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미적 안목 지원을 위한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 Maxine Greene의 미학교육이론을 중심으로

        임부연,유혜령,류미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교육과정의 창조적 해석자로서 예술적 교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지만 정작 이를 총체적으로 지원하는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새로운 접근은 미비한 편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실행주체로서 교사의 미적 안목과 이를 지원하는 참여중심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절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사의 미학적 역량을 강조하는 Maxine Greene의 미학교육의 이론에 기초하여 좋은 예술과의 만남, 비평, 미적체험을 강조하는 활동의 방향성을 추출하고 이를 다양한 예술적 요소가 강조되는 장르별 활동으로 배치하여 빛과 색, 이미지와 소리, 움직임과 춤의 활동 중심으로 교육활동을 개발되었다. 개발된 활동들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유아교사들에게 약 6개월 동안 점진적으로 적용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좋은 예술과의 만남을 통해 아름다움을 느끼고 지각하는 개인의 시각에서 상당한 변화를 느끼고 있었고 특히 교실이 아닌 일상생할 속에서 민감해진 감성과 풍부한 느낌, 사유하는 습관 등의 변화를 보고하였다. 무엇보다 이러한 확장된 미의식이 교실에서 교육과정을 통한 해석에서 미적 의미와 예술적 풍요로움을 융합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예술과 미학이 강조되고 교사 스스로 미적체험을 통해 교육과정의 창조자와 예술가로서의 교사를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정약용이 발견한 ‘천명天命’과 ‘교제交際’

        임부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8 다산학 Vol.- No.32

        본 논문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 유교의 “소사상제昭事上帝” 전통을 부활시키고 혁신해서 구성한 유교적 영성(Confucian spirituality)을 ‘천명天命’과 ‘교제交際’의 개념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정약용은 천주교라는 종교적 타자(religious other)의 지성적 자극을 활용하고 신유학의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우주론적 비전을 비판하여 ‘영명靈明’의 존재라는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하였다. 우선, 사람은 위로 초월적 주재자인 상제와 영명의 마음을 통해 “직통直通”한다. 수평적인 차원에서 사람은 영명의 존재로서 선한 본성의 실현이라는 윤리적 책임을 가지고 타인을 만난다. 영명을 통해 다른 모든 부류를 초월하는 사람은 만물을 향용享用하는 권리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관리 정책을 통해 만물의 자연적 생명을 온전히 실현시키는 책임을 갖는다. 정약용은 이기론理氣論에 기초한 조선성리학의 심성론心性論을 비판하고 ‘영체靈體’, 곧 ‘영명靈明의 본체本體’라는 개념에 근거해서 ‘영체학靈體學’이라고 부를 만한 새로운 심성론을 구성하였다. 그의 영체 개념은 윤리적 기호嗜好인 ‘본성(性)’, 자유 의지에 해당되는 ‘권형權衡’, 구체적 실천행위의 영역인 ‘행사行事’로 구성되었다. 그는 영체의 모든 현상적 마음을 신체의 욕구와 연관된 인심人心과 윤리적 본성의 기호에서 발현된 도심道心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윤리적 실천 과정에서 인심과 도심의 실존적 갈등을 중시한 정약용은 “도심즉천명道心卽天命”이라는 새로운 영성적 자각에 도달하였다. 정약용이 제시한 도심의 천명은 그 형식이나 위상, 그리고 내용에서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우선, 천명은 자연현상이나 신체가 아니라 오로지 무형無形의 도심을 통해서만 시시각각 전해진다. 둘째, 도심은 선한 본성의 현현일 뿐만 아니라 천명이기 때문에 『맹자』의 내재적인 성선性善과 『중용』의 초월적인 권위를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런 의미에서 도심의 천명은 “천인묘합天人妙合”의 위상을 갖는다. 셋째, 천명의 도심은 순수의식純粹意識(pure consciousness)을 향한 신비주의적 추구나 절대타자絶對他者(the Wholly Other)인 신에 대한 유일신 전통의 숭배와 달리 인륜人倫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심의 윤리적 목소리를 천명으로 받아들이는 예민한 종교의식宗敎意識(religious consciousness)이야말로 정약용이 제시한 새로운 영성靈性(spirituality)의 핵심이다. 천명인 덕성을 받들어(“尊德性”) 실천하는 인륜을 교제交際의 길로 제시한 정약용의 새로운 유교적 영성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첫째, 초월적인 인격신을 지향하는 ‘향천성嚮天性’이나 물질세계의 우주론적 통일성을 지향하는 ‘향지성嚮地性’이 아니라 타인과의 윤리적 관계를 지향하는 ‘향인성嚮人性’을 보여준다. 둘째, 두 사람 사이의 교제라는 인생의 근원적인 조건에 근거한 “천인합작天人合作”의 ‘인륜人倫’을 목표로 삼는다. 특히 사회적 관계에서 자신의 본분을 다하는 책임의식인 인仁과 그 실천 방법인 추서推恕는 서로 바로잡아 도덕적 생명을 불어넣는 “서광상생胥匡相生”의 관계를 발생시킨다. 셋째, 내면의 선한 본성과 외면의 신체적 실천의 결합으로서 인격의 도덕적 성숙과 신체적 윤택으로 인도하는 ‘덕행德行’이 강조된다. 인생의 근원 조건인 두 사람 사이의 ‘교제’에서 영체의 도 ... This paper seeks to illuminate Jeong Yag-yong (丁若鏞, 1762~1836)’s Confucian spirituality constructed by revitalizing and innovating the tradition of serving the Lord on High brightly (K: sosasangje 昭事上帝), focusing on Heaven’s mandate (K: cheonmyeong 天命) and the human relation (K: gyoje 交際). Jeong Yag-yong, utilizing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of Catholicism as a religious other and criticizing the Neo-Confucian anthropocosmic vision, presented a new human image of spiritual intelligence (K: yeongmyeong 靈明). First, he posited that humans could “communicate directly (K: jiktong 直通)” with the Lord on High as the transcendent sovereign through the mind-heart of spiritual intelligence. On the horizontal level, the human as a being of spiritual intelligence would have everyday encounters with other people with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fulfilling the good nature. Man, transcending all other creatures on the basis of spiritual intelligence, has the right to utilize them and the duty to care for their natural lives through political management policies. Jeong Yag-yong, criticizing the Joseon(朝鮮)’s Neo-Confucian theory on human mind-heart and nature based on Principle-Material force(K: IGi 理氣) metaphysics, constructed a new theory of human mind-heart and nature grounded on the concept of “spiritual body (K: yeongche 靈體)”, namely the original body of spiritual intelligence. His concept of spiritual body consisted of nature (K: seong 性) as ethical appetites (K: kiho 嗜好) for the good, balance (K: gwonhyeong 權衡) corresponding to the free will, and the actual practice (K: haengsa 行事). He classified all phenomenological modes of mind-heart into the way mind (K: dosim 道心) manifested from the ethical appetite for the good and the human mind (K: insim 人心) issued from bodily desires. Jeong Yag-yong especially stressed the existential conflict between the way mind and the human mind throughout the course of ethical practice; he came to the new spiritual awareness that the way mind is the Heaven’s mandate(K: dosimjeukcheonmyeong 道心卽天命). Jeong Yag-yong’s notion of the way mind as Heaven’s mandate carries distinctive features in its form, status, and content. First, Heaven’s mandate is conveyed every moment not through a natural phenomenon or the physical body but through the formless way mind. Second, the way mind, not only the manifestation of good nature but also the Heaven’s mandate, combines the immanent goodness of human nature in the Mencius (『孟子』)and the transcendent authority of Heaven’s mandate in the Mean (『中庸』). In this sense, it has attained the status of wondrous combination of Heaven and man (K: cheoninmyohap 天人妙合). Third, unlike the mystical quest for pure consciousness or the monotheistic worship of God as the Wholly Other, the way mind as Heaven’s mandate does not transgress human ethics. The heart of Jeong Yag-yong’s new spirituality lies in his sensitive religious consciousness accepting the ethical voice of the way mind as Heaven’s mandate. Jeong YagYong’s new Confucian spirituality based on human ethics as the way of relationships practiced by honoring virtuous nature (K: jondeokseong 尊德性)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ly orientation(K: hyangin 嚮人) for ethical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heavenly orientation(K: hyangcheon 嚮天) for the transcendent personal God or the characteristics of earthly orientation(K: hyangji 嚮地) for the cosmological unity of material world. Second, it aims at human ethics as the collaboration of Heaven and man(K: cheoninhapjak 天人合作) based on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the human relation between two persons. In particular, benevolent responsibility (K: In 仁) as exhausting one’s duty in social relation and inferential reciprocity (K: chuseo 推恕) as the wa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텃밭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임부연,최남정,박향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vegetable gardening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velop this model, this study employed ADDIE model of ISD(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that was gone according to 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 valuation steps. Forty-one students of P University who had no previous experience of doing vegetable gardening activ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pre-and post-concept maps, students’ journal writing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opportunities to directly involve in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through the class of 'Field Study' whose run duration was for 9 months from March to August 2006. Effect verification sequence, developed vegetable gardening program model help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eel newcomers oneself in studying and recognizes as owner of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Consequently, the developed vegetable gardening program model appeared to elevate self-efficacy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y will become to unfold eco-centered education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in near future. Specially, through activity that directly experience sense of unity of body and mind, this study suggests a possibility of new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construction of 'practical knowledge', which would in turin bring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ory of practice in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also has an implication for recovery of nature and human relationship which is important interest in current society which is rapidly swinging between modern and post-modern discourse. 최근 교사교육에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구성에 관한 문제와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화두로 등장한 자연과 인간의 공생적 관계회복의 문제를 연결하는 교육학적 노력의 일환으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텃밭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적절성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교수체제 개발의 가장 일반적인 모형인 ADDIE모형의 개발과정에 근거하여,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특히 텃밭프로그램이 가져야 할 기초적인 프레임으로 실천적이며 반성적사고 개발을 가져오는 구성주의적 접근이 제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4년제 유아교육과 2-3학년 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시범적용이 이루어 졌으며, 실행기간은 2월부터 10월까지 총9개월간 현장학습의 수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자료는 전문가에 의한 내용평가와 함께 평가질문지, 개념도 그리고 텃밭일지 및 반성적 저널을 포함하고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이해에 따른 질적 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효과검증 결과, 개발된 텃밭프로그램모형은 참여자인 예비유아교사들 스스로 학습의 주체이며 실천적지식의 소유자로서 인식하게 하였으며, 이후 교육현장에서 친자연적 교육활동을 전개하는데 교사로서 효능감을 높혀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몸과 정신의 일체감을 직접 체험하는 활동을 통해, 교사교육에서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극복하는 ‘실천적 지식중심’의 새로운 교사교육과정 개발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현대사회의 중요한 관심인 자연과 인간의 관계성 회복에 유아교사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교육학적 노력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캉유웨이(康有爲)의 정교관계(政敎關係) 담론: 공교(孔敎)의 국교화(國敎化)를 중심으로

        임부연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0 종교와 문화 Vol.0 No.38

        This article is aimed to investigate Kang Youwei(康有爲, 1858~1927)’s discourse on the rel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focusing on his effort of making Confucian religion(孔敎, Kǒngjiào) as the state religion(國敎)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in Chinese society. First of all, Kang Youwei proposed a new religious policy centered on Chinese people’s free cult of Confucius by changing all improper temples(淫祠) into schools and destroying improper cults(淫祀) for blessing in order to make Confucian religion(孔敎, Kǒngjiào) as the state religion(國敎). Second, he insisted that Confucian religion responsible for Chinese civilization had been engraved deeply into the hearts of Chinese people as national spirit(國魂) transcending particular forms of states. Third, Kang Youwei, based on his belief in the universal evolution of human way(人道), thought that the Western modern political system and ideology had been already prepared in Confucian scriptures. Fourth, he used the modern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state and religion(政敎分離) to stress the religious identity of Confucian religion in the modern religious pluralism and to protect the Confucian religion against the government’s policy of destroying Confucian traditions in public sphere. Moreover, the possibility of the peaceful coexistence of state religion and freedom of religion(信敎自由) was insisted on the basis of Confucian tolerance toward other religions and dualistic religious structure divided by state religion of the public morality and the individual religions of private faith. In conclusion, Kang Youwei’s unique discourse on the rel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was based on the religious reform to make Confucian religion into the state religion and national spirit taking responsibility for public morality and forming Chinese national identity, and on the Confucianization of Western modernity to reduce the Western modern political system, ideologies, and principles on religion to the Confucian canonical ideas.

      • KCI등재

        내러티브 중심 이야기나누기시간에서 유아들의 지식형성에 대한 의미 탐구

        임부연,유정미,류미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4

        유아교실에서는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통합하여 발생하는 유아들의 지식형성과정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하고 풍부한 지식을 주요하게 다루는 이야기나누기시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꾸준히 부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풍부한 문학적 상상력을 근간으로 한 내러티브 중심의 이야기나누기방식을 통해 유아들의 지식형성의 특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내러티브 중심의 교수방식이 유아교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대안이 될 수 있을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내러티브 중심 이야기나누기시간에서 보여진 유아들의 모습은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노래하고 즐기는 '놀이'의 모습과 함께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생각을 이야기하고 갈등과 타협 상황을 통해 서로 논쟁하고 토론하며 합리적으로 지식을 구성해 가며 직접 실험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 모습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내러티브를 활용함으로써 이야기나누기시간의 엄숙하고 경직된 분위기는 자유롭고 활기차고 스스로 몰입할 수 있는 분위기로 변화되었다. 내러티브가 유발하는 문학적 상상의 세계는 유아들이 단순히 개념적으로 지식을 암기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넘어 지식을 내면화시키고 스스로 예술로 표상하고자 하는 충동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내러티브 중심 이야기나누기시간이 유아교실의 수업문화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조심스럽게 제안하면서 나아가 현장에서 고민하는 많은 교사들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는 보완적 기능이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Circle tim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large-group activities for teachers because they should teach logical concepts to children at the same time as the children are playing. With this in mi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fold: (1)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narrative-focused circle time and (2)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arrative-focused circle time as an alternative to standard circle tim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In this light, changes occurring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after using narratives during circle time were observed and analyzed. This study found that young children showed not only their 'playing' behaviors by freely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singing songs, and enjoying the circle time but they also exhibited their 'learning' behaviors by actively talking, discussing, solving conflicts, and testing their own hypotheses. In addition, thanks to narratives included in the circle time, the atmosphere of circle time was changed from being serious and strict to being free, dynamic, and lively. The world of imagination brought by narratives did not keep the children within the scope of formal cognition. Beyond such scope, the young children could internalize what they learned and showed their desire for expressing their feelings and learning through ar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carefully suggested narrative-focused circle time be an alternative of the circle time activities to bring positive changes in the culture of early childhood classroom. Also, we discussed narrative-focused circle time as a solu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concerning teaching concepts to young children as they play during circle time.

      • KCI등재

        레비나스 타자철학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의 미학적 접근

        임부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5

        지식과 경쟁위주의 사회 속에서 점점 상실되어 가는 휴머니즘을 지원하기 위한 생애 초기의 노력으로서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내용을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에 기초하여 미학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감성학으로서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의 핵심은 회피하거나 무시할 수 없는 상황으로 출현하는 "타자"의 존재이며, 어떤 요구와 보살핌을 호소하는 기호로서의 "얼굴"이다. 이는 인간이 외면하기 어려운 감성을 불러온다는 점에서 미학적이다. 특히 유아기의 감성은 민감성과 수용성을 자극하는 근원으로서 아름다움과 예술적인 것과 함께 타자성에 반응하고 적극 동기화됨으로써 "인성"을 고양시킨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주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타자의 유형을 어려움에 처한 낯선 사람, 도움을 요청하는 이웃, 친구, 사회적 영웅 그리고 사랑이 필요한 동물 등으로 설정하고 아름다운 감성을 자극하기 위한 심미적 교수방법을 함께 접목하여 실제 교육활동으로 전개해 보았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어려운 타자를 향한 걱정, 공감, 돌봄, 책임감과 실행(praxis) 등의 마음과 태도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도움을 주기 위해 자신이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을 즐거움과 향유의 미학으로서 "인성"의 주요 특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타자" 중심의 유아인성교육의 가능성과 미학적 접근의 의미를 함께 논의하고, 유아교육의 실천에서 다소 어렵게 이해되는 철학이론의 교실적용을 함께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program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Levinas "theory of the other" which puts great emphasis on the sensibility. Levinas's theory particularly highlights face-to-face encounter with subject so the person is inevitably responsible for the other. Based on this concept, this study designed various activities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of the other including an unfamiliar neighbor, a friend from other country, a well-known hero, and lovely animal etc. In addition for the aesthetic approach, this study carefully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visually beautiful and sensible and the puppets with face or real person entering into the classroom. Then narratives are carefully developed that shows the other's personal history and story that make the children be deeply emotional. After applying those activities to the children, this study found that the young children are very capable of caring and loving the other without logical and cognitive manipul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ctivities based on the other philosophy of Levinas is useful to promote children's character as human beings, helping them be sensitive, receptive to the other so that they also become to be very mentally healthy and aesthe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