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상성 반월상 연골 파열의 관절경적 절제술 후 장기 추시 결과

        서재성,민학진,윤의성,김희선,김윤종,김유미,Seo, Jae-Seong,Min, Hak-Jin,Yoon, Ui-Seong,Kim, Hee-Seon,Kim, Yoon-Jong,Kim, Yoo-Mih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2

        Purpose: To study the long-term outcome of arthroscopic meniscectomy with regard to clinical symptoms and radiographic signs of osteoarthritic change. Materials and Methods: The materials for the investigation consisted of 79 individuals among 144 patients who underwent knee arthroscopy due to an isolated meniscal tear from October 1990 to September 1992 in our hospital. Those 79 individuals were followed up for $10{\sim}15$ years after the knee arthroscopy and were took clinical examination through the review of knee radiographies obtained with weight bearing. 52 of the 79 patients were men, and the mean age of the total materials was 34.6 years old (in the range $17{\sim}48$). Results: At follow-up, radiographic changes including Fairbank changes and joint space narrowing were seen from 45 of the 79 patients (56.2%). In other calculation, radiographic changes were seen in 23 out of 54 patients (42.6%) who had a partial meniscectomy, but were presented in 22 out of 25 patients (88.0%) who had a total meniscectomy. As a result, more radiographic changes were seen after total meniscectomy (p=0.03). In clinical results, 39 out of 54 patients (72.2%) after partial meniscectomy were satisfactory, and 14 out of 25 patients (56.0%) after total meniscectomy were satisfactory, therefore, more percentage of patients were satisfactory in partial meniscectomy group than in total meniscectomy group, but the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absent (p=0.24). Conclusion: The frequency of radiographic changes in $10{\sim}15$ years after meniscectomy was related to the quantity of the meniscus removed, but the differences of these changes were low and had little influence on activity and knee function. 목적: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의 슬관절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0월부터 1992년 9월까지 반월상 연골의 손상으로 본원에서 슬관절의 관절경적 시술을 시행 받은 144명의 환자 중 $10\sim15$년 뒤 장기 추적이 가능했던 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와 체중 부하 슬관절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79명 중 52명은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34.6세$(17\sim48)$였다. 결과: 추시 결과, Fairbank 변화와 관절강 협소를 포함한 방사선학적 변화는 부분 절제술 후 54예 중 23예(42.6%), 전 절제술 후 25예 중 22예(88.0%)에서 발생하여 전 절제술 후 많은 변화를 보였다(p=0.03). 임상적 결과는 부분 절제술군에서 만족이 54명 중 39명(72.4%), 전 절제군에서 25명 중 14명(56.0%)으로 부분절제술 후 만족도가 높았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p=0.24). 결론: 반월상 연골 절제술 후의 평균 12년 후 추시 결과, 방사선적 변화는 전 절제술시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슬관절 기능과 활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지방 종괴의 진단에 대한 MRI의 판별 능력

        서재성,안종철,김정래,최준혁,조길호,신덕섭,Seo, Jae-Sung,Ahn, Jong-Chul,Kim, Jeong-Rae,Choi, Jun-Hyuk,Cho, Kil-Ho,Shin, Duk-Seop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목적: MRI가 지방종과 고분화 지방 육종을 구분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지방종과 고분화 지방 육종이 생기는 위치, 깊이, 크기, 환자의 성별 및 연령 등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수술한 107명의 지방 종괴 환자 중, MRI를 재검토 할 수 있었던 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MRI의 판독 결과와 수술 후 병리학적 소견을 비교하여, MRI의 감수성, 특이성, 진단율, 양성 예상치 및 음성 예상치를 계산하였으며, 종양의 위치, 깊이, 크기, 조영 증강의 유무, 환자의 나이 및 성별 등과 종양의 악성 혹은 양성 여부와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MRI 판독 결과 28례에서 지방종으로 진단되었고, 19례에서 고분화 지방 육종의 진단 기준에 합당하거나 가능성이 있는 소견을 나타내었다. MRI에서 지방종으로 판단한 28례 중 병리 조직 판독 소견과 비교하여, 실제 지방종은 26례였으며 나머지 2례는 지방종 변종인 혈관지방종이었다. 고분화 지방 육종으로 판단한 19례 중 실제 고분화 지방 육종은 6례였으며, 나머지 13례는 지방종 변종 10례와 지방종 3례로 나타났다. 지방종 변종의 종류로는 섬유 지방종, 혈관지방종, 방추상세포 지방종, 지방아세포종과 혈관근지방종 등이 있었다. MRI 의 고분화 지방 육종에 대한 감수성은 100%, 특이성은 68%, 진단율은 72%, 양성 예상치는 31%, 음성 예상치는 100%였으며, 지방종은 각각 90%, 89%, 89%, 93%, 84%였다. 양성지방 종양 군과 고등급 지방 육종 군을 구별 할 수 있는 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조영 증강 유무 와 종양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MRI는 고분화 지방육종의 진단에 감수성이 강하고, 지방종의 진단에 특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특이적 소견을 보일 때는 지방종 변종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 종괴의 크기가 10 cm 가 넘고, MRI에서 조영증강이 되는 부분이 있으면 고분화 지방 육종을 의심하여야 하고, MRI 소견이 비 특이적일 때는 지방종 변종을 생각하여야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usefulness of the MRI to distinguish lipoma and well differentiated liposarcoma (WDL). Materials and methods: 47 lipomatous tumors with MRI were reviewed among the 107 lipomatous tumors operated in our department. MRI examina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pathology reports were compared to determine sensitivity, specificity, diagnostic ability, positive predictable value and negative predictable valu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malignancy of the tumor (WDL) with the age and gender of the patients, and location, depth, size and the enhancement of tumors in MRI. Results: Among 28 lipoma in MRI examinations, 26 were proved as lipoma in pathology, and only 6 were WDL from 19 suspicious lesions in MRI, and others were proved as lipoma variants mostly. The varieties of lipoma variants were fibrolipoma, angiolipoma, spindle cell lipoma, lipoblastoma and angiomyolipoma. The sensitivity, specificity, diagnostic ability, positive predictable value and negative predictable value of MRI were 100%, 68 %, 72%, 31% and 100% in WDL, and 90%, 89%, 89%, 93% and 84% in lipoma. Among the variants to distinguish WDL and lipoma, the size of tumor and enhancement in MRI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p<0.05). Conclusion: MRI was highly sensitive in detection of WDL and highly specific in detection of simple lipoma. The size of tumor and enhancement in MRI were significant variants to distinguish WDL and lipoma. When MRI finding is non-specific, it is more likely to represent one of lipoma variants.

      • KCI등재

        염산용액(鹽酸溶液)에서 Tri-Butyl Phosphate(TBP)에 의한 주석(朱錫)(IV)의 용매추출(溶媒抽出)

        서재성,안재우,이만승,Seo, Jae-Seong,Ahn, Jae-Woo,Lee, Man-Se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0 資源 리싸이클링 Vol.19 No.3

        염산용액으로부터 TBP(Tri-butyl Phosphate)를 사용하여 주석(IV)의 추출에 대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용액상에서 염산과 염소이온($Cl^-$) 농도, 주석 농도 및 추출제 농도 등과 같은 실험인자들이 주석의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산과 염소이온 농도가 증가할수록 주석의 추출율이 증가하였고, 7.0M의 염산농도에서 10% TBP에 의해 주석이 98%이상 추출되었다. McCabe-thiele 도표 분석을 통해 주석의 연속 추출에 필요한 이론적인 최적 추출단수를 구하였다. 한편 탈거액으로 NaOH 용액이 효과적이었고, 2.0M NaOH 에서 99.3%이상의 높은 탈거율을 나타냈다. Solvent extraction behavior of Sn(IV) from hydrochloric acid solution was investigated using TBP(Tri-butyl Phosphate) as an extractant. The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HCl solution, chloride ions, extractant, and Sn were observ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extraction percent of S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hydrochloric acid and chloride ion concentration. More than 98% of Sn was extracted in 7.0 M HCl by 10% TBP. The optimum extraction stages of Sn for continuous extraction process was theoretically calculated by analysizing the McCabe-Thiele diagram. Stripping of Sn from the loaded organic phases can be accomplished by NaOH as a stripping reagent effectively and 99.3% of Sn was stripped by 2.0M NaOH solution.

      • KCI등재

        제2배부 중수골 유경 혈관 이식과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에 의한 Kienböck 질환의 치료

        서재성(Jae-Sung Seo),손욱진(Oog-Jin Shon),한재형(Jae-Hyeung Han),박삼국(Sam-Kuk Park),고진혁(Jin-Hyuk Ko),정승민(Sung-Min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Kienbock 질환 치료에 있어 월상골의 재혈관화를 위한 유경혈관 이식술은 유용한 치료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Kienbock 질환 환자에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의 결과와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3년 5월까지 Kienbock 질환으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유합술을 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추시 관찰하였다. 추시 기간은 15개월에서 54개월로 평균 35개월이었고 수술 당시 2명이 Lichtman stage Ⅱ, 6명이 stage Ⅲa, 1명이 stage Ⅲb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척골 중립변위였다. 수술은 요골 동맥의 제2배부 중수골 분지와 동반 정맥을 이용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요측 편위를 제외한 술 후 운동범위와 악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걸린 시간은 평균 22주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경화가 호전되는 소견은 8예에서 보였으나 월상골의 함몰 이 6예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Lichtman의 기준에 의한 평가는 7예에서는 만족, 비교적 고연령인 2예에서는 불만족이었으며 Nakamura 평가법에 의하면 5예에서 양호, 3예에서 보통, 1예에서는 불량이었다. 결론: 척골 중립변위인 Lichtman stage IIIa 이하의 Kienbock 질환 환자에서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을 동반한 유경 혈관 이식술은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재혈관화 술식 시 환자의 나이를 고려해야하며 향후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의 기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Revascularization is a useful method for treating Kienbock's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 of the second dorsal metacarpal vascular pedicle to treat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on 9 patients who had undergone vascular pedicle graft for Kienbock's disease between 1999 and 2003.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5 months. At the time of surgery, 2 patients were graded as stage Ⅱ, 6 as Ⅲa and 1 as Ⅲb. The ulnar variance was neutral in all cases. A vascular pedicle graft using second dorsal metacarpal vessel were performed and temporary scaphotrapeziotrapezoid (STT) fixation were applied for 6 months. Results : Wrist motion except for the radial deviation and grip strength had improved significantly. The patients returned to work after an average of 22 weeks. Resorption of the sclerosis was observed in 7 cases, but lunate collapse was observed in the simple radiograph in 6 cases. According to Lichtman's criteria, 7 cases were satisfactory but 2 cases with a relative old age were unsatisfactory. According to Nakamura's classification, 5 cases were good, 3 cases were fair and 1 case was poor. Conclusion : In Kienbock's disease with neutral ulnar variance, a revascularization procedure of vascular pedicle graft with temporary STT fixation is a good treatment method but the patient's ag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revascularization procedure. A prospective study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duration of temporary STT fixation.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압박대의 압력에 따른 대퇴부 동통과 실혈량에 대한 영향

        서재성 ( Jae Seong Seo ),민학진 ( Hak Jin Min ),윤의성 ( Ui Seoung Yoon ),김진수 ( Jin Soo Kim ),조기현 ( Ki Hyun Jo ),김용훈 ( Yong Hoon Kim ),박철희 ( Cheol Hee Baak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압박대의 압력에 따른 수술 후 대퇴부 동통 및 실혈량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본원에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1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압박대의 압력을 300 mmHg로 사용한 군(I군)과 수축기 혈압보다 100 mmHg 높은 압력을 사용한 군(II군)으로 나누어 술 후의 대퇴부 동통의 발생빈도, 동통의 강도 및 실혈량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대퇴부 통증의 빈도는 술 후 12시간째 I군(72.5%), II군(70.7%), 24시간째 I군(77.4%), II군(50.1%), 72시간째 I군(58.1%), II군(34.7%)으로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으며, 통증의 강도도 술 후 6시간(p=0.04)과 72시간(p=0.02)에서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I군과 II군에서 수술 후 실혈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수축기 혈압보다 100 mmHg 높은 압력의 압박대를 사용함으로써 술후 지혈대에 의한 대퇴부 동통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300 mmHg의 압력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 시술후 실혈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ourniquet pressure on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and blood loss of patients who undergo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focused on one-hundred sixty-one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ies that were done with using a tourniquet. The tourniquet pressures were 300 mmHg in group I (seventy-four cases) and 100 mmHg higher tha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in group II (eighty-seven cases). We analyzed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with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and we assessed the hemoglobin levels and the hematocrits. Results: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thigh pain in group II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group I. The intensity of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of group II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I at both 6 hours and 72 hours after surgery.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blood los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Using a tourniquet pressure of 100 mmHg above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can reduce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When comparing the above technique with a TKA using 300 mmHg of tourniquet press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ostoperative blood los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신체 이미지 척도(BAS) 타당화 검증: 무용수를 대상으로

        서재성(Seo, Jae-Sung) 한국체육과학회 201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ly/statistically validate BAS(Body Appreciation Scale) perceived by Korean dancer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75 dancers. Using their questionnaires, BAS perceived by dancers was structuraliz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item analysis, 13 items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that was statistically convergent.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1 items of 2 factors were extracted, an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9 items of 2 factor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Further, using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validity of BAS perceived by dancers could be confirm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S has a multi-dimensional factor structure.

      • KCI등재

        자가 슬건과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단기 추시 결과 비교

        서재성(Jae Sung Seo),이동철(Dong Chul Lee),손욱진(Oog Jin Shon),장우혁(Woo Hyuk Jang),김세동(Se Do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자가 슬건과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술후 결과를 임상적, 방사선적으로 분석하여 비교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9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환자들 중 추시기간이 18개월 이상인 자가 슬건 군 22예와 자가 슬개건 군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IKDC 평가법, Lysholm 점수, Tegner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방사선적 평가는 Telos기기를 이용하여 90도 굴곡위에서 전방 전위도를 정상측과 비교하였고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방 슬부 동통의 빈도, 대퇴 사두근의 위축 정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IKDC 평가법에 의하면 슬건 군은 A등급 2예, B등급 14예, C등급 6예였고 슬개건 군은 A등급 3예, B등급 20예, C등급 7예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Lysholm 점수는 슬건 군이 술 전 평균 58.2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88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56.3점에서 평균 90.6점으로 호전되었고, Tegner 점수는 슬건 군이 술 전 평균 2.4점에서 최종 추시상 평균 5.8점으로, 슬개건 군은 평균 2.3점에서 평균 6.2점으로 활동도가 증가되었으나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Telos기기를 이용한 최종 추시 전방 전위도는 슬건 군이 정상측과 평균 2.6 ㎜의 차이를 보였고 슬개건 군이 평균 2.3 ㎜의 차이를 보여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방 슬부 동통은 슬건 군이 2예(13%), 슬개건 군이 11예(37%)로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슬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방 슬부 동통의 빈도를 낮출 수 있으며 슬개건과 비슷한 정도의 만족할 만한 인대 안정성 및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stability, activity level and clinical results of an autologous hamstring and Bone-patellar tendon-bone (BPTB) graft in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1997 and January 2003, 22 patients with an ACL reconstruction with an autologous four strand hamstring tendon, and 30 patients with a BPTB autograf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the patients were evaluated by stress radiographs using a Telos instrument, the Lysholm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activity grades, and anterior kneeling pain. Results: An evaluation of the anterior laxity using the Telos instrument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mstring and BPTB groups: side to side difference 2.6 ㎜ in the hamstring group vs 2.3 ㎜ in the BPTB groups (p>0.05). The Lysholm score improved from a preoperative score of 58 to a postoperative score of 88 in the hamstring groups and from 56 to 91 in the BPTB groups. The Tegner score for the hamstring groups was 2.4 preoperatively and 5.8 at the final follow up, and the Tegner score for the BPTB groups were 2.3 and 6.2 preoperatively and after the last follow-up, respectively. The Tegner score was similar in the two treatment groups (p>0.05). According to the IKDC rating system, 9% were normal and 64% were almost normal in the hamstring group. In the BPTB group, 10% were normal and 67% were almost normal. Anterior kneeling pain after a reconstruction with the hamstring tendon autograft (13%) was significantly less common than with the patellar tendon autograft (37%)(p<0.05). Conclusion: The hamstring autograft for an ACL reconstruction decreased the incidence of anterior kneeling pain and produced equivalent clinical results to the BPTB autograft.

      • KCI등재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통한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의 치료결과

        서재성(Jae-Sung Seo),박성혁(Sung-Hyuk Park),김원호(Won-Ho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2

        목적: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 대하여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한 후 임상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을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으로 치료받은 9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 (12~23개월)이었다. 파열의 크기는 중파열이 43예, 대파열이 47예였다. 술 전 및 최종 추시 시 KSS, ASES, UCLA,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한 기능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휴식 및 운동 시 평균 VAS 점수는 각각 수술 전 2.56, 6.94에서 최종 추시 시 0.96, 1.70으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UCLA 점수는 수술 전 평균 17.08점에서 최종 추시 시 31.1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최우수가 31예 (34%), 양호가 49예 (54%), 불량이 10예 (12%)였다. 최종 추시 시 60세 이하인 경우 31.47점, 61세 이상인 경우 30.69점이었으며 (p=0.344), 중파열인 경우 31.23점, 대파열인 경우 31.11점이었고 (p=0.924), 비외상군이 31.10점, 외상군이 31.23점이었다 (p=0.929). 결론: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하여 동통의 감소 및 견관절 기능 향상의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믿을만한 수술적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수술 당시 연령, 외상력 유무는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Purpose: To determine clinical results for arthroscopic repair of a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using a suture bridge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November, 2007 and October, 2008, we evaluated 90 cases of arthroscopic middle, large rotator tear cuff repair.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5 months (range, 12-23 months). Forty-three cases had medium-sized tears; 47 cases had large-sized tears. At the preoperative stage and again at last follow-up, functional results were assessed by the KSS, ASES, UCLA and the PVAS (Pain visual analogue score). Results: Pain score improved from 2.56 preoperatively to 0.96 at final follow-up; movement scores improved from 6.94 to 1.70. At. final follow-up, the average UCLA score improved from 17.08 to 31.17 with 31 excellent (34%), 49 good (54%) and 10 poor results (12%). The final UCLA score was 31.47 in the group less than 60 years of age and 30.69 in the group over 61 years of age (p=0.344). The UCLA score was 31.23 in those with medium-sized tears and 31.11 in those with large-sized tears (p=0.924). The UCLA score was 31.10 in non-trauma patients and 31.23 in trauma patients (p=0.929). Conclusion: Arthroscopic repair of a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using a suture bridge technique can produce excellent clinical results. These outcomes are not affected by age or trauma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