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예술을 통한 ‘심미적 유아교사’ 되기

        임부,류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2 造形敎育 Vol.0 No.42

        Arts is gaining more attention now because it is regarded as being related to the high-ordered human abilities such as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the same vein, an alternative mode of thought such as the aesthetic mode of knowing, or the aesthetic reasoning draws public attention. As compared to the logico-mathematical mode of thought, the aesthetic mode of knowing is a way of knowing that combines both the sensibility and reaso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become aesthetic through experiencing a visual arts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process of becoming aesthetic teachers was conceptualized, in this study, as the process of becoming more sensitive to things in the world and understanding the things in aesthetic ways. Fift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rectors of three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se teachers were asked to feel ordinary things in the world using their body(5 senses), represent the things in their mind, and express them by taking pictures. Also these teachers had plentiful chances to experience, in person, visual arts including painting, pictures, and movies. From this study, many participants obtaine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beauty and the aesthetic values, and expanded the boundary of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things in the world, and the keen aspiration toward the aesthetic val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se resul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s positive changes since the teachers' orientation toward beauty and the aesthetic values was expanded toward their deep concerns about how to realize and manifest the aesthetic value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Finally, this study implies that more studies are need to show how teachers' aesthetic mode of knowing can be manifested in the classrooms.

      • KCI등재

        교사의 미적 안목 지원을 위한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 Maxine Greene의 미학교육이론을 중심으로

        임부,유혜령,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교육과정의 창조적 해석자로서 예술적 교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지만 정작 이를 총체적으로 지원하는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새로운 접근은 미비한 편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실행주체로서 교사의 미적 안목과 이를 지원하는 참여중심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절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사의 미학적 역량을 강조하는 Maxine Greene의 미학교육의 이론에 기초하여 좋은 예술과의 만남, 비평, 미적체험을 강조하는 활동의 방향성을 추출하고 이를 다양한 예술적 요소가 강조되는 장르별 활동으로 배치하여 빛과 색, 이미지와 소리, 움직임과 춤의 활동 중심으로 교육활동을 개발되었다. 개발된 활동들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유아교사들에게 약 6개월 동안 점진적으로 적용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좋은 예술과의 만남을 통해 아름다움을 느끼고 지각하는 개인의 시각에서 상당한 변화를 느끼고 있었고 특히 교실이 아닌 일상생할 속에서 민감해진 감성과 풍부한 느낌, 사유하는 습관 등의 변화를 보고하였다. 무엇보다 이러한 확장된 미의식이 교실에서 교육과정을 통한 해석에서 미적 의미와 예술적 풍요로움을 융합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예술과 미학이 강조되고 교사 스스로 미적체험을 통해 교육과정의 창조자와 예술가로서의 교사를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실에서 교수자료의 의미와 활용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임부,최계령,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6

        Instructional materials of early childhood classrooms are used in complex and multi-leveled ways, rather than being used as complimentary media to achieve instructional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values and meaning of instructional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by examining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ve, use, and extend the meaning of instructional materials. In this study, 194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questionnaires, while 28 skillful teachers who were recruited through a purposive sampling method were interviewed. Mos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is study believed that instructional materials play important roles just as 'tex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rooms. However, teachers reported that there are limits in their using instructional materials in an enthusiastic way because it usually takes too much time, effort, and resources to make or/and plan instructional materials for an activity. From the various examples about vivid experiences concerning planning and using instructional materials of the skilled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orizon of our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of instructional materials could be broadened. Instructional materials often affect instructional planning itself, decide the quality of young children'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lead successful instructional activities. Based on such important values of instructional materials, we sugges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and aesthetic tastes about choosing 'good' instructional materials should be extended and developed. 유아교실에서 교수자료는 교수 행위를 지원하는 보조적 매개물의 의미를 넘어서 더 복잡하고 다차원적 차원에서 활용된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유아교사들이 교수자료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고, 확장하고 또 의미화 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실에서 교수자료의 존재와 가치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일상적으로 교수자료를 다루는 194명의 일반 유아교사에게는 설문을, 그리고 보다 폭넓은 차원에서 교수자료에 대한 고민을 지속해 온 보다 숙련된 유아교사 28명을 의도적 표집방법을 통하여 선출하고 심층면담과 구술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실에서 교수자료를 초중등 교실의 ‘교과서’처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자료의 제작이나 준비에 지나친 힘과 시간, 물적 자원이 필요한 이유로 적극적이고 풍부한 활용에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도적 표집집단에 의한 숙련된 유아교사들이 지각한 교수자료란 단순히 수업의 보조물이 아니라 수업의 역설계를 만들어 버리기도 하고, 또 유아의 학습의 질과 교수행위의 성패를 좌우하는 결정적 텍스트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의미 있는 교수자료를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유아교사의 미적 안목과 자료 인식에 대한 지평적 확장이 필요함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전래 동화에 나타난 원형적 상상력과 유아교육의 미학

        임부,유혜령,류미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전래 동화가 담고 있는 무의식의 세계를 분석심리학적 시각에서 조명함으로써, 인류 보편의 자기완성적 신화와 무의식의 원형적 상징들을 드러내고 그 유아교육적 의의를 제시한다. 신화와 민담을 포함하는 전래 동화의 원형적 상징들은 액면적 텍스트 차원을 넘어서 인간의 삶 및 존재의 본질적 과제와 세계에 대한 근원적인 관계를 담고 있으며, 의식의 발달사인인격완성의 개성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인류 보편의 열망인 자기실현을 향한 근원에의탐구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콩쥐팥쥐>와 <신데렐라>의 분석을 통해 서사 구조와 심층심리적 의미를 예시적으로 드러내었다. 유아교육의 의의로, 전래 동화에 담긴 상징의중층적 의미 층위와 원형적 상상력의 미적 성격은 창조적 힘과 생명력을 제공하는 이미지중심교육의 원천이 됨을 논의하였다. 전래 동화가 지닌 교육적 힘은 바로 전래 동화의 내용이 유아에게 세계경이와 자기형성의 길을 암시하는 잠재진리로서 강력하고도 풍부한 신비적 상상력을제공한다는 데 있다. 교사와 유아가 함께하는 다양한 울림과 여운의 연행적 체험들로 전래 동화 활동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explore aesthetic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yilluminating the imaginative powers of the unconscious archetypes in fairy tales. Archetypalimagination in Marchen, myths, and folktales represent “individuation process of human psyche”,which is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human consciousness, as Carl G. Jung discussed in his analyticpsychology. This includes an inquiry into human origin, that is, the universal aspiration toward theultimate goal of self-realization. In this study, theories of archetypes and unconsciousness imagination are explained in relation tothe motifs and narrative structures in Marchen. The individuation process of human beings isconcretely exemplifi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Korean fairy tale “Kongjipatji” and the European“Cinderella”. These fairy tale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multiple layers of meaning, thesignificance of archetypal symbols, and the creative ambiguity which produce the powerful andemotional visions of unconscious origins. Some practical approaches to classroom teaching aresuggested such as incorporating performative activities. Examples include role-play, movement,painting, and chanting activities that show collective understanding and emotional ties to thearchetypes which can, in turn, serve as poetic metaphors amongst the teachers and children.

      • KCI등재

        분홍반 유아들의 일상적 "시" 짓기 활동에 관한 미학적 탐구

        임부 ( Boo Yeon Lim ),류미향 ( Mi Hyang Ryu ),이윤좌 ( Yun Jwa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유아기의 시 짓기 활동은 언어 기술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기 보다는 문학적 특성을 통해 시인의 감수성을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정해진 시간에 단조로운 읽기와 감상을 넘어 일상성과 심미성이 강조되는 새로운 교수법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시 짓기 활동을 하루일과의 삶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예술성을 강조하며 일상적으로 시 짓기 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좋은 교수사례를 발굴하여 유아기 일상적인 시 짓기 활동이 일어나는 교수환경과 시 짓기 활동에서 드러나는 심미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홍반 만5세 유아 36명과 담임교사를 선정하여 비 참여 관찰을 하였고, 비디오 촬영과 심층인터뷰, 연구자 저널과 유아들의 창작시와 사진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의 깊은 반복적 읽기를 통해 주제어를 도출해 내는 질적 연구 분석법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분홍반 교실은 일상적인 시상의 유발과 지속, 미적 감흥을 촉발시킬 수 있는 아름다운 대상물로 가득 찬 심미적 교실환경을 가지고 있었고 그 속에서 교사와 유아는 일상적으로 시를 즐기고 있었다. 또한 일상적 시 짓기 활동의 미학적 특성으로는 아름다운 노랫말의 음미, 내러티브에 대한 미적 감동, 심미적 이미지의 유희 등으로부터 연결되는 시 짓기 활동과 같이 일상적으로 전개되는 다양한 교육활동의 예기치 않은 사태 속에서도 특별한 미적 대상과의 조우를 통해 시를 즐기고 창작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기의 시 짓기는 예술성과 심미성이 더욱 강조되는 다채로운 교수방법과 교수환경을 통해 보다 풍요로운 일상적 시 짓기를 즐기는 교사의 태도와 안목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 child writing a poem must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poet`s aesthetic sensitivity which soars beyond linguistic skill acquisition. To develop such aesthetic sensibilities, new teaching methods which break the conventional rhythms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re needed. This study examines the kind of environment and methods which meet children`s aesthetic needs. Thirty-six,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 at H kindergarten in G city were observed for 16 weeks, interviews with the teacher were conducted and pictures of classroom settings and children`s art works were collected. A summary of their distinctive classroom culture includes our first impression of the classroom`s visual settings as beautiful and relaxed, filled with tiny natural objects, pastel-colored clothes, and collections of poetry and other art works, which evoked the children`s poetic inspiration and the children had plentiful opportunities to enjoy poems through daily routines such as ``poems for opening mornings`` and birthday celebrations. Poetry activities were integrated with various other related art activities such as singing songs, creating visual artworks, appreciating picture images, and telling invented stories in very natural ways within the daily routines. Most importantly, ample time was afforded the children to think, feel and imagine. Interviews with the teacher lead us to conclude teachers of writing poetry need strong positive attitudes toward poetry. Studies on how to encourage and support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esthetic sensibilities toward poetry in their everyday lives are recommended.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의미와 실제 연구

        임부 ( Boo Yeun Lim ),류미향 ( Mi Hyang Ryu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1

        근대교육에서 강조되어 왔던 논리·과학적인 지식을 넘어서 내러티브적 지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내러티브를 교육과정에 접목하려는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다. 유아기는 내러티브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주변세계를 의미 있는 삶의 일부로 서사화하는 이야기적 능력`이 가장 풍부한 시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이 필요한 의미를 탐색하고, 유아교실에 적합한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실제 현장에 시범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과 실천과의 괴리를 줄이고 실제 현장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대한 가능성과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 주제에 대한 개념적 지식을 이야기적 지식으로 전환하여 들려줌으로써 유아들은 즐거운 환경 속에서 자신의 경험과 생각에 대해서 자유로이 이야기를 주고받는 가운데 지식이 확장되고 학습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는 직접적 교수법의 부담감에서 벗어나 유아들의 활발한 참여와 깊은 몰입의 모습을 통해 유아교실에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의미와 가능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개발·적용하는 데 있어서 유의할 사항과 전략을 소개하였다. While many scholars are increasingly giving much attention toward the `narrative modes of thought` rather than the `logico-scientific modes of thought` that was emphasized in the modern education, some of them are trying to incorporate narratives with curriculum. Early childhood is the period that encompasses the abilities to meaningfully narrate the surrounding world, which is valued in the narrativ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narrative curriculu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evelop narrativ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to imply the developed curriculum in a classroom to find out any problems as well as possibilities of the narrative curriculum. Stories(narratives) about topics chosen from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created by transforming the properties of conceptual knowledge to the one of narrative knowledge. When these stories were told to 5-year old children in a kindergarten classroom, children`s reactions were appealing: they freely communicated each other about their ideas and experiences, extended their understandings through their discussion, and created a learning community. The teacher had positive evaluation about the narrative curriculum in terms of the possibilities and meanings of the curriculum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s, based on her observation of the children`s active involvement and their `flow` experiences.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tips and practical strategies to develop and imply the narrativ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 KCI등재

        유아 미술작품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임부(Lim, Boo Yeun),최영명(Choi, Young Moung),류미향(Ryu, Mi Hya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6 No.3

        유아 미술작품은 단순한 일회성 활동의 결과물로서 처리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다차원적 상징과 변형을 암시하는 미적 오브제로서 새로운 교육적 활용의 가능성으로 접근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현재 유아교실에서 수없이 양산되는 미술작품을 관리하고 활용하는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 교사 188명이 설문조사에 참가하였고, 세 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과 미술 활동 시간의 관찰이 이루어졌다.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미술작품의 활용에 대해 비교적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실천에 있어서도 미술작품의 활용을 미적안목과 연결시키는 등 미술작품 활용의 긍정적인 측면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실제 활용에 대해서는 여전히 높은 어려움과 요구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관찰과 면담을 통해서도 대부분 획일적 전시를 하거나, 학습의 증거물로서 포트폴리오를 이용하고, 작품을 집으로 보내는 통상적 방법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미술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이론적 접근, 즉, 현재 유아 미술교육은 교사의 첨삭과 변형을 자제하는 유아중심 표현미술활동이라는 지배적인 접근방법과 유아미술작품이 교사의 적극적 개입과 협력적 관계에서 더욱 의미화 된다는 맥락주의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제로 논의되었다. The pru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using children's artworks. One hundred eighty eight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three from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chosen for teacher interviews and observation of art classes. Teachers tended to have hige attitudes toward using children's artwork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consider aesthetic senses when they use children's artworks. However, according to teachers'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the classrooms, children's artworks were "used" as just displays or collections for their portfolios. Also, the teachers expressed their difficulties in using children's artwork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two, contrasting theoretical approaches in children's art education the predominant. child-centered approach emphasizing children's free expressions in their artworks without teachers' correction and modification, and the less valued, contextual approach highlighting teachers' active involvement and cooperation in children's artworks as a meaningful way in children's art education.

      • KCI등재

        내러티브 중심 이야기나누기시간에서 유아들의 지식형성에 대한 의미 탐구

        임부,유정미,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4

        유아교실에서는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통합하여 발생하는 유아들의 지식형성과정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하고 풍부한 지식을 주요하게 다루는 이야기나누기시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꾸준히 부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풍부한 문학적 상상력을 근간으로 한 내러티브 중심의 이야기나누기방식을 통해 유아들의 지식형성의 특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내러티브 중심의 교수방식이 유아교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대안이 될 수 있을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내러티브 중심 이야기나누기시간에서 보여진 유아들의 모습은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노래하고 즐기는 '놀이'의 모습과 함께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생각을 이야기하고 갈등과 타협 상황을 통해 서로 논쟁하고 토론하며 합리적으로 지식을 구성해 가며 직접 실험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 모습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내러티브를 활용함으로써 이야기나누기시간의 엄숙하고 경직된 분위기는 자유롭고 활기차고 스스로 몰입할 수 있는 분위기로 변화되었다. 내러티브가 유발하는 문학적 상상의 세계는 유아들이 단순히 개념적으로 지식을 암기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넘어 지식을 내면화시키고 스스로 예술로 표상하고자 하는 충동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내러티브 중심 이야기나누기시간이 유아교실의 수업문화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조심스럽게 제안하면서 나아가 현장에서 고민하는 많은 교사들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는 보완적 기능이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Circle tim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large-group activities for teachers because they should teach logical concepts to children at the same time as the children are playing. With this in mi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fold: (1)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narrative-focused circle time and (2)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arrative-focused circle time as an alternative to standard circle tim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In this light, changes occurring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after using narratives during circle time were observed and analyzed. This study found that young children showed not only their 'playing' behaviors by freely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singing songs, and enjoying the circle time but they also exhibited their 'learning' behaviors by actively talking, discussing, solving conflicts, and testing their own hypotheses. In addition, thanks to narratives included in the circle time, the atmosphere of circle time was changed from being serious and strict to being free, dynamic, and lively. The world of imagination brought by narratives did not keep the children within the scope of formal cognition. Beyond such scope, the young children could internalize what they learned and showed their desire for expressing their feelings and learning through ar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carefully suggested narrative-focused circle time be an alternative of the circle time activities to bring positive changes in the culture of early childhood classroom. Also, we discussed narrative-focused circle time as a solu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concerning teaching concepts to young children as they play during circle time.

      • KCI등재

        경력 유아교사의 ‘심미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관한 인식연구

        임부,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aesthetic education as well as their difficulties and demands in practicing aesthetic education in the classroom.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general beliefs and practices (with regard to aesthetic sensibility, aesthetic vocabulary, aesthetic sensibility expressed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practices of aesthetic education, teacher efficacy beliefs about practicing aesthetic education) and their broader beliefs about aesthetic education (with regard to aesthetic man and beautiful world) were examined in this study. Since reasons and emotions are separated and unbalanced in the current education, this study is valuable because we need to put more attentions into the cultural art education and aesthetic education as alternative ways of educating children. In this study, most of the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importance and values of aesthetic sensibility and education. However, they expressed difficulty in practicing aesthetic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their lack of training and knowledge about aesthetic education from their teacher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and the kindergarten curriculum might be the reason for their difficulties. Differences and gaps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concerning aesthetic education were discussed in terms of two possible reasons: (1) a disconnection between art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aesthetic education and; (2) the need of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about aesthetic education for providing more direct experiences and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오늘날 이성과 감성의 불균형적 교육에 대한 대안적 모색으로 문화예술교육과 심미교육에 대한 환기가 필요한 시점에서, 예술 활동을 일상적으로 지도하는 경력 유아교사들이 유아를 위한 ‘심미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어려움을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심미감과 심미적 용어, 교육과정과 연계된 심미감, 교수효능감 등의 교육적 요소와 관련된 심미교육의 일반적 인식과 미적인간과 아름다운 세상 등 보다 확장된 의미를 가지는 심미교육의 포괄적 인식과의 관계성도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 경력유아교사들은 일반적 심미감과 심미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심미교육을 실천하고 활용하는데 있어서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름다운 세상을 향한 포괄적 관점에서 심미교육에 대한 높은 이해에도 불구하고 이를 직접적 실천으로 적용하는 교수방법에 대한 어려움은 유아교사양성이나 연수, 교육과정 등에서 심미교육에 관한 경험과 기회의 부족을 지적하는 목소리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인식과 실천의 거리감이 일관적이었다. 이러한 거리감과 차이와 관련하여 유아교실에서 ‘예술 활동’이 ‘아름다움의 초월적 기의’로 연결되는 심미교육과 풍부한 연결점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유아교사교육에서 심미교육의 구체적 경험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Dewey 의 "교과의 심리화"의 교실에서의 "구현"에 관한 탐구: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류미향 ( Mi Hyang Ryu ),임부 ( Boo Yeun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3

        본 논문은 학교교육과 유아교육의 통섭을 통해 교과교육의 의미를 새롭게 이해해 보고자 하는 것으로, 먼저 교과가 지나치게 `교사의 교과`로 조직화되어 학습자로 하여금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이끌어내지 못하거나 학습자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방법과 기술에 대한 고민이 지나쳐서 교과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부족한 현실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한 대안으로 Dewey의 `교과의 심리화`와 `교과의 점진적인 조직`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시도 하였다. 또한, Dewey의 논의가 단순히 이론적 가설로 여겨지기 쉬운 오늘날 학교교육에서 학습자의 놀이성과 지식구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놀이중심 통합교육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유아교육의 실제를 통해 `교과의 심리화`가 실제 교실에서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가 학습자의 일상적인 삶과 경험에서 머무르지 않고 경험이 통합적이고 연속적으로 확장되어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지식으로 발전해 가기 위해서는 교과의 점진적이 조직이 불가피하며 동시에 교과의 심리를 떠나지 않는 지식구성을 위하여 학습자의 삶과 경험에서 유발되는 놀이성과 유희성이 교과교육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oday our concerns about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Korea are increasing with the current system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our overly excitement about private education. In the current study,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education and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through our discussion about the subject matter. It is interesting and meaningful to study Dewey`s discussion about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and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as an alternative for the current problem that the subject matters become too organized to bring out students` meaningful education experiences. We tried to explore a possibility of practical manifestation of Dewey`s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where children`s playfulness and construction of knowledge are materialized at the same time through play-based,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urrent experiences toward more logical and systematic knowledge of subject matters,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practical meaning of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 matter.` At the end, this study suggested further research to examine the practical possibilities of integrating students and subject mat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