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반기 제2,3기 불교미술의 조성사상

        한지연 ( Jee Yeon Ha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조선후기 산문중심의 불교에서 지향했던 정통성 수립과 왕실의 능침사찰화는 유교적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있던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것과 동시에 신앙적 차원이 고양된 것이 내포되어 있다. 교단 내에서의 이와 같은 움직임은 사찰의 중건, 불상 및 불화의 새로운 제작 국면을 맞이하게 됨으로써 사상적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교단 내부의 정통성 수립에 치중하던 이러한 움직임과는 달리 민간이 주도적으로 불교를 이끌어가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민간 주도하의 불교는 주로 고려시대로부터 이어져온 結社의 맥이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결사에 사용될 불교전적을 새롭게 편찬하는 작업도 이루어져 조선후기 불교발전의 또 다른 양상을 도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민간 주도의 불교발전에 따라 의례부분도 상당히 강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인도불교 역사 상 굽타시대와 비견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조선후기 불교와 불교미술이라 생각된다. 불교사상은 급격하게 쇠락하고 민간신앙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민간의 적극적인 불교참여활동이라는 측면은 인도 굽타시대, 불교사상보다는 민간에서 종교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된다는 측면과 흡사한 부분이다. 표면적으로 불교교단이 쇠락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교미술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한다는 부분에 있어서도 비견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조선후기 불교사와 불교미술 발전의 측면을 동시에 조명 하는데 주력했으나, 두 가지 측면을 함께 조명한 연구성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시론적 입장에서 전개된 논문이다.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facts and the artistic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order tri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and to find a way to survive by making Lingqinfocha(陵寢寺刹). The religion suppressed by the social order based on Confucianism needed to inspire the religious level. What the order did in the society at that time could not bring out ideological development. However the need of remodelling of the religious facilities consequently made outstanding progress on the religious art such as statues, paintings and temples. Buddhism among people had been gone on through the associations. As they had made progress with scriptures, the religious ritual formation became stronger. In this way, Buddhism in the late Joseon and that in the Gupta period are very much alike. Both in Gupta era and in the late Joseon, the religion connected with folk believes was flourishing among people when the doctrines were getting weakened. As a result, in both period, the changes of its statues became a turning point in Buddhist art history. However this research is introductory for its inadequate result of focusing on both the religious history and its artistic develop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특집 :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의 조성사상 연구

        한지연 ( Jee Yeon Ha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6 No.-

        성리학 중심의 유교국가를 지향하는 조선시대 불교는 억불시책으로 인해 교단사적으로 결국 산중불교라는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불교 전래 이후 국가 공인 하에 전개되었던 불교사상, 신앙의 전개는 조선시대 들어서면서 결국 그 체제가 무너진 것이다. 때문에 현존하는 문헌자료 상에서는 불교발전상을 찾기 힘들며, 더욱이 위정자들의 불교 폄하 태도가 기록에 묻어나 문헌자료만으로는 당시의 불교 발전상을 이해하기 힘들다. 따라서 문헌자료와 함께 불교미술 造成記를 통해 생동감 있게 접근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고려왕조에서는 사상의 전개, 여러 신앙의 공존 등을 통해 불교사상·문화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에 비해 조선시대 불교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면면히 이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중국과의 외교 문제, 건국과 함께 조성된 불안정한 사회분위기를 쇄신할 수 있었던 것은 성리학이 아닌 불교였다. 오히려 천년에 이르는 시기동안 끊임없이 발전되어 왔던 불교사상을 ``선교양종 승려``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게 하나로 통합해 나아가는 새로운 결과를 낳았다. 조선 초기에는 기존의 정토계 신앙이 그대로 흡수되어 민간신앙에까지 깊숙이 파고 들며, 동시에 왕실에서는 정토신앙을 바탕으로 『법화경』『원각경』『화엄경』사상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불화, 불상, 불탑조성에서 나타나고 있을뿐만 아니라 문헌자료에서도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이에 반해 불교교단 내부에서는 승과제도를 통한 법계형성이 비교적 단순화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승과과목으로 지정된 경전 이외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대승경전 가운데 『법화경』『원각경』 『능엄경』 등을 이력과목으로 선택한다. 이리한 교단 내부의 변화는 곧 禪이나 敎, 어느 한쪽에 치우치는 것이 아닌 양쪽을 모두 섭렵하는 총체적인 교단의 모습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불교에 관해 억불시책과 관련지음으로써 그 발전양상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오히려 통합적인 불교로의 발전과 민간신앙으로 완전히 정착해 지금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내려오는 긍정적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suppressed by the confucian government. As the Neo-Confucianists established the new dynasty, they claimed Buddhism for the failure of the previous Dynasty, Goryeo. Consequently Buddhism had to get away from the open society avoiding the anti-Buddhism policies. The official documents recorded by governors had been so critical on Buddhism that it is hard to understand how Buddhism survived and develop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official historical records. It is possible to find out how Buddhism developed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documents about the Buddhist artworks. Buddhism had made remarkable progress in both ideological and cultural ways until the Goryeo Dynasty collapsed. But under the Joseon Dynasty`s anti-Buddhism policies, Buddhism had had to endure and had few chance to develop itself for centuries. Even though the government had suppressed it so harshly, Buddhism stabilized the insecure society of the new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na. The sufferings rather became a chance to unite the sects of the religion and to develop the Zen and non-Zen sects together. In early years of the Joseon, the Pure Land school`s thought was absorbed into folk beliefs. Judging from the historical records and Buddhist arts such as paintings, statues and sutras at that time, the Royal family accepted the ideas from Lotus Sutra,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and Sutra of the Garland of Buddha based on the Pure Land school`s one. On the contrary, the Buddhist order had simplified the organization. The Buddhist education curriculum of the course was also expanded, so Lotus Sutra,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and Sutra of the Heroic Ones were included. It means the order manage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Zen and non-Zen and furthermore unified them to create unique Korean Buddhism. The anti-Buddhism policies of the Joseon Dynasty had caused disadvantage to Buddhism with no doubt. But they also gave it a foothold for settling down in the common people`s life and unifying the separated ideas.

      • KCI등재

        동남아시아 불전미술의 성립과 도상특징

        고정은 ( Jeon Geun Koh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동남아시아의 미술은 인도문명과 중국문명 그리고 서구의 문명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전개를 보이면서 발전해갔다. 그중에서 불교미술은 동남아시아의 문화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붓다의 생애와 그 전생에 관한 주제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불전미술도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불전미술은 인도 쿠샨시대의 간다라에서 크게 성행하였고, 동시대 마투라에서도 그 수가 현저히 줄어들긴 했지만, 중요한 몇 개의 장면을 모아서 표현한 사상도, 오상도, 팔상의 장면들이 조성되었다. 남인도의 안드라 지방에서도 아마라바티와 나가르주나콘다라는 대표적인 불교유적지에서 불전도가 성행하였다. 굽타시대로 들어오면서 사대성지, 팔대성지를 표현한 불전도를 위주로 전개되었고, 그 외 천불화현 장면이 단독의 불전도로 제작되는 등 불교미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다음 시기인 팔라시대에서는 중앙에 항마촉지인을 한 불좌상을 크게 조성하고 그 주위로 7상을 배치한 비상형식이 다수 제작되었고 팔상도는 이시기에 정형화를 이루게 되었다. 인도에서의 불전미술의 전개는 각 시대마다 앞 시대의 구성 및 표현방식을 계승하면서 작품을 통한 불교성지순례라는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팔상도를 비롯한 인도의 불전미술은 실크로드라 불리는 육로로, 혹은 바닷길을 이용하여 스리랑카와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다. 특히 동남아시아의 도서부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보로부두르 사원, 그리고 대륙부에 위치한 태국의 드바라바티 미술, 미얀마의 버강시대의 불교미술에서 두드러진 조성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팔상도의 경우 동아시아에는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지만, 동남아시아의 미얀마에서 팔라시대의팔상도와 유사한 작품이 다수 발견되는 바, 인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동남아시아의 현존하는 작품을 통해 본 결과, 인도의 불전미술은 중국, 한국, 일본 등의 동북아시아로의 전래보다는 동남아시아로 적극적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더 크며, 이와 같은 도상의 전파루트의 흔적을 찾아가는 것은 인도와 동남아시아 간의 문화의 전파 루트를 추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Southeast Asian art, India civilization and Chinese civilization and Western civilization evolved under the influence went. Among them, the Southeast Asian Buddhist art and culture has had a major impact on art, the Buddha`s life and his past life on the subject of a visual representation of Buddhist art has been designed to be very active. Kushan Gandhara Buddhist art in India was largely prevalent, contemporary Mathura also been reduced significantly the number, but also several important ideas expressed by the scene, but was raised several important scenes. Buddhist Temples in South India`s Andhra province was also rampant. Coming into the Gupta period, the Four Scenes and the Eight Scenes from Buddhs`s Life was constructed, and also Sravasti`s Miracle has become an important place in Buddhist art. In the Pala period, the Seated Buddha is enshrined in the center, and placed around it seven awards have been making a number of formats also was led to formalize this stage. The development of Buddhist art in India of the previous configur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times while carrying a Buddhist pilgrimage through the work to maximize the visual effect was found that. The Art of Buddh`s Life, through the silkroad and sea to Sri Lanka and Southeast Asia, was quoted. Located in Southeast Asia, especially Indonesia`s Candi Borobudur, Art of Dvaravati, and the Buddhist Sculpture and Mural Painting in Bagan Period`s, were confirmed. The Eight Scenes form Buddha`s Life also be found in East Asia and the extraordinary, but similar work in Myanmar, the Indian was abl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east Asia`s existence through the work of this result, the Indian Buddhist art to the traditional, rather than Southeast Asia actively propagated may have been larger, such iconography spread of the root of the trail on our way to the between India and Southeast Asia to estimate the root spread of cultural materials will be very important.

      • KCI등재

        신라 불교문화 원형 연구 -실크로드와 경주를 중심으로-

        문무왕 ( Mu Wang M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본고에서는 한국불교문화원형의 한축인 신라불교문화의 성립을 간다라로부터 중앙아시아 중국을 잇는 문화원형 형성에 관한 논의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부분은 여러 기관의 도움으로 실시해 온 불교문화 조사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바탕으로 삼고자 한다. 실크로드의 불교에 관한 연구는 한국불교의 원류를 밝히는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인도불교, 중국불교, 한국불교 등으로 분류된 개략적인 지역학적 불교연구방법을 원용하여 연구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법으로 해결되지 않는 전파와 수용에 관한 문제가 실크로드지역에서 발생한다. 불교가 고대한국사회의 형성에 끼친 영향은 논란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거대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러므로 문화의 전파와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실크로드라는 교류의 흔적을 살펴야 한다. 고대역사에 있어서 A.D 1 세기부터 A.D 8 세기에 이르는 시기 동안 세계는 활발한 교류의 흔적을 남기고 있으며 이러한 활발한 교류의 흔적에서 우리는 불교의 전파, 수용, 변용의 과정을 살필 수 있는 것이다. 불교를 한국에서 가장 깊이 받아들였던 신라는 불국토사상을 발전시키면서 신라가 곧 불국토임을 인식하면서 신라의 불교적 세계관을 내재화하는 과정을 겪었다. 중고기에 왕실인들이 석종임을 주장함으로써 신라 왕실은 불교 발상지인 인도의 세계관을 수용하고 공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불교가 정착하게 되는 과정이며 문화원형으로 정립되어 지는 과정인 것이다. This paper seeks to discuss the Buddhist culture of Korea established the prototype of the Buddhist culture of the Silla culture circle formed to connect Central Asia China from Gandhara.The study of Buddhism on the Silk Road can be a crucial way to find the origin of Korea Buddhism.Buddhism has ha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ancient South Korea has received that rating, so there is a huge debate. Thus, when viewed in terms of propagation and reception of culture Observe for signs of exchanges of the Silk Road. World during the period ranging from AD 1 to AD 8 century century in ancient history has left a trail of lively exchanges. In this process, we will actively exchange that can watch the waves, acceptance, transformation of Buddhism. Buddhism in South Korea is one of the most deeply accepted ideology of the refining bulgukto 佛國土Silla Silla will soon recognize that the bulgukto 佛國土was used to establish the Buddhist values. Mid-old (中古) period of their royal Silla royal family``s descendants by claiming that the Buddha was acceptable to share the worldview of Buddhism originated in India. There is a royal As such, could be successful in the work of sanctification itself Silla Buddhism while accommodating the previous step,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authority, centralized identity enemy, can also be seen that due to economic footing has been accomplished. Through this process, Silla Buddhism came via the Silk Road in ancient societies can be seen as a celebration of the Korea Culture and Well built.

      • KCI등재

        삼국시대 불상 광배 문양과 일본 비조시대(飛鳥時代) 불상 광배 문양의 관계성 고찰

        고승희 ( Koh Seung-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7 강좌미술사 Vol.48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삼국시대와 일본 아스카시대 불상의 광배 문양을 통해서 삼국시대의 불교문화 양식이 일본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는지에 대해 파악해 보고자하였다. 삼국 가운데 특히 백제의 불교문화는 577 년 건립한 국가적 대가람 왕흥사(王興寺) 목탑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일본 고대문화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최초의 사원인 아스카데라(飛鳥寺) 건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불교문화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졌던 것으로 주목되고 있다. 현재 법륭사에는 7 세기 조성의 금동불상과 목불상들이 전래되어 오고 있는데, 이 불상들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특히 백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성립되었다는 것은 이미 많은 국내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따라서 아스카시대(飛鳥時代) 불교미술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법륭사의 불교미술을 살펴보는 것은 역으로 우리나라 삼국시대 불교미술 연구에 반드시 필요한 과제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이런 중요성을 감안해서 이 글에서는 삼국시대 가운데 백제의 불상 광배(光背) 문양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일본 법륭사 금당에 봉안된 금동석가삼존불좌상의 광배 문양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법륭사 금당 금동석가삼존불좌상의 광배 문양을 통해 일본서기의 기록대로 백제 불상조각 양식이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또한 광배 뒷면의 명문을 통하여 이 상은 백제 출신인 도리불사(止利佛師)에 의해 조성되었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중국과 우리나라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주형거신광과 일광삼존불 형식을 통해 법륭사 석가삼존불상과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광배에 시문된 연화문, 당초문, 화염문 등의 경우 백제시대 문양과 친연성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록 비교 대상이 법륭사 금당 봉안의 금동석가삼존불상으로 제한적이기는 하나 이렇듯 몇 가지 사실을 통해 법륭사가 창건된 시기의 불교미술과 우리나라 백제시대 6 세기 후반기-7 세기 초기 양식과 거의 흡사하다는 점을 밝혀보았으며, 삼국시대의 불상 전파 관계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Buddhist culture styl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on Japan through the Halo patterns of Buddhist statu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and the Asuka period in Japan. Among the three kingdoms, Baekje`s Buddhist culture, as seen in the wooden pagoda site of Wangheungsa (王興寺), a great national Buddhist temple built in 577,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Japan`s ancient culture,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constructing the first temple, the Asuka temple. And it has been noted that cultural exchanges of Buddhism were actively conducted between Baekje and Japan. At present, gilt bronze Buddhist statues and wooden Buddhist statues created in the 7th century have been brought to Horyuji temple, and the fact that these Buddhist statues were established in close relation with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especially Baekje, has already been revealed through the work of many domestic scholars. Therefore, to examine the Buddhist art of Horyuji temple, which could be the representative of Asuka period Buddhist art, will reversely be a necessary task for studying Buddhist ar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Taking this importance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Halo pattern of the Baekje Buddhist statu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a whole, and examine the Halo pattern of the seated gilt bronze Sakyamuni triad enclosed in Geumdang of Horyuji temple in Japa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alo pattern of the seated gilt bronze Sakyamuni triad of Geumdang in Horyuji temple proved that the sculptural form of Buddhist statues in Baekje had an absolute effect as recorded in the Japanese NihonShoki, and through the inscriptions on the back of Halo,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is statue was constructed by Doribulsa (止利佛師) from Baekje. Through vessel shape halos of the Northern Wei Dynasty and Kokuryeo, Baekje and Shilla of our country and single Mandola Buddhist Triad for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ith Horyuji temple Sakyamuni triad, and in the case of lotus flower pattern, Arabesque pattern, and flame pattern, etc., which were in Halo, we could see that there was familiarity with patterns in the Baekje period. Although the comparison targe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gilt bronze Sakyamuni triad enshrined in Geumdang of Horyuji temple, through some of these facts, it is found that there is a close similarity between the style of Buddhist art at the time when Horyuji temple was founded and the style of Buddhist art of Baekje from the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and it is also confirmed the Buddhist statue propagatio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which this study may leave its significance.

      • KCI등재

        한국 고대 불교조각의 허물어진 "경계" : 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

        임영애 ( Young Ae L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국보 제 78 호 반가사유상은 제 83 호 반가사유상과 함께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이 가운데 제 83 호 반가사유상은 신라에서 제작된 것으로 대체로 의견이 모아진 반면, 제 78 호반가사유상의 제작국에 관해서는 여전히 연구자마다 견해를 달리한다. 물론 이 글의 목적이 78 호반가사유상이 삼국 가운데 어느 나라에서 만들어졌는지 밝히는 것은 아니었다. 다만 논의의 전개를 위해 78 호상이 중국 동위 후기~북제 전기 반가사유상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6 세기 후반 무렵으로 추정하고, 이 시기 78 호상의 제작이 가능한 나라는 신라 진흥왕대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이러한 추정은 고구려, 백제, 신라 불교조각의 양식적 특징을 고려한 것이라기보다는 당시의 사회, 정치, 종교의 맥락에서 바라본 것이다. 미술사 연구에서 양식 분석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적어도 삼국시대 불교조각에서는 각 나라가 얼마나 서로 다른 양식적 특징을 지녔는지 파악하기는 어렵다. 현재 매우 한정된 자료만 남아있는 삼국 불교조각 만으로는 그 답을 찾아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6 세기 후반 백제와 신라가 중국 남조, 북조와 고르게 교류를 했던 것도, 또 삼국 간의 교류가 빈번했던 것도 삼국시대 불교조각의 ‘경계’를 허무는 일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 이 글은 국보 제 78 호 반가사유상을 통해 삼국시대 불교조각이 과연 우리가 생각했던 것만큼 각 나라의 특징이 확연히 드러나는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려한 것이다. 78 호 반가사유상의 국적 문제에 관해 논의가 분분한 것은 어쩌면 ‘삼국시대 불상이 각 나라의 특징을 구분하여 생각하기 어려울 만큼 서로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은 아닐까? 실재로 같은 시기 고구려, 백제, 신라의 불상을 함께 두고 보면 서로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국의 불상이 서로 다르다고 파악했던 것은 지금까지 남아있는 불교조각 가운데 ‘지금 현재’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파악하려 했기 때문이며, 이런 현실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 불상의 특징을 개념화하고, 남아있는 불교조각의 제작국을 파악하려고 애쓰는 일은 혹시 또 다른 왜곡을 만들어내는 것인지도 모른다. Opinions are various among the scholars about the country where National Treasure No. 78 Pensive Bodhisattva, a monumental work from the age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was created. Of course, it is no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which of the three kingdoms was the country where National Treasure No. 78 Pensive Bodhisattva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statue and Chinese half-seated Buddha statues in meditation crea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Eastern Wei Dynasty to the early Northern Qi Dynasty in China, however, it is highly likely that this statue might be created in Silla in around the late 6th century under the reign of King Jinheung. This presumption was derived more from the social, political, and religious situation of those days rather than from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Buddhist sculptures. Style analysi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research of art history, but at least for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age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it is difficult to tell differences in style among them. It is because it is hardly possible to find answers based on the currently available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three kingdoms, which are very limited. What is more, the equally active exchange of Baekje and Silla with the Chines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 frequent trades among the three kingdom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removal of ‘boundary’ among the Buddhist sculptures of the three kingdoms. This study attempted to rethink whether Buddhist sculptures created during the age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have clearly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s for each country. Previous studies might have tri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culptures using only those that were considered valuable ‘at present.’ In this situatio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tatues from Goguryeo, Baekje and Silla and the efforts to identify the origin of Buddhist sculptures are likely to engender another distortion.

      • KCI등재

        황수영 박사의 생애와 학문세계

        문명대 ( Myeogn Dae Mo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현대 한국미술사연구의 대가인 황수영박사의 생애와 학문세계를 체계적으로 논의한 글이다. 첫째 황수영 박사의 생애는 평생을 학문위주로 살았기 때문에 학문적 생애만 논의했다. 그 결과 4 단계로 나눌 수 있었는데, 수학기, 성장기, 완성기, 마무리기 등이다. 수학기는 29 년간이고, 성장기는 23년간이며 완성기는 15 년간이고, 마무리기는 25 년간이어서 학문을 왕성하게 연구한 시기는 약 38년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근 40 여 년간 학문 활동에 전념했거나 학문연구를 지원하는 활동에 열성적이었던 관계로 많은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둘째 업적은 첫째 고유섭 선생의 유고정리와 간행하는 업적, 둘째 고고미술동인회의 창립과 고고미술지를 간행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점, 셋째 불교미술학과와 대학원 미술사학과 등 문화재 내지미술사 관계 2 개 학과를 설립하는 업적, 넷째 불교미술 조사와 불교미술사(불상, 불탑, 불구, 금석문, 사경)연구를 개척하고 정립한 업적, 다섯째 석굴암의 중수와 국내외 석굴사원의 조사연구에 공헌한 업적 등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d systematically the life and academic world of Dr. Hwang Soo-yeong, themaster of contemporary studies of Korean art history. First, because Dr. Hwang Soo-yeong’s entire life was committed to academic activities, this study was confined to his academic lif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s lif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periods of learning, growth, maturity, and completion. The period of learning is 29 years, the period of growth 23 years, the period of mature 19 years, and the period of completion 25 years. Therefore, it is for about 38 years that he was active in academic research. Naturally as he was committed to academic activities or supported academic researches for nearly 40 years, he made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different areas. Second, his major achievements are grouped largely into five areas: firstly, the organization and publication of Dr. Ko Yoo-seop’s posthumous manuscripts; secondly,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foundation of the Archaeology and Arts Club and the publishing of the Journal of Archaeology and Arts; thirdly, launching two academic departments related to culturalheritages and art history including the Department and Graduate School of Buddhist Arts and the Department of Art History; fourthly, pioneering and establishing research on Buddhist arts and Buddhist art history (Buddhist statues, stupas, Buddhist articles, epigraphy, and Sutra duplication); and fifthly, contributions to the restor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and the surveys of stone cave templ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KCI등재

        ‘업경대(業鏡臺)’ 명문분석과 도상학적 연구

        김창원 ( Kim Chang W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21 강좌미술사 Vol.56 No.-

        고대로부터 거울은 주술의 신통력을 보여주는 상징물로 제작되어 왔다. 불교의식에 있어서도 경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의식구로 거울이 제작되었으며, 불교미술의 여러 방면에서 표현되어 왔다. 전통사찰의 건축물이나 불단의 장엄물로 진설되기도 하고, 종교의례의 의식구로, 혹은 거울 그 자체가 경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소위 ‘업경대’로 명명되는 사찰유물의 도상연구와 명분분석을 통해 유물의 적합한 명칭과 용도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조선후기에 제작되어 학계에 보고된 60여점의 유물을 대상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고, 특히 명문이 있는 6점의 유물을 집중 분석하였다. 업경대(業鏡臺), 불영패(佛影牌), 명경대(明鏡臺), 경단(鏡壇)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불교 의식/의례와의 관련 연구없이 각각의 편의에 따라 명칭이 결정되어 전해지고 있다. 사찰의 모든 물품은 불교의식/의례와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제작되어 발전해왔다. ‘업경대’ 역시 이러한 관계에서 독립적으로 제작될 수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동 유물의 용도를 의식과의 관계 속에서 규명하고, 그 기능과 역할에 따라 유물의 명칭이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불교에서 거울과 관련된 논의에는 두 개의 각각 다른 신앙형태가 있다. 대표적으로 지장명부시왕신앙이다. 현재 ‘업경대’로 알려진 유물의 명칭은 이 명부신앙의 흐름 속에서 고착되어온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명부신앙의 여러 의식관련 경전과 절차를 살펴보아도, 업경은 어떤 역할과 기능을 담보해내지 못하고 있다. 단지 염라대왕의 지물이라는 회화적 모티프와 문학적 수사에 나타날 뿐이다. 또 다른 흐름은 밀교의 대경작법의 전통 속에서, 특히 조선 중기 준제신앙의 확산에 따라 경단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다. 본 연구는 이 두 번째 가능성에 중점을 두어 유물의 명문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토대로 존상과 불교의식과의 관계 및 그 명칭의 적합성 문제를 중점으로 고찰하고, 그 기능과 형태에 대한 도상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대상유물과 불교의식과의 연관성에 근거하여 여러 의미있는 해석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조선후기에는 억불이라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불교의 의식/의례 체계가 혼란되어 기존 의식절차가 유실되는 한편, 명부신앙의 영향력에 크지는데, 이 과정에서 경단은 업경대로 인식되는 과정이 일어난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현전하는 대부분의 ‘업경대’는 조선 중기 관음신앙의 확산과 어려워진 사회변화 속에서, 불보살의 가피력으로 제난구제를 기원함과 동시에, 수행자의 염송과 관행이라는 자력수행을 통해 성불코자하는 불교수행의식이 기존의 불교의식과 융합되는 과정에서 예경의 대상인 경단(鏡壇)으로 조상되어, 본전의 불상 앞에 진설되었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동 유물의 명칭과 그 기능에 대해,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From the ancient times, mirrors have been produced as symbolic icons which carry power of incantation. In the Buddhist sutras, passages related with mirrors are often found and in the history of the Buddhist arts, a lot of mirror images are spreaded out in various area of works. This paper illuminates the identification and terminology of mirror stands which manufactu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number of over sixty cases, full bodies and/or parts. These works are recognised as so-called ‘karma mirror stand’, ‘buddhist spirit stand’, ‘bright mirror stand’ or ‘mirror alter’. This paper tries to focus on the naming and definition of those stands in related iconographic methodology,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buddhist rites. In relation to mirrors, Korean buddhist tradition has two main streams; one is karma mirror in the belief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and the other is mirror alter in the faith of Cundi Bodhisattva. In the research of the former usage of mirror, even though it is common understanding of the stands, the connection between mirrors and the related buddhist ritual. On the other hand, in the tradition of the belief of Cundi Bodhisattva, mirror prove itself as a key instrument in the process of religious services and disciplin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remained mirror stands p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uld be identified as ‘mirror alter’ instead of ‘karma mirror stand’ on the basis of the concrete investigation on the connection of the mirrors and the buddhist rituals, and the analyses of inscriptions also verifies the hypothesis.

      • KCI등재

        불교문화재의 對北교류에 관한 고찰- 불교조각과 석조문화재를 중심으로-

        최성은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3 강좌미술사 Vol.41 No.-

        This paper investigates on how South Korea has been communicating with North Korea on the basis of cultural properties, and suggests several ways to forge a relationship with the North to further mutual interests regarding cultural properties of Buddhist art. Before getting into the plan in detail, Buddhist art properties of North Korea are introduced by collections, locations (Buddhist temples), and genres, which show lots of Goryeo Buddhist works - sculptures, pagodas, pillars, and stele - are extant in the North. One of the ways to cooperate with the North through Buddhist works could be academic symposia on Goguryeo and Goryeo Buddhist sculpture, because both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interested in these themes and have good pieces of work. Joint studies and long-term investigations around Gaeseung, Mt. Geumgang, Pyongyang and Balhae historic areas could be another ways to approach each other with common interest. Also, short-term joint investigations at Hyeonhwasa temple, Gwaneumsa temple and Yeongtongsa temple would be good projects to work on together. Joint research on the clay mold unearthed from Toseongri at Pyongyang as well as on the Balhae bronze Bodhisattva image excavated at Omaeri at Sinpo are quite interesting subjects. Exhibitions could be held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to show the results of joint research and investigations. Large-scale exhibitions which demonstrate many works as well as small-scale exchange exhibitions which show the new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research, would draw national attention both in South and North Korea that can not only extend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but restore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South and North Korea. 대북문화교류에는 여러 방향이 제시될 수 있겠으나 불교문화재와 관련된 여러 사업과 연구를 매개로 한 문화교류가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북한의 여러 박물관과 사찰, 폐사지에는 다수의 불교미술품이 전해오고 있고, 특히 불상과 석조문화재는 그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고구려와 고려의 도읍이었던 평양과 개성은 물론, 발해의 지배지역이었던 함경도 일대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한국의 학계에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으나 아직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다. 반면, 북한에서 그다지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은 불교조각과 석탑, 석당, 석등의 불교문화재들에 관해서 한국에서는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북한의 불교문화재 자료와 한국의 연구성과 및 방법론이 남북 공동 학술대회와 공동 조사, 연구 등을 통해 상호 교류될 수 있다면 그 성과는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공동조사와 연구의 결과는 남북에서 개최되는 교환전시를 통해서 그 성과를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불교문화재의 공동조사와 연구, 학술 심포지움, 교환전시 등을 통해 학술자료가 교환되고 인적 교류가 확대된다면 남북의 불교문화재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어 학술적인 면에서 의의가 클 뿐 아니라 남북의 공통 관심을 이끌어내고 한반도 민족문화의 동질성을 되찾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병령사석굴과 골굴석굴에 대한 고찰

        손영문 ( Son Young Mo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21 강좌미술사 Vol.56 No.-

        병령사 석굴은 하서주랑에 개착된 석굴로, 동서문화의 교착점에 위치한다. 이곳에는 일찍부터 불교가 교류하며 불교교학 뿐만 아니라 불교미술사상 의미 있는 작품들이 조성되었다. 병령사 석굴에서 가장 중요한 석굴은 제169굴로, 이 석굴은 개착 당시의 신앙을 알려주는 불상과 수행자의 흔적이 벽화로 남아 있어 석굴연구에 있어서 절대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병령사 석굴은 영이(靈異)롭게 생긴 암벽에 형성된 천연 동굴을 이용하여 수행자들이 드나들며 예배존상을 조성하고 관불수선하므로서 그 시작을 알렸다. 실크로드의 동쪽 끝에 있는 골굴 석굴은 초기의 신앙모습을 알려주는 자료는 남아 있지 않지만, 마애대불의 존재나 그 주변으로 형성된 크고 작은 천연의 석굴은 병령사 초기 석굴과 유사점이 많다. 법흥왕대 불교가 공인된 이래 수도 경주의 곳곳에는 가람이 건립되고 많은 수행자들와 이를 따르는 신도들이 생겨났다. 수행자들은 불교의 홍포를 위해 대중과 호흡하면서도 불교의 본연의 가르침인 깨달음을 향한 수행에도 소홀하지 않았다. 수행 장소로는 반듯하게 지어진 가람과 더불어 불교경전에서 설하고 있는 숲이나 나무아래, 수려한 바위굴 등도 선호되었다. 이렇듯 병령사 석굴이나 골굴 석굴은 천연의 수행 장소였다. 이곳은 대규모 인원이 들어 가 불상을 예불하거나 설법을 할 수 있는 공간은 아니지만, 일념으로 구도행각을 벌이는 수행자에게는 최적의 장소였다. 초기 병령사 석굴의 기록을 보아도 주로 수행을 위한 몇 몇의 이승(異僧)들이 드나들며, 불상을 만들고 일념으로 관하며 깨달음의 경지로 나아가고자 했다. 병령사 석굴이 그러했듯이 골굴 석굴도 이와 같은 신앙 형태를 띠었을 것이다. 즉 불상의 흔적이 또렷이 남아 있는 단석산 마애불상군이나 경주 남산의 삼화령 석굴, 불곡 석굴, 탑곡 마애조상군 등 삼국시대 석굴사원과 마찬가지로 골굴 석굴의 수행방식도 불상을 일념으로 관하고 칭념하며 궁극의 목적인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갔을 것이다. 한편 병령사 석굴의 상징인 미륵대불은 당대에 조성되고, 골굴 석굴의 상징인 마애대불도 통일신라 9세기대에 조성된다. 수많은 석굴을 대표하여 큰 규모의 상징을 조성하는 사례는 당대에 들어서서야 본격화 된다. 상징불로 선택된 도상은 대개가 의좌세를 취한 미륵불이 많으며, 그것은 정치권력의 정치적인 야망과 결부되는 경우가 많았다. 미륵은 석가여래 이어 下生하는 부처이지만, 그가 하생할 시점은 곧 불교의 이상적인 군주 전륜성왕이 치세하는 시절이어야 하므로 정치화하기 매우 좋은 신앙이었다. 골굴 석굴의 마애대불은 도상과 신앙적으로 석가여래로 판단되고 있고, 조성시기 9세기 후반으로 보고 있다. 신라 9세기 대는 왕족들 간의 왕권쟁탈로 인해 정치·사회적으로 대단히 불안한 시기였다. 사회적으로 불안한 시기에는 시대를 막론하고 미래불 미륵신앙이 급부상하고 각광을 받았다. 아마도 마애대불이 조성되던 시대를 통찰하면, 이 마애대불을 조성한 조성자는 새로운 세상을 꿈꾸며,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뤘던 문무대왕릉이 조망되는 곳에 새로운 세상과 시대를 갈망하며 미륵대불을 조성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물론 그 원류와 조성배경은 둔황이나 병령사, 천제산 등 당대 조성된 대불신앙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The Byeongnyeongsa(炳靈寺) cave, which is a stone cave that was excavated in the Hexi(河西) corridor,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East and West cultures. As Buddhism was practiced in the place from early on, not only study of Buddhist doctrines were established, but also meaningful Buddhist art were created. The most important cave in the Byeongnyeongsa cave is the 169th cave, and this cave provides absolute data for the study of the stone cave, as the traces of Buddhist statues and Buddhist monks who convey the faith at the time of the founding remain as murals. Disciples of Byeongnyeongsa cave used strangely shaped natural rock surface to create alter with seating Buddhist. They began and announced their spiritual training by seating down in front of statue of Buddha and closing their eyes. The Golgul(骨窟) cave at the eastern end of the Silk Road does not contain any information indicating the form of faith, but the existence of the big engraved Buddha on the rock surface and the large and small natural caves formed around it are similar to those in the early days of Byeongnyeongsa cave. Since Buddhism was recognized during King Beopheung(法興王) of Silla era, Buddhist temples were built in various places in Gyeongju, the capital city of Silla, and many people became Buddhist monks or believers. The disciples of Buddhism breathe with the public to promote the Buddhism, but have not neglected the original teaching of Buddhism and their own training for enlightenment. As the Buddhist scriptures say, for the place for meditation, well-built Buddhist temples, forests, under trees, and beautiful rock caves were favored. As such, the Byeongnyeongsa and Golgul caves were natural places of practicing Buddhism. This is not a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enter and worship or preach the Buddha's will, but it is best for disciples who practice Gudohaenggak(traveling the whole country to practice Buddhist doctrine, 求道行脚) with ilnyeom(one thought, 一念). Looking at the early records of the Byeongryeongsa cave, several foreign Buddhist monks came to cave making Buddha statues, thinking deeply with conviction, in order to advance to the level of enlightenment. Like the Byeongnyeongsa cave, the Golgul cave would have taken the same form of faith. In other words, just like the cave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such as Danseoksan(斷石山) Buddha engravings, Samhwaryeong(三花嶺) cave, Bulgok(佛谷) cave, and Tapgok(塔谷) Buddha Group in Namsan, Gyeongju, the disciples thought deeply about the statue of Buddha and trained themselves to move on to the ultimate goal of enlightenment. On the other hand, big Maitreya Buddha, the symbol of the Byeongnyeongsa cave, was built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the image of Buddha engraved on rock, the symbol of the Golgul cave, was engraved in the 9th century of the Unified Silla. The case of creating a large-scale symbol representing numerous caves did not happen until the Tang dynasty of China. Most of the statues chosen as symbolic Buddha have many Maitreya Buddha in the form of sitting on a chair, and it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ambitions and power. Maitreya Buddha is a Buddha who descends after Sakyamuni Buddha who descends into the world to rebirth, but when the time when he will descend must be the period of the reign of Chakravarti, the ideal monarch of Buddhism, which was a very good faith to politicize. The big Buddha engravings in the Golgul cave is religiously considered to be the Buddha of Sakyamuni, and is considered to be in the late 9th century when it was engraved. The 9th century of Silla was a period of great political and social unrest due to the struggle for kingship among royal families. In times of social unrest, the faith of the future Buddha, Maitreya, emerged in the limelight regardless of the times. Perhaps looking deeper into the time when the big Buddha was engraved, the creator of the Buddha dreamt of a new world, longing for a peaceful new era in the place such as the time of great achievement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unified by King Munmu(文武王) of Silla. As the engraved Buddha was created overlooking of the tomb of King Munmu of Silla, the possibility of engraving of big Maitreya Buddha was cannot be excluded. Of course,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its creation can be found sorely in the beliefs of the big Buddha engravings that were often established during the Tang Dynasty, such as Dunhuang, Byeongnyeongsa cave, and Mt. Cheonj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