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서경혜 ( Kyoung Hye Se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사 개인 수준과 교사 집단 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를 선정하여 교육과정 재구성의 동기, 목적, 방법,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면서 부딪혔던 문제나 어려움 등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실천 경험을 토대로 교육과정 재구성을 둘러싼 학교현장의 쟁점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개인 수준과 교사 집단 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 모두 교과서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둔 방법의 재구성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는 시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시험문제가 교과서 내에서 출제되기에 교과서의 내용을 모두 가르쳐야 했고, 재구성을 한다 해도 보충이나 심화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교사들 간의 협력적 재구성이 이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해 줄 수 있었지만, 협력은 쉽지 않았다. 교사들은 협력의 필요성은 절감하고 있었으나, 학교 내 협력은 종종 강제되었고 왜곡되었다. 이 같은 어려움 속에서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고, 교과서의 내용을 전달하는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고착화하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의 힘은 더욱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s`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wo cases were selected. One was an individual teacher`s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other was teachers` collaborative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Employing various methods including interviews, observations, and collection of curriculum materi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sons, purposes, and methods of teachers`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issues or difficulties teachers encountered while reconstructing national curriculum. The findings showed that teachers`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the method of teaching curriculum. Teachers rarely reconstructed the content of curriculum. Their reconstruction focused on how to effectively teach curriculum, that is, method. The separation of content and method in teachers`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was mostly due to the standardized test. Because the standardized test was taken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teachers needed to cover all the content in the curriculum and so had little discretion to reconstruct the content. Teachers` collaboration would help resolve some of these issues, but it also presented other issues. Often collaboration was imposed upon teachers and so it became distorted. Under these difficulties teachers` reconstruction of national curriculum became very limited and rather reinforced the role of delivering the curriculum to students.

      • KCI등재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서경혜 ( Kyoung Hye Seo ),최유경 ( You Kyung Choi ),김수진 ( Su Jin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2

        수업시간에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외에 활용할 만한 자료가 많지 않다는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어 왔는데, 최근 교사연구회나 교사학습공동체 등을 통한 교사들의 자발적인 해결 노력이 일고 있다. 특히 온라인상에서 교사들이 수업자료를 서로 교류 공유하는 사례가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교사들이 온라인상에서 어떤 자료를 어떻게 교류 공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수업자료 공유 실태를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인디스쿨 온라인 교사공동체를 사례로 선정, 인디스쿨에서 교사들이 어떤 자료를 교류 공유하고 이 자료들은 어떤 특징을 띠는지 탐구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수업 향상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현장 교사들의 수업자료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교사들의 수업 향상 노력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In recent years, increasing number of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and shared their instructional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ir teaching. However, little has been known what kinds of instructional materials teachers share online. The present study explored teachers` sharing of instructional materials in online teacher communities. For this purpose, Indischool, an online teacher community, was selected and what kinds of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shared in indischool online teacher community was examined. The findings showed that, first, teachers shared a variety of instructional materials including PowerPoint presentation files, multimedia materials, student learning activity sheets, exercise sheets, and so on. Second, teachers` instructional materials focused on how to deliver the textbook contents to students. In particular, the instructional materials effective to draw students` attention were popular among teachers. Third, teachers`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mostly finished products so that teachers could use them immediately without further revision or modification. Further, most of them were one-shot use. These features of instructional materials seemed to reflect the circumsta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aught more than 10 subject matters and different grades almost every year. Based on these findings, how to respond to the teachers` needs for instructional materials and support teachers` efforts to improve their teaching was discussed.

      • KCI등재

        교사 직무수행 실태 분석

        한유경(Han You-kyung),박상완(Park Sang-wan),서경혜(Seo Kyoung-hye),전제상(Jeon Je-s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학교에서 교원의 잡무가 많다는 문제는 빈번하게 제기되어 왔지만, 교사의 직무와 직무가 아닌 일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지, 실제 교사들이 어느 정도의 직무부담을 갖고 있는지, 어떤 직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실증적인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본 논문은 각급학교 교사들의 직무수행 실태를 보다 실증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영역별 직무수행 시간과 직무 중요도 및 향후 업무조정 방안을 조사하였다 교사 직무수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첫째, 초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수행 시간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적으며, 수업 계획 및 준비와 수업에 대부분의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무분장업무수행에 사용하는 시간은 초중고 모두 약 10%로 조사되었다. 둘째, 직무영역별 직무 중요도에 인식은 초중고 모두 평균 4.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수행시간과 중요도 인식간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직무영역은 교내외 연수 참여, 학교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이다 셋째, 교사 직무조정과 관련하여 초중고 모두 90% 이상 이 현행유지를 선호하였다. 직무영역별로 보면, 수업 외 학생 과제검사 및 평가, 학급경영, 특별 활동지도, 학생생활지도 등 교사의 핵심 직무영역에서, 학교급별로는 초등교사가 이들 직무 영역에서 지원인력전담에 대한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work conditions of classroom teachers. The workloads of classroom teachers has been major issues among school teachers, unions, and policy makers to assure the quality teaching. Since late 1990s, government have developed policies to reduce the workloads of teachers and tried to develop performance standards for classroom teachers.<BR>  In this respect, this study try to explore 1) the actual time teachers spent in doing their works, 2) the importance of each works(work areas), 3) ideas about work reallocation for quality teaching in the future. The major research method employed are the record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 time for one week(Mon. thru. Sat.). Outcom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primary school teachers" work time is longer than tha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During regular work hours, teachers spend substantial time on performing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related activities such as planning and preparing for instruction. But time for administrative works are about 10% in all school levels. 2) The amount of time spent and the degree of importance of works are not hand in hand in several work areas such as school curriculum planning and managing and professional training. Discrepancies i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time spent should be thoroughly explored in the future. 3) According to our survey, teachers think more than 90% of teachers" work should be remain to teachers" hand and less than 5% of teachers" work should be charged to new school staff. Especially primary school teachers want supporting staff for extra curriculum activities, student counselor and classroom management.

      • KCI등재

        학교행정가 핵심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조정아(Jung-A Cho),이지은(Jee-Eun Lee),조경원(Kyung-Won Cho),한유경(You-Kyung Han),서경혜(Kyoung-Hye Seo)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2

        이 연구는 학교행정가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초·중등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10가지 핵심역량 교육내용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교급별, 직위별, 교직경력별로 분석한 결과, 중요성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07로 대체적으로 높은 중요성 인식을 보이고 있었으며, 필요성 인식의 실태는 5점 만점에 평균 3.78로 대체적으로 보통 수준이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행정가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내용에 대한 현장의 요구가 그 중요성과 필요성의 측면에서 볼 때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론 과목의 중요성과 함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실행 과목 및 현장경험에 대한 교육 요구에 대한 적극적인 고려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vice-principals, principals, and school staff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content of the program that aims to enhance school administrators' core abilities. For this purpose, first, we identified 10 core abilities that constitute the school administrator's leadership. Second, we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that intended to enhance these 10 core abilities. Finally, we conducted a survey research, including teachers, vice-principals, principals, and school staff with various years of experi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to investigate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y considered these contents important and necessary for school administrators. The findings show that teachers, vice-principals, principals, and school staff consider the program content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school administrators. In particular, they responded that to enhance the school administrators' core abilities the program must provide theory, practice, and field experiences in balance. While the current programs tend to place a heavy emphasis on the theory, this result implies the need for the program providing more courses on the practice and field experience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수학 교육과정 내용 조직 비교 분석 : 제 7차 교육과정과 Everyday Mathematics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Everyday Mathematics

        서경혜,유솔아,정진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2 교육과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제 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을 연속성, 계열성, 통합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내용이 일회적이고 분절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내용 간의 통합성도 부족하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개선 안 모색을 위해 외국의 초등 수학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살펴보았다. 그 중 시카고 대학의 수학 연구팀에 의해 개발된 「Everyday Mathematics」는 수학 내용 조직과 관련하여 유용한 시사점을 주었다. 첫째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수학 내용을 배울 수 있는 충분한 활동과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행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경우 내용이 일회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그 시점에서 제대로 학습하지 못하면 배울 기회를 잃게 되고 이러한 상황이 누적될 때 학생들은 결국 수학 학습 실패의 경험을 하게 되고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잃게 된다. 둘째는 수학 내용 간에 그리고 내용 영역들 간에 연관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수학 내용을 한 내용 영역에서만 단편적으로 가르칠 것이 아니라 여러 내용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다룸으로써 학생들이 중요한 수학 내용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고 그리하여 수학 내용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mathematical content. The results showed a lack of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are usually introduced once with little relation to previously taught concepts and skills. In addition, six content domains tend to be mutually exclusive, showing students little connections among six domains. In order to find out the alternatives, we review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r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In particular, Everyday Mathematics curriculum provided useful suggestions. In Everyday Mathematics,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are introduced in the first grade and extended and deepened throughout the elementary school years. Thus the curriculum provides students with ample time and opportunities to learn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Further, mathematical content domains are closely related and so a mathematical concept is taught in several content domain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doing so, the curriculum helps students develop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is not to argue that the Korean Curriculum should follow the way the mathematical content was selected and organized in the Everyday Mathematics. Instead, we hope that this comparative study promotes further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alternative approaches to curriculum development as well as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 규칙성과 함수를 중심으로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Everyday Mathematics, and Investigations in Number, Data, and Space Curriculum

        서경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규칙성과 함수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제 7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미국의 Everyday Mathematics와 Investigations in Number, Data, and Space Curriculum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은 규칙성과 함수 내용의 범위와 계열에 초점을 두었다. 세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규칙성과 함수 내용과 다른 수학 내용 영역들 간의 연계성과 규칙성과 함수내용의 계열성이 가장 큰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Everyday Mathematics와 Investigations Curriculum 의 경우, 규칙성과 함수 내용이 수, 연산, 도형, 측정 등 수학의 전 영역을 걸쳐 다루어 졌고, 핵심 내용이 반복적으로 소개되면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심화·확대되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경우, 규칙성과 함수 내용과 다른 영역들 간의 연계성이 부족한 편이었고 내용의 체계적인 계열성 또한 부족한 편이었다. 세 교과서 비교 분석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규칙성과 함수 내용의 범위와 계열성과 관련하여 몇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규칙성과 함수 내용과 다른 내용 영역들 간의 연계성이 요구된다 수와 연산, 도형, 측정 등 여섯 개의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이 배타적일 것이 아니라 중요한 수학 내용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규칙성과 함수 내용의 보다 체계적인 계열성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는 내용이 한번 가르쳐지고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는 단선형 조직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와 함께 중요한 내용이 반복 심화 확대되는 나선형 조직 방식도 필요하다. 그리하여 학습자가 중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는 충분한 기회와 시간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re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the 7th Korean national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Everyday Mathematics, and Investigations in Number, Data, and Space Curriculum - focusing on the patterns and functions. The results showed a great difference in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mathematics textbooks.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howed a lack of sequence and integration in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s. In contrast, Everyday Mathematics and Investigations Curriculum exhibited a systematic and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s. Pattern and function concepts and skills were taught from the kindergarten years and extended and deepened throughout the elementary school years. Further, patterns and function concepts and skills were taught in other content domains, for example, number, measurement, geometry, and so on. Thus these textbooks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patterns and func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se three textbooks took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s in elementary schools. Each approach had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 Nevertheless, the finding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uggest that the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needed a more sequential and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patterns and functions.

      • KCI등재후보

        제 7차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 Focusing on the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서경혜,유솔아,정진영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2

        교육과정 개정 때마다 수학 내용의 적정화가 중점 사항으로 제시되어 왔음에도 수학 내용의 양과 수준의 문제는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있다. 이는 수학 내용의 적정화 문제를 내용의 양을 축소하고 수준을 하향 조정하는 기존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수학 내용의 적정화 문제를 내용 조직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가정 하에 제 7차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의 수학 내용 조직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내용 조직에 대한 분석은 연속성, 계열성, 통합성의 원리에 근거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은 일회성, 단절성, 배타성의 특징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학내용이 대체로 한번 가르쳐지고 마는 편이었으며 현재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이 전에 가르쳤던 내용과 그리고 앞으로 소개될 내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내용의 위계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또한 여러 내용 영역들이 통합적으로 조작되어 내용 체계를 이루기보다는 서로 배타적으로 병립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수학 내용의 적정화를 위해서 수학 내용을 엄선하는 것 뿐 아니라 선정된 내용을 연속성, 계열성, 통합성의 원리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The result showed a lack of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are usually introduced once with little relation to previously taught concepts and skills. In addition, six content domains - numbers and operations, geometry, measurement, patterns and functions,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symbols - tend to be mutually exclusive, showing students little connections among six domai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re extended and deepened throughout the elementary school years so that students are provided with ample time and opportunities to learn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Further, mathematical content domains need to be closely related and so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re taught in several content domain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doing so, the curriculum can help students develop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 KCI등재

        예비교사 교직 인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서경혜,최진영,노선숙,김수진,이지영,현성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1

        본 연구는 예비교사 교직 인성 계발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 교직 인성의 개념과 그 구성요소들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성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인성 및 인성교육에 관한 문헌 고찰과 교직 인성 계발 사례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교직 인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개발하였다. 통합적 접근은 교직 인성을 내적, 사회적, 공동체적 인성의 통합체로 정의하고, 교직 인성은 자기 조절, 반성적 실천, 지속적 배움, 존중, 의사소통, 협력, 윤리의식, 정의감, 책임감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이러한 9개 구성요소를 기초로 예비교사 교직 인성 평가도구를 개발한 후,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직과정,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1,224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직 인성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타당성이 검증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성을 진단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교직 인성을 보통 수준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 인성을 구성하는 9개의 요소에 대해서도 대체로 보통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 교직 인성 계발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eacher dispositions assessment instruments and evaluate pre-service teachers' dispositions. For these purposes, previous studies on teacher dispositions and cases of pre-service educatio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dispositions were examined. An integrated approach to teacher dispositions which includes 3 dimensions of dispositions (intrapersonal-oriented, interpersonal- oriented, and community-oriented dispositions) and 9 constructs (self-management, reflective practice, continuous learning, respect, communication, collaboration, ethics, justice, and responsibilities) were developed. Based on this integrated approach,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 dispositions was developed. Employing this assessment instrument, a total of 1,224 pre-service teachers were evaluated for their dispos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tended not to evaluate their dispositions very highly. In particular, intrapersonal-oriented disposition scored comparatively lower than interpersonal and community-oriented dispositions. Findings suggest how to more effective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dispos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