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분석 모듈 개발 및 적용

        원창연(Chang Yeon Won),심인경(Inkyeong Sim),전환돈(Hwandon Jun),박종표(Jongpyo Park)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6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강우 시나리오에 대한 LID 해석이 가능한 디지털트윈 분석 모듈을 개발하였다.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모형은 강우입력 모듈, SWMM 기반 LID 해석 모듈, 저수지추적기반 LID 해석 모듈과 후처리 모듈로 구성된다. 개발된 모형에서 적용이 가능한 강우시나리오는 빈도별 확률강우량, 최근 10년간 일단위 기왕호우에 대한 모의가 가능하며 소유역별에 대한 강우-손실-유출결과와 총 LID 시설(5가지 유형)에 대한 유입-유출량 등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발된 LID DT 모형을 이용하게 되면 저영향개발 시설계획 단계에서부터 운영관리 단계까지의 일련의 과정에서 대상지역의 물순환 개선효과 및 수질 저감효과 등의 다양한 물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digital twin analysis module capable of LID (Low Impact Development) interpretation for various rainfall scenarios was developed. The low-impact development digital twin model consists of a rainfall input module, a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based LID analysis module, a reservoir tracking-based LID analysis module, and a post-processing module. Rainfall scenarios that can be applied in the developed model can simulate stochastic rainfall by frequency and daily heavy rainfall over the last 10 years. Additionally, the results of rainfall-loss-outflow for subwatersheds and inflow-outflow for total LID facilities (five types) are provided. If the LID DT (Digital Twin) simulator developed in this way is used, various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the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and water quality reduction effects in the target area can be provided in a series of processes from the low-impact development facility planning stage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tage.

      • KCI등재

        듀얼 조향구동 장치를 갖는 포크리프트 타입 무인운반차(AGV)의 개발

        원창연(Chang-Yeon Won),강선모(Seon-Mo Kang),남윤의(Yoon-Eui Nahm)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21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4 No.4

        Automated Guided Vehicle (AGV) is commonly used in manufacturing plant, warehouse, distribution center, and terminal. AGV is self-driven vehicle used to transport material between workstations in the shop floor without the help of an operator, and AGV includes a material transfer system located on the top and driving system at the bottom to move the vehicle as desired. For navigation, AGV mostly uses lane paths, signal paths or signal beacons. Various predominant sensors are also used in the AGV.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GV, there is a problem of not turning or damaging nearby objects or AGV in a narrow space. In this paper, a new driving system is proposed to move the vehicle in a narrow space. In the proposed driving system, two sets of the combined steering-drive unit are adop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prototype of AGV with the new driving system is developed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onventional AGV.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new driving system in the maximum speed, braking distance and positioning precision tests.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우울증상 정도에 따른 수면 양상

        원창연,이승희,소민아,이진성,정도언,Won, Chang-Yeon,Lee, Seung-Hee,So, Min-Ah,Lee, Jin-Su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7 수면·정신생리 Vol.14 No.2

        목 적: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흔한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우울증상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폐쇄성 무호흡증의 진단에는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일차적으로 사용하나 현실적인 제한점으로 인하여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의 보조적인 이용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남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 및 활동기록기를 이용하여 얻은 수면 변인들을 비교하고, 여러 수면변인과 우울 증상 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수면 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수면의학센터에 의뢰된 264명을 일차 대상군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한국판 엡워스 졸림증 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Korean version, 이하 ESS-K)와 벡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이중에서, 다른 내외과적 질환 및 수면 장애가 없으며, 호흡장애지수가 5 이상인 남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최종 대상군으로 하여, 총수면시간, 수면 효율, 입면 잠복기, 호흡장애지수 등의 수면 변인을 BDI로 산출한 우울증상 정도와 비교하였다. 결 과: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46.1{\pm}13.1$세였으며, ESS-K 점수는 평균 $10.9{\pm}4.7$, BDI 점수는 평균 $12.8{\pm}8.1$로 나타났다.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로 얻어진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 입면잠복시간 등의 수면 변수들은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호흡장애지수와 BDI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주관적인 우울증 정도가 높은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총 수면시간과 수면효율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관적인 우울증 정도가 높은 군에서 주간 졸림증 정도와 호흡장애지수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이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우울증상과 수면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울 증상과 수면 무호흡증상 간의 상관관계는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우울감이 심한 군에서 총 수면시간과 수면 효율이 낮아 수면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울감이 심한 군에서만 주간 졸림증 정도와 호흡장애지수와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어, 주간 졸림증 등의 임상 증상을 평가하는 데 있어 우울증상의 검토가 필요하다.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the most common form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often presents with comorbid depressive symptom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 parameters as measured by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and simultaneous wrist actigraphy. Methods: Two hundred sixty-four subjects with clinically suspected cases of OSAS underwent one-night polysomnography, while simultaneously wearing a wrist actigraphy device. They also completed two questionnaires;the Epworth Sleepiness Scale-Korean version (ESS-K)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Of the cases studied, 105 subjects were proven by NSPG to have OSAS without other sleep disorders. NPSG and wrist actigraphy data from the subjects were analyzed. Pearson correlation and paired t-test were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parameters. Results: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6.1{\pm}13.1$ years. Means of the ESS-K score and BDI scores were $10.9{\pm}4.7$ and $12.8{\pm}8.1$, respectively. NPSG sleep parameter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ose of wrist actigraphy. There was no correlation found between subjects'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and BDI scores. When directly comparing sleep parameters between subjects who were more depressed versus subjects who were less depressed, both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were decreased in the more depressed. A correlation between RDI and ESS-K scores was also found in the more depressed group. Conclusions: Although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RDI and depressive symptoms, there are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leep parameters between subjects who are more depressed versus those without depression. We recommend that patients with depression should also be evaluated for clinical symptoms of OSAS.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수면 양상 특징

        김석주,류인균,원창연,정도언,Kim, Seog-Ju,Lyoo, In-Kyoon,Won, Chang-Yeon,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6 수면·정신생리 Vol.13 No.1

        배 경:이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의 취침시각, 기상시각, 취침시간을 평일과 휴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 학년이 한국 대학생들의 취침시각, 기상시각, 취침시간, 평일-휴일 간 수면 차이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방법:한국내 4년제 대학 12개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평일과 휴일의 수면양상을 설문 조사하였다. 총 1,825명(여자 1,416명, 남자 409명, $18{\sim}30$세, 평균 연령 $21.1{\pm}2.2$세)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한국 대학생들은 평일보다 휴일에 50분 늦게 취침하고(평일 00시 49분;휴일 01시 40분;t=39.67, p<0.001), 1시간 58분 늦게 일어나며(평일 07시 52분;휴일 09시 50분;t=39.46, p<0.001), 1시간 8분 더 오래 취침하였다(t=13.33, p<0.001). 남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이 평일과 휴일 모두에서 일찍 자고(t=7.10, p<0.01;t=6.04, p<0.01), 일찍 일어나며(t=8.96, p<0.01;t=3.89, p<0.01), 평일 취침시간이 적었다(t=1.99, p<0.01). 또한, 여학생들에서 남학생들에 비해 휴일의 기상시각이 더 연장되고(t=3.41, p<0.01) 취침시간이 더 증가하였다(t=3.68, p<0.01). 학년이 증가할수록 평일 취침시각, 평일 기상시각, 휴일 취침시각이 느려졌고(${\beta}=0.1009$, p<0.01;${\beta}=0.1022$, p<0.01;${\beta}=0.1096$, p<0.01), 휴일 취침시간이 줄어들었으며(${\beta}=-0.0990$, p<0.01), 휴일과 평일의 기상시각 차이나 취침시간 차이가 줄어들었다(${\beta}=-0.0906$, p<0.01;${\beta}=-0.1115$, p=0.02). 결론:한국 대학생들은 평일에 비하여 휴일에 취침시각과 기상시각이 늦고 취침시간이 길었다. 이 결과는 한국 대학생들의 평소 일정이 생물학적인 수면각성 주기에 비해 앞으로 당겨져 있어 평일에 수면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또한, 평일과 휴일의 기상시각과 취침시간의 차이는 여학생과 저학년에서 더욱 두드러져, 수면각성주기 이탈과 수면부족이 여학생과 저학년에서 더욱 심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Introduction: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bedtime, rise time and time-in-bed of Korean college students, separately on weekday and on weekend and to compare them.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gender, age and grade on the above sleep parmete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Methods: Information regarding bedtime and rise time, separately on weekday and on weekend,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obtain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Questionnaires of 1,825 students (1,416 females and 409 males, age 18-30;mean age $21.1{\pm}2.2$)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Korean college students retired to bed 50 minutes later (00:49 on weekday;01:40 on weekend;t=39.67, p<0.001), rose 1 hour 58 minutes later (07:52 on weekday;09:50 on weekend;t=39.46, p<0.001), and slept 1 hour 8 minutes longer (t=13.33, p<0.001) on weekend. Compared to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had earlier rise time (t=8.96, p<0.01;t=3.89, p<0.01) and earlier bedtime both on weekday and weekend (t=7.10, p<0.01;t=6.04, p<0.01), and shorter time-in-bed on weekday (t=1.99, p<0.01). In addition, rise time delay and time-in-bed increase on weekend were more prominent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t=3.41, p<0.01; t=3.68, p<0.01). Grade was correlated with bedtime and rise time on weekday (${\beta}=0.1022$, p<0.01;${\beta}=0.1009$, p<0.01), bedtime and time-in-bed on weekend (${\beta}=0.1096$, p<0.01;${\beta}=-0.0990$, p<0.01), and differences between week-day and weekend of the rise time and the time-in-bed (${\beta}=-0.0906$, p<0.01;${\beta}=-0.1115$, p=0.02). Conclusions: In this study, Korean college students had earlier bedtime/rise time and shorter time-in-bed on weekday than on weeke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eekday sleep-wake schedule of Korean college students may be advanced relative to their biological sleep-wake cycle and that this discrepancy may be associated with weekday sleep deprivation. In addition, differences of sleep patterns between weekday and weekend were more prominent in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with lower grade. Therefore, discrepancy between weekday sleep-wake schedule and biological sleep-wake cycle, as well as weekday sleep deprivation, might be more serious in female or lower-grade students.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에서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의 보조적 진단가치

        임미향,신홍범,이유진,이승희,원창연,이명희,이수영,정도언,Im, Mee-Hyang,Shin, Hong-Beom,Lee, Yu-Jin,Lee, Seung-Hi,Won, Chang-Yeon,Lee, Myung-Hee,Lee, Soo-You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1

        목 적: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흔한 질환으로 심혈관계 합병증이나 주간 졸림증 때문에 점점 더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수면무호흡증 진단에 야간 수면다원기록법이 표준검사로 인정되고 있으나 비교적 고가의 검사비용과 검사시 각종 감지기 등을 부착하고 인위적 환경인 검사실에서 잠을 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수면다원기록법을 대치할 수 있는 약식 검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이다. 이 연구에서는 활동기록기가 수면무호흡증 진단에 어떤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수면분절의 관점에서 측정해 분석하였다. 방 법: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수면다원검사실로 의뢰된 37명의 환자들에게 야간수면다원검사와 동시에 활동기록기를 착용시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 37명 중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외에 주기성 사지 운동 등 다른 수면질환이 함께 진단된 10명의 환자를 제외한 2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면다원검사로 얻은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와 활동기록기의 자료분석으로 얻은 수면분절지수(fragmentation index, FI)를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야간수면다원검사로 얻어진 총 수면시간, 호흡장애지수, 활동기록기로 산출된 수면분절지수는 각각 $401.37{\pm}57.83$분, $21.67{\pm}20.41$회/시간, $21.87{\pm}12.96$회/시간 이었다. 수면분절지수는 호흡장애지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53 p=0.003). 결 론:수면분절지수가 호흡장애지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는 수면무호흡증의 진단에 보조적인 도구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면무호흡증의 각종 치료 후 증상 변화에 대한 평가용으로는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has drawn increasing attention as medical community has become to be aware of its co-morbidities and complications, especially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with accident proneness. As of now, polysomnography is the standard tool to diagnose sleep apnea and estimate the treatment validity. However, its being rather expensive and inconvenient, alternate diagnostic tools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wrist actigraphy. So far, actigraphies have been adopted usefully to field-survey sleep apnea prevalence. In this study, we attempted in a sleep laboratory setting to assess the supplemental value of actigraphy in diagnosing OSAS. Methods: This study was done at the Division of Sleep Studie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irty-seven clinically suspected cases of OSAS underwent the one-night polysomnography, simultaneously wearing an actigraphy on non-dominant wrist. We analyzed the data of 27 polysomnographically-proven OSAS patients (male:female 20: 7;age $47.6{\pm}12.9$ years old;age range 23 to 72 years) with no other sleep disorders. We calculated RDI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from the polysomnography data and FI (fragmentation index) from the actigraphy data. Pearson correlation was calculated in order to compare FI with RDI and to evaluate the supplemental diagnostic value of the actigraphy. Results: Mean total sleep time on polysomnography was $401.4{\pm}57.8\;min$ (range of 274.0 to 514.1 min). Mean RDI was $21.7{\pm}20.4/hour$. Mean FI was $21.9{\pm}13.0/hour$. RDI and FI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0.55, p<0.01). Conclusions: Wrist actigraphy in OSAS patients generates a comparable outcome to polysomnography, in measuring the nocturnal sleep fragmentation. The actigraphy could be used supplementally in inpatients, outpatients, and field survey subjects, if polysomnography is unavailable or impossible. In follow-ups related with nasal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upper airway surgery, and oral appliance in OSAS patients, the actigraphy might play a more dominant role in the future.

      • KCI등재

        효율적 고속도로 계획을 위한 고속도로 시간교통량 변동특성 고찰 및 고속도로 유형분류

        최기주(Choi Keechoo),원창연(Won Chang-Yeun),정우현(Chung Woohyu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6D

        본 연구는 종국적으로 용도/유형이 다른 고속도로의 설계는 설계요소 (K값 등등) 차별이 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고속도로 시간교통량의 연간 변동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입력변수로 한 다변량 통계분석을 통해 고속도로의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간 시간교통량의 변동계수와 왜도계수를 추정하였고, 도시지역과 지방지역 별로 두 수치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변동계수의 경우 도시지역일수록 그 값이 낮고 왜도계수 역시 도시지역은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일반적인 도시지역과 지방지역의 교통량 변동 차이를 통계적으로 계량화하였다. 또한 이 두 변수와 교통수요 측면의 AADT, 휴가철 변동과 주말 변동, 일중 시간변동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다변량 통계분석에 입각한 전국의 고속도로를 5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유형 1은 대도시지역 고속도로, 유형 2는 도시지역 및 대도시간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유형 3은 지방지역 고속도로, 유형 4는 지방지역과 관광지역의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고속도로, 유형 5는 관광지역 고속도로로 구분하였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설계의 방향도 정립해 보았다. In this study, the variation of hourly traffic volume on freeway is utilized to identify the regional freeway characteristics by evaluating its statistics: var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COV) and coefficient of skewness (COS) for the purpose of proper planning and investment. The obsevation indicates that the COV of freeway in urban area is lower than that of rural area, and the COS in urban area has negative values. A mutl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with COV, COS, and AADT, holiday season variation, weekend variation and time of day variation results five different classes of freeway segment. They include freeways in metropolitan, urban, rural areas, and rural-recreational area, and recreational only.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genda have also been discussed.

      • 온라인 자동 백업 시스템

        백선욱(Seon Uck Paek),소대(Dae Yeon Soh),원창재(Chang Jae Won),전은애(Eun Ae Jeon) 상명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2008 공학기술연구 Vol.2008 No.0

        컴퓨터를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중요한 자료를 잃어버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일례를 들면 갑작스런 하드디스크의 고장이나, 포맷시 깜빡하고 중요한 파일의 백업을 잊었다거나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별한 장비 없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백업이 되어있다면 아무 걱정이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서버-클라이언트 기반으로 파일을 압축·암호화하여 백업하는 기능과 자동 스케줄링을 통한 지속적인 백업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