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西洲曲>考

        金庠澔 韓國中國語文學會 1990 中國文學 Vol.18 No.-

        필자는 남조약부민가의 분석을 통하여 문학작품과 세계관의 상관관계를 간략하게 고찰하고 남조약부민가의 전반적인 여성편향주의가 비극적 세계관과 어느 정도 연관성을 지님을 토구한 바 있다(김상호, 1986). 그러나 당해 글에서는 민가체 형식을 지닌 시가의 주요한 검토부분인 화자의 문제를 도외시한 오류를 범하였으며 남조약부민가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세계관의 문제를, 일반성을 배제한 채, 당시 사회의 특수한 산물인양 간주함으로써 여성적 표현을 과대 해석하는 그릇된 시각을 노정하였다.

      • KCI등재

        경찰공무원 입직동기에 관한 연구 - 실태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

        김상호 한국공안행정학회 202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1 No.1

        이 연구에서는 신임경찰 교육훈련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경찰공무원 입직동기를 식별하고, 이러한 입직동기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해 보았다. 선행연구들과 유효표본 375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확인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경찰공무원 입직동기는 요인분석을 통해 24개 문항이 6개 요인 – 직무특성, 안정성과 혜택, 중요한 타인, 권한과 지위, 취업환경, 적성과 근무환경 - 으로 분류되었다. 한국에서는 경찰업무의 고유한 가치 또는 기본적 특성이 중심이 되는 ‘직무특성’(M=5.36)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경찰공무원 입직동기로 확인되었고, ‘안정성과 혜택’(M=4.93), ‘권한과 지위’(M=4.44) 요인이 보통 수준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직무특성’과 ‘중요한 타인’ 요인을 제외하고는 경찰공무원 입직동기가 성‧연령‧입직경로‧학력‧가구수입 등과 같은 배경변수에 따라 조금씩 차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경찰공무원 입직동기의 안정성과 가변성 모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찰공무원 입직동기는 자기효능감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직무특성’, ‘적성과 근무환경’, 그리고 ‘취업환경’ 요인은 배경변수들이 통제된 이후에도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유능한 경찰공무원 채용을 위한 과제 및 향후 연구 방향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경찰조직 내 여성대표성에 관한 연구 : 능동적 대표성을 중심으로

        김상호 한국경찰연구학회 2013 한국경찰연구 Vol.12 No.4

        이 연구에서는 경찰 조직 내 여성대표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그 실태를 진단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대표성의 개념 및 종 류, 측정방법, 그리고 영향요인 등에 대하여 고찰한 후, 대구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여자경찰관들은 조직 내 낮은 수적 대 표성에도 불구하고 3.581로 보통 보다 높은 능동적 대표성 수준을 표출했다. 둘째, 남자경 찰관과 비교해서 여자경찰관들은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부분에서 보다 적극적이었다. 셋째 , 여자경찰관들의 능동적 대표성은 계급, 성별 자부심, 정책특성, 그리고 전문화 수준 등 다 양한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급이 낮을수록, 여성 정체성에 대한 자부심은 강할수록, 담당하는 업무가 여성들의 이해관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정책 관련 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책임성을 강조하는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능동적 대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여성대표성과 관련된 과제 및 후속 연구 방향 등에 대 하여 살펴보았다.

      • KCI등재

        도열병균에서 추출한 Cx 효소의 순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김상호,김은수 한국균학회 1982 韓國菌學會誌 Vol.10 No.2

        The (NH₄)₂ SO₄, (70%) treated crude enzymes from the culture filtrates of the C-7^(+1) strain of Pyricularia oryzae which was grown on 2% CMC (carboxymethyl cellulose) for 8 days at 28℃, were chromatographied on Sephadex G-150 and DEAE-Sephadex A-25 columns. From the chromatography, three fractions of CMCase(C_x) was examined using Na-CMC as substrate. The C_x enzyme activity was optimal at pH 6.0 and 40℃, stable up to 40℃. The values of Km and Vmax of the enzyme were 2.8 × 10 mM and 5.9m moles/hour, respectively. The molecular weight determined by Sephadex G-150 column chromatography was around 80,000. Approximately sevenfold purified C_x enzyme gave a single protein band on th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고등학교 내신성적과 대학학업성적과의 상관관계 연구

        김상호 中央大學校 韓國敎育問題硏究所 1995 韓國敎育問題硏究所論文集 Vol.- No.10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of college academic achievements with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and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3,929 freshman from sixteen colleges of Chung-ㅁAng University were sampled. Their semester grads, KSAT scores, and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wore statistically analyzed to find out their correlations. Firstly, the students' first semester grades showed positively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high school records than with KSAT scores. Secondl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he combined effect of high school records and KSAT scores on college academic achievements was 7.4%. The single effect of high school records on that achievements was 6.5%, an additional effect of KSAT was 0.9%. It appeared likely that high school records proved to be relatively were important then KSAT scores for predicting the student's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 가금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생리적 특성 및 급여효과

        김상호 한국가금학회 2002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19 No.-

        본 연구는 가금맹장에서 유래된 유산균의 생균제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br/> 시험 I 에서는 가금 맹장 유산균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산란계 및 육계 맹장 유산균을 각각 12주와 11주를 분리하여 내산성, 내담즙산성, 효소분비력, 항병원성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 들은 pH 3부터 점차적으로 사멸하는 균주와 일정하게 유지되는 균주로 구분되었으며. pH 4에서 모든 유산균의 성장은 양호하였다. 본 실험에서 분리된 대부분의 유산균은 bile salt에 의해 성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몇몇 균주는 저항성이 높게 나타났다. 선발된 맹장유산균과 다른 균주와 비교하였는데, 가금 맹장유래 유산균은 다른 유산균과 Bacillus에 비하여 효소분비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소별 분비능력에서 amylase와 lipase 활성은 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cellulase와 protease의 활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병성 조사에서 유산균 배양액은 균종에 관계없이 병원성 E. coli에 대 하여 억제성이 높았으며 억제요인으로는 유기산 분비에 의한 pH 저하가 주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병원성 Salmonella에 대해서는 유산균 배양액의 억제성이 낮았다. 유산균은 페니실린 계통의 항생제에 의하여 생존율은 저하되었지만 이외의 다른 항생제는 유산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다. 본 실험 에서 선발된 유산균은 각각 target animal에 급여하여 host specific effect를 구명하기 위하여 사양 실험을 실행하였다.<br/> 시험Ⅱ는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혈청 콜레스테롤, 융모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육계에 대한 유산균의 적정 급여수준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육계 초생추에 육계 ㆍ 산란계의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1(LCB). L. reuteri avibro2(LRB), L. crispatus a vihen1 (LCH). L. vaginalis avihen2(LVH) 각각을 사료 g당 I0⁴cfu 및 I0^7cfu의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유산균의 급여에 의한 육계의 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체량은 50~100g이 높았다.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모든 유산균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 Ca 이용율도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산균 급여구에서 조지방, 조회분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인의 이용율은 처리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유산균 종류별 영양소 이용율은 LCH 급여구가 모든 일반성분 및 Ca. P의 이용율이 가장 높았다(P<0.05). 회장내 유산균 수는 시험 전기간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맹장에서는 5주령에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Yeast는 회장에서 1주령까지는 장내에 완전히 정착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맹장 및 3주령 이후의 회장에서는 대부분의 유산균 급여구에서 Yeast의 수가 증가하였다(P<0.05). Anaerobes는 회장과 맹장 모두 1주령에서부터 유산균 급여구에서 anaerobes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리깃 수분함량은 5주령에서 모든 유산균 급여구가 27~30%의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대조구의 자리깃은 38.28%로 유산균의 급여에 의하여 자리깃 수분 함량은 약 25%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계분내 NH₃ gas 발생량은 대부분의 유산균 급여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여 1/3~1/2의 수준을 유지하였다(P<0.05). 급여수준별로는 10^7cfu/g 급여하였을 때가 대조구와 10⁴cfu/g을 급여한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br/> 시험Ⅲ에서는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주 및 첨가수준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1주령된 ISA Brown 360수를 공시하여 12주 동안 사양하면서 산란생산성, 영양소이용성, 회장 및 맹장내 미생물 변화, 계란품질 변화 및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첨가된 유산균과 수준은 시험 Ⅱ와 같다. 산란율은 유산균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급여기간이 길수록 더욱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P< 0.05). 유산균주 및 첨가수준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평균난중은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일 산란량은 유산균 첨가구가 모두 무첨가구에 비하여 향상되었으며 (P<0.05). 유산균주 및 첨가수준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br/> 사료섭취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난생산 사료효율은 유산균 급여로 인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지만(P<0.05). 유산균 계통별, 첨가수준별 차이는 없었다.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등의 영양소 소화율은 LVH첨가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증가하였고(P<0.05) 다른 처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4주 단위로 조사한 난각질과 Haugh unit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회장내 유산균수는 유산균 급여구들이 대조구보다 현저하게 높았다(P<0.05). 회장내 효모와 혐기성미생물 및 맹장내 미생물의 수는 처리구간에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배분후 3일부터 6일차까지 최 대로 발생하였는데, 이 기간 중에 유산균 급여구는 대조구보다 발생량이 현저하게 낮아서 약 50% 감소하였다(P<0.05).<br/> 시험Ⅳ에서는 유산균의 항생제 대체 및 복합균주 급여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 Ⅰ의 육계에서 맹장 유래 유산균 LC. LR과 virginiamycin (VM)을 단독(VM. LC. LR) 혹은 혼합급여(LC十VM. LR +VM) 하였다. VM과 유산균을 단일 혹은 혼합급여는,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의 체중이 100g 이상 현저하게 높았으며. LC와 VM을 혼합급여하였을 때 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증체량 과 사료섭취량도 체중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사료요구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단백질 소화율은 LC 급여구 및 VM과 유산균 혼합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 게 나타났으며(P<0.05). Ca 소화율은 유산균 급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H₃ gas 발생량은 대조구와 VM을 첨가한 처리구에 비하여 유산균 급여구와 VM과 유산균 혼합급여구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P<0.05). 특히 유산균과 VM을 혼합급여한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장내미생물의 수는 유산균은 초기에 VM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사육후기에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효모는 1주령에는 미확립된 상태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VM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사육후기에는 그 차이가 극대화 되었다. 혐기성균도 VM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가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 육계에 유산균과 VM의 단독 및 혼합급여는 생산성 증대 및 건강유지에 기여할 수 있으며. VM과 유산균을 혼합급여는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br/> 본 연구의 결과 가금 맹장에서 유래하여 선발된 유산균은 육계와 산란계 사료에 첨가 급여시 생산성 과 소화기관의 유익균을 향상시켰으며, 영양소 이용성 증진 및 소화기관의 건강상태를 개선시켰고, 계분의 암모니아 가스발생량 감소와 자리깃의 수분함량을 감소시켜 사육환경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perties of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LAB), isolated from broiler and laying hens cecum and select the optimum strains to improve the performance. environment of poultry house. immunity.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and laying hens.<br/> In experiment Ⅰ. 23 LAB strains were isolated from broiler and laying hens cecum as a colony form. Six strains were selected by acid tolerance. bile salt tolerance. viability. enzyme release. antagonism. and antibiotics susceptibility.<br/> In Experiment Ⅱ. selected LABs from Ex. 1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various Lactobacillus on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intestinal microflora. villi development and observation of epithelium surface. blood chemicals and fecal noxious gas of broiler chicks. One thousand eighty one day old broiler chicks were fed into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l (LCB), Lactobacillus reuteri avibro2(LRB). Lactobacillus crispatus a vihenl(LCH), and Lactobacillus vaginalis avihen2(LVH) at the level of 10⁴ and 10^7cfu/g diet.<br/> Weight gain of chicks fed Lactobacillus tended to increase from the first week and was higher from 50 to 100g in Lactobacillus treatments than control.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of all treatments. Dry Matter digestibility of Lactobacillus treatments was prone to improv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rotein and Ca digestibility were also tended to improve in Lactobacillus treatments relative that of control. Lactobacillus treatments showed improved tendency in crude ash and fat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whereas phosphorus digestibility was not consistency. Nutrients digestibilities of bird fed LCH were superior to those of other treatments. 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Ca and P digestibility than control(P<0.05) Total Lactobacillus spp. of birds fed various Lactobacill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lleum for five weeks(P<0.05). but was not different at cecum. Yeast was thought to be not completely attached to intestinal lumen for one week. However. total number of yea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ecum and illeum of three weeks old chicks (P<0.05) The number of anaerobes exhibited to tendency the increase in Lactobacillus treatments from one week old of age at both ileum and cecum.<br/> The ileal villi length extended greatly from 3 week of age in all treatments. In contrast, the length of villi fed Lactobacillus group were continuously grown up to 5 week of age, but was no difference in cotrol(P<0.05). Lactobacillus of lumen were observed the existence on epithelium surface, maintaining well with feeding Lactobacillus.<br/> Moisture contents of birds fed Lactobacillus was shown from 27 to 30% at five weeks old, whereas it was 38.28% in control. It decreased approximately 25% in Lactobacillus treatments relative to that of control and showed significance between them(P<0.05).<br/> Fecal NH₃ g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Lactobacillus treatments and maintained a third to half of control(P<0.05). LCH and LVH treatments were most effective to decrease fecal NH₃ gas and especially improved it significantly at the level of 10^7cfu/g diets compared to that of 10⁴cfu/g diets and control(P<0.05). There were no significance in blood cholesterol and consistency between control and Lactobacillus treatments.<br/> Experiment Ⅲ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eeding various Lactobacillus on production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NH₃ gas emission in laying hens. Three hundred and sixty ISA Brown layers, 21 weeks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nine treatments, with four replicates per treatment(see Ex. Ⅱ). Rate of lay and daily egg mass improv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various Lactobacillus, of which effect was more notabl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feeding trial.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Lactobacillus

      • 오산 암매장 살인사건 해결 과정을 통해 본 다각적인 감정의 중요성

        김상호 경찰대학 2021 공공안전학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2019년 6월 6일 경기도 오산 지역에서 발생한 ‘오산 암매장 살인사건’의 사례 연구이다. 경기도 오산 소재 묘지 위에서 대퇴골 뼈 일부가 발견되어 묘지 유골 유실 단순 사건으로 종결 될 가능성이 있었다. 하지만, 법인류학, 법식물학, 법곤충학 등 다학문적 접근으로 묘지 위에 암매장된 청소년 살인사건 용의자들을 검거할 수 있었다. 백골화 사체의 치아와 뼈 골격 분석, 매장지 흙에 있던 식물 성장속도 분석, 사체에서 나온 곤충 분석 등을 활용하여 변사자의 신원확인 및 암매장 시기를 추정하였다. 또한 매장지 흙의 정밀 감식을 통하여 본 사건의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던 피해자의 반지와 귀걸이를 채증 하였다. 본 사례 연구는 ‘오산 암매장 살인사건’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변사 처리 관련 형사 및 과학수사 요원 등이 흔히 놓치거나 실수할 수 있는 사건 단서 유실과 신원확인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사례 연구를 통해 추후 이와 유사한 백골 변사 사건에 있어서 국립과학수사원구원 및 전문기관에 분석 의뢰 시 필요한 정확한 정보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