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잡지에 나타난 대학생 표상 -『사상계』의 대학생 담론을 중심으로-

        유창민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7 No.-

        This paper is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 since the 1960s. Images from one generation to the building is based on a generational conflict. Above all the older generation is crucial for recognition of a new generat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older generation see student. they observed new generations. they treated students like a stranger. they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The older generation classified students into small group. they had a double eye. they were positve to students. but they denied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changed position. Students shoud receive a negative rating by intellectual. in this way, Intellectual made a image of students. The presentations made from not students ​​but from intellectual. The Students in 1960’s was divided into public sphere and private sphere. The student was represented in each area. In the public sphere Political color of students was removed. Instead it was replaced by a dream, a flower, a tears. In the private sphere, They were representations with Depressed, wandering, romantic, love. The older generation did not protect students, did not pity students in they distress. The old generation did nothing but negative with new generation. The students after 4.19 was the symbol of sentimentality after all. 본 논문은 1960년대 사상계 지식인의 대학생 담론에 관한 연구이다. 한 세대의 이미지가 구축되는 데는 세대간 갈등이 우선되며 기성세대의 신세대 인식이 선행되기 마련이다. 이런 점에서 4.19 이후 새롭게 등장한 대학생을 바라보는 기성 세대의 시선은 60년대 대학생을 표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식인의 선도적 역할을 한 이 잡지는 신세대들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담론의 방식을 택하고 있다. 우선 신세대를 분류해내고 의미를 파악하는 작업을 선행한다. 4.19의 의미를 환기하는 시기에 대학생은 기성세대에 의해 호명된다. 분류는 주체가 타자를 파악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기성세대는 대학생을 분류한 이후에 이중적 시선으로 바라본다. 이로 인해 긍정과 부정 사이에 대학생은 놓이게 된다. 담론의 전환을 통해 부정적 시선이 긍정적 시선을 몰아내고, 대학생에 대한 훈계와 타자화를 통해 60년대 대학생은 비로소 표상된다. 문제는 그러한 표상이 대학생 스스로의 이미지 구축과는 거리가 먼 기성세대에 의한 표상이라는 점에 있다. 이는 기성세대와 신세대간의 헤게모니 싸움에서 언제가 기성세대가 시선의 우위에 놓여 있다는 점을 이야기 한다. 그 결과 만들어진 60년대 대학생의 이미지는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으로 분리되어 표상된다. 공적인 영역에서 대학생은 정치적 성취가 있음에도 정치적 색채가 지워진 채 감상적인 존재로 표상되는 데 그것은 ‘꿈’, ‘꽃’, ‘눈물’과 같은 단어를 통해 대학생이 그려진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적인 영역에서 대학생은 ‘우울’, ‘방황’과 ‘낭만’, ‘연애’와 같은 어휘들로 표상되는데 이러한 표상 어디에도 세대를 이해하고 안아주려는 속성이 들어 있지 않으며 부정적이고 비윤리적인 의미만이 파악된다. 결국 60년대 4·19 이후 새롭게 등장한 대학생에 대해 기성세대 지식인은 비윤리적, 감상적이라는 부정적 표상을 만들어 내었고 그것은 이후 한국 사회 대학생의 대표적인 표상으로 자리 잡게 된다.

      • KCI등재

        2차원 기공층을 포함하는 초박형 단열기판의 미세구조 및 단열 특성

        유창민,이창현,신효순,여동훈,김성훈,Yoo, Chang Min,Lee, Chang Hyun,Shin, Hyo Soon,Yeo, Dong Hun,Kim, Sung Ho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11

        We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an ultra-thin insulating board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along z-axis, which was based on the idea of void layers created during the glass infiltration process for the zero-shrinkage low-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technology. An alumina and four glass powders were chosen and prepared as green sheets by the tape casting method. After comparison of the four glass powders, bismuth glass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Since there is no notable reactivity between alumina and bismuth glass, alumina was selected as the supporting additive in glass layers. With 2.5 vol% of alumina powder, glass green sheets were prepared and stacked alternately with alumina green sheet to form the 'alumina/glass (including alumina additive)/alumina' structure. The stacked green sheets were sintered into an insulating substrat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the additive alumina formed supporting bridges in void layers. The depth and number of the stacking layers were varied to examine the insulating property. The lowest thermal conductivity obtained was 0.23 W/mK with a $500-{\mu}m-thick$ substrate.

      • KCI등재

        우리나라 청소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형성 변화 과정: 가족, 학교, 지역사회 각 영역별 결속형 사회적 자본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탐색

        유창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1

        This study examined family, school, and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for Koreans adolescents. For these purposes, we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volving 2,34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from 2010, 2011, 2012, 2013, 2014, and 2015. Adolescent’s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 have maintained with time,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 have increased with time, and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have decreased with time. 2) The predictors that affect bonding social capital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①intensifi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gender;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non;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income), ② maintain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family structure;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sibling existence, income;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gender, grade satisfaction, sibling existence), ③alleviat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self-esteem, community spirit, academic mastery goal;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gender, self-esteem, community spirit, academic mastery goal;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self-esteem, community spirit, academic mastery goal), ④ non effect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grade satisfaction, sibling existence, income;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grade satisfaction, family structure;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family struc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in family, school, and community i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족 내, 학교 내, 지역사회 내 결속형 사회적 자본의 변화과정과 예측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1차년도부터 6차년도까지 총 6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대상은 2,344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족 사회적 자본은 시간이 흘러도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경향, 학교 사회적 자본은 증가하는 경향,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결속형 사회적 자본의 변화궤적에 대한 예측요인 유형이 첫째 심화요인(가족 사회적 자본=성별; 학교 사회적 자본=없음;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가구소득), 둘째 유지요인(가족 사회적 자본=가족구조; 학교 사회적 자본=형제유무, 가구소득;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성별, 성적만족도, 형제유무), 셋째 완화요인(가족 사회적 자본=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숙달지향목적; 학교 사회적 자본=성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숙달지향목적;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숙달지향목적), 넷째 무영향요인(가족 사회적 자본=성적만족도, 형제유무, 가구소득; 학교 사회적 자본=성적만족도, 가족구조;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가족구조)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서는 개인, 가족, 학교체계수준의 종합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예측요인의 유형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황동규 초기시에 나타난 방황하는 청년 표상

        유창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89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young man in Hwang dong-kyu's early works. Two events such as the revolution took place in 1960's. one is 4·19, the other is 5·16. After this events, South Korea will seek the freedom and economic development with Modernization Project The young generation called 4·19 generation was emerging in early 1960's. They were independent from the older generation and They are resistant to Dictatorship. Angry young man took to the streets. and were grouping. but They were not stable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Marginalized young people were wandering the streets. The image of young man wandering in the streets was projected on the literature of the 1960's. 60's women were marginalized as young men. Moreover, resiatanting or wandering in the street was limited to young men. Women were given the role that different with men. and there were no women in the word of man. There are young people who are lost in the Hwang dong-kyu's early poem. They call each other into the street in oder to memories. but there is no people in the street, so young men disappoint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woman in the street also. Women are hidden. and There are women in the background or Women are represented in the auditory image. How to recognize women changes due to travel. The poet observe women in travel. They are working in the field or Foreshore. so that Women are received with vitality. and Women get the value of Other. through Other, Poet can know the limits of patriarchy. Many researchers agree that Hwang dong-kyu's poem is the result of a trip. In addition Changing the perception of women is add, we can read the in poem Postmodernism 이 글은 황동규의 초기시에 나타난 청년 표상에 관한 연구이다. 1960년대는 4·19와 5·16이라는 중대한 사건이 존재한다. 이 두 사건 이후 한국 사회는 근대화프로젝트의 진행과 더불어 자유와 경제발전을 동시에 모색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하에 60년대 초반 4·19세대로 불리던 신세대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기성세대로부터 독립적이며 독재에 저항하는 속성을 지닌다. 청년들은 거리를 메우는 것으로 그들의 집단성을 드러내기는 하였지만 실제적인 안정을 취득하지 못했다. 경제적, 정치적 질서에서 소외된 젊은이들은 좌절하여 거리를 방황한다. 이러한 청년들의 표상이 당대의 문학작품 및 기타 예술 장르에 투영된다. 그런데 근대화 프로젝트가 남성 중심적이다 보니 60년대 여성은 젊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소외되었다. 더군다나 거리에서 투쟁하거나 방황하는 청년은 남성에 국한되었다. 황동규의 초기시에서도 방황하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발견해 낼 수 있다. 이들은 서로를 거리로 불러내어 과거의 추억을 되새기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현실 속에는 과거의 거리를 가득 메웠던 군중의 모습은 사라졌다. 황동규의 시에서 거리는 빈 공간으로 차가운 눈이 내거나 얼어붙은 겨울로 묘사되고 거리의 사내들은 다른 사내들을 찾아 헤매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는 기존 담론의 수용의 결과라 생각할 수 있다. 기성세대 담론이 청년을 공적인 영역에서 배제시켜 청년들은 우울과 방황의 이미지로 표상되는 된다. 이와 황동규의 초기시의 방황하는 젊은이의 모습은 유사하다. 한편, 여성은 거리에서 찾아볼 수 없다. 시의 배경에 삽입되어 표현되거나 청각적인 형태로만 존재한다. 일상적인 도시를 벗어나 여행지에서 시인이 발견한 남성들은 시인의 과거 슬픔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군중들이었다. 이들을 통해 구체적인 슬픔에 도달하여 그것을 극복할 수 있기에 이전 시의 감상적 슬픔에서 청년은 벗어날 수 있다. 한편 여행지에서 여성들과의 만남을 통해 세계관의 확대를 경험한다. 여성들은 밭이나 갯벌에서 혹은 우물가에서 일하는 여성들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타자 인식이 선행되어야만 시인은 기성세대가 지니고 있는 타자 배제의 한계점을 극복하게 된다. 황동규시가 여행을 통한 성찰의 과정이라는 것에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덧붙여 여성에 대한 인식 과정이 첨가된다면 황동규의 시를 보다 탈근대적이고 탈가부장적인 시로 읽어낼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이원적 정신건강의 종단적 상호관계성: 삶의 만족도와 자살생각을 중심으로

        유창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the positive mental health and the negative mental health. For this purpose, data from 2,256 students, who were aged 14.9 to 18.9, and consisted of 59.5% female, participating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2, 2013, 2015, and 2016 were analyzed by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 of each dual mental health showed that if each positive mental health and negative mental health was high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each of them was continuously high as time passed. Second, in terms of cross-lagged coefficients, both pathways, ‘positive mental health→negative mental health’ and ‘negative mental health→positive mental heal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mental health were negatively correla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athway ‘negative mental health→positive mental health’, the cross-lagged coefficient from the 1st year of high school to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was not significant. Thus, it was identified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facets of mental health were independent during high school. Third, the effect size of ‘positive mental health at time t-1→negative mental health at time t’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negative mental health at time t-1→positive mental health at time 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of individually and simultaneously intervening in positive mental health and negative mental health of Korean youth, and methods to conduct these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의 긍정적 차원과 부정적 차원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3차년도(2012년), 4차년도(2013년), 6차년도(2015년), 7차년도(2016년)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분석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2,256명이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원적 정신건강 각각의 자기회귀계수의 경우, 중학교 3학년 때 긍정적 정신건강이 높을 경우 이후 학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긍정적 정신건강이 높아졌다. 중학교 3학년 때 부정적 정신건강이 높을 경우 이후 학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부정적 정신건강이 높아졌다. 둘째, 교차지연계수의 경우, ‘긍정적 정신건강→부정적 정신건강’의 경로와 ‘부정적 정신건강→긍정적 정신건강’의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정신건강의 긍정차원과 부정차원이 서로 부적인 방향으로 종속된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부정적 정신건강→긍정적 정신건강’ 경로의 경우 고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으로 가는 교차지연계수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서, 이 시기에는 정신건강의 긍정차원과 부정차원이 서로 독립된 관계를 보였다. 셋째, 교차지연계수 중 ‘이전시점의 긍정적 정신건강→이후시점의 부정적 정신건강’의 영향의 크기가 그 반대방향인 ‘이전시점의 부정적 정신건강→이후시점의 긍정적 정신건강’의 영향의 크기보다 유의미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긍정적 정신건강과 부정적 정신건강에 대한 개별적이면서 동시적인 개입의 필요성과 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 유형 분류 및 예측요인 확인: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적용한 7개년도 종단연구

        유창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subgroups (i.e., latent classes) in sleep duration trajectories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depending on individual, school, and electronic media variables. To achieve these goals, we use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involving 2,24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from 2010 to 2016.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ur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and gender, household income, time spent on after-school classes, after-school homework, time using computer, time spent watching TV/video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predict latent classes according to various backgrounds that are susceptible to sleep duration and may prove helpful in providing suggestions for developing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이 동일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또는 질적으로 다른 여러 개의 하위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만일 그렇다면 그러한 차이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코호트의 1차년도(2010년)부터 7차년도(2016)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2,246명이다. 또한 주요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잠재계층성장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4개의 집단(중간 초기치 느린 감소집단, 중간 초기치 감소집단, 고초기치 빠른 감소집단, 고초기치 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수면시간 변화궤적 잠재계층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여성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학원・과외시간, 학원・과외숙제시간, 기타공부시간, 그리고 컴퓨터 및 TV・비디오 시청시간이 많을수록 수면시간이 부족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함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Caregiving-related stresses and parents' attitude towards the marriag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South Korea: The buffering role of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

        유창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3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 provided by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an moderate the effects of caregiving stresses on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itude towards marriage. For this purpose,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volving 739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Survey o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in 2011.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Specifically, interaction effects were tested for moderating effect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When the parents had experienced social welfare servi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demands of caring and parents' negative attitude of marriage is negative. However, when the parents had never experienced social welfare services, the results were rever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 of caregiving stresses on parents' attitude towards marriage varied by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 Therefore, intervention on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 in South Korea is necessary.

      • 청년기의 어떠한 특성이 우울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가?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8개년도 종단연구

        유창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3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의 우울 변화궤적이 전체 하나의 모집단의 형태로만 나타나는지 또는 질적으로 다른 다양한 잠재 하위 계층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다양한 하위 잠재계층 간의 차이는 어떠한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복지패널 자료 중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총 8년간의 종단자료를 이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우리나라 청년기에 해당하는 만 19세 이상부터 만 34세 이하까지의 1,695명이다. 주요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 청년의 우울 변화궤적의 잠재계층은 3개의 집단(저수준 우울 유지집단, 고수준 우울 감소집단, 저수준 우울 증가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우울 변화궤적의 유형을 예측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기에 따라서 여성 또는 남성이, 배우자가 없을수록, 교육수준/자아존중감이 낮고 주거환경이 나쁠수록, 그리고 음주를 많이 할수록 우울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년들의 정신건강을 예방 및 증진할 수 있는 함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