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로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지원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5

        연구목적 : 장애인은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동안 장애라는 불편함과 함께 살아간다. 삶의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태도인 장애수용은 장애로 인해 자신을 평가절하하지 않는 것으로, 취업이나 사회적응, 사회통합의 주요한 변수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직장이라는 환경의 적응 및 경험과 함께, 거시적 환경인 근로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볼 수 있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장애로 인한 제한의 경험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며 이를 통해 야기되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로 장애인 사회경제적 지위, 스트레스, 장애수용의 일련의 과정을 검증하고자 한다. 장애수용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장애수용에 있어 거시적 환경의 중요성, 즉 사회경제적 지위에 주목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또한 본 연구는 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간주하여, 장애인의 거시적 환경, 심리사회적 어려움, 장애를 바라보는 태도의 인과적 관계 증명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장애인 노동시장의 일자리 이동 과정과 이에 영향을 주는 내 외부 환경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된 장애인고용패널 조사 2차 웨이브 4차 조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임금근로 장애인으로 모든 변수에 유효한 응답을 한 1,589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장애수용은 탐색적 요인분석 후, 장애 인지와 장애 극복으로 구분하고 각 요인을 평균해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사회경제적 지위로 연구대상의 월평균 소득, 학력,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를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월평균 소득은 로그를 취하였고, 학력은 고졸을 기준으로 고졸 이하를 저학력, 대졸 이상을 고학력으로 하였으며,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는 하층, 중층, 상층으로 구성해 활용하였다. 매개변수는 장애 스트레스와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하위 요인으로 하여 각 요인을 평균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왜도와 첨도를 산출하여 자료의 정규성을 확인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구조모형 검증으로 주요 변수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붓스트래핑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결과 :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전에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주요 변수들은 왜도와 첨도가 4미만으로 정규성을 충족하였고, 명목척도를 제외한 변수들의 신뢰도를 확인해본 결과 .6이상 의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관 계수가 .6이상을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χ2=75.044(p=.000)로 나타났으나, CFI, TLI의 값이 모두 .90이상이며, SRMR이 .05미만이고, RMSEA는 .05로 나타나,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잠재변수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표 1> 참조) χ2=93.467(p=.000)로 나타났으나, CFI는 .928 TLI는 .884, SRMR이 .05미만이고, RMSEA는 .062로 나타나, 적합한 편으로 판단하였다. 독립변수인 사회경제적 지위가 종속변수인 장애수용과 매개변수인 스트레스에 미치는 경로와 매개변수인 스트레스가 종속변수인 장애수용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미하였으며 매개변수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간접효과의 상한값(.119)과 하한값(.034)로 0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장애수용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근로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장애수용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받으며, 장애수용에 대한 스트레스의 부정적 효과를 밝히고 있다. 이결과는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을 위해 이 들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사회적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장애인이 취업하게 되면서 소득을 갖게 되고 사회적 지위가 변화하지만, 스트레스가 많다면 자신의 장애를 부정하고 수용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장애수용은 장애를 갖고 평생을 살아가야 하는 이들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어, 스트레스관리는 장애인의 삶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근로 장애인의 장애 스트레스와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심리 사회적 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하여,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을 도모하고 건강한 마음으로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표는 본문 참조)

      • Development of electrochemical sensor for using as bacteria - on - a chip

        오지원,윤옥자 한국진공학회 2021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Vol.2021 No.2

        Development of electrochemical H<SUB>2</SUB>O<SUB>2</SUB> sensor for using as bacteria - on - chip is important for antibiotic drug susceptibility-resistance test. An electrochemical H<SUB>2</SUB>O<SUB>2</SUB> sensor was developed using composite of alginate/water-soluble Prussian blue/bacterial cellulose coated by reduced graphene oxides (A/s-PB/BC coated rGOs) on carbon screen printed electrodes. In Antibiotic drug susceptibility-resistance test, the amount of electrochemical H<SUB>2</SUB>O<SUB>2</SUB> was measured by using Escherichia coil (E. coil) and Kanamycin-resistant E. coil.

      • KCI등재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지원,유현경,송도훈 한국사례관리학회 2023 사례관리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workers responding to this social phenomenon have differe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44 social service wage workers under the age of 90 who responded to the 6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2020). As for the method, th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effect was presented through a simple slop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workers were task feedback,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nd skill variety and well-being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input variables. Second,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workers, the effect of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well-be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well-being of social service workers were presented at the institutional, local government, and national level. 본 연구는 돌봄의 탈가족화가 가속화되어 사회 각 영역에서 돌봄의 수요가 높아지는 지금 이와 같은 사회현상에 대응하는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안녕감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제6차 근로환경조사(2020)에 응답한 만 90세 미만 사회서비스 임금근로자 1,244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해 조절회귀분석을 하고 단순기울기검증으로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은 피드백, 과업중요성, 과업정체성, 기술다양성이었으며, 안녕감은 투입한 변수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특성 중 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안녕감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서비스 근로자 안녕감의 차이에 따른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기관 및 지자체 그리고 국가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 빈도와 수면시간 및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청소년 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여

        오지원,정자용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1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sugar-sweetened beverages including soda and sweet drinks and sleep duration and quality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Data on 137,101 boys and 130,806 girls of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obtained from the 2014-2017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national-wide cross-sectional school-based survey. Respondents self-reported soda and sweet drinks consumption, sleep hours, and sleep quality. The associ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analyzed by complex sampl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76.4% and 84.7% of respondents consumed soda and sweet drinks at least one time per week. Sleep deprivation (<8 hours/day) was associated with higher soda and sweet drinks consumption (adjusted odds ratio [aOR],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5 times a week for soda 1.44 (1.33-1.59) in boys and 1.25 (1.12-1.40) in girls: and sweet drinks 1.54 (1.43-1.66) in boys and 1.41 (1.28-1.55) in girls. Similarly, unsatisfactory sleep quality was also associated with higher soda and sweet drinks consumption (aOR, 95% CI) for 5 times a week for soda 1.19 (1.13-1.26) in boys and 1.27 (1.19-1.35) in girls: and sweet drinks 1.36 (1.29-1.44) in boys and 1.34 (1.28-1.41) in girls. Conclusions: Both sleep deprivation and poor sleep qual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consumption of soda and sweet drinks among Korean adolescents 연구배경: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가당음료(탄산음료, 단맛 음료) 섭취 빈도와 수면시간 및 수면의 질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제10-13차(2014-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통합하여 만 12-18세에 해당하는 남학생137,101명, 여학생 130,8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가당음료 섭취 빈도와 수면시간 및 수면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교란변수를 보정한 후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일반 사항과 식습관 보정 후에도 수면시간 부족(<8 hours/day)에 대한 위험도가 탄산음료 또는 단맛 음료의 섭취 빈도의 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최근 일주일간 섭취하지 않은 군(주 0회)에 비해 주 1-2회, 주 3-4회, 주 5회 이상으로 섭취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면시간 부족에 대한 오즈비(95% CI)는 남학생의 경우 탄산음료 1.06 (1.01-1.12), 1.21 (1.14-1.28), 1.44 (1.33-1.59), 단맛 음료 1.09 (1.03-1.16), 1.32 (1.24-1.40), 1.54 (1.43-1.66), 여학생의 경우탄산음료 1.07 (1.02-1.13), 1.20 (1.11-1.30), 1.25 (1.12-1.40), 단맛 음료 1.14 (1.07-1.22), 1.33 (1.23-1.44), 1.41 (1.28-1.55) 로 각각 나타났다. 이와 비슷하게, 수면의 질 불만족에 대한오즈비도 탄산음료 또는 단맛 음료 섭취 빈도가 높은 경우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주 5회 이상 섭취하는 경우 수면의 질 불만족에 대한 오즈비(95% CI)가 남학생의 경우 탄산음료 1.19 (1.13-1.26), 단맛 음료 1.36 (1.29-1.44), 여학생에서는 탄산음료 1.27 (1.19-1.35), 단맛 음료 1.34 (1.28-1.41) 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탄산음료 또는 단맛 음료섭취가 수면시간 부족과 관련될 수 있고, 수면의 질 저하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며, 청소년에서 가당음료를 분별 있게 섭취할 수 있는 적절한 식생활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근로 장애인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취업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오지원,여영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장애와 고용 Vol.3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by the degree of family employment among the working disabled. Method: Based on the data of 1,251 working disabled in the 5th survey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this study tests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employment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utilizing hierarchical regression. Job characteristics is divided into three sub-factors; skill variety, job suitability, and perceived work environment. Control variables includes Individual and work characteristics. Results: First, skill variety, job suitability, and perceived work environment significantly affects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uitability is found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effect of job suitability on job satisfaction is getting stronger when family employment support is higher. Therefore, the wa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mong the working disabled, family effort in supporting work life should be reinforced together with consideration of job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propose the way to improve prac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 that can strengthen work life among the working disabl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근로 장애인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족취업지지 정도에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5차 조사의근로 장애인 1,251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가족취업지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직무특성은 기술다양성, 직무적합성, 작업환경의 세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고, 개인 특성 및일자리 특성을 통제변수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근로 장애인의 직무특성인 기술다양성, 직무적합성, 작업환경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직업특성 중, 직무적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족취업지지가 조절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및 시사점: 근로 장애인의직무적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가족취업지지가 높은 집단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즉,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직무적 요인과 함께 직장생활을 지원하는 가족역할이 병행되어야 함을 말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직장생활 지원을 위한 직무 및 가족영역의 긍정적 역할을 강화하는 실천적·제도적 지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DHD 아동의 부모상담 과정에 대한 상담자의 인식: 근거이론적 접근

        오지원,신서원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2

        이 연구는 ADHD 아동 부모상담 과정에 대한 상담자들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DHD 아동의 부모상담 경험이 있는 상담자 15명을 인터뷰하고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8개의 주제와 19개의 하위범주가 발견되었다. 결과들을 살펴보면 아동 중심의 상담 환경 및 부모들의 다양한 호소문제가 상담 환경 측면에서 보고되었고, 상담 목표 및 개입측면에서는 ADHD 이해 및 수용을 위한 심리교육, 과잉행동 감소를 위한 대처법 코칭, 부모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개입이 보고되었다. 상담의 효과로는 부모의 인지, 정서, 행동적 변화가 보고 되었으며, 한계점으로 부모상담을 위한 시간 및 경제적 자원의 부족, 사회정의적 관점에서의 접근 부족이보고되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더욱 효과적인 부모상담 및 개입을 위해 부모상담 바우처 지원, 자조집단의 활성화, 교사 및 학부모 교육을 제안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