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의 급여가 육계 생산성, 혈액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강환구(Hwan Ku Kang),서옥석(Ok Suk Seo),최희철(Hee Chul Choi),채현석(Hyun Suk Chae),나재천(Jae Cheon Na),방한태(Han Tae Bang),김동욱(Dong Wook Kim),박성복(Sung Bok Park),김민지(Min Ji Kim)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4

        본 시험은 육계 사료 내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을 첨가 ·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혈액 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육계(Ross) 초생추총 48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 반복 당 30수씩 공시하여 5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로는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NC, negative control), 항생제 처리구(PC, positive control), 발효 양파 부산물 1.0% 첨가구 (T1), 그리고 발효 마늘 부산물 1.0% 첨가구 (T2)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종료 체중은 발효 마늘 부산물 첨가구에서 1,752 g으로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무항생제 처리구에서 1,606 g으로 가장 낮았다. 증체량에서 역시 발효 마늘 부산물 처리구에서 무항생제 처리구 및 항생제 처리구보다 각각 9%와 5% 이상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 양파 발효물 첨가구에서는 무항생제 처리구와 비교 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하였을 때는 처리 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주간 사양 실험 후 혈구 분석 및 혈액 생화학 분석 결과, 무항생제 처리구를 비롯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육계 맹장 내 유산균 수는 발효 마늘 부산물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가장 높았으며(P<0.05), 발효 양파 부산물, 항생제 첨가구에서는, 그리고 무항생제 처리구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장균수와 살모넬라에서는 무항생제처리구와 비교 시 항생제 처리구와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 첨가구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육계 사료 내 발효 양파 및 마늘 부산물의 첨가 급여는 장내 균총에 효과적이며,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까지 발효 농산 부산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the fermented by products garlic and on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sition and cecal microflora in broiler chickens. A total four hundred eighty, day old broiler chickens (Ros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four replicates of thirty birds each. The treatment groups were negative group (NC, antibiotic-free diet), positive group (PC, basal diet with 0.05% and 0.03% anticoccidials), fermented of onion by product 1.0% group (T1) and fermented of onion by product 1.0% group (T2). The body weight of broilers fed the diets containing fermented by products garlic was higher than the other treatments during overall period.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on serum chemical composition and blood corpuscle. In the cecal microflira of broiler, the popul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was showed the higher in chicken fed diets supplemented with fermented of garlic group than other group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fermented of garlic and onion by product could be used as the alternative of antibiotics growth promotor of broiler chickens.

      • KCI등재

        산란계 사료 내 사과박 발효물 및 계피의 첨가 · 급여가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강환구(Hwan Ku Kang),서옥석(Ok Suk Seo),최희철(Hee Chul Choi),채현석(Hyun Seok Chae),나재천(Jae Cheon Na),유동조(Dong Jo Yu),강근호(Guen Ho Kang),방한태(Han Tae Bang),박성복(Sung Bok Park),김민지(Min Ji Kim),이지은(Ji Eun Lee),김동욱(D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1

        본 시험은 산란계 사료 내 사과박 발효물의 첨가가 산란계 생산성, 계란 품질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57주령 Hy-Line을 200수를 공시하여 5처리, 4반복, 반복당 10수씩 배치하여 10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무첨가구(Control, C)와 산란계 사료 내 생균제 0.1% 첨가구(T1), 사과박 발효물 1.0% 첨가구(T2), 계피 0.1%첨가구(T3) 및 계피를 첨가한 사과박 발효물 1.0% 첨가구(T4)로 처리구를 나누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전기간 동안 총 산란율에서는 각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생균제 및 발효 사과부산물 첨가구에서 6.1%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계피 0.1% 첨가구에서는 무첨가구 대비 4.5%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 기간 동안 계란 품질 조사 결과 전체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신선도의 경우 무첨가구와 비교 시 발효 사과 부산물 처리구에서 1.2%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안전 양계 산물 생산에 대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시험 전 기간 동안 혈액 생화학 및 혈구에 대해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산란계 사료 내 발효 사과 부산물의 첨가 · 급여는 산란계에 있어 생산성에 대해 개선 효과를 가지며, 향후 곡물 수급의 불안정 및 양계 분야에 대체 자원의 필요성을 고려할 때 농산부산물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충분한 가능성을 시사한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apple pomace (FAP) and cinnamon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laying hens. A total of two hundred 57-wk-old Hy-Line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ith 4 replicates of 10 birds each; control, 0.1% probiotics, 1.0% fermented apple pomace 1.0%, 0.1% cinnamon and 1.0% fermented apple pomace with 1.0% cinnamon. Chickens fed the diets containing 1.0% of fermented apple pomace showed higher egg production than the chickens fed the other diets. No synergic effect on laying performance was found when fermented apple pomace and cinnamon were added to the diets in laying hens. There was no significant major differences in egg quality and serum blood biochemical profile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fermentation of apple pomace could be used as the alternative of antibiotic growth promoters.

      • SCIESCOPUSKCI등재

        발효 과일박 및 신선초박의 급여가 계육 내 지방산 조성, 콜레스테롤 및 저장 기간 중 지방산패도에 미치는 영향

        강환구,최희철,채현석,나재천,방한태,박성복,김민지,서옥석,이지은,김동욱,김상호,Kang, Hwan-Ku,Choi, Hee-Chul,Chae, Hyun-Suk,Na, Jae-Cheon,Bang, Han-Tae,Park, Sung-Bok,Kim, Min-Ji,Seo, Ok-Suk,Lee, Jee-Eun,Kim, Dong-Wook,Kim, Sang-Ho,Ka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10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apple pomace (FAP), fermented pear pomace (FPP), fermented orange pomace (FOP), and fermented Angelica keiskei Koidz pomace (FAKP) on performance, shelf life,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in broiler chickens. A total of 600, 1-day-old male broiler chicks (Cobb strain)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with four replicates of 30 birds each. There were five treatment groups: control (C), FAP (1.0%, T1), FPP (1.0%, T2), FOP (1.0%, T3), and FAKP (1.0%, T4). The body weight of the broiler chickens fed FAP diet was higher (1,758 g)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chicken meat between all groups at days 1, 3, and 5 of storage, while the FAP-supplemented group displayed lower TBARS values at day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the groups but the cholesterol content of chicken meat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FAP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feed to improvement the quality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KCI등재후보

        토종닭과 실용계에서 TYR 및 MC1R 유전자의 변이 분석

        허강녕(Kang Nyeong Heo),추효준(Hyo Jun Choo),서보영(Bo Young Seo),박미나(Mi Na Park),정기철(Kie Chul Jung),황보종(Jong Hwangbo),김학규(Hak Kyu Kim),홍의철(Eui Chul Hong),서옥석(Ok Suk Seo),강보석(Bo Seok Ka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1 농업과학연구 Vol.38 No.3

        The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s (WR_CC) was developed by crossing a few native chicken breeds in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reed identification markers, SNPs from TYR gene and MC1R gene, which are associated with skin and feather colors respectively, were initially identified. In case of 3 identified SNPs in the TYR gene, yellow shank color was identified in Loss, Harvard, AA, RIR and CC, which have the fixed SNPs in most of the animals. On the other hand, SNP variations were observed in KNC_RB, C_B, WR_CC and HH_CC, which have the black, yellow and mixed color with black and yellow shank colors. Also, the investigation of 3 SNPs in the MC1R gene indicated that there were associations between shank and feather colors in RIR, SF, KNC_B, C_B and RIR. However, these results are not consistent among breeds. These SNP type inconsistencies within breeds suggested that the selec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 phenotypes, which is not include the genotype information. Thus, selection based on genetic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

        토종닭 순계와 실용계의 유전적 특성 및 품종식별력 분석

        Jae-Don Oh(오재돈),Kun-Woo Lee(이건우),Ok-Suk Seo(서옥석),Byung-Wook Cho(조병욱),Gwang-Joo Jeon(전광주),Hak-Kyo Lee(이학교),Hong-Sik Kong(공홍식)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7

        본 연구는 토종닭 순계(적갈계통, 황갈계통), 토종닭 실용계와 오골계 및 외래품종(Hy-Line Brown: HB, White Leghorn: WL)을 대상으로 13종의 MS marker (ADL0309, ADL181, ADL190, ADL279, LEI0073, LEI0192, MCW083, MCW120, MCW153, MCW214, MCW217, MCW226, MCW322)을 활용하여 집단 및 품종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 하였다. 13종의 MS marker 내에서 총 120개의 대립유전자를 확인 하였으며 평균 9.2개의 대립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된 이형질성, 기대되는 이형질성 및 PIC의 평균값은 각각 0.63, 0.72 그리고 0.678로 확인되었다. 가장 많은 평균대립유전자를 보유한 집단은 토종닭 실용계집단이 5.9로 확인 되었으며 기대되는 이형질성이 0.62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토종닭 순계 집단을 이용한 3원 교잡을 통해 실용계집단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집단 및 품종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토종닭 순계집단 (R, Y)과 실용계집단(C)은 서로간에 가까운 유전적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MS marker별 품종간의 이형접합률을 이용하여 각 개체들의 집단 내에서 품종을 식별 할 수 있는 확률인 누적품종식별력(CPD) 값을 계산한 결과 13종의 MS marker를 이용하여 개체의 품종을 구분할 수 있는 확률이 99.461%로 나타났다. To estimate the genetic characteristics and cumulative power of discrimination (CPD) within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 we used a total of 395 genomic DNAs from six breeds population (Korean Native Red chicken: R, Korean Native Yellow chicken: Y,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 C, Ogal chicken: S, Hy-Line Brown: H, White Leghorn: W). Genetic diversity indices including mean allele number among loci, unbiased heterozygosity (hi) within locus, effective number of alleles (Ne)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as well as the unbiased average heterozygosity (H) among loci in the populations were calculated using the generated allele frequencies by each marker. Frequencies of microsatellites markers were used to estimate heterozygosities and genetic distances. The nearest distance (0.119) was observed between the C and Y strains. The generated unbiased average heterozygosity among loci in each population was integrated to the global formula of CPD and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CPD within the six chicken populations was 99.461%.

      • KCI등재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 및 이화학적 성상

        황보종,홍의철,나승환,유동조,김학규,박미나,정기철,추효준,박희두,서옥석,HwangBo, Jong,Hong, Eui-Chul,Na, Seung-Hwan,Yu, Dong-Jo,Kim, Hak-Kyu,Park, Mi-Na,Jung, Kie-Chul,Choo, Hyo-Jun,Park, Hee-Du,Seo, Ok-Suk 한국가금학회 2009 韓國家禽學會誌 Vol.36 No.4

        산란계의 분뇨 발생량과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1일령 산란계 200수를 선별하여 공시하였으며, 200수 중 10수씩을 선별하여 분뇨의 채취에 이용하였다. 산란계의 일일수당 평균 분뇨 발생량은 $124.7{\pm}27.5\;g$/수/일이었으며, 계분의 수분함량은 $76.7{\pm}1.9%$, 건물 함량은 $29.1{\pm}3.9\;g$/수/일이었다. 산란계 계분(55주령)의 N, $P_2O_5$ 및 $K_2O$는 각각 $1.39{\pm}0.14$, $0.62{\pm}0.11$ 및 $0.68{\pm}0.09%$이었다. 계분뇨의 pH는 $8.19{\pm}0.71$이었으며, $BOD_5$ 농도는 $50,266{\pm}621\;mg/L$로 나타났다. $COD_{mn}$의 경우 $62,832{\pm}803\;mg/L$이었으며, SS는 $121,725{pm}16,165\;mg/L$를 나타냈다. 계분의 중금속 함량 중 Pb은 $0.008{\pm}0.0012\;ppm$으로 규제 농도인 150 ppm보다 크게 낮았고, Cd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며, As는 $0.008{\pm}0.0017\;ppm$으로 검출되었다. Hg은 $0.003{\pm}0.0013\;ppm$이었으나, 규제 농도인 2 ppm에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로 국내 산란계의 평균 분뇨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분뇨의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함으로써 유기비료원로서 적절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work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nure excreta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layers. Two hundred 1-d-old ISA Brown layers were used in this work, and ten of 200 layers were selected for measurement of manure excreta with feeding phase. Means of the manure excreta per bird, the moisture content of poultry, and the dried manure were $124.7\;{\pm}\;27.5\;g$/bird/day, $76.9\;{\pm}\;1.9%$, and $29.1\;{\pm}\;3.9\;g$/bird/day, respectively. N, $P_2O_5$, and $K_2O$ of manure (55 weeks) were $1.39\;{\pm}\;0.139$, $0.62\;{\pm}\;0.11$ and $0.68\;{\pm}\;0.09%$, respectively. pH, $BOD_5$, $COD_{Mn}$, and suspended solids (SS) were $8.19\;{\pm}\;0.71$, $50,266\;{\pm}\;621\;mg/L$, $62,832\;{\pm}\;803\;mg/L$, and $121,725\;{\pm}\;16,165\;mg/L$, respectively. Heavy metal contents in the manure were $0.003\;{\pm}\;0.0013\;ppm$ for Hg and $0.008\;{\pm}\;0.0012\;ppm$ for Pb, the latter of which was highly low compared with the standard (150 ppm), but no Cd was detected. The results of this work show the average excretion amount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layer's manure, which is used as an organic fertilizer.

      • KCI등재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이 생산성 및 도체 수율에 미치는 영향

        김학규(Hak-Kyu Kim),홍의철(Eui-Chul Hong),강보석(Bo-Seok Kang),박미나(Mi-Na Park),서보영(Bo-Young Seo),추효준(Hyo-Jun Choo),나승환(Seung-Hwan Na),방한태(Han-Tae Bang),서옥석(Ok-Suk Seo),황보종(Jong Hwangb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3

        본 시험은 토종오리와 육용오리를 교배 조합하여 토종오리의 생산성과 도체 수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 동물은 청둥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한 4계통의 오리들을 암수 각각 120수씩 선별하여 총 240수를 이용하였다. 교배 방법은 토종오리(♀)×토종오리(♂), 육용오리(♀)×토종오리(♂), 토종오리(♀)×육용오리(♂), 육용오리(♀)×육용오리(♂)의 4계통을 각각 A, B, C, D로 하고, 암수를 분리하여 계통과 성별에 따라 각각 30수씩 선별하였다. 시험 사료는 육용오리 사료를 0~3주령(CP 22.0%, ME 2,900 ㎉/㎏)과 3~8주령(CP 18.0%, ME 3,000 ㎉/㎏)으로 나누어 8주 동안 급여하였다. 체중은 8주령에 암컷에 비해 수컷이 높게 나타났으며(P<0.05), 3주령과 8주령 모두 B, C계통 체중이 A계통보다 높고 D계통보다는 낮게 나타났다(P<0.05). 증체량은 3~8주령과 0~8주령 동안에는 암컷에 비해 수컷에서 높았으며(P<0.05), 3~8주령 동안의 계통 간 증체량은 D>C>B>A순서로 높았다(P<0.05). 사료 섭취량의 경우, 증체량과 마찬가지로 암수간의 비교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A계통에 비해 B계통과 C계통이 높았고, D계통이 다른 계통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3~8주령에 수컷이 높았으며(P<0.05). 계통간 사료 요구율은 3~8주령과 0~8주령에는 A계통과 B, C계통, B계통과 D계통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4계통의 생체중과 도체중에 따른 도체수율은 4계통이 각각 70.1%, 70.8%, 73.1% 및 71.2%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은 토종오리의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the carcass yield of Korea native duck (KND) according to crossbreeding KND and broiler duck (BD). Two hundred forty out of crossbred ducks were divided into 4 strains and selected as 120 ducks separated by sex, respectively. Crossbred ducks were native ducks (♂)×native ducks (♀), native ducks (♂)×broiler ducks (♀), broiler ducks (♂)×native ducks (♀), and broiler ducks (♂)×broiler ducks(♀) as A, B, C and D, respectively. Broiler duck diet was fed as experimental diet for 0~3 weeks (CP 22.0%, ME 2,900 ㎉/㎏) and 3~8 weeks (CP 18.0%, ME 3,000 ㎉/㎏). Body weight of male was high compared to female, and that of B and C was high compared to A and low compared to D at 3 and 8 week (P<0.05). Body weight gain of male was high compared to female at 3~8 weeks and 0~8 weeks, and it was shown as D>C>B>A on body weight gain (P<0.05). In case of feed intak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B and C were high compared to A and low compared to D (P<0.05). Male feed requirement was high at 3~8 week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and B, C and between B and D. Carcass yield of 4 strains was shown as 70.1%, 70.8%, 73.1% and 71.2%, respectively. Finally, Crossbreeding of KND and BD may improve the performance and the carcass yield of KND.

      • KCI등재

        토종 순종계를 이용한 토종닭 생산 및 생산성 연구

        박미나(Mi-Na Park),홍의철(Eui-Chul Hong),강보석(Bo-Seok Kang),김학규(Hak-Kyu Kim),서보영(Bo-Young Seo),추효준(Hyo-Jun Choo),나승환(Seung-Hwan Na),서옥석(Ok-Suk Seo),한재용(Jae-Yong Han),황보종(Jong Hwangb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4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생산성과 도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4개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3원 교잡종 초생추를 이용하였다. 시험 설계는 재래계와 육용계의 교배 조합에 의해 부화된 4계통을 각각 A(CS×H), B(CH×S), C(RS×H), D(LH×B)로 하고 암수를 구분하였으며, 계통과 성별에 따라 각각 10수씩 9반복으로 총 90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한국가금사양표준(2007)에서 제시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준육용계 사료를 육계 초기(CP 20.0%, ME 3,050 ㎉/㎏), 전기(CP 18.0%, ME 3,100 ㎉/㎏) 및 후기 사료(CP 16.0%, ME 3,150 ㎉/㎏)로 나누고, 자체 제작하여 공시하였다. 체중과 섭취량은 매주 측정하였고, 도체율은 각각, 5주령과 10주령에 조사하였다. 체중의 경우, 5주령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5주령 이후부터는 D계통에서 체중이 높게 나타났다(P<0.05).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은 체중과 함께 D계통이 5주령 이후로 가장 높았으며(P<0.05), 전 기간 동안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도 D계통이 다른 계통에 비해 높았고(P<0.05), 사료 요구율도 D계통에서 가장 낮았다.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D계통을 제외한 다른 계통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생체중, 도체중 및 도체율은 5주령에는 계통간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는 D계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런 결과들은 한국토종닭 교잡종의 생산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The current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on performance and carcass ratio. Seven hundred twenty 1-d-old chicks were divided into groups by strain (A, B, C and D) and sex (male and female). Strains were A) (KNC egg-meat type C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B) (KNC egg-meat type C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C) (KNC native R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and D) (KNC native L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 Ross broiler.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of 3 phases such as starter(0~5 weeks; CP 20.0%, ME 3,050 ㎉/㎏), earlier (5~8 weeks; CP 18.0%, ME 3,100 ㎉/㎏) and finisher (8~12 weeks; CP 16.0%, ME 3,150 ㎉/㎏). Body weight (BW) and feed intake (FI) was measured every week and carcass ratio(CR) was calculated at 5 and 10 week after starting experi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BW among strains until 5 weeks (P>0.05), however D strain resulted in a higher BW after 5 weeks (P<0.05). Body weight gain (BWG) and FI in D strain were also significant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strains for all periods. However, D strains showed the lowest (P<0.05) fee conversion ratio (FCR). The other strains except D showed a similar BW, BWG, FI and FCR among strains.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rcass weight (CW) and carcass ratio (CR) among strains at 5 weeks, however D strain showed higher CW and CR at 10 week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basic data that needed to develope the new strains.

      • KCI등재

        교배 조합 토종닭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 특성

        박미나(Mi-Na Park),홍의철(Eui-Chul Hong),강보석(Bo-Seok Kang),김학규(Hak-Kyu Kim),김재홍(Jae-Hong Kim),나승환(Seung-Hwan Na),채현석(Hyun-Seok Chae),서옥석(Ok-Suk Seo),한재용(Jae-Yong Han),정재홍(Jae-Hong Jeong),황보종(Jong Hwangbo)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4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계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토종닭(적갈색, 흑색)과 육용계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4계통의 병아리 수컷을 A, B, C, D계통으로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각 계통에서 90수씩 선별하여 12주령까지 준육용계 사료를 이용하여 평사에서 사육하고, 일정 주령(5주, 10주)에 도달하였을 때 각 계통에서 27수씩 선별하여 개체별 생체중을 측정하고, di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도계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도계된 닭들은 부분육(가슴, 다리)의 무게를 측정하고, 비율을 산출한 후 이화학적 성상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계육의 물리적 성상은 5주령에는 모든 항목에서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는 B계통이 명도, 가열 감량 및 보수력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차이가 있었다(P<0.05). 화학적 성상에서는 5주령에 B계통이 다른 계통에 비해 pH, 수분 함량 및 콜라겐 함량이 낮았으며,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았다. 회분 함량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 10주령에는 A계통이 회분과 콜라겐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P<0.05), 그 외 항목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에서, 5주령에서 D계통이 다즙성에서 가장 높았고, 10주령에서 B계통이 연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토종닭의 교배 조합은 계육의 물리적 성상에는 크게 영향이 없지만, 5주령에서 화학적 성상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수분과 지방 함량은 다즙성과 연도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Ninety 1-d male chicks were used in this work and were divided into 4 groups as A: (KNC egg-meat type C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 × KNC meat type H strains (♂), B: (KNC egg-meat type C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 × KNC meat type S strains (♂), C: (KNC native R strains × KNC meat type S strains) (♀) × KNC meat type H strains (♂), D: (KNC native L strains × KNC meat type H strains) (♀) × Ross broiler (♂) strains. They were fed the broiler diets for 12 weeks at the flat house and twenty seven chickens were slaughtered at week 5 and 10. Chicken thigh and breast were weighed and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Physical compositions of meats have no difference among strains at 5 week, and B strains differed from other strains at 10 week (P<0.05). The pH, moisture, and collagen content of meat from B strains were lower than other strains at 5 week. Ash and collagen of A strains were the lowest at 10 week (P<0.05), but others have no difference among strains. In sensory test, juiciness of D strains was the highest at 5 week, and tenderness of B strains was the lowest at 10 week (P<0.05). In conclusion, the crossbreeding of KNC did not affect physical traits but affecte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hicken meat slaughtered at 5 week.

      • KCI등재

        Microsatellite Marker를 사용한 재래 닭 품종 유전적 특성 및 개체 식별력 분석

        이건우(Kun-Woo Lee),오재돈(Jae-Don Oh),이진아(Jin-Ah Lee),조규호(Kyu-Ho Cho),남인식(In-Sik Nam),이준헌(Jun-Heon Lee),서옥석(Ok-Suk Seo),전광주(Gwang-Joo Jeon),이학교(Hak-Kyo Lee),공홍식(Hong-Sik Kong)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는 10종의 MS(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한국 재래닭 품종 내 외모 특성에 의해 구분되는 3계통(적갈색: 60수, 황갈색: 46수, 흑색: 40수)과 오골계 집단(49수), 총 4계통(총 195수)에 대한 유전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동일성 검정을 실시할 경우 개체 식별에 대한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집단 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MS marker별 대립 유전자의 빈도를 산출하여 이를 근거로 집단 간의 보정을 통한 방법을 이용하는 DISPAN program을 활용하여 유전적 거리에 대한 추정 결과 R(적갈색 계통)과 L(흑색 계통)간의 유전적 거리는 0.05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R과 Y(황갈색 계통, 0.073), Y과 L(0.083) 역시 가까운 유전적 거리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재래닭 집단과 오골계 집단(S) 간의 유전적 거리는 0.149(R과 S), 0.144(Y과 S) 그리고 0.158(L과 S)으로 비교적 먼 것으로 나타나 재래닭 집단과 오골계 집단 간의 유전적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종의 MS marker를 대상으로 누적 개체 식별력을 계산한 결과 99.999%로 확인되었고 0.255×10??의 짝확률 값이 추정되었다. To estimate the genetic characteristics and cumulative power of discrimination (CPD) Korean Native Chicken. We used a total of 195 genomic DNAs from four breeds population (Korean Native Red chicken: R, Korean Native Yellow chicken: Y, Korean Native Black chicken: L, Ogal chicken: S). Frequencies of microsatellites markers were used to estimate heterozygosities and genetic distances. The lowest distance (0.05) was observed between the R and L strains and the highest distance (0.158) between the L and S strains. Korean native chicken strains (R, Y, K) have each other comparatively near genetic distance. Cumulative power of discriminate (CPD) was 99.999% by including the 10 microsatellites loci individual identification system. And then matching probability in that two different individuals incidentally have same genotype was estimated to 0.36×10??. The system employing the 10 markers therefore provided to be applicable to individual identification in Korea native chick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