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몬테소리 아동 교육론의 사상적 기초에 관한 분석

        유혜령,윤복주 한국아동교육학회 1996 아동교육 Vol.5 No.2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disclose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hidden in the Montessori educational theories. Placing the Montessori educational Theories in the wide philosophical streams dominant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which are roughly the conceptual idealism, the romanticism and the positivism, the researcher tries to articulate the Montessori's basic views and thoughts on children,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methodology. It is discussed that Montessori's views on children are much confined to the naive and romantic beliefs on the inborn goodness of human beings and to the idealistic assumption on the dichotomized split between mind and body. Her views on the ultimate educational goals are also found as being strongly influenced by the absolute idealism, such as Hegel's, which has emphasized the nomolithic-inductive reasoning on human nature. On the contrary, her views on educational methodology are more positivistic rather than idealitic assumtions with the influence from educational psychology medical science she had learned. Her "scientic pedagogy" around her teaching materials also reveals the strong tendency to approach the issues of educating children with the positivistic methodology. As such, the conclusion is made that the philosophical underpinnings of Montessori educational theories show unintegrated, contradictory views on human beings and the world. That is, whereas there finds the rigid conceptual idealism and romanticism inherent in the Montessori's views on children and educational goals, her views on the educational emthodology shows the positivistic, scientific assumtions on the worlds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Montessori educational theories for contemporary child education seems to be very limited in their capacity not only to suggest an systematically integrated body of educational theories but also to fit into the more flexible, dynamic and deconstructive philosophical trends of our timees

      • KCI등재
      • '-로'의 인지의미론적 분석

        유혜령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2 한국어문교육 Vol.11 No.-

        '경로, 방향, 지향점, 원인, 변화, 재료, 시간' 등의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국어의 조사 '-로'는 인지의미론적인 시각에서 볼 때, 하나의 의미 카테고리를 형성한다. '-로'의 의미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여러 의미들은 하나의 중심 의미에서 '은유'와 '환유'라는 인지 기제의 작용에 의해 동기 부여되어 다른 변이 의미들로 연쇄된 것이다. 즉, 가장 기본적이고 원형적인 특성을 보이는 '통과 이동'의 의미를 중심으로 〈공간 →시간 →상황〉, 〈구체적 또는 물질적 →추상적〉인 순으로 변이 의미의 연쇄가 이루어져서 의미 확장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까지 여러 가지로 분류ㆍ기술되어 왔던 '-로'의 의미들은, 중심 의미에서 여러 변이 의미들로 연쇄된 방사상 구조를 가진 의미 카테고리로 일관성 있게 기술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아동 연구의 다원화를 위한 이론적 탐색

        유혜령 한국교육학회 대구·경북지회 1997 교육학논총 Vol.17 No.-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any alternative research approaches in child studies as it is presently more recognized ever than before that empirical-analytic approaches have for long so dominated in the area that they have confined our understanding of children only into the deductive-nomological model of explanation. Discussions are made around the Habermas' theory on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and the possibilities of two types of research approaches are suggested as the alternatives of empirical-analytic ones: The interpretive and the critical approaches. Interpretive approaches have stemmed from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of human sciences such as hermeneutics, phenomenology and anthropology, whose academic inquiries have shared the particular interests on human understanding of meaning in specific contexts and in all complexity. As such, interpretive approaches to children's life can reveal the deep structure of children's experience of the world, in which children act as the meaning-creators with their ownmost possibilities. Critical approaches are indebted for their theoretical framework to Marxist and Neo-Marxist traditions, whose implifications for child studies can bring into light the significance of children's beings as that of active social actors. Children attempt at their own level to overcome the ideological order of the social systems and this creates conflicts in their daily life. Critical approaches pay the analytic attention on such ideological aspects of children's reality. Some practical suggestions are made at the end of the sudy: Inter-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such as outlined above, should necessarily be introduced and come into wide activation in the area of child studies in order that we reach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reality.

      • KCI등재후보

        학교문법의 보조적 연결어미에 대하여

        유혜령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30 No.-

        In School Grammar, it may result in a trouble to regard '-a/-eo, -ge, -ji, -go' as the auxiliary conjunctive endings only just because '-a/-eo, -ge, -ji, -go' are bridging the main verb and the auxiliary verb in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The main reasons we should not define '-a/-eo, -ge, -ji, -go' as the auxiliary conjunctive endings are as follows; First, other than '-a/-eo, -ge, -ji, -go', we also have another conjunctive endings like '-dorok, -eoya, -ryeogo' in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Second, it is not a good classification to subdivide the auxiliary conjunction endings from the conjunction endings because we also use several other endings like the sentence-final ending, the noun clausal ending, adjective clausal ending in predicative assistant construction to describe the grammatical categories in Korean language. Third, there does not exist any grammatical homogeneousness in '-a/-e, -ge, -ji, -go' to be classified into one category. In conclusion, the category of auxiliary conjunctive endings is quite unnecessary in the description of pedagogical grammar. 학교문법에서는 연결어미를 대등적 연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 보조적 연결어미로 하위분류하고, 보조적 연결어미를 ‘-아/-어, -게, -지, -고’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아/-어, -게, -지, -고’가 보조용언 구성에서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는 이유만으로 보조적 연결어미라고 기술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첫째, 학교문법에서는 보조용언이나 보조용언 구성의 범위에 대한 정확한 기술 없이 보조적 연결어미를 ‘-아/-어, -게, -지, -고’로 국한하는 모순을 가지고 있다. 둘째, 국어에서는 연결어미 외에도 종결어미, 명사형어미, 관형사형어미 등 모든 어말어미가 후행하는 용언과 관용적으로 결합하여 특정한 문법 범주를 표현하는 형식에 쓰이는데, 이 중에서 굳이 연결어미만 하위분류하는 것은 균형상 맞지 않는다. 셋째, 보조적 연결어미와 많은 특성을 공유하는 ‘-어야, -도록, -(으)면’ 등의 어미들이 보조적 연결어미로 분류되는 ‘-아/-어, -게, -지, -고’와 다른 범주로 구별될 만한 차이가 없다. 넷째, ‘-아/-어, -게, -지, -고’는 여러 가지 특성에서 ‘-아/-어, -게, -지, -고’만이 하나의 범주로 묶일 만큼 동질적이지 않다. 따라서 학교문법에서 보조적 연결어미를 연결어미의 하위범주로 설정하는 것은 문법기술에 있어서 불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

        학교문법의 보조적 연결어미에 대하여

        유혜령 청람어문교육학회 2005 청람어문교육 Vol.30 No.-

        학교문법에서는 연결어미를 대등적 연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 , 보조적 연결어미로 하위분류하고, 보조적 연결어미를 ‘-아/-어. -게, -지, -고’ 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아/-어. -게, -지, -고’ 가 보조용언 구성에서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이어주는 기능을 한다는 이유만으로 보조적 연결어미라고 기술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첫째, 학교문법에서는 보조용언이나 보조용언 구성의 위에 대한 정확한 기술 없이 보조적 연결어미를 ‘-아/-어. -게, -지, -고’로 국한하는 모순을 가지고 있다. 둘째, 국어에서는 연결어미 외에도 종결어미, 명사형어미, 관형사형어미 등 모든 어말어미가 후행하는 용언과 관용적으로 결합하여 특정한 문법 범주를 표현하는 형식에 쓰이는데, 이 중에서 굳이 연결어미만 하위분류하는 것은 균형상 맞지 않는다. 셋째, 보조적 연결어미와 많은 특성을 공유하는 ‘-어야, -도록, -(으)면’ 등의 어미들이 보조적 연결어미로 분류되는 ‘-아/-어. -게, -지, -고’와 다른 범주로 구별될 만한 차이가 없다. 넷째, ‘-아/-어. -게, -지, -고’는 여러 가지 특성에서 ‘-아/-어. -게, -지, -고’만이 하나의 범주로 묶일 만큼 동질적이지 않다. 따라서 학교문법에서 보조적 연결어미를 연결어미의 하위범주로 설정하는 것은 문법기술에 있어서 불필요한 것이다. In School Grammar, it may result in a trouble to regard '-a/-eo, -ge, -ji, -go' as the auxiliary conjunctive endings only just because '-a/-eo, -ge, -ji, -go' are bridging the main verb and the auxiliary verb in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The main reasons we should not define '-a/-eo, -ge, -ji, -go' as the auxiliary conjunctive endings are as follows; First, other than '-a/-eo, -ge, -ji, -go', we also have another conjunctive endings like '-dorok, -eoya, -ryeogo' in the auxiliary verb construction. Second, it is not a good classification to subdivide the auxiliary conjunction endings from the conjunction endings because we also use several other endings like the sentence-final ending, the noun clausal ending, adjective clausal ending in predicative assistant construction to describe the grammatical categories in Korean language. Third, there does not exist any grammatical homogeneousness in '-a/-e, -ge, -ji, -go' to be classified into one category. In conclusion, the category of auxiliary conjunctive endings is quite unnecessary in the description of pedagogical grammar.

      • KCI등재
      • KCI등재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유혜령 한국유아교육학회 1998 유아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유치원의 교수매체 환경에 대한 유아의 경험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연구로서, 유치원 교실의 자유선택활동장면에 관한 참여관찰과 교사면담을 통해 이루어 졌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에게 있어 교수매체 환경은 교재 · 교구의 준비도에 따라 적극적인 초대 또는 방임의 분위기로 나타났으며, 둘째, 교재 · 교구를 자유로운 놀이과정으로서 경험하는 유아에 비하여 교사는 학습을 위한 목적-수단 관계로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재 · 교구 경험의 구체성과 추상성의 문제는 유아의 주관적 의미화 작업에 의존하는 것이며, 넷째, 유아의 교구 경험은 또래관계 및 교사 통제 등 외부적 요인에 그 질적 의미가 좌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교수매체 환경이 학습의 효율화를 위한 단순 기능적 도구가 아니라, 유아에게 있어 복잡한 관계망을 지닌 구체적인 삶의 상황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교수매체에 관한 이해는 유아 존재의 실존적 주체성과 유아 관련 현상의 존재론적 기반에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children's modes of experiencing the educational media environment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in kindergarten. The research methodology is informed by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hose major concern lies in understanding qualitatively the inner meaning of phenomena. The methods of participation-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employed in the process of data-collec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level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children either experience a feeling of invitation to the materials, or the feeling of being neglected; Secondly, there exists a sharp contrast between children's and teachers' ways of using the materials (the latter's are more goal-oriented); Thirdly, the question on the concreteness or abstractness of the materials depends on the children's personal meaning-giving process; Lastly, the nature of a child's experience with materials varies with the relationships formed with peers and teachers. It is concluded that the meaning and role of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total environment of the child's lifeworld, which is complex and multi-faceted as reveal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