, and the same corporate tax rate as that of for-profit corporations shall be applied to profit-making businesses. ② Tax non-profit corporations are subject to taxation of intrinsic business expenses, exemption from VAT, refundable interest/dividend income, and taxation of profit-making businesses, but reduce the corporate tax rate. ③ Tax benefit corporations apply tax benefits such as special purpose business expense taxation, value-added tax exemption, interest/dividend income tax exemption, tax exemption if a profit-making business is a public service project, 100% deduction for other profit-making projects, etc., and the lowest corporate tax rate , increasing the limit on stock acquisition and introducing the legacy system enforced in the UK to give a 10% reduction in inheritance tax on the remaining property to donors who donate more than 10% of their inherited property to a public tax corporation. Many benefits should be strengthened to provide tax benefits according to the public interest.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on the fairness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but they are limited to qualitative and declarative evaluations. In this paper, a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for fairness and transparency to provide tax benefits in practice can be specifically quantified. Therefore,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ax Act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nd a new evaluation method was proposed to differentiate tax benefits according to fairness and transparency.

      • KCI등재후보

        조세포탈행위 처벌절차에 대한 연구

        박정우,마정화 한국조세법학회 2019 조세논총 Vol.4 No.4

        Among the tax offenses, the prosecution of cell death is a serious crime that adversely affects the tax environment, such as a decrease in national treasury imports and a burden on faithful taxpayers, as well as distorting the transactional order caused by misconduct. Despite this importance and punishment, the effectiveness of punishment has been constantly questioned, even if the allegations of hematopoietic arrest were captured, the rate of implementation or punishment in criminal proceedings is very low. The real prosecution rate gap between tax cases and total criminal cases decreased from 20.1% p in 2010 to 2.0% p in 2017, but the real prosecution rate of tax cases is still lower than that of all criminal cases. In addition, the overall notice disposal rate is low around 50%, which may be considered because it is not prosecuted or advantageous than criminal proceedings proceeding even if the notice disposal is not implemented. The cause of this problem can be found in the investigation of tax offenses, and in the entire process of punishment of tax offenses.In order to clarify the crimes of crime,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rsonnel in charge or cooperate with the prosecutors, and increase the level of fines for notifying the non-criminal proceedings. It should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the system, such as mitigation, to increase the implementation rate of the notice disposal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secution rate and punishment. Furthermore, in order to clarify the necessity of prosecution of cell-cell offenses,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ax offense investig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ambiguity of “misconduct,” additionally proactively or passively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ncepts such as long-term expulsions or tax evasion. 조세범죄 중 조세포탈죄는 국고수입이 감소되고 성실납세자에 부담을 전가하는 문제 뿐만 아니라 부정행위로 인한 거래질서를 왜곡하는 등 납세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중대범죄이다. 이러한 중요성과 가벌성에도 불구하고 조세포탈의 혐의가 포착하더라도 형사절차로 이행하거나 처벌되는 비율이 매우 낮아서 처벌 실효성이 끊임없이 문제되어 왔다. 조세사건과 전체 형사사건의 실질 기소율 격차는 2010년 20.1%p에서 2017년 2.0%p로 상당히 감소되었으나, 여전히 조세사건의 실질 기소율이 전체 형사사건보다 낮은 상황이다. 또한 전반적으로 통고처분 이행률은 50%대 전후로 낮은데 통고처분을 이행하지 않았더라도 기소가 되지 않거나 형사절차가 진행되는 것보다 유리하기 때문인 점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조세범칙조사부터 조세범 처벌절차 전반에서 찾을 수 있는 바 범죄혐의를 확실히 입증할 있도록 담당인력의 전문성 제고 또는 검찰과의 공조체계를 강화하고, 비형사절차인 통고처분의 벌과금 수준을 완화하는 등 제도 취지에 맞게 운영하여 통고처분의 이행률을 높이면서 기소율과 처벌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조세범칙조사 절차의 출발점인 조세포탈죄의 성립여부 특히 “부정행위”의 모호한 요건을 명확화할 수 있도록 장기 제척기간 또는 조세회피와 같은 인접 개념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극적 또는 소극적 요건을 추가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후보

        세무대리인 보고의무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일(Kim, Byung-Il),두철(Doo, Cheol) 한국조세법학회 2020 조세논총 Vol.5 No.3

        본고는 일반적 조세회피방지규정(GAAR)과 상호보완책으로서 일부 국가에서 도입되고 있는 조세회피거래의 의무보고제도(MDR)에 관한 연구로 우리의 경우 동 제도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조세회피를 억제하고 조세회피행위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조세회피상품의 개발・판매 등에 종사하는 자 소위 조장자 및 그 상품을 구입한 투자자인 납세자로 하여금 과세당국에 보고의무를 지우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미 MDR을 도입하고 있는 주요국의 사례 등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DR 입법과정에서 헌법상 법치국가원리의 하나인 명확성 원칙에 위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MDR과 GAAR은 납세순응 측면에서 상호보완적이다. 따라서 MDR 도입시 어떤 거래가 조세회피행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명확히 나타내주는 GAAR을 정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GAAR을 MDR과 연계시키거나 연계시키지 않는 어느 방식도 가능하다. 셋째, 보고대상거래의 범위와 관련하여 동 거래의 기준 내지 징표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조세회피거래 MDR을 도입한 국가들의 경우 역외거래에 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모든 거래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나, 납세협력비용 등을 고려하여 역외거래와 연관된 국내거래나 국내거래 중 표준화된 금융상품으로 한정하는 안을 제안한다. 넷째, 보고대상세목은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상속・증여세 등 상대적으로 조세구조가 복잡한 국세를 대상으로 하되, 향후 지방세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보고의무자는 원칙적으로 일정 매출액 이상의 대형법인이나 일정한 수입 이상을 거두는 조장자로 하고,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예외적으로 납세자가 자체개발하거나 조장자가 해외에 있는 경우 등에는 납세자에게 의무를 지운다. 여섯째, 보고의무를 이행했다고 해서 해당 거래가 합법으로 인정받거나 불법으로 처벌되는 것은 아니므로 과세당국은 이러한 사실을 보고의무자에게 알려주어야 할 것이다. This manuscript is a study on the reporting system of tax avoidance transactions that is introduced by some countries as trade-off with general anti-avoidance rule(GAAR) on tax avoidance product. This scheme’ purpose restrains tax avoidance and to promptly cope with tax evasion activity, and burdens duty to report to taxation authorities on promotor who sells and develops tax avoidance product and taxpayer that purchases it. As this manuscript refers to example of main countries introducing mandatory discloure rule(MDR), it presents specific plan after reviewing challenge. Thus, improvement plan for this is set out as follows. First,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MDR, the concept definition should suitable for the principle of clarity which is one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Second, the MDR of tax avoidance transactions and GAAR are trade-off in term of tax compliance perspective. Thus, in case of introducing this system, it is important to judge whether a certain trade is GAAR’s tax avoidance transactions and this method does not need to be definite. Third, in relation to range of reportable transactions, there needs to arrange a sign or a standard of reportable transactions. As countries intro- ducing GAAR’s tax avoidance transactions don’t limit off-shore transactions, this range propers to be applied to all of transaction, but its rage needs to apply to be restricted as off-shore transactions being related local trade and local trade standardized financial product. Fourth, there needs to first apply to national tax and then local tax on reportable transactions. Fifth, a person liable for reporting basically set-ups large companies of more than certain sales or promotor of certain import, and then needs to gradually magnify subject of application. Sixth, since performing this duty is not that its transactions is legally valid or illegally punished, tax authorities should notify a person liable for reporting its fact.

      • 거래내용에 관한 실질과세의 원칙의 적용 범위-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김완석 한국조세법학회 2016 조세논총 Vol.1 No.1

        While form and substance match for transactions that are under the purview of taxation laws in general, due to the increasingly complicated economic structures and tax avoidance practices, this is not always true in practice. In such cases, if taxation is executed simply for the form and the appearance of transactions, those without taxable capacity or subjects without taxable capacity are taxed, which harms to fairness of the tax burden. under the principle of substance over form, the facts of tax requisition must be identified and taxation laws must be interpreted with the economic meaning and the actual practice as the standard. The principle is at the core of practice and realization of equality of tax burden principle, which is the base of all taxation laws. Over the substance and the economic substance of the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are all amorphous concepts, offices of taxation and taxpayers are in con- stant conflict over the application of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which is shaking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taxation laws. Since the Korean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08Du8499, Decided January 18, 2012, left the interpretation of “substance” as “economic substance,” the academia, courts, taxation offices, and elsewhere in the taxation profession have not been able to set a clear standard or stance on this issue. Moreover, taxation offices, which were empowered by the above Supreme Court decision, are expanding the amorphous concepts of substance and economic substance, in order to recharacterize transactions where possible to execute taxation. Meanwhile, the trends in legal precedents on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on transaction contents show that sham transactions theory is used to deny tax evasion. Sometimes, Clauses 2 or 3 of Article 14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re applied for the denial, or the courts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said clauses at all, which show that the standards for application of the law are not clear. The author of the current paper believes that consistent legal decisions based on clear and transparent standards will be able to secure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for taxpayers. Next, legislators must also enact special anti-avoidance rules (SAAR) in order to regulate undesirable tax evasion, and the Article 14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which is a general anti-avoidance rule (GAAR) should become more detailed in terms of the conditions of its appl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a separate GAAR article other than the Clauses 1 and 2 or Article 14 of the Framework Act must be enacted, which will include paragraphs that deny detour transactions and step transactions stated in Clause 3 of Article 14 of the Act, as well as other inappropriate and abnormal practices or transactions. Furthermore, the paragraph that denies such tax avoidance behaviors must elaborate the conditions of the its application. 조세법의 규율대상이 되는 거래 등은 형식이나 외관과 실질이 부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제구조의 복잡화와 조세회피현상 등으로 말미암아 때로는 거래 등의 형식이나 외관과 그 실질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순히 거래 등의 형식이나 외관을 기준으로 하여 과세를 행하게 되면 담세력이 없는 자 또는 담세력이 아닌 것에 과세하는 결과로 되어 조세부담의 공평을 해치게 된다. 실질과세의 원칙은 조세부담의 공평이 이루어지도록 경제적 의의 또는 실질을 기준으로 하여 조세법을 해석하고 과세요건사실을 인정하여야 한다는 원칙으로서 조세법의 기본원칙인 조세평등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원리이다. 그런데 실질과세의 원칙에서의 실질이나 경제적 실질은 모두 불확정개념이기 때문에 실질과세의 원칙의 적용을 둘러싸고 과세관청과 납세자간에 다툼이 계속되고 있고, 조세법의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이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대법원 2012.1.18.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하여 ‘실질’을 ‘경제적 실질’의 의미로 해석한 이래 실질과세의 원칙의 적용범위와 관련하여 학계, 법원, 과세관청 및 실무계 어디에서도 명확한 기준 또는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위의 대법원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에 힘을 얻은 과세관청은 불확정개념인 실질이나 경제적 실질이라는 불확정개념의 확장을 통하여 가능하다면 거래를 재구성하여 과세를 행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거래내용의 실질과세의 원칙에 관한 판례의 동향을 보면 특히 개별규정이 없는 조세회피행위를 부인할 때 그 부인의 근거와 관련하여 가장행위이론을 내세우기도 하고, 때로는 국세기본법 제14조 제2항 또는 제3항을 적시하기도 하여 그 근거나 기준이 혼란스럽다. 그리고 납세의무자의 특정한 행위 또는 거래가 국세기본법 제14조 제2항 또는 제3항의 적용대상이 되는 조세회피행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단기준도 명료하지 못하다. 납세의무자의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법원의 명확하고 뚜렷한 근거와 기준에 의한 일관성 있는 판결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입법자는 가능한 한 조세회피행위를 부인할 수 있는 개별규정을 두어 바람직하지 못한 조세회피행위를 규제하도록 하여야 하고, 일반조항인 국세기본법 제14조도 그 적용요건을 좀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세기본법 제14조 제1항 및 제2항과는 별개로 조세회피행위를 방지하는 일반규정의 조항을 신설하도록 하되, 그 신설하는 일반규정의 조항 안에 현행 제14조 제3항의 우회거래 및 다단계거래를 부인하기 위한 조항 외에도 부적합하고 이상한 형식의 행위나 거래를 통한 조세회피행위를 부인하기 위한 일반규정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세회피행위를 부인하는 일반규정의 적용요건을 좀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정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