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오진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1 뇌교육연구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personality competency based on brain education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virtues-centered personality components and the limitations of personality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ver the first and second rounds, and the items were composed through classified sub-areas, and the concept of personality competency based on brain education, model, category, competency group concept, and sub-competence concept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1st and 2nd surveys, the questions were deleted, modified, and add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research, brain education-based personality competencies are in 6 areas(Self-management capability, self-belief capability, brain-friendly communication capability, positive community consciousness capability, global citizenship consciousness capability, global environment transcendence consciousness capability) and 12 sub-factors(Physical and emotional management, goal and vision management, self-awareness and reflection, overcoming limits and confidence, brain-friendly empathy, sharing and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s,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 cultures, human peace and win-win, hyperconnectivity And transcendence awareness,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global environment) the components of were deriv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futur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testing tools and programs that can measure personality competence based on brain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f we repeatedly verify through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through suc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we will be able to further solidify the theory of personality competence based on brain education. 본 연구는 기존의 덕목 중심의 인성의 구성요소와 인성 역량의 한계점을 보 완하여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1,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하여 분류된 하위 영역을 통해 문항을 구성하였고,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 개념, 모형, 범주, 역량 군의 개념, 하위역량의 개념을 구성하였다. 1차, 2차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문 항을 삭제, 수정 및 추가하였다. 탐색적 연구 결과,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은 6 영역(자기관리역량, 자아신념역량, 두뇌친화적 소통역량, 긍정적공동체의식 역 량, 세계시민의식 역량, 지구환경초월의식 역량)과 12하위요인(신체 및 정서 관 리, 목표 및 비전 관리, 자아 인식 및 성찰, 한계 극복 및 자신감, 두뇌 친화적 공감, 공유 및 소통, 타인 이해 및 존중, 긍정적 관계 형성, 타문화 이해 및 존 중, 인류 평화 및 상생, 초연결성 및 초월의식, 지구환경 이해 및 실천)의 구성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와 프로그램 및 효과성을 검증하는 향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이러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통해 반복적인 검증을 해나간다면 뇌교육 기반 인성역량의 이론 정립을 더욱 더 공고히 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딥러닝 객체 탐지 기술을 사용한 스마트 쇼핑카트의 구현

        오진선,천인국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7

        Recently,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payment in various shopping environments. In addi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tificial intelligence is advancing, and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re becoming more compact and cheaper. So, by integrating these two technologies, access to building an unmanned environment to save people time has become easi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shopping cart system based on low-cost IoT equipment and deep-learning object-detection technology. The proposed smart cart system consists of a camera for real-time product detection, an ultrasonic sensor that acts as a trigger, a weight sensor to determine whether a product is put into or taken out of the shopping cart, an application for smartphones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a virtual shopping cart, and a deep learning server where learned product data are stored. Communication between each module is throug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a Hypertext Transmission Protocol network, a You Only Look Once darknet library, and an object detection system used by the server to recognize products. The user can check a list of items put into the smart cart via the smartphone app, and can automatically pay for them. The smart cart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unmanned stores with high cost-effectiveness. 최근 다양한 쇼핑 환경에서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많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들어서면서 인공지능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으며, IoT 장비들은 더욱 소형화되고 저렴해져서 이 두 가지 기술을 융합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할, 인간을 대신하는 무인 환경을 구축하는 것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저가 IoT 장비들과 딥러닝 객체 탐지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쇼핑카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스마트 카트 시스템은 실시간 상품 인식을 위한 카메라와 라즈베리파이, 트리거 역할을 하는 초음파 센서, 상품이 쇼핑카트에 들어온 것인지 나간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게 센서, 가상의 장바구니에 대한 UI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학습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딥러닝 서버로 구성된다. 각 모듈 간의 통신은 TCP/IP 네트워크 및 HTTP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며, 서버의 상품 인식을 위해서는 객체탐지 기술이 구현된 YOLO darknet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앱을 통하여 스마트 카트에 넣은 물건들의 목록을 점검하고 자동으로 결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스마트 카트 시스템은 가성비가 높은 무인 상점을 구현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뇌교육 기반 대안학교 학업병행제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 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오진선 ( Jinseon Oh ),신재한 ( Jaehan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대안학교 학업병행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 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연구 대상은 B대안학교 학업병행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 고등학생 49명이며, 연구 도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 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을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대응 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기본 프로그램과 특별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뇌교육 기반 대안학교 학업병행제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을 향상시켰으며, 학업 스트레스(성적, 수업, 공부)는 감소되었고, 회복탄력성(원인분석력, 감정통제력, 충동통제력, 감사하기, 생활만족도, 낙관성)은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B대안학교 학업병행제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a brain education-based alternative school academic parallel program 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tress, and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Parallelism Program at Alternative B School, and the research tools used the scales of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tress, and resilience, and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alyzed by. The content of this study was operated as a basic program and a special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rain education-based alternative school academic parallel program improved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self-regulatory efficacy, self-confidence), reduced academic stress (grade, class, study), and resilience (cause analysis, emotional control, Impulse control, gratitude,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m) improved. Based on these findings, a plan for revitalizing the Academic Parallelism Program at Alternative School B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as presented.

      • KCI등재

        New Computational Model for Predicting the Mechanical Behavior of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 (IPMC) Actuators

        이정현,오진선,정광훈,이장열,Bye Ri Yoon,조재영,이계한 한국정밀공학회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12 No.4

        Predicting of electro-mechanical behavior of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s (IPMCs) is important in many actuator design applications, but a general model for such predictions has not been successfully developed yet. A simple but versatile modeling method based on the concentrated ion boundary layer model was developed to advance the modeling of the bending behavior of IPMCs of different sizes. IPMC beams with different thicknesses and sizes were fabricated by stacking and hot-pressing method, and their mechanical bending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beams was performed using a concentrated ion boundary layer model that uses a thermal analogy. The calculated deformation and tip blocking force agreed well with the measured values for specimens of different sizes.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modeling method is simple but general enough to simulate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PMC actuators of various sizes.

      • S-593 : 2012년 개정판 Beers criteria 를 통한 노인 부적절 약물의 처방 현황 및 빈도 분석에 관한 연구

        박형철,장일영,오진선,조형우,이윤경,이영수,이은주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3 No.1

        연구배경: 미국 노인병 학회에서 노인의 안전한 약물 처방을 위해 2012년 개정판 Beers criteria를 발표하였다. 최신 근거를 반영한 개정판에는 노인에게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ine) 53종과 부적절한 상태 및 권고 수준까지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몇몇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amitriptyline, NSAID (ketololac), long-acting benzodiazepine (diazepam)이 가장 흔히 처방된 부적절 약물이었으나 모두 2002년 Beers criteria로 분석한 연구들이었고, 2012년 개정판 Beers criteria 를 이용한 현황 및 빈도 분석 연구는 없었다. 방법: 노인에게 부적절한 약물의 선정은 2012년 개정판 Beers criteria 에서 질병에 상관없이 주의해야 하는 약물 군으로 선정된 34개 성분으로 한정하였다. 2012년 5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서울 소재 3차 병원 외래에서 1회 이상 약물을 처방 받은 65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고, 환자의 의무기록, 처방 받은 약제의 코드 분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 분석하였다. 결과: 총 659,192명의 65세 이상 외래 환자가 분석되었다. 이 중 18,437명(2.83%)의 노인 환자가 1년간 적어 도 하나의 부적절 약물을 처방 받았고, 연구기간 내 총 88,660건의 부적절 약물 처방 행위가 발생하였다. 약제 별로는 clonazepam 3,892건(10.83%), ibuprofen 3,389건(9.43%), megesterol 3,315건(9.23%), amitriptyline 3,215건 (8.95%), Zolpidem 3,211건(8.94%) 등 의 순서로 처방 빈도가 많았다. 결론: 2012년 개정판 Beers criteria를 통해 흔히 처방되는 노인 부적절 약물의 종류와 빈도를 파악하였고, 이전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흔히 처방되는 약물의 우선순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부적절한 약물 사용 빈도와 부작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KCI등재후보

        2012년 개정판 Beers Criteria를 통한 노인 부적절 약물 처방 현황에 관한 연구

        장일영,이영수,전민경,조현우,오진선,이윤경,박형철,김수한,이은주 대한노인병학회 2013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7 No.3

        Background: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released the 2012 updated version of the Beers criteria with intentions to improve care of older adults by reducing their exposure to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PIMs).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PIMs prescriptions according to the 2012 version of Beers criteria in South Korea.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medical records and code analysis of each PIM to survey the prevalence of PIMs prescriptions and common PIMs used for elderly patients. Locating the PIMs was carried out in all outpatients who visited Asan Medical Center from May 2012 to April 2013. Selection of PIMs was based on the 2012 updated version of the Beers criteria. Results: A total of 652,192 outpatients older than 65 years visited our medical center during the study period and were analyzed. Among them, 33,810 (5.19%) received at least one PIM and 125,498 cases of PIM prescriptions were written. The percentage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at least two kinds of PIMs concurrently was 33.14%. Common PIMs were tramadol (24.15%), clonazepam(11.51%), ibuprofen (10.02%), megesterol (9.80%), and amitriptyline (9.51%). Conclusion: Our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PIMs prescription for Korean elderly outpatients in a single tertiary medical center. Compared to previous reports using the older version of the Beers criteria, our study showed a change in the priority of common PIMs. 연구배경: 미국 노인병 학회에서 노인의 안전한 약물 처방을 위해 Beers criteria 2012년 개정판을 발표하였다. 최신근거를 반영한 개정판에는 노인에게 잠재적으로 부적절한약물(potentially inappropriate, PIM) 53종과 부적절한 상태및 권고 수준까지 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 보고들을종합하면, amitriptylin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kelotolac), long-acting benzodiazepine (diazepam)이 가장 흔히 처방된 부적절 약물이었으나 모두 2002년 Beers criteria로분석한 연구들이었고, 2012년 개정판 Beers criteria를 이용한현황 및 빈도 분석 연구는 없었다. 방법: 2012년 5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서울 소재 3차병원 외래에서 1회 이상 약물을 처방 받은 65세 이상 환자전수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특성은의무기록, 처방 받은 약제 코드 분석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노인에게 부적절한 약물은 2012년 개정판 Beers criteria에서제시된 약제 53종 전체를 선정하였다. 결과: 1년간 외래에서 1회 이상 약제를 처방 받은 65세이상의 환자, 총 659,192명이 분석되었다. 이 중 33,810명(5.19%)의 노인 환자가 적어도 하나의 PIM을 처방 받았고, 1년간 총 125,498건의 PIM 처방 행위가 발생했다. 33.14% 환자에서 2가지 이상의 PIM을 동시에 처방 받았다. 약제별로는 tramadol (24.15%), clonazepam (11.51%), ibuprofen (10.02%), megesterol (9.80%), amitriptyline (9.51%) 등의 순서로 처방 빈도가 많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3차 병원에서 노인 외래 환자에게흔히 처방되는 부적절한 약물의 종류와 빈도를 파악하였고, 이전 연구 결과들과 비교해 약물의 우선 순위의 차이가 있음을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