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의 성장과 발전: 1966년부터 1999년까지

        박창훈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이 글은 1966년 시작된 한국교회사학회가 1999년까지 이룩한 역사를 성장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전체적으로 육하원칙의 틀에 따른 보고의 형식을 따르면서, 우선 창립시기의 인물과 학회의 활동을 시간 순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학회가 하였던 일들을 민경배 교수의 언급에 따라, 연구발표회, 자료집 발행, 학회지 간행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를 위해 어떻게 학회의 재정이 모이고 지출되었는지를 점검 하고 있다. 아울러 이 글은 연구과정에서 제기한 논의 틀로 재구성한 몇 개의 표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사학회의 초기의 성장과 발전은 한국에서 교회역사 를 공부하고 가르치는 학자들을 통하여 이루어졌다는 것을 지적한다. 초대 회장 백낙준 교수를 비롯한 이들의 헌신을 통하여 기초가 놓이고, 그 뒤를 잇는 후배와 제자들에 의해 기둥과 외양을 갖추게 되었다. 회원, 임원, 그리고 재정은 꾸준히 증가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발표회, 자료집 발간, 학회지 간행 등의 사업은 분명한 틀과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우선, 이 시기 한국교회사학회의 발전을 더 세밀하고 깊이 연구하기 위하여, 회원들이 개인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자료를 수집하여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기 한국교회사학회는 교단적인 신학적 편협성을 뛰어넘는 에큐메니컬 모임으로서의 특성을 보며, 한국사회의 민주화, 평화, 통일의 문제에 관심을 학문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회원 각자의 학문적인 관심과 연구, 그 이상으로 회원들간의 교제가 중심에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y of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which began in 1966, until 1999 in terms of growth and development. In general, following the format of the repor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5 Ws and 1 H. it organizes chronologically the figures of the founding period and the activities of the Society. In addition, for Professor Kyung-Bae Min's comment, the Society worked for research presentations, publications, and journal publications. Finally, it examines how the funding of the Society was collected and spent. In addition, this article contains several tables that have been restructured into a discussion framework rais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early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was conducted by the scholars who study and teach church history in Korea. The found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dedication of the first president, Professor Nak-Joon Paik, and the pillars and appearance by the juniors and disciples. Members, officers, and finances have steadily increased, and this has led to a clear framework and scale for projects such as research presentations, publications, and journal publications. Above all, in order to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in more detail and depth,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supplement the data that members keep personally. The Society, as an ecumenical group that goes beyond denominational theological intolerance, attempted to express academic interest in the issues of democratization, peace and unification of Korea. Finally, the fellowship between the members was centered on the academic interests and researches of each member.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 2000년-2019년 활동 분석 및 방향제시

        이정숙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한국교회사학회는 1966년에 국내 6번째 신학회로 시작되어 활발한 학술 대회 개최와 수준 높은 학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를 발간하며 모범적으로 활동해 왔다. 본 논문은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학회 활동을 분석 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내용은 1) 보관자료의 성격과 분석 2) 이사회/임원회 구성의 변화 3) 학회의 다양한 활동 소개 4) 특 기사항: 특별 제안이나 활동들 5) 향후 발전을 위한 제안 등으로 구성되었 다. 한국교회사학회 임원진들이 보관하고 있는 일차자료는 중복과 상실, 또 단순/부실 기술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지난 20년간의 학회 활동을 추적 하는데 별 어려움은 없었다. 임원진의 구성 변화의 원인과 내용을 추적하고, 연 4회 정기학술대회의 특징을 분석하며, 학술지의 위상 변화, 번역/저 술 작업과 특별학술활동 등을 살펴보며 학회의 향후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시도하였다.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CHSK hereafter] was established in 1966 as the sixth theological society in Korea and continues to be active by offering academic conferences four times a year and publishing its academic journal (approv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since 2002) three times a year. This paper seeks to trace and evaluate the activities of the CHSK in terms of its historical changes and developments by reading and analyzing the official records of CHSK such as the minutes of leadership meetings, academic conferences, and special documents between 2000 and 2019. It consists of five sections including 1)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s kept by the leadership 2) changes and expansion of leadership 3) major activities 4) incidents or irregular activities of special attention and 5) some practical suggestions as future direction.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지」에 나타난 한국 교회사 연구 경향

        박종현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이 글은 창간호부터 2019년까지 「한국교회사학회지」에 수록된 한국기 독교의 역사 연구 논문들에 대한 분석적 연구이다. 「한국교회사학회지」는 해방 후 최초로 발간된 한국의 교회사 학술 연구 논문집이다. 이 기간 동안 135편의 한국교회사 연구 논문이 수록되었다. 이 글은 그 연구 논문들을 분류하여 인물 연구, 사회사, 사상사, 교단사, 문화사 등의 범주로 분류 하였다. 초창기 연구들은 한국교회사의 기초를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이후 연구 논문들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2000년 이후의 논문들은 체제의 완성도가 높아지고 연구 분야도 다양해졌다. 2010년대의 연구 논문들은 논문 심사의 강화로 논문들의 체제와 논문의 주제들이 더욱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연구 분야는 인물 연구와 사회사 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신학사상, 문화사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통계자료의 도입과 타 분야와 복합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an analytical study of the articles of the studies on the Korean church history in Hankuk’kyohoesahakhoeji from 1971 to 2019. Hankuk’kyohoesahakhoeji is the first academic journal of the study of Christian Church history in Korea. There are 135 enrolled papers of Korean Church history in the journal from 1971 to 2019. Those papers are classified in this study under the categories of character, social history,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denominational history and the Christian cultural history. In the initial stage, papers were written as a foundational study for Korean church history. The numbers of the papers increased rapidly in the 1990’s. The papers’ system improved and the themes of studies also varied in the 2000’s. As time went by the papers were varied, systemized and upgraded academically due to the review system. The major portion of the papers are about the study of character, social study and theological study. In further studies, statistical data and hybrid study with other fields of science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지」에 나타난 아시아 교회사 관련 연구 분석

        서원모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본고는 「한국교회사학회지」에 수록된 아시아교회사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창간호부터 53권까지 총 425편의 연구논문 중 7.3%인 31편이 아시아교회사와 관련되는데, 여기에는 한국교회사와 관련 된 6편의 논문도 포함되어 있다. 아시아교회사를 시리아교회, 가톨릭교회, 개신교회로 분류할 때, 상대적으로 아시아 가톨릭교회와 관련된 논문이 매우 적었다(2편). 또한 중국과 일본을 제외하면, 고대시리아교회와 관련된 논문 2편과 필리핀과 버마와 캄보디아에 대한 논문이 3편만 수록되어 아시아 각 지역의 교회사 연구는 매우 미진하다. 그럼에도 2011년까지의 국내에서의 아시아 교회사 연구를 정리한 논문이 수록된 것은 획기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결론에서 본고는 아시아교회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아시아기독교사학회의 협력, 한중일 삼국의 개신교 수용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 문명교류의 입장에서 총체적이고 다면적인 아시아 교회사 연구, 한국 교회의 아시아 선교 역사에 대한 체계적인 사료 수집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article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There exist 31 articles related to Asian Church History out of 425 articles printed in this journal from voulme 1 to volume 53, and these include those relevant to the Korean Church History. If we understand the history of Asian Church as consisting of Syriac Church, Asian Catholic Church, and Asian Protestant Church, studies concerning Asian Catholic Church is significantly underrepresented (2 articles). Furthermore, since two articles explore Ancient Syriac Church and since three examine churches of Philippines, Myanmar, and Cambodia, it is concluded that a tiny number of studies deals with church history of countries other than China and Japan. The article devoted to analysis of the studies on Asian church up to 2011, however, is quite inspiring and foundational for future studies in this field. In conclusion, this study stresses the significance of Asian Church History, and suggests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of History of Asian Christianity, a comparative study on acceptance of Christianity of Korea, China, and Japan especially in the modern period, a comprehensive and multilateral study from the civilizational exchange, and finally systemic gathering of records of Asian mission initiated by Korean missionaries.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지」에 나타난 고대교회역사 연구 동향과 전망

        채승희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한국교회사학회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한국교회사학회지」 특집호(55집)에 고대교회사 연구동향 분석과 미래전망에 대해 나눌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짐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한다. 본고는 전체 420여 편의 전체 논문 중 77편의 고대교회사 논문을 다루었다. 포스트모던적 사조와 신학적 배경으로 크게 4개의 범주(역사관, 주제, 방법론, 저자)로 나누어 논문들의 성향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는 근대적 사고에서 탈피하고 지배담론이나 거대 담론의 해체를 주장하면서 소위 “아래로부터”의 신학을 추구한다고 하겠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소외되고 주목 받지 못했던 약자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그들이 역사 연구의 중심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탈가부장적, 탈유럽적, 탈교리적, 탈교파적, 탈제도적 사고가 주가 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사고로 역사 연구에 다양한 방법론이 시도되고 다양한 접근이 이루고 지고 있다. 물론 전통적인 주제들을 다루는 연구도 활발하게 역사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본 학회의 발전과 학문적 공헌을 위해 학제간 학회나 연구 등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역사가 신학, 영성, 상담, 윤리, 예배 등과 어우러 질 때 교회 현장은 물론 우리가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와 함께 소통하고 하나님 나라를 확장할 수 있기 위해 노력해야하기 때문이다. On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Church History Society of Korea, it is a great honor for m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articles on Early Christianity in our JCHSK since 1979. I examine those 77 articles on the early church through four categories, historical viewpoints, themes, methodologies, and authors. Finally, I suggest a plan for improving future academic and pastoral contributions, both to the church and to society. The new trends of research in church history are “from below.” The perspectives of the alienated or marginalized classes, genders and races has been promoted as the central theme of historical study. Provocative achievements have, of course, also resulted from research done in traditional methods and themes. Along with the postmodernist thoughts, more practical issues for the church such as spirituality, Christian education, worship and liturgy are also linked with historical theories.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academic research in the Church History Society of Korea, I believe it is important that we develop interdisciplinary programs. Incorporating modern perspectives on theology and history into educational materials as well as products for the daily practices of the church will enable all Christians to be more effective communicators of the Gospel for all those we serve.

      • KCI등재

        정교분리의 복잡한 역사: 한국의 보수적 개신교를 중심으로, 1945-2013

        한국교회사학회 한국교회사학회 2016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3 No.-

        대한민국 헌법 제20조는 “①모든 국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②국교 는 인정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그래 서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어야 한다는 것은 상식에 속한다. 하지만 한국에 서 정치와 종교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며 심지어 모호하다. 기본적으로, 그 런 조항은 미국헌법의 절대적 영향 하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1945년 이후 전개된 한국근대사의 혼돈 속에서, 그런 헌법조항에 근거한 정치와 종교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불안정하고 문제가 많았다. 특히, 한국의 보수적 복음 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유동적인 정치적·종교적 환경에 따라 이 문제를 전략 적으로 다루어왔다. 이 논문은 1945년부터 2013년까지 보수적 복음주의자 들이 정교분리의 의미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며 그것에 적응해 온 복잡한 역 사를 추적하는데 목적을 둔다. 1945년부터 1960년까지, 한국교회는 정교분리에 대한 헌법의 규정과 상 관없이 기독교에 특혜를 베풀어준 정부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예를 들어, 그 기간 동안 미군정은 미국선교사들의 조언에 따라서 한국개신교인 들이 다양한 정치영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했다. 종교정책 면에서, 미군정은 다른 종교들을 배제한 채, 한국교회에게 많은 특혜를 베풀었다. 그런 특혜에 대한 자연스런 반응으로, 한국교회는 정부정책에 열정적으로 협조했다. 특히, 제1공화국에서 대통령선거 기간 동안, 한국교회는 감리교 장로이자 한국개신교에 대단히 우호적이었던 이승만을 거의 맹목 적으로 지지했다. 그 기간 동안, 한국교회는 정교분리의 의미를 정확히 이 해하지 못했다. 1961년부터 1986년까지, 한국은 군사독재기간을 통과했다. 그 동안, 한 국교회는 두 부분으로 분리되었다. 즉, 군사정부를 신실하게 지지했던 보 수주의자들과 그 정부에 저항했던 진보주의자들로 말이다. 그 결과, 독재 자들은 두 진영을 정부에 대한 그들의 태도에 따라 다르게 취급했다. 예를 들어, 군사정부는 보수교회들이 ‘액스플로 74’ 같은 일련의 대규모 집회들을 개최하고 ‘전군신자화운동’ 같은 전도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후원함으로써, 이들이 빠르게 성장하는데 결정적 도움을 주었다. 이런 종교적 특 혜에 대한 반응으로, 보수적 기독교인들은 진보진영을 맹렬히 비난하면서 그 정권의 충실한 동맹자가 되었다. 하지만, 진보주의자들의 경우, 군사정 권에 저항한 것에 대해 혹독한 대가를 치러야 했다. 1997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교회는 처음으로 정부와 부정적 관계를 맺게 되었다. 진보적 정부가 남북간의 적대적 관계를 개선하기 시작하고, 사립학교법 개정을 통해 기독교사립학교들의 부정을 개선하려고 노력하자, 한국교회는 반정부세력으로 돌변했다. 그들은 진보적 정부를 종북좌파세력 으로 규정하고 이 정부의 거의 모든 정책에 반대했다. 이 기간 동안, 교회 들은 정교분리에 대한 자신들의 해석을 수정했다. 그들은 이전에 종교가 정치에 참여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제는 종교가 자신의 정치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런 정치적 저항이 헌법 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믿으면서 말이다. 그리고 그들은 다음 정부를 위한 새로운 대통령 후보로 보다 보수적이고 친기독교적인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최근에는 보수적 기독교인들이 이런 주제와 관련해서 정부와 이중적 태 도를 유지하는 것처럼 보였다. 기본적으로, 그들은 여전히 친기독교적인 이명박 정부의 강력하고 신실한 후원자들이었다. 같은 정치적·경제적 신념 에 기초해서, 그들은 이 정부를 지속적으로 지지했다. 하지만 그들은 그런 적극적 정치참여가 정교분리라는 헌법조항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생각 했다. 그러나 때때로 그들은 동일한 정부가 타종교들, 특히 불교와 이슬람 에 대해 우호적 조치를 취하자 강력하게 저항하고 비판했다. 그들은 정부 의 그런 태도가 기독교를 배제한 채 다른 종교들에게 특혜를 베풀어 정교 분리의 원칙을 위반했다며 불법으로 규정한 것이다. 이처럼, 한국의 보수적 복음주의자들은 정부와 자신들의 관계에 따라 “정교분리”란 개념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해왔다. 그들과 정부의 관계가 우호적이었을 때, 그들은 “정교분리”를 “종교가 정치에 참여하지 않는 것” 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그들과 정부의 관계가 불편했을 때, 그들은 그런 이 해를 뒤집고 강력한 반정부세력이 되었다. 한편, 그들이 정부로부터 우호 적 지원을 받았을 때, 그들은 그런 특혜가 정교분리의 헌법적 조항을 위반 한 것이라고 해석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들이 정부에 의해 차별을 받는다 고 느꼈을 때는 정부가 헌법을 위반한다고 주장하며 반정부적 투쟁에 나섰 다. 이토록, 한국에서 보수적 복음주의자들과 정교분리의 관계는 복잡했다. According to the Korean Constitution, (1)every citizen has the freedom of religion, (2)the establishment of religion is not allowed, and politics and religion is separated. Thus, it is a common sense that politics and religion should be separated.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has been highly complicated, even ambiguous. Basically, such a provision was shaped under the almost absolute influence of the US constitution. But, for the chaotic unfolding of the modern history in Korea since 1945,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based on that constitutional provision has been consistently unstable and problematic. In particular, the conservative evangelicals in Korea have strategically addressed this issue in accordance with their fluctuating political, religious circumstance. This paper is aimed at tracing the complicated and multi-faced history of how the conservative evangelicals have understood, reconstructed, and adjusted themselves to the meaning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from 1945 to 2013 depending on their changed status in Korea.From 1945 to 1960, Korean churches maintaine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which showed its favoritism to Christianity, regardless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For example, during that period, the US military government gave the Korean Protestants a series of chances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political sphere based on the practical advice of American missionaries. In terms of religious policy, the government allowed many privileges to Korean churches at the cost of other religions. As a natural response to such a favoritism, Korean churches enthusiastically cooperated with the governmental policies. In particular, during the presidential campaigns, Korea churches almost blindly stood for the Seungman Lee who was a Methodist lay elder and was highly supportive to the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During that era, Korean churches didn'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the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means. From 1961 to 1986, Korea had to pass through the period of military dictatorship. During that period, Korean churches were divided into the two parts: the one as conservatives who faithfully stood for the military regime, but the other was liberals who stood against it. As a result, the dictators dealt with the two groups in accordance to their attitude toward the government. For example, the regime helped the conservative churches to grow fast by supporting them to hold a series of grand rallies including theExplo' 74 and to carry out the so-called “Evangelization of All Military Armies.” As a response to those religious privileges, conservative Christians became a sincere ally to the regime, while inveighed against the liberal wing. In the case of liberals, however, they had to pay a painful cost totheir heroic protest against the military regime. From 1997 to 2007, the Korean churches, for the first time, came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Since the liberal government not only began to improve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but also tried to reform the corruption of Christian private schools by altering the related laws, the Protestant churches turned into an anti-government force in Korea. They raised their voices against almost every policy of the liberal government, regarding it as the pro-North and left. During this period, the churches changed their interpretation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While they had interpreted it as religion’s not participating in politics, they began to argue that religion should take its political responsibility, believing that such a political protest didn't violate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And they did their best to elect more conservative and pro-Christian candidate as a new president for the next government. Recently, the conservative Christians seemed to maintain a dual relationship with the current government concerning this issue. Basically, they were still strong and faithful supporters to the pro-Christian government, whose head was the presbyterian lay elder. Based on the same political, economic ideologies, they persistently stood for it. But, they believed that such an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had nothing to do with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From time to time, however, they criticized the same government for its generous support for other religions, especially Islam and Buddhism. They regarded it as illegal, for it was violating the separation between politicsand religion by showing favoritism to some religions excluding Protestantism. But they did not interpret in that way when they received the favorable or even privilege-like support from the same government. Likewise, the Conservative Christians in Korea has used the term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ir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When they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it, they interpreted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as “religion’s not participating in politics.” But when they were at odds with it, they changed their former understanding of it and became a strong anti-government force. At the same time, when they received favorable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they never interpreted it as violating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of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When they felt that they were discriminated by government, however, they raised their voices against it, arguing that it was violating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지」 40년의 근대교회사 연구 분석과 평가 - 경건주의와 웨슬리 연구를 중심으로 -

        오광석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1979년 6월 창간호부터 2019년 8월까지 「한국교회사학회지」에는 40편의 근대교회사 분야 논문이 실려 있다. 그 40편 가운데 경건주의와 관련된 연구가 15편으로 근대교회사 연구의 38%를 차지하고, 웨슬리와 관련된 연구는 18편으로 45%나 된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사학회지」에 실린 경건 주의와 웨슬리 연구를 통해 학회지의 근대교회사 연구를 분석 평가하였다. 경건주의 연구논문들은 대부분 개혁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는 한국교회와 목회자들의 타락과 교회개혁에 대한 열망이 종교개혁으로 시작된 개 신교의 타락을 통렬히 비판하며 등장했던 경건주의에 대해 신학자들이 관심을 갖도록 이끌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웨슬리 연구는 웨슬리안 교단 연구자들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왔으며, 그 주제도 다양하게 연구되어왔다. 전체적으로 평가해 보면, 그간의 본 학회지 근대교회사 분야는 너무 특정 분야와 지역에 연구가 쏠려 있다. 근대교회사 내에서 보다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분야와 주제를 다루는 연구들을 통해 학문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경건주의 연구에 있어서도 교회개혁뿐 아니라 예배, 성례, 소그룹과 평신도 중심의 교회 조직 등 목회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연구가 많아져야 한다. 무엇보다 그간의 연구가 지나치게 남성만을 대상으로 연구해 왔다는 점은 문제이다. 가용한 자원 안에서라도 여성들을 재발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From the first issue of June 1979 to the recent issue of August 2019, the Journal of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contains 40 articles for the study of modern church history. Of them, 15 articles were related to Pietism, accounting for 38% of the studies of modern church history, and 18 to Wesley, 45%.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journal’s articles on modern church history, focused on the study of Pietsm and Wesley. Most studies of Pietism focused on reform. The corruption of Korean churches and pastors and the desire for church reform led theologians to pay attention to Pietism which emerged with fierce criticism of the corruption of Protestantism. The study of Wesley has been led by the scholars of Wesleyan denomination, and the subject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As a whole, the studes of modern church history in the journal are excessively concentrated on specific fields and regions. It is necessary to contribut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scholarship by studies covering more diverse areas and themes in modern church history. Also, in the field of Pietism, many studies are needed not only for church reform, but for worship, sacrament, small group and lay-centered church organization, where pastors are concerned. Above all, it is a big problem that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ly for men. Studies are needed to rediscover women, even within the available resourc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유화례(Florence E. Root)의 전도활동, 1927-1942

        최영근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3 No.-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evangelical work by Florence E. Root, a single woman missionary for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Focusing on her evangelism from 1927 to 1942 until its discontinuation under the threat of the Japanese wartime system, her awareness of Korean church and society, the consciousness of evangelism and education for women, and the attitude toward the Japanese colonial rule over Korea is investigated. This research on the evangelism of Root shows that she neither agreed nor blamed the fall of the Korean church into a patriotic institution for war mobilization under the threat of the Japanese but consoled and encouraged them while maintaining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her mission to Korea undauntedly under pressure and disturbance by the authorities. She visitedwomen in the backcountry and conducted evangelism, providing basic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the unschooled. She trained women into active leaders through Bible education for women centered in Bible classes as well as Bible institutes and schools run by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This is one of the major evangelical methods of the miss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urch, and her evangelical work as a case displayed the entire process. She initially regarded evangelism as a way of cultural improvement, leading an uncivilized society to a modern civilization, as well as the light of the gospel. Later encouraged by a revival experience, she acknowledged the remarkable commitment of the Koreans to the gospel despite difficulties as well as the Japanese suppression, thus changing her view of the mission. She concentrated on the soul of the people and became enrooted in Korea. Root and the Korean church under the Japanese threat tied together with mutual support and care, which encouraged her to stay in Kora and perform evangelism. 이 연구는 1927년부터 1942년까지 미국 남장로회 독신여성선교사 유화례(Florence E. Root)의 전도활동이 일제강점기 한국사회와 교회에서 갖는 교회사적 의의를 규명하였다. 특히 전시체제기 일제의 방해와 위협 속에서 그의 전도활동이 진행되고 중단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한국교회와 사회에 대한 인식, 여성전도와 교육에 대한 의식, 일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명하였다. 유화례의 전도활동에서 선교사와 한국교회 사이의 영향관계에 주목하였고, 일제의 위협 속에서 선교사들이 철수하는 상황에서도 그가 떠나지 않고 한국에 뿌리내리며 선교를 하게 된 배경과 관계를 살펴보았다. 유화례는 일제의 위협 앞에서 전쟁동원 기관으로 전락한 한국교회에 대하여 동조하거나 정죄하지 않고, 선교의 원칙과 목적을 지키며 전도활동을 수행함으로써 고난 중에 있는 한국교회에 자극과 도전, 위로와 격려를 주었다. 일제의 방해 속에서도 시골 오지로 전도활동을 하면서 교육의 기회를 갖지 못했던 여성들을 가르치고, 사경회, 성경학원, 성경학교를 통해 여성지도자를 양성하면서 한국교회 성장에 기여하게 하였다. 이로써 여성전도와 여성지도자 양성에 여성선교사들의 역할이 컸고, 이것이 남장로회의 중요한 선교정책과 방법이었다는 점을 유화례의 전도활동을 통해 규명하였다. 유화례는 선교초기에 기독교 선교가 열악한 사회문화적 환경에 있는 한국사회를 근대문명과 복음의 빛으로 인도한다는 의식이 강했지만, 일제의 기독교 탄압과 그 속에서도 헌신하는 한국교인들의 헌신을 통해 자기를 반성하고, 부흥의 경험을 통해 문화와 문명의 개선이 아니라 한국에 뿌리를 내리고 영혼에 대한 깊은 관심과 헌신을 위한 선교의 인식과 자세로 변화되었다. 일제의 압제 아래 고난당하는 한국교회와 유화례 사이에 형성된 신뢰의 상호관계는 서로를 격려하고 위로하는 선교의 동력이 되었다.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지」에 게재된 근, 현대 논문분석 및 평가: 사상사, 교단사, 교회일치운동 중심으로

        김태식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근, 현대교회사에 해당하는 시기에 새로운 신학사 상체계가 수립되고 새로운 교회체제인 교파(교단)제도가 출현하게 되었다. 루터교, 성공회, 개혁교회, 침례교, 급진종교개혁세력등으로 대표되는 개신교는 저마다 교단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여러 신앙고백과 신학체계를 확립했고 교단의 운영체제인 감독정체, 장로정체, 회중정체등도 각 교파가 처한 여건과 상황속에서 발전시켜 나갔다. 한국교회사학회 창간이후, 지난 50년 동안 학회지에 실렸던 72편의 논문들은 각 교단 관련 신학과 교회정체, 그리고 일반적인 주제들(교회일치운동 포함)을 다루었다. 하지만 특정 주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했으며 이에 주제의 다양성 확보와 보다 다양한 교단참여와 적절한 성비 비율을 위한 대책이 시급해 보였다. After the 16th century reformation, the theologies and the new church policies (especially denominationalism) of each reformed group were established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Lutheran, Anglican, reformed, Baptist, and radical reformers established their denominational identities with various confessions or theological texts, and denominational policies such as those associated with Episcopalianism, Presbyterianism, and Congregationalisn. During the last 50 years, 72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is journal. The topics of these articles included theology, church policy, and ecumenism. An effort to attain more denominational participation, relevant topics, and to welcome more female writers is needed.

      • KCI등재

        한국개신교 선교역사의 시작은 언제인가?

        김칠성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8 No.-

        한국 기독교 선교의 기원에 관해 관심을 갖고 있는 몇몇 개신교 단체들은 최근 올해 2014년을 한국기독교 130주년으로 정하고, 이를 기념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대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전에, 우리는 1) 용어 사용의 문제, 2) 역사관의 중요성, 그리고 3) 첫 번째 선교사에 대한 논쟁 등과 같은 문제들을 주의 깊게 연구해 보아야 한다. 가장먼저 우리는 ‘기독교(Christianity)’의 의미를 고려한 후,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가 과연 적절한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사람들의 모임이나 그 상태’를 의미한다. 그래서 기독교는 로마 카톨릭 교회, 동방정교회, 성공회, 그리고 개신교회를 모두 다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용어이다. 만일 한국에서 가장먼저 선교역사가 시작된 천주교의 역사의 시작점인 1784년을 한국기독교의 시작점으로 본다면, 올해는 한국기독교 130주년이 아니라 230주년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올해 2014년도를 한국 기독교 전체가 아닌 개신교 차원에서만 기념하려 한다면, ‘한국기독교 130주년’이 아닌, ‘한국개신교 130주년’이라는 슬로건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들은 역사를 이해함에 있어서 역사관의 중요성에 관해서 반드시 인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한국에서는 한국교회사 혹은 한국선교역사를 연구함에 있어서 크게 ‘선교사 중심의 역사이해’와 ‘한국인 중심의 역사이해’라는 두 개의 역사관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인 중심의 역사이해를 하려는 사람들은 1884년 이전에 주로 중국이나 일본에서 초기 선교사들과의 만남을 통해 개신교 신앙을 접한 초기 한국인들(예를들어, 백홍준의 아버지, 이응찬, 김진기, 서상륜, 서경조, 이수정)에게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 물론 이들 한국인들은 한국 개신교 신앙의 개척자들로서 한국개신교 선교를 위해 다방면에서 공헌을 한 점은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이 진정한 기독교인 이었는지, 그리고 한국에 교회를 설립한 것이 맞는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바로 이런 점들 때문에 어떤 이들은 한국개신교 역사의 시작은 외국 선교사들의 한국입국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국에 온 첫 번째 개신교 선교사가 누구인가에 관해서는 여전히 논쟁점들이 존재한다. 찰스 귀츨라프는 1832년에 그리고 로버트 토마스는 1866년에 한국에 처음 도착한 것은 역사적으로 분명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과연 진정한 선교사였는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이 아직 정리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들이 한국에 올 때, 서구 제국주의 혹은 식민주의자들과 함께, 그리고 그들의 조력자로 한국에 왔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한국 교회사학계와 교회들에서는 1880년대에 한국에 온 선교사들 가운데에서 그 첫번째 선교사를 찾으려고 한다. 한국감리교의 초대 총리사였던 양주삼은 1880년대 한국에 온 선교사들 중에 로버트 매클레이를 첫 번째 개신교선교사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매클레이가 1884년에 고종으로부터 감리교를 포함한 모든 개신교 선교사들의 선교(의료, 교육)에 관해 공식적으로 허락을 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매클레이가 보여준 한국정부와 한국 사람들을 대하는 정중한 태도는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교훈을 주기 때문에, 우리는 매클레이를 한국에 온 첫 번째 개신교 선교사라고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Considering the origin of Christian mission in Korea, some Protestant organizations try to celebrate this year(2014) as the 130th anniversary of Korean Christianity. However, before celebrating this historical affair, we must carefully investigate: 1) the using of right term, 2)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views, and 3) the controversy about the first missionary in Korea. First of all, people should use the proper terminology through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hristianity.” Christianity means people, who believe Jesus as the Christ and the Savior, or their belief stance. Thus, the meaning of Christian contains all Christian parties, such as Roman Catholic Church, Eastern Orthodox Church, Anglican Church, and Protestant Church. In considering the mission history of Roman Catholic Church in Korea started from 1784, this year is not the 130th anniversary. Therefore, people who want to celebrate this year should use the specific slogan “the 130th anniversary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instead of their current slogan, “the 130th anniversary of Christian missions in Korea.” Also, people have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views in understanding history. Generally speaking, there are two historical views(i.e., missionary-centered and Korean-centered) about the mission or church history in Korea. Some people insist that the starting point of Korea’s mission history came back the early Korean Protestants (e.g., Hong-Jun Baek’s father, Eung-Chan Lee, Jin-Ki Kim, Sang-Ryun Seo, Kyung-Jo Seo, and Su-Jung Lee) who became Christians in China and Japan before 1884. Nevertheless, it is not clear that they were truly born again and establishing churches in Korea. For this reason, some people underscore the entry point of foreign missionaries, but it is controversial in terms of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in Korea. Even though early two Protestant missionaries (i.e., Charles Gützlaff, Robert Thomas) visited some ports in Korea in 1832 and in 1866 respectively, it is still doubt whether they were authentic missionaries or not. It is because they came to Korea with the Western colonialists or as their support. Thus, we can find the first missionary among people who came to Korea during the 1880s. Among the missionaries, Ju-Sam Yang (the first General Superintendent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regarded Robert Maclay, who opened the Protestant mission works by receiving the approval of Ko-Jung (the Korean King) in 1884. Because Maclay’s attitude can give today’s Korean Protestant churches good implications to overcome current difficulties of all Korean churches, we can consider Maclay as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