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Classroom Quality in State-Funded Pre-K Programs: Associations between Classroom Quality and Program-, Classroom-, and Teacher-level Variables

        류미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5 No.1

        With the data from the National Center for Early Development and Learning Multi-State Pre-Kindergarten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classroom, and teachers and classroom quality was examined in this study. Classroom quality was measured by the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CLASS) and the Emerging Academics Snapshot (Snapshot). The sample consisted of 227 pre-k teachers in state funded programs from six states in the US. The percentage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n the classroom and the number of children with limited English proficiency (LEP)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classroom process quality.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need for more in-depth thinking abou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structural quality and process quality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The Snapshot was eliminated from the analyses because of low means and limited variances. In contrast to some literature, teacher qualification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in this study. This was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need for consistent definitions and measures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teacher training.

      • 환경의 구조와 조직을 넘어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창조적 놀이역량에 대한 탐구

        류미향,박경금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놀이는 유아의 인지·사회·정서뿐만 아니라 창조성, 상상력 등의 발달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위한 가장 훌륭한 교수방법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유아 놀이를 확장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놀이환경으로 놀이공간, 놀잇감, 놀이시간과 같은 환경의 요소에 내재하는 구조나 놀잇감의 사용, 놀이공간의 활용방법과 같은 놀이를 조직하는 특성은 유아 놀이에 색을 입힐 수 있는 독특한 질료 역할을 한다. 그러나 놀이가 가진 본질은 즐거움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놀이하는 유아는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느끼는 과정에서 환경의 구조나 조직적 특성 등의 영향을 넘어서서 놀이를 지속시킬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하는 유아의 창조적 역량이 환경의 구조와 조직적 특성을 넘어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유치원 만5세 두 개 학급을 대상으로 25회기, 28회기 각각 관찰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읽기와 범주화를 반복하는 질적분석 과정을 거쳤다. A유치원 유아들은 구조화된 환경과 교사의 엄격한 놀이규칙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놀잇감 사용규칙 바꾸기, 놀이공간으로부터의 탈주를 통해 놀이환경의 구조성과 엄격한 놀이규칙의 틀을 깨고 새로운 놀이를끊임없이 만들어내고 유희하고 있었다. 때로는 교사의 눈을 피해 만들어 내는 규칙의 파괴와 새로운 규칙의 창조는 유아들로 하여금 놀이에 대한 즐거움을 만끽하게 하였고, 새로운 놀이로의 확장을 가능케 하였다. 한편 B유치원 유아들은 놀잇감의 변신, 놀이 주제의 리좀적 생산을 통해 늘 똑같은 놀잇감과 변화없는 물리적 환경에서 차이를 생성해 내며 새로운 놀이환경으로 변신시키며 즐기고 있었다. 매일 똑같은 놀잇감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놀더라도 유아들은 놀이역할 바꾸기, 놀이주제 변형하기, 놀이참여자의 변화 등의 다양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새로운 차이를 만들어 내는 등 자율적인 놀이 창조자의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유아들의 창조적 놀이역량은 환경의 구조나 조직 특성과 상관없이 나타나고 있었고, 이러한 유아의 모습은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놀이자로서의 유아의 모습을 반영하는 만큼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화역량과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행: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류미향,안혜령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1

        This study aimed at 434 early childhood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Busan to evaluate their cultural competency, personal art experience, awareness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wareness of after-school curriculum management. A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cultural competency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lightly higher, and the older the teacher's age, the lower the cultural competency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the more importan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lot of personal experience in art and music, and they are often practiced in educational courses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fter-school courses by external instructors, whereas movement and dance and traditional arts only have low personal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degree of practice and smoothness of practice were all above average. Fourth, teachers believed that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done through cooperation with culture and arts specialists. Fifth, when implemen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children’s interest, developmental suitability, and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were considered the most.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 need to focus on enhancing teachers’ cultural competency and on seeking various ways of cooper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rt experts for the purpos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부산시 16개구군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아교사 434명을 할당표집과 임의표집을 통해 모집하여 문화역량, 개인적 예술경험,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과후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문화역량은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문화역량 수준은 낮았다. 문화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교사들은 유아 문화예술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개인적 차원의 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예술교육 실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과 음악은 유아교사들이 개인적으로 경험도 많이 하고 유아교사들에 의한 교육과정과 외부 강사에 의한 방과후과정에서 많이 실행되고 있는 반면, 동작·무용과 전통예술은 유아교사의 개인적 경험도 낮을 뿐 아니라 유아 문화예술교육에서도 많이 실행되고 있지 않았다. 셋째,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실행정도 및 원활성은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전문성 부족으로 교육 실행에 어려움을 느끼며 문화예술전문 인력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이 실행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문화예술교육 실행 시 유아의 흥미와 발달적합성,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유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유아교사 문화역량의 증진, 그리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예술전문가와의 다양한 상호협력 방안 모색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부정적 교육열로부터의 탈주와 아동의 교육권 찾기: 들뢰즈와 불교 욕망론이 주는 시사점 탐구

        류미향 한국아동권리학회 2011 아동과 권리 Vol.15 No.4

        The current situation of securing children's rights to education is related to two efforts:solving the problem of too much education and guaranteeing children's rights to receive true education. The term, ‘educational fervor' was conceptualized, in this study, as a complicated matter where children's, parents', teachers', the nation's, and private education providers' desires were tang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untangle such tangles of desire and to achieve children's rights to education. For this purpose, Deleuze's theory on desire and the Buddhist philosophy of desire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Deleuze and the Buddhism, desire is not a secured reality, rather, it can be created and recreated from the relations and accesses we have. Therefore, we should not live as ‘settlers' who obey the pre-ordered rules and follow the given ideal of life. Rather, we should live as ‘nomads' who draw lines at a map of our own life. In addition, our desire about ‘me', or ‘my' should be converted into ‘our' and ‘all of them's' desires. From these efforts we can ‘reterritorialize' our educational territory where differences and virtual multiplicities are accepted and can be realized. 현재 한국의 교육 영토에서 교육열은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 영토 내에서 아동 자신의 고유한 잠재성을 실현하고 삶의 완전성을 실천할 수 있는 진정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 보장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교육을 받을 권리는 교육의 양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보장되어야 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열 현상이란 아동, 부모, 교사, 학교, 국가, 학원 등 다양한 주체의 욕망이 섞여 있는 복잡한 문제라고 규정하였다. 또한 각 주체가 지향하는 자신만의 욕망을 추구하기 보다는 욕망의 지혜로운 활용을 통해서 아동의 진정한 교육권을 보장해 줄 수 있도록 욕망에 대한 이해를 새로이 하고 부정적인 교육열로부터의 탈주를 통해서 교육의 영토를 재영토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욕망을 생성의 긍정적인 힘으로 보는 들뢰즈의 욕망론과 욕망의 지혜로운 활용의 길을 제시하는 불교의 욕망관에 대해 탐색하고, 이러한 욕망론이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류미향,고은경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us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 for research published between 2009 and September, 2020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As results, the overall effect size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1.72 and the effect size for creativity was 1.69, artistic creativity 1.63, artistic ability 1.65, personality 2.26, socio-emotional development 2.20, and math & science ability 2.0 and all were very large based on Cohen's effect size. Next, as the modulating variables that increase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the education type integrated with other subjects rather than the education type of single genre or the education type integrated with other genre of arts among the typ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case of the children’s age of 5 years rather than the mixed age of 4-5 yea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quality evaluation level of the literature analyzed in this study was low, for reliabl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quality evaluation level of the literatur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20년 9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방법을활용하였다. 연구설계는 PRISMA guideline을 기본으로 하였고, 55개의 연구문헌에 대한 효과크기를EXCEL과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프로그램 유형은 장르통합 문화예술교육이 가장 많고,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창의성과 사회·정서성, 예술적 능력의 차이가 분석된경우가 많았다. 둘째,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72였고, 창의성은 1.69, 예술적 창의성은 1.63, 예술적 능력은 1.65, 인성은 2.26, 사회·정서성은 2.20, 수·과학능력은 2.0으로 효과크기가 모두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효과를 높인 조절변인으로는 문화예술교육 유형 중에서 단일장르나 타장르통합보다는 타교과통합 유형일 때, 그리고 유아연령이 4-5세 혼합연령보다는 5세 대상인 경우로 나타났으며, 회기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문헌에 대한 질 평가 수준이 낮았다는 점을 고려할때 신뢰할만한 연구 결과를 위해 추후에는 대상 문헌의 질 평가수준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또래집단 내 세력아를 중심으로 살펴본 관계맺음 방식에 대한 탐구

        류미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관계맺음은 삶의 양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유아 또래집단 내 관계맺음은 놀이와 작업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들 속 양식들이 반영된다. 유아들은 또래집단 내에서 일련의 활동이나 가치, 관심거리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생산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관계맺음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유아와 그렇지 못한 유아들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각 집단의 세력아들을 중심으로 유아들이 일상적인 놀이, 활동, 일과 상황에서 어떻게 역동적으로 관계맺음을 경험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서 유치원 2개 기관 만5세 각 한 학급씩 총 두 개 반을 각각 25회기, 28회기 참여관찰 하였고 교사면담, 유아면담, 부모면담 등을 병행하였다. 관찰 및 교사면담 결과 각 학급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세력아 두 명을 주 관찰대상으로 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주로 관찰한 세력아는 남아와 여아 각 한 명씩이었다. 연구결과, 남자 세력유아의 경우 놀이에 대한 기술과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술도 뛰어나 유치원의 원감선생님과 담임선생님들도 인정한 가장 강력한 세력아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함께 놀이를 하는 남자유아집단 내에서 뿐만 아니라 함께 놀이하지 않는 유아들까지도 놀이상황에서 중재가 필요한 경우 혹은 놀이규칙을 확인해야 할 경우는 남자 세력아에게 의견을 묻거나 허락을 구하는 등 명실공히 작은교사의 역할을 하였다. 세력아는 교실을 옮겨 다니며 놀이를 즐겼고, 남자 세력아가 어떤 집단 내에 자리하는지에 따라 그 집단 내 관계맺음 방식은 변화되었다. 한편 여자 세력유아는 자신이원하는 방향대로 추진하기 위해 배제, 지시, 강요의 전략을 자주 사용하였고, 특히 친구에 대한 독점욕을 보이며, 자신의 친구를 뺏기지 않으려 경계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여자 세력아의 존재는 학급내 여자 유아들을 수동적이고 순종적으로 만들었지만, 세력아가 결석하거나 세력아와 함께 놀지 않는 또래집단 내에서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관계맺음 방식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또래 간괌계맺음 방식의 다층적인 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