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ECD 국가 합계출산율 트렌드 분석을 통한 정책적 함의 도출

        박아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보건복지포럼 Vol.250 No.-

        우리나라는 현재 초저출산 현상을 장기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2000년대 중반부터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을 실시하였지만, 지난 10년간 정체된 출산율로 미루어 볼 때 아직은 그 효과가 미미해 보인다. 하지만 출산 관련 정책의 영향은 장시간에 걸쳐 나타나므로 이러한 정책 효과성에 대한 평가는 다소 섣부른 판단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혼합효과모델과 함수형 데이터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OECD 국가 합계출산율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도 및 가족 관련 정부 지출의 장단기적 관계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단기적인 출산율의 변화는 다양한 외적 변수의 영향을 받으므로 언급된 변수들과 출산율의 단기적 관계는 다소 약하거나 일관성이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합계출산율의 절대적인 수준은 가족 관련 정부 지출과 양의 관계가 있으며, 합계출산율 증가율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높을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출산 정책을 세울 때 장기적인 트렌드 분석이 중요함을 암시하며 나아가 정부의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노력만이 우리나라 출산율을 반등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HPLC를 이용한 혈중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의 분석 및 이를 이용한 한국인 성인남성에 대한 생체이용률 평가

        박아연,김진희,김성용,지상철,복혜숙,김호중,염정록,한상범,Park, Ah-Yeon,Kim, Jin-Hee,Kim, Sung-Yong,Chi, Sang-Cheol,Bok, Hae-Sook,Kim, Ho-Jung,Youm, Jeong-Rok,Han, Sang-Beom 대한약학회 2006 약학회지 Vol.50 No.5

        A simple and sensi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quantitation of hydrochlorothiazide in human plasma was developed and bioavailability parameters of hydrochlorothiazide were assessed in Korean healthy male volunteers. Caffeine was used as an internal standard. Hydrochlorothiazide and internal standard in plasma sample were extracted using tert-butylmethylether (TBME). A centrifuged upper layer was then evaporated and reconstituted with mobile phase of acetonitrile-25 mM phosphate buffer (20/80, pH 2.5). The reconstituted samples were injected into a Luna C18 column $(250{\times}4.6\;mm,\;5{\mu}m)$ at a flow-rate of 1.0 ml/min. The wavelength was set at 230 nm and no endogenous substances were found to interfere, A linear relationship for hydrochlorothiazide was found in the range of $10{\sim}300\;ng/ml$. The lower limit of quantitation (LLOQ) was 10 ng/ml with acceptable precision and accuracy. Assayed in plasma, the intra- and inter-day validation for all coefficients of variation (R.S.D.%) were found less than 15%. Main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50mg of hydrochlorothiazide were revealed as follows: $AUC_t\;1761{\pm}509.0\;ng{\cdot} hr\;ml,\;C_{max}\;296.5{\pm}95.5\;ng/ml,\;T_{max}\;1.94{\pm}0.85hr,\;K_{el}\;0.12{\pm}0.04\;hr^{-1}\;and T_{12}\;6.81{\pm}2.92\;hr.\;C_{max}\;and\;T_{max}$ were in accordance with the values $(270{\sim}350\;ng/ml\;and\;1.9{\sim}2.7\;hr)$ of Caucasian.

      • KCI등재

        야생동물 보호활동에서 환경 거버넌스 성공을 위한 지역주체들의 역할과 시사점: 일본장수도롱뇽 사례

        박아연,문윤섭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nd reveal the significance of how wildlife conservation activities can be conducted by a local community in Toyosaka, Higashihiroshima, Japan. For this study, we visited the research area for 5 months from April to August 2016, and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keholder and the enthusiasm of key persons within the local community played major roles in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wildlife conservation activity. Above all, citizen ecological research was accomplished by local stakeholders such as experts, local government, local residents, schools, environmental conservation organizations, and community-based research institutions in order to conduct the wildlife conservation activity together. These collaborations by the local stakeholders led to the accumulation of official and scientific information. During the process of community-based activities toward the same goal, the local stakeholders made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an attachment to the region, changes in consciousness about coexistence with wildlife,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recognition of potential as a local resourc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haring opinions and goals of wildlife conservation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processes of building mutual trust among the local actors and of moving toward adaptive governance.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주체의 참여에 의한 야생동물 보호활동의 진행과 그 의의를 밝히는 것으로, 일본 히가시히로시마시 도요사카 정을 사례로 한 질적 연구이다. 2016년 4월부터 8월의 5개월간 연구대상지를 방문하여 연구 참여자를 만나면서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구의 대상이 된 사례는 주민들 사이에서 일본장수도롱뇽이 거의 잊혀져가던 상황에서, 아래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통해 활동의 범위를 넓혀가는 과정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둘째, 주체들 간에 구축된 원만한 인간관계와 주요 인물의 열의는 협력을 이끌어내고 연계로 이어지는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활동 과정에서의 시민 조사가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 실천하는 장으로써 기능하였으며, 이를 공적․학술적인 정보로 축적하고 나아가 정책에 제언하는 것은 보호 활동의 진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셋째, 지역 주체들이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지역에 대한 애착 및 야생동물과 공존하고자 하는 등의 의식 변화와 다양한 교육․보급 활동 등의 여러 성과를 만들어냈다. 넷째, 야생동물과 같은 지역의 자연 자원이 지역 활성화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인간과 야생동물 양자의 생활을 보장하여 공존으로 나아가는 길로도 이어진다는 것이다. 다섯째, 지역 환경의 보존에 있어서 지역주민들의 지혜를 이끌어내고 반영하면서 외부의 과학적 지식과 접목시키는 과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의견 교환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과 유연성을 발휘하여 시행착오를 받아들이고 개선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하였는데, 그러한 과정이 목표의 상호 수용 및 주체들 간의 신뢰 구축을 가능하게 하고 적응적 거버넌스로 나아가게 하였다.

      •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통계적 접근과 관련 이슈

        박아연,오미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보건복지포럼 Vol.262 No.-

        최근 개별 정보 주체의 원자료로 구성된 마이크로데이터를 직접 제공하는 국가통계기관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공공자료의 활용 범위와 유용성은 대폭 증가했지만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위험 또한 커졌다. 유럽연합은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016년 5월 일반개인정보보호규정을 선포하였고, 2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18년 5월 25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를 너무 강조하다 보면 활용에 제약이 있고, 자료 활용을 강조하다 보면 개인정보 노출 위험이 따를 수밖에 없다. 개인정보도 보호되면서 자료 활용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원자료에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많은 통계작성기관에서 생산하고 있는 마이크로데이터는 외부의 다른 자료와 연계될 때 개인정보 노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데이터 제공 시 노출 위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등 정보보호가 이루어진 자료 및 재현자료는 원자료보다 유용성과 정확성이 떨어지긴 하지만, 누구나 물리적 제약 없이 실제 데이터 분석 이전에 시범적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으므로 국가 차원에서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법에 대한 연구를 더욱 활발히 진행해야 할 것이다. 또 데이터가 수집, 보급되는 과정이 포괄적이고 투명하도록 하고, 개인정보 침해 위험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1586년 덕빈 윤씨(德嬪 尹氏)를 위한 불사,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연구

        박아연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0 No.-

        Located at Hoeyangsan Mountain in Mungyeong, Bongamsa Temple houses a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his statue is important because the letters of invocation found inside it contain detailed information about its construction and the various repairs it underwent the principal agent of its construction, the monk-sculptors who produced it, and the participants in the invocation. According to the record included in the letter of invoc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atue, Crown Princess Deokbin Yun was the main supplicant in the Buddhist service held for its construction at Bongamsa Temple, while two Buddhist nuns named Park and Yun were the main officiants. It is also understood that Hyangnojeon Hall, where the statue is enshrined, served as a prayer room for Crown Princess Deokbin Yun, and that she worshiped the statue throughout her life. In the sixteenth century, most of the Buddhist services held for the construction of a Buddha statue were participated in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monks, and ordinary people. Amid such a social atmosphere, the fact that the main supplicant in the prayers held for the production of the Buddha statue at Bongamsa Temple was Crown Princess Deokbin Yun indicates that the statu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oyal family of Joseon.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officials, monks, and ordinary people as benefactors in the production of a Buddha statue suggests that sponsorship for Buddhist services must have expanded considerably in the sixteenth century. Meanwhile, this Buddhist service may have been held on a large scale at that time, given that highly skilled monk sculptors and painters were invited to create a Buddhist statue and a series of paintings to be enshrined in Hyangnojeon Hall, where the sacred Buddhist service was held. This seems likely because this kind of service was associated with the royal family. As such,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Bongamsa Temple is considered to be a particularly valuable cultural heritage as it is the last Buddhist sculpture to have been created with the invocation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mong the Buddhist sculptures found so far.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Bongamsa Temple exhibit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Buddhist statues made in the sixteenth century, particularly in terms of its overall proportions and elements. Therefore, the style of the statue is consistent with the record of its construction year (1586), and thanks to the precise details of its construction, it served as a standard model for Buddhist sculptures made in the early Joseon period. Furthermore, the letters of invocation written during the production and re-gilding of the statue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participants in the production of the Buddha statue, including monk-sculptors who were active between the late six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문경 회양산에 위치한 봉암사(鳳巖寺)에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한 점이 있다. 이 불상은 복장발원문을 통해 분명한 조성과 중수시기, 조성 주체와 조각승 및 발원 참여자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주목된다. 조성발원문을 통해, 이 불상은 순회세자의 비인 덕빈 윤씨가 주요 발원자이고, 비구니 박씨와 윤씨가 실질적 주체자로 활약한 것으로 보았다. 봉암사 불상 조성 불사로 덕빈 윤씨는 부모와 남편의 극락왕생과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했을 것이며, 비구니 박씨와 윤씨는 남편을 일찍 여의고 평생 불교에 의지하며 외로운 삶을 살았던 덕빈 윤씨의 만수무강을 기원하기 위해 불사를 진행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불상을 봉안한 향로전은 덕빈 윤씨를 위한 기도처의 역할을 했을 것이며, 불상은 원불(願佛)로 제작된 것이라 추정된다. 16세기는 왕실이나 고위 관료층의 후원이 어려워지면서 지방 관료나 승려, 일반민이 불상 조성 불사에 참여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서 봉암사 불상의 발원 대상이 덕빈 윤씨라는 점은 불상이 왕실과 깊이 관계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불상 조성에 지방 관리, 승려, 일반민 등이 시주자로 함께 참여했다는 점은 16세기의 확대된 불사 후원 형태도 보이고 있다. 한편 뛰어난 실력을 갖춘 조각승과 화사를 초청해서 불상과 불화를 조성해 봉암사 향로전에 봉안하고 점안법회를 열었다는 점은 당시 상당히 큰 불사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왕실에서 발원한 불사였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봉암사 불상은 현재까지 확인되고 있는 불교조각 중 조선 전기의 마지막 왕실 발원 불교조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봉암사 불상은 전체적인 비례나 각 부분의 특징에서 16세기 불상의 전형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불상은 1586년이라는 조성 기록과 양식적으로 일치하며, 분명한 조성시기가 확인되는 조선 전기 불교조각 기준작으로서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조성발원문과 개금발원문을 통해서 16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활동했던 조각승 및 조성 참여자들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1628年 仁穆大妃 발원 水鍾寺 金銅佛像群 硏究

        박아연 ( Ah Yeon Park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구 한국미술사연구소 ) 2011 강좌미술사 Vol.37 No.-

        수종사 팔각오층 석탑의 기단 중대석, 초층 탑신석, 1층 옥개석, 2층 옥개석, 3층 옥개석에는 30구의 불상이 발견되었다. 불상군은 봉안 시기에 따라 크게 1493년과 1628년 불상군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초층 탑신석에서 발견된 1493년 봉안 불상을 제외한 불상군이 1628년에 조성된 금동불상군이다. 1628년 금동불상군은 석탑의 기단 중대석에서 발견된 비로자나불좌상 대좌 바닥의 발원문을 통해 발원자와 제작연대, 조성목적, 화원 등을 알 수 있다. 즉, 이 금동불상군은 1628년에 인목대비가 23구의 불상 조성을 발원하였으며, 이는 조각승 性仁이 조성한 것이다. 인목대비가 금동불상군 조성을 발원한 목적은 발원문에는 중생구제라고만 언급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억울하게 죽은 일가족과 아들의 극락왕생, 자신이 겪은 심적 고통의 해소를 기원하기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불상군을 조성한 성인은 1622년에 왕실발원의 지장암 불상 조성에 화원으로 참여한 것으로 보아 실력있는 조각승이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므로 1628년 수종사 금동불상군은 당대의 기량이 뛰어난 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17세기 왕실발원 탑 봉안 금동불상으로 의미가 크다. 금동불상군이 석탑의 기단 중대석과 1층, 2층, 3층 옥개석에 나뉘어 봉안된 것은 석탑의 규모가작아 불상 23구를 한 공간에 넣기에는 협소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한편, 불상군의 배치 방식은 형식이 일정하지 않으나, 현전하는 불상 중 일부가 비로자나삼신불, 아미타삼존불, 약사삼존불 형식의 구성이 성립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23구의 불상은 특정 형식을 갖춰 조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1628년 금동불상군은 조선 후기 불상이 정형화되기 시작하는 시기의 불상으로, 17세기 전반기불상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또한 소형 금동불상으로, 동체와 하반신에 비해 머리가 유난히 큰 童形의 신체비례와 미소를 띤 표정은 수종사 불상만의 특징이다. 수종사 석탑 봉안 불상군은 15세기와 17세기에 걸쳐 발원되어 조선 전기와 후기 불상 양식의 특징을 볼 수 있는 대표작으로, 조선시대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기년명과 발원자가 명확한 불상이자, 현전하는 조선시대 유일한 왕실발원의 석탑 봉안 불상으로서 의미가 크다. The group of gilt-bronze Buddhist statues, enshrined inside the stone pagoda of Sujongsa Temple in 1628, clarify the name of sponsors, the year of the manufacture, the purpose of creation and court sculptor through the text of prayer on the bottom which were carved on the pedestal of Vairocana. In other words, this twenty three Buddha statues were commissioned by Queen Inmok and those were created by monk sculptor Sung-in(性仁) in 1628. The text of prayer was recorded ``saving mankind`` as the purpose of creation, however, it seems that Queen Inmok decided to commission the Buddha statues in order to pray for the eternal peace of the her dead son and family, and to release herself from suffering emotional distress as well. The sculptor Sung-in seems to be a skillful monk sculptor according to the record that he was involved in the composition of Jijangam Temple Buddha statues which were commissioned by Joseon`s royal family. Therefore the gilt-bronze Buddha statues in Soojongsa Temple in 1628, has its significance as it was produced by the top class monk sculptore and enshrined inside the stone pagoda, which were commissioned by Joseon`s royal family in the 17th century. Three sets of the Buddha statues show the form of triads, that is Vairocana triad, Amitabha triad and Bhaisajyaguru triad.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twenty three Buddha statues might have been molded according to a regular form at first. It can be evaluated as the new establishment of the sculptural style of the latter half of Joseon, and that of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group of miniature gilt bronze Buddha statues have physical proportion like a kid with smiling face, which is the own feature of Buddha statues in Soojongsa Temple. The gilt-bronze Buddhist statues of Soojongsa Temple are the only statues with clarified sponsor and the manufactured year commissioned by the Joseon`s royal family.

      • KCI등재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浮彫像 연구

        박아연(Park, Ah-ye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2 美術史學 Vol.- No.43

        본고는 경상남도 山淸 泛鶴里 삼층석탑에 새겨진 부조상의 도상 및 양식적 특징을 검토하여 존명과 조성 시기를 논하고, 이 부조상이 통일신라 석조미술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범학리 석탑 상층기단 부조상은 한 면에 2구씩 모두 8구가 배치되어 있고 무장형의 八部衆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 상들은 팔부중의 전형적인 도상적 특징을 지니고 있지 않아 단언하기 어렵다. 또한 금강역사나 사천왕 등 다른 특정 도상이라고 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도 없다. 그러므로 상층기단 부조상은 특정 존명을 명명하기는 어려우므로 넓은 의미에서 ‘神將像’이라 일컫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범학리 석탑 1층 탑신석의 부조상은 한 면에 1구씩 4구가 배치되어 있는데, 1층 탑신에 위치한다는 점, 연화좌 위에 앉아 있고 두광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菩薩像임을 알 수 있다. 네 보살상은 공양하는 자세로 손에 지물을 들고 있기 때문에 供養菩薩像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점 중 하나는 보살상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이다. 동면의 보살상이 중심이 되고, 나머지 공양하는 보살상의 방향이 정면(현재 동면)을 응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 보살상들의 자세와 시선은 참배자가 탑돌이를 할 때, 정면을 향해 공양하는 보살상을 시작으로, 시각적으로 연동하면서 공양하는 보살들을 보며 예경 하도록 의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후반이 되면 석탑의 상층기단에는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들고 있지만 존명을 알 수 없는 신장상이 많이 나타나며, 1층 탑신에 위치하는 부조상으로 보살상이 등장하므로, 범학리 석탑은 9세기 후반 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범학리 석탑에 부조된 신장상과 보살상의 조각 수법은 저부조로 입체감이 떨어지며 선각을 많이 이용하여 표현했다. 대체로 9세기 이후에는 새김의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양감으로 보더라도 범학리 석탑은 9세기 이후에 조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더불어 도상적 특징을 통해 통일신라 9세기 후기의 석탑, 석조여래좌상 대좌, 僧塔에 부조된 신장상 및 보살상에서 범학리 석탑 부조상과 친연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범학리 석탑의 부조상과 같이 상층기단에 신장상과 1층 탑신에 보살상으로 구성된 조합은 흔치 않은 사례이다. 이는 상층기단의 신장상을 통해 석탑을 수호하고, 1층 탑신의 공양보살상을 통해 부처를 공양한다는 의미를 담으려 한 것으로 생각된다. 범학리 석탑은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시작한 탑 부조상이 9세기 후반이 되면 경주 이외 지방에서 어떤 모습으로 변모해 가는지 그 변화를 잘 보여주는 대표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ages of the Buddhist deities carved in relief o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Beomhak-ri in Sancheong, Gyeongsangnam-do, to determine the date of their production, and to assess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based on a close examination of their iconic and stylistic features. There are eight Buddhist images carved on the upper base of the Stone Pagoda, i.e. two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base, which has led some specialists to argue that the figures represent the Eight Deva Guardians of Buddhism,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no definite clues to support this view. It is equally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se images represent either the Vajra Guardians or the Four Heavenly kings. A more plausible view is that they represent the Divine Warriors in a broader sense. The body of the first story of the stone pagoda is also carved with four Buddhist deities in relief, one on each of its four sides. The fine details of the images, and the symbolic objects they hold in one hand in particular, suggest that they are bodhisattvas offering precious gifts to the Buddha. One interesting element of these bodhisattvas is that the image carved on the eastern face appears as the central figure, while the other three are turned fully to the front, that is, they are all facing east. The attitudes and eyes of these carved figures suggest that they wer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Buddhist worshippers would pay homage to this eastward-facing bodhisattva first of all when starting their ritual circumambulation of the pagoda. It was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i.e. the late ninth century, that stone pagodas in Korea first featured images of the Divine Warriors - whose identities remain unknown to this day - on their upper base, and representations of the bodhisattvas on the body of the first story. In this regard, the stone pagoda at Beomhak-ri clearly displays the characteristic style of Unified Silla pagodas of the late ninth century. Similarly, the images of the Buddha carved on the pedestal and those of the Divine Warriors and bodhisattvas carved in relief on the main structure show that this pagoda is closely connected with stone pagodas of Unified Silla dating from the late ninth century.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the Divine Warriors carved on the upper base and the bodhisattvas incised on the body of the first story of the pagoda is rarely seen in other pagodas of the same period. Such a combination suggests that the builders of the pagoda wanted the Divine Warriors to protect the pagoda and the bodhisattvas to represent devout worshippers offering treasures to the Buddha. The Stone Pagoda in Beomhak-ri is significant in that it sheds some light on how the representation of Buddhist deities carved on Korean stone pagodas evolved from the seventh to the late nin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