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 개발의 논리와 교육적 대응
남가영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2
본고는 2022년 12월 고시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문법’ 영역 개발의 논리를 탐색하고 그에 따라 개발된 문법 영역의 특징을 항목별로 분석한 후, 주목할 만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육적 의미를 탐색, 공유, 소통하고자 하였다. 공통 교육과정 <국어> 과목의 ‘문법’ 영역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취지 및 방향,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등에 입각하되, 그간의 학문적 성과와 교육 현장의 요구 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 체계의 설계, 내용 요소의 선정 및 계열화, 성취기준의 개발로 나누어 ‘문법’ 영역의 개발 논리를 기술하되,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특징을 유목화하고 이를 관련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가져와 체계적으로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 논리에 의거해 설계된 ‘문법’ 영역의 특징을 잘 드러내어 주는 주목할 만한 성취기준을 선정하고 그 교육적 의미와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특징을 공유, 해석, 소통하고자 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입과 성과에 관한 연구 - 대학을 중심으로(2014~2019년) -
남가영,이삼열 한국혁신학회 2024 한국혁신학회지 Vol.19 No.1
As the overall size of national R&D projects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grown over the years,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project outcom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a few institution-based analyses or general studies based on statistical data.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project effectiveness by empirically analyzing research networks formed through R&D and by using regression on project research outcomes. The study focuses on universities as the primary targets of these projects, as they are the most dynamic segment in the Korean R&D system. The analysis shows that universities collaborate mainly with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or nearby area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Within the network, it was found that those located in Seoul, Institut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KAIST, and key national universities in regional hubs play a leading role as hubs.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roduced by universities, a measure of research outpu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e network analysis (institute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overnment research funding and the number of faculty members in STEM disciplines, all of which had a positive impact. Among these factors, government research funding was analysed to have a diminishing marginal effect on increasing the number of publications as the amount of funding increases. This suggests that national R&D funding allocation policies should take this factor into account and avoid excessive concentration of R&D funding in selected institutions.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중요성과 함께 규모도 커지면서 사업 성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나 개별기관중심의 분석이나 일반적인 통계자료 외의 세부적인 실증분석은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주 사업대상인 대학을 중심으로 사업을 통해 형성하고 있는 연구 네트워크와 그 연구성과 및 성과요인을 실증분석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대학은 서울 또는 주변, 유사 특성의 기관과 주로 협업하며, 네트워크 내에서 대학이 맺고 있는 네트워크의 규모는 커졌지만 소수의 대학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며 그 영향력이 유지되는 경향이 강했다. 또한 서울 소재 대학과 과기원, 지방거점국립대학 등이 연구 영향력면이나 협업대상면에서 다른 수도권 대학이나 지방대학과 구분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네트워크 분석에서 확인된 대학의 특성(과기원, 서울 소재 대학)과 정부연구비, 이공계열 전임교원수 등은 대학의 연구성과인 논문 수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흥미롭게도 정부연구비는 증가할수록 논문 수 증가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다른 성과요인을 고려한 지원액 산정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중 매체에서 텍스트 마이닝 분석한 한국의 저출산 요인 : 네이버 뉴스 기사 댓글 중심으로
남가영,김용민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0
한국 저출산 문제는 단순한 인구감소 이상의 심각한 문제로, 경제, 사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출산율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기존 요인분석 연구들은 특정 기사 내용에 기반한 제한적인 범위로, 저출산 대응의 성격을 포괄적으로 바라보는 데에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이라는 기존 질적 분석에서 나타나는 단점을 보완하고, 다수 대중의 의견을 반영한 양적 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2022년 3월부터 2023년 8월까지 기간 중의 네이버 뉴스 댓글을 수집하여 대중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저출산 잠재요인으로 총 9가지를 식별하였고,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유사한 토픽 6가지와 본 연구에서만 나타난 토픽 3가지를 바탕으로 저출산 문제를 분석 및 논의하였다. South Korea's declining birthrate is more than just a population issue, it is a serious problem that affects various sectors, including the economy, society, and welfare, and is caused by a combination of factors. Existing factor analysis studies have a limited scope based on the content of specific articles, which limits their ability to provide a comprehensive view of the nature of the response to the declining birthrate. In this study, we used a text mining metho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qualitative analysis, which is subjective interpretation by researchers, and to increas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majority of the public, and collected comments on Naver News from March 19, 2022 to August 24, 2023 to reflect the diverse opinions of the public.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identified a total of nine potential factors for the declining birthrate, and analyzed and discussed the issue of the declining birthrate based on six similar topic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nd three topics unique to this study.
치매 노인의 인지 및 일상활동능력이 부양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처방식과 비합리적 신념의 조절효과
남가영,박중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6 No.3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re are moderating effects of caregiver's coping styles and irration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or daily living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stress. Tests were administered to 204 elderly with dementia who were being treated at hospitals and sanatoriums in Daegu, Ulsan, or Gyeongbuk provinces in Korea, and their 204 caregivers.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MMSE-K), 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S-ADL), and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were administered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while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Stress Coping Checklist, and Thoughts Questionnaire (TQ) were administered on their family caregiv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t-test.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giver's stress. Among the caregivers’ coping styles, only problem-centered coping style functioned as a moderator. Further, irrational beliefs functioned as a moderating variable only with respect to basic daily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some interventions need to be implemented to tackle the stress copings and irrational beliefs of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However, these findings resulted from the relatively small samples in korea, it needs to be replicated with the more larger sample in the future.
서술형·논술형 평가 실행에 관한 국어 교사의 최적화 행동 분석
남가영,김호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3 교과교육학연구 Vol.27 No.1
This Study is purposed for analyzing Korean languag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on implementing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at high school. With school assessment improvement policy regarding 2022 National Curriculum, CSAT,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assessment by individual teachers etc., the percentage of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at schools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remain difficulties on implementing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suitable for it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how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have been implemented at schools through written interview (12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cus group interview (3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n extracts main issues of these two types assessment implementation. Following this, it analyzes teachers’ assessment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view of ‘optimization behaviors’. Also, it discusses meaning of those teachers’ implementation, and ask questions to seek answers in details. 본 연구는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실행을 교사의 최적화 행동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평가 혁신정책의 일환으로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온 가운데,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편, 고교 학점제 도입 및 교사별 평가 실행 등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도입 취지에 맞게 서술형·논술형 평가를 실행하는 것과 관련한 여러 현실적 난점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실제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실행 양상을 파악하고 관련한 핵심 쟁점을 추출한 뒤, 이러한 쟁점과 관련한 교사의 실천적 대응을 ‘최적화 행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어과 서술형·논술형 평가 정책이 어떻게 교사에 의해 실행되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교사의 실행이 의미하는 바가무엇인지 해석한 후, 우리에게 남는 문제는 무엇인지 파악하고 제언함으로써, 국어과 평가 실행의 현재와 미래를 탐색할 수있었다.
국어 교과서의 다면적․중층적 속성에 대한 탐색에 근거한 국어과 교재 개발의 쟁점과 과제
남가영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5
This study identified issues related to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It did so by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Four major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e first characteristic was that textbooks are tools use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are mediators that create such environments. The second characteristic was that they are products of national education curricula, the targets reviews, and the targets of research as a core method for constructing educational theories.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they should be authentic and typical.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ree conclusion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identified. The first conclusion was that textbooks should reflect current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principles, such as having universal and inclusive designs and affordances. The second conclusion was that more textbook research should be pursued and that textbook reviews should be analyzed and theory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The third conclusion was that language teaching practices should be explored thoroughly and analyzed to produce more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잦은 개정과 그에 따른 교과서 개편으로 우리 국어교육 공동체에 국어 교과서 개발 경험이 상당히 누적되고 있음에도, 국어 교과서의 본질과 속성에 대한 체계적 탐색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이러한 경험은 관습적이고 규격화된 경험의 형태로 반복될 뿐이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국어 교과서의 다면적․중층적 속성에 대한 면밀한 탐색을 통해, 국어과 교재 개발의 쟁점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국어 교과서는 첫째, 교육 공간에서 사용되는 도구이자 그 자체로 교육 공간을 소환하는 실체라는 점, 둘째, 실존하는 실체로서 개별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국어교육학 이론화를 추구하는 중핵 경로로서 총칭성을 지닌 실체라는 점, 셋째, 실제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전형성을 추구하는 실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속성을 토대로 국어과 교재 개발의 쟁점과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최신 교수·학습 설계 원리 반영의 방향과 방법 모색, 둘째, 교과서 비평이 아닌 교과서 연구로서의 연구 지향의 강조와, 교과서 비평 연구의 체계적 수렴 및 환류 방향 모색, 셋째, ‘가치 있는 실제’로서의 국어 현상 및 의사소통 현상의 포착 및 교육 내용화, 그러한 실제를 교수·학습하기 위한 전형적인 자료와 과제의 수집과 구성 등이 그것이다.
국어 규범교육과 문법교육의 관계 설정 양상- 역대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사적(史的) 분석을 바탕으로
남가영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2 No.-
이 연구는 국어 규범교육이 문법교육과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구체화되어 왔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국어 규범교육이 기획, 실천되어 온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역대 국어 및 문법 교육과정 및 문법 교과서를 사적(史的)으로 살펴서, 국어 규범교육에 관한 당대의 인식과 그에 따른 실천 양상을 유형별로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문법이 곧 규범문법’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에서의 문법교육을 그 자체로 규범교육으로 간주하는 오랜 가정이 지속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1) 어문 규범이 암묵적 규준으로서만 기능한 경우, (2) 암묵적 규준으로서 어문 규범의 역할을 일부 명세화한 경우, (3) 규범 관련 내용을 명시적으로 편입하기 시작한 경우, (4) 규범 관련 내용을 문법 지식과 체계적으로 연계하고자 한 경우로, 규범교육의 양상이 시대별로 유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탐구성과 규범성의 균형을 도모하고자 하는 문법교육 안에서 국어 규범교육이 체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purposed for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and grammar education. For this purpose, how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all the while is examined, analysing 4th(1981)~2009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and totally 45 sets of grammar textbooks. As a result, some significant factors about Korea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are verified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ion such as 'Korean grammar education is in itself normative education' widely prevail among grammar textbooks. Second, grammar textbooks dealt with normative grammar are categorized four groups, especially for relationship with grammar education, ① the case which norms are affected implicitly, ② the case which norms show explicitly its roles partly, ③ the case which the norms are included in grammar education explicitly as content, ④ the case which the norms are systematically related to grammar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significant implication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normative grammar education has been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