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큐비즘과 추상미술》(1936) 전시에 구현된 알프레드 바의 모던에 대한 전망

        백민영 서양미술사학회 2019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1 No.-

        This study discusses Alfred Hamilton Barr, Jr. (1902-1981), who was the first director of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 (MoMA), and Cubism and Abstract Art, an exhibition Barr arranged in 1936. In the period leading up to his appointment as the director of MoMA in 1929, Barr developed an interest in the aesthetics of machinery and considered "life" as the new identity of American art while establishing the Precisionism theory. As the director of MoMA, he launched experimental exhibitions involving various media, following the ideas he had set out in his earlier Multidepartmental Project. The inclusive approach of Barr in the 1930s to attract alternative media into MoMA culminated in Cubism and Abstract Art. He regarded Cubism a preliminary tendency of abstract art, from which various abstract tendencies – such as Futurism, Orphism, and Purism – were derived. This tendency to abstract art, he reasoned, should not be limited to pure painting. The exhibition therefore involved a variety of fields, encompassing paintings, sculpture, industrial and commercial art, architecture, typography, photography, theater, and cinema.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will shed a new light on the role of Barr and MoMA by pointing out Barr’s vision of modern art pursued not only aesthetical avant-garde but also socio-political avant-garde in such a way to affect the everyday lives of American people. 본 연구는 뉴욕 현대미술관의 초대 관장을 맡았던 알프레드 바와 그가 시도한 1936년 《큐비즘과추상미술》 전시를 다루고 있다. 바는 1929년 미술관의 관장을 맡기 이전부터 모던에 대한 전망으로서기계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고, 정밀주의 이론을 정립하던 1927년부터 새로운 미국 미술의 정체성에 있어서 ‘삶’이라는 그 끈을 놓지 않고 있었다. 1929년 대공황과 맞물리며 개관한 뉴욕 현대미술관은초기 형성기 동안 바의 1929년 다분과 계획과 그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실험적인 전시들을 독려하였다. 또한 바는 뉴욕 현대미술관의 토대가 되는 기본 부서로 회화와 조각, 판화와 드로잉 부서는 물론 미술관 이외의 공간에서 널리 전시됐던 상업․산업미술, 디자인, 영화, 사진부를 따로 설립할 것을제안했다. 1930년대 바가 대안적 매체들을 미술관 안으로 끌어들이는 포용적인 접근 방식은 《큐비즘과 추상미술》전에서 처음으로 구현되었다. 바는 큐비즘을 추상미술의 예비 경향으로서 미래주의, 오르피즘, 순수주의 등과 각종 추상 경향을 낳고 있는 양식적 원천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바가 전망한추상미술로의 흐름은 단순히 순수회화에 한정되지 않았다. 바는 회화, 조각뿐만 아니라, 디자인, 건축, 타이포그래피, 사진, 연극,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을 종합적으로 이 전시에 구현하였다. 이는그동안 미국 미술에 대한 집중된 평가가 클레멘트 그린버그, 마이클 프리드 등과 같은 비평가들에 의해서 정립된 형식주의적 논의에 치중되어 미학적 전시의 전형으로 간주되었던 뉴욕 현대미술관과 바의 역할에 새로운 시각을 부여할 수 있다. 바가 전망하는 모던에는 미학적 아방가르드뿐만 아니라 미국인의 직접적인 삶과 연결된 정치적 아방가르드 모두가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적 색채 특성 분석에 따른 트렌드 색채기획

        백민영,김유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복식 120점, 한국적 디자인요소를 지닌 국내 디자이너 2인 이상봉, 이영희 컬렉션에서 각각 120점씩, 국내 대표적인 패션정보기획사 삼성디자인넷과 인터패션플래닝의 트렌드 색채 497색상을 대상으로 색채 경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징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의 한국적 이미지 상품개발에 색상 정보로 활용 가능한 색채 범위를 색채 팔레트로 제안하여 한국적 색채특성을 반영한 2011년 트렌드 색채기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색채분석은 표준화된 색채 전달 도구인 자연색체계(Natural Color System)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복식의 분석결과 색채 활용빈도는 Y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R계열, B계열, N계열, G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복식의 경우 Y계열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여성복식의 경우는 R계열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어 남녀복식에 있어서 색채 활용의 빈도 차이가 존재했다. 둘째, 한국적인 디자인요소를 지닌 디자이너 2인의 색채특성은 이상봉의 컬렉션 색채 활용 빈도는 B계열이 가장 높았으며, N계열, R계열, Y계열, G계열 순이었다. 이영희의 컬렉션 색채 활용 빈도는 R계열이 가장 높았고, B계열, Y계열, N계열, G계열 순이었고, 이영희 컬렉션은 B계열과 Y계열의 순위를 제외한 나머지 색채의 빈도 순위는 조선시대 여성복식의 색채빈도와 동일하게 나타나 한국적인 색채와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상봉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특성은 그 연관성이 미미하였다. 셋째, 최근 3년간의 국내 패션정보기획사 삼성디자인넷과 인터패션플래닝의 트렌드 컬러 분석결과 S/S시즌은 R계열, Y계열, B계열,G계열 순이며, F/W시즌은 R계열, B계열, Y계열, G계열 N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분석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트렌드 색채의 자료를 기본색으로 설정하고,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한국적인 색채를 새롭게 제시하여 한국의 전통성과 현대의 트렌드 감성이 어우러진 Universal Korea라는 새로운 테마에 부합하는 실용적인 색채 팔레트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리조트웨어 패션브랜드를 위한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백민영,김유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가장 경제적이며 그 영향력이 확대될 수 있는 디자인의 핵심요소인 색채를 통하여 리조트웨어의 색채 특성을 규명하고, 리조트웨어 패션브랜드를 위한 색채 팔레트를 제시하여 국내 시장에서의 리조트웨어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실질적인 패션 경향을 대표하는 세계 4대 패션 중심지의 파리, 밀라노, 런던, 뉴욕 컬렉션에서 발표된 리조트웨어를 중심으로 실증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측면의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토대로 리조트웨어의 개념과 패션브랜드와 색채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실증적 연구로는 최근 6년간(2010~2015) S/S시즌의 컬렉션에서 추출한 358점의 사진자료 중 측색 가능한 277점의 사진자료를 NCS 색체계(Natural Color System)로 색채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4대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리조트웨어의 색채 분석 결과 색상은 R축을 중심으로 RB계열과 YR계열에 집중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며, 색조는 유채색도가 높으면서 밝은 색조영역인 4area에 집중 분포되었으며, 무채색에 가까운 엷은 색조영역인 1area와 유채색도가 높으면서 밝은 색조영역인 3area에 비교적 높은 분포도가 나타난다. 둘째, 전체 6년간 리조트웨어에 나타난 색채 활용 빈도는 B계열, R계열, Y계열, N계열, G계열 순으로 나타났으며, B계열과 R계열은 매년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는 반면 각 연도마다 G계열의 활용 빈도가 가장 낮은 것은 장기간 지속되는 특성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분석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리조트웨어의 계열별 대표색 13색상을 선정하여 색채 팔레트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the base line for the development of color-design of resort wears in domestic market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ort wears through colors, the core element of the design, that are the most economical and influential and presenting the color palette for the fashion brands of resorts wears. In this study, the resort wears are empirically analyzed which were unveiled in the collections in Paris, Milano, London, and New York- the world's 4 fashion centers representing the substantive fashion trends-. There are 2 methods of research in this study. One is theoretical method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resort wears, fashion brands and colors on the basis of the advanced researches and relevant documents. The other is empirical method in which the color analysis of 277 colorimetric pieces from 358 pieces of photos -from the collection of S/S season for the latest 6 years(2010-2015)- was performed through NCS(Natural Color Syste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at is presented in the world's 4 fashion collections, the colors are intensively concentrated in area RB and YR with R-axis as the center and the tones are intensively concentrated in area 4-Deep chromatic tone area- and are comparatively highly concentrated in area 1-Toned light Grey tone area- and in area 3-Brilliant tone area-. Secondly, in the frequency of color uses revealed in the whole 6 years, the order is series B, series R, series Y, series N and series G. While series B and series R are expressed as high frequency of uses every year, series G shows the long-term continuous trend of low frequency. Finally, 13 colors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resort wears that are drawn in analytic way- are selected and presente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국내 패션색채트렌드 특성에 관한 연구

        백민영,김유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0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epare for the theoretical basis required for practical business affairs of planning and ultimate significance to suggest color data for efficient utilization when the future fashion color trends are forecast and sugges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ashion color trends of the domestic fashion planners for 6 seasons, 3 years and understanding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its changes. For this, domestic fashion information planners were surveyed, compared and analyzed. The color data of fashion color trends utilized the data of Samsung Designnet(233colors)and Interfashion Planning(240colors), domestically well-known fashion information planners which can swiftly supply new data to analyze total 473colors for the recent 3years from S/S in 2007 to F/W in 2009. Color analysis used the Natural Color System to analyze it as colors and tones.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Samsung Designnet's S/S season was shown comparatively regular except BG series. F/W season showed a high distribution in RB series. Regard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Interfashion Planning's S/S season, a high distribution was shown in GY and RB series. As for F/W season's colors, B and R series were high in distribution. Second, when S/S season and F/W season are compared and analyzed by series colors, Y series showed the highest in S/S season and R series did in F/W season. Third, based on the general analysis results the color trends of S/S season and F/W season in 2010 according to appearance frequency were suggested with a color pallet composed of total 24 colors after 12 representative colors by season were extracted.

      • KCI등재

        아트 인스피레이션이 적용된 패션브랜드의 컬렉션 색채특성 - 2013S/S~2015F/W를 중심으로 -

        백민영,김유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현대 패션에서 아트 인스피레이션의 다채로운 표현방법으로 접근하기 위한 첫 단계로 패션디자인 요소 중 브랜드의 감성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인 색채의 활용 특성 분석을 통해 패션분야에 예술적 색채적용 방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이론적 연구는 아트와 인스피레이션의 개념 고찰을 통해 아트를 범주화를 하였고, 실증적 연구로는 최근 3년간 세계 4대 컬렉션에서 아트 인스피레이션이 반영된 패션과 아트의 각 작품에 적용된 색채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브랜드에서는 YR, RB, GY 계열에 폭넓게 나타났고, 색조영역에서는 특히 1Area와 4Area 가 높게 분포했다. 아트에서는 YR계열과 RB계열이 높은 분포도로 나타났으며, 3Area와 4Area에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열별 빈도수 측정 결과 패션브랜드의 경우 B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트의 경우 R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분야 모두 G계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색상, 색조 구성도에서 패션브랜드는 무채색과 R70B~R90B의 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트의 경우 무채색과 Y70R~Y90R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색조의 경우 패션과 아트 모두 4Area에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패션브랜드와 아트의 색채특성이 부분적으로 공통된 경향을 나타내지만, 패션브랜드의 색채 활용 특성에 있어서 아트에 비해 비교적 폭넓은 색상과 색조의 사용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about artistic color application and usage in fashion area through application analysis of color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s the emotional value of a brand which is one of fashion design elements as a first step to approach to a variety of expressive ways of modern fashion art inspiration. The research use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methods. The theoretical method was to categorize the art through the concept of the art and inspiration. For practical method, it analyzed the fashion brands and art works that reflected art inspiration at the four famous world art collections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color application characteristics that were applied at fashion brands and art work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brands that applied art inspiration used YR, RB and GY series widely. In the tone area, the use of 1Area and 4Area was highly distributed. The art area used YR and RB series more than any other colors. 3Area and 4Area were highly distributed in the art area. Second, in the fashion brand, B-seri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R-serie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art, and G-series showed the lowest value in all fields. Third, in the color and tone composition chart, the color categories and the R70B~R90B series were the highest in the fashion brand, and the achromatic and Y70R~Y90R series were the highest in the art. In the case of color tone, distribution in 4Area was high in both fashion and art.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s and arts have partially in common, but the wider color and tone are used i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s' using colors than that of arts.

      • KCI등재

        패션브랜드 매장의 VMD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 밀라노 패션브랜드 매장의 윈도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

        백민영,김유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세계 패션의 중심지이자 트렌드를 선도하는 이탈리아 밀라노의 패션브랜드 매장의 VMD 색채의 특성과 패션정보기획사의 트렌드 색채의 특성을 각각 분석하여 최신 유행의 견본으로 대표 되는 밀라노 패션브랜드 매장의 VMD 색채 특성을 도출하고, 매 시즌 패션정보기획사에서 제시하는 트렌드 색채와의 연관성에 관련하여 연구하였으며, 국내 기업의 VMD 색채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이론적 측면의 선형연구와 관련문헌을 토대로 VMD 색채적용 방법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정립하였고, 2012년 7월 25일부터 8월 2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의 주요 패션 브랜드들이 가장 밀집되어 있는 5지역, 41개 패션 브랜드 매장에서 수집한 사 진자료 254점 중 측색 가능한 80점의 분석 자료와 국내 패션정보기획사 삼성디자인넷과 트렌드포 스트에서 제시한 2012F/W의 트렌드 색채 87개로 그 범위를 한정하여 NCS색체계(Natural Color System)로 색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패션정보기획사에서 제시한 트렌드 색채 분석 결과 색상은 R축을 중심으로 YR계열과 RB계열에 집중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며, 색조는 5area에 해당하는 어두우면서 짙은 색조영역과 유 채색도가 높으면서 짙은 색조영역인 4area에 집중 분포하였다. 둘째, 밀라노 패션 브랜드 매장의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VMD 요소 따른 색채분석 결과는 색 상은 무채색군을 중심으로 YR계열에 집중 분포하였으며, BG계열의 분포율이 가장 저조하다는 것 은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색조는 무채색을 중심축으로 하는 색조들인 무채색에 가까운 엷은 색조 1area, 무채색에 가까운 어두운 색조 6area에 집중 분포하였다. 셋째, 트렌드 색채와 밀라노 패션 브랜드 매장의 색채 활용 특성 파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빈도수 를 측정한 결과 트렌드 색채의 경우 두 기획사 모두 R계열, B계열, Y계열, G계열, N계열 순으로 나 타났고, 밀라노 패션 브랜드 매장의 VMD 요소에 따른 색채의 빈도수는 N계열, R계열, Y계열, B계 열, G계열 순으로 나타나 트렌드 색채와의 연관성이 미미하게 나타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연속적 VMD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국내 VMD 사례와 비교연구를 추진하고자 한다. Both the characteristics of VMD colors of the fashion shops in Milan, Italy, which is not only the core of fashion but also leads the trend of fash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end colors of fashion information agencies are analyzed here. Through this process,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Milan VMD is draw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at and the trend color presented by fashion information agencies each season is studied h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the base line data to the domestic enterprises so that they can plan the VMD color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about the ways of VMD colors application on the basis of the related document. In this study, the color analysis is made through two sources. One is the 80 colorimetric analysis data from 254 pieces of photos that were collected from 41 fashion brand shops in 5 areas in Milan in the period of June 25th to Aug. 2nd, 2012. The other is from the 87 kinds of 2012F/W trend colors that were presented by the domestic fashion information agencies 'Samsung Design Net' and 'Trend Post' and the 87 trend colors are analyzed by Natural Color Syste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at is presented by the domestic fashion information agencies, the colors are concentrated in YR series and RB series with R-axis as the center and the tones are concentrated in 5 area -the dark deep tone area- and in 4 area - the deep chromatic tone area-. Secondly, the result of color analysis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VMD that was shown at the window display in the brand shops of Milan is that the colors are concentrated in YR series with the group of achromatic colors as the center and the distribution of BG series is the lowest. The tone is concentrated in l area that is close to the achromatic color and in 6 area that is toned dark grey. Finally, the frequency is measured regarding the trend col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uses of fashion brand shops in Milan. In the case of trend color, the order for both of the agencies is R series, B series, Y series, G series and N series. In the case of color frequency according to the VMD elements of fashion brand shops, the order is N series, R series, Y series, B series and G series. And it shows that it has little correlation to the trend color.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study should be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VMD examples according to the season changes and the comparison of it with that of domestic VMD.

      • KCI등재

        남성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색채 특성 연구

        백민영,김유경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in men’s fashion illustr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tilized efficiently in color planning in the field of men’s fashion through proposing a representative color palet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mbining the theoretical and objective research and was analyzed through colors of 148 fashion illustrations by 33 people with NCS (Natural Color System).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colors were concentrated in RB series and YR series centering R axis. The colors of YR series, in particular, showed a wide distribution up to the outer reaches of the color circle, the color tone showed the highest in 1area and 6area, and respectively in 2area and 3area as well. Second, the frequency in practical use of color showed in the order of B series, R series, N series, Y series, and G series. Chromatic colors were significantly more used than that of achromatic colors, which were the traditional men 's colors, and the frequency in use of chromatic colors showed in the order of B series, which is the typical color of men, R series, Y series, which are the typical colors of women, and G series, which showed the lowest frequency. Third, R70B ~ R90B was marked as the highest rate of color usage in the color and the tone composition diagram based on the overall frequency of use, but the total circulant graph showed that the B series that represents masculinity and the R series that represents femininity had a similar ratio. Regarding tone, the 1area and 6area showed very high distributions, and 2area, 3area were marked higher than 5area and 6area. Fourth, 14 representative colors from each category of men’s fashion illustrations were selected through analytic methods and presented in a color palette.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men’s fashion illustration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convergence of both masculinity and femininity, and that the representative color pallet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color planning in the rapidly changing fields of modern men’s fashion.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색채 특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분석 결과를토대로 대표색 색채 팔레트를 제시하여 남성 패션 분야의 색채 기획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33인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148 작품의 색채를NCS(Natural Color Syste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색상은 YR계열과 RB계열에 집중 분포하였고, 특히 YR계열은 색상환 외곽의 컬러까지 폭넓게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며, 색조는 1area와 6area의 분포가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area와 3area에도 비교적 높은 분포도가 나타났다. 둘째, 색채의 활용 빈도는 B계열, R계열 그리고 N계열, Y계열, G계열 순이었으며, 전통적인 남성의 색채였던 무채색보다 유채색의 사용빈도가 현저히 높았으며, 유채색의 활용빈도는 남성성의 대표적 색채인 B계열과 여성의 대표적 색채인 R 계열, Y계열 순으로 나타났고, G계열의 활용 빈도가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사용 빈도를 토대로 작성한 영역별 색상, 색조 구성도에서 영역별 색채 활용은R70B~R90B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지만, 전체적인 원형 그래프의 비율을 살펴보면 남성성을 대표하는 B계열과 여성성을 대표하는 R계열의 색채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색조는 1area와 6area의 분포가아주 높게 나타났으며, 2area, 3area가 5area, 6area보다 높은 분포로 나타났다. 넷째, 분석적 방법으로 도출된 남성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계열별 대표색 14 색상을 선정하여 색채 팔레트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남성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남성성과 여성성의 융합적 색채 특성이 활용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대표색 색채 팔레트는 현대 사회에서 변화하는 남성 패션 분야의 색채 기획에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a single hepatocellular carcinoma less than 5 cm treated with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백민영,유정주,정승원,장재영,김용권,정신옥,이세환,김상균,차상우,김영석,조영덕,김홍수,김부성,김용재,박수연 대한내과학회 2019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34 No.6

        Background/Aims: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is performed for singl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hat are not eligible for surgery or ablation therapy.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a single HCC ≤ 5 cm treated with TAC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175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TACE as an initial treatment for single HCC ≤ 5 cm. Predictive factors for complete response (CR), recurrence after CR,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evaluated. Results: Total 119 patients (68%) achieved CR after TACE. Tumor size < 3 cm and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R (p < 0.05). Recurrent HCC was detected in 73 patients (61.3%) after CR. Age > 65 years and absence of liver cirrhosis were predictive factors for non-recurrence after CR (p < 0.05). The OS for all patients was 80.7 ± 5.6 months, and the 1-, 3-, and 5-year OS rates were 88.1%, 64.8%, and 49.9%, respectively. In multivariate analysis for OS, CR (hazard ratio [HR], 0.467; 95% confidence interval [CI], 0.292 to 0.747) and Child class A (HR, 0.390; 95% CI, 0.243 to 0.626) were significant factors. The OS for the CR and Child class A group were 92 and 93.6 months, respectively, and that of the non-CR and Child B, C group were 53.3 and 50.7 months, respectively (p < 0.001). Conclusions: TACE can be a valid treatment in patients with a single HCC ≤ 5 cm not suitable for curative treatment,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hild class A and CR after TACE.

      • KCI등재

        아트 인스피레이션이 적용된 패션브랜드의 컬렉션 색채특성 분석

        백민영,김유경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about artistic color application and usage in fashion area through application analysis of color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s the emotional value of a brand which is one of fashion design elements as a first step to approach to a variety of expressive ways of modern fashion art inspiration. The research use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methods. The theoretical method was to categorize the art through the concept of the art and inspiration. For practical method, it analyzed the fashion brands and art works that reflected art inspiration at the four famous world art collections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color application characteristics that were applied at fashion brands and art work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brands that applied art inspiration used YR, RB and GY series widely. In the tone area, the use of 1Area and 4Area was highly distributed. The art area used YR and RB series more than any other colors. 3Area and 4Area were highly distributed in the art area. Second, in the fashion brand, B-seri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R-serie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art, and G-series showed the lowest value in all fields. Third, in the color and tone composition chart, the color categories and the R70B~R90B series were the highest in the fashion brand, and the achromatic and Y70R~Y90R series were the highest in the art. In the case of color tone, distribution in 4Area was high in both fashion and art. As a result of the above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s and arts have partially in common, but the wider color and tone are used i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s' using colors than that of arts. 현대 패션에서 아트 인스피레이션의 다채로운 표현방법으로 접근하기 위한 첫 단계로 패션디자인 요소 중 브랜드의 감성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인 색채의 활용 특성 분석을 통해 패션분야에 예술적 색채적용 방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이론적 연구는 아트와 인스피레이션의 개념 고찰을 통해 아트를 범주화를 하였고, 실증적 연구로는 최근 3년간 세계 4대 컬렉션에서 아트 인스피레이션이 반영된 패션과 아트의 각 작품에 적용된 색채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브랜드에서는 YR, RB, GY 계열에 폭넓게 나타났고, 색조영역에서는 특히 1Area와 4Area 가 높게 분포했다. 아트에서는 YR계열과 RB계열이 높은 분포도로 나타났으며, 3Area와 4Area에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열별 빈도수 측정 결과 패션브랜드의 경우 B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트의 경우 R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분야 모두 G계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색상, 색조 구성도에서 패션브랜드는 무채색과 R70B~R90B의 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트의 경우 무채색과 Y70R~Y90R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색조의 경우 패션과 아트 모두 4Area에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패션브랜드와 아트의 색채특성이 부분적으로 공통된 경향을 나타내지만, 패션브랜드의 색채 활용 특성에 있어서 아트에 비해 비교적 폭넓은 색상과 색조의 사용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