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주세형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5

        New school grammar textbook should be described in the view of the whole Korean Education. For that reason the essential grammar curriculum should be embodied. This thesis has explored the horizontal structure of reported speech which would be worthy of structuring. First of all, the reported competence as a expression power was listed up in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Then the knowledges in the grammar textbo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etence' criteria. Finally, I've argued that the grammar knowledges should be differently describ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overall Korean ability. 새로운 학교 문법 교과서는 국어 교과학 전체의 조망 하에서 새롭게 기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본질적 문법 교육과정’이 구상되어야 하며, 그 중 ‘횡적 구조’는 타 영역 지식으로의 전이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향에서 실현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여러 문법 내용 중에서도 특히, 심도 있게 횡적 구조를 탐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 ‘인용 표현’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표현의 힘으로서의 ‘능력’과,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지식’을 밝혔다.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인용 표현과 관련 있는 국어 능력을 추려내었고, 과연 현재 문법 교과서에서 제시된 지식들이 그러한 국어 능력을 달성해 낼 수 있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해 내었다. 그 결과,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를 탐색하고자 할 때, 국어교육 전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능력을 실제적으로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담아내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교 문법에서의 문법 지식을 이제까지와는 다르게 기술하여야 함을 역설하였다.

      • KCI등재

        텍스트 속 문장 쓰기와 문법

        주세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4 No.-

        한 편의 글은 문장들의 산술적 총합을 넘어선다. 그러나 초등 학습자에게 글쓰기란 ‘문장 쓰기의 총합’으로 느껴지기 쉽다. 문장에 대한 교육은 작문 수업보다는 문법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보편적이었으나, 정작 이제까지 문법 영역에서 이루어진 ‘문장’ 교육은 글쓰기에 생산적으로 활용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쓰기 영역에서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로 하는 문장에 대한 관점과, 지금까지 문법 교육에서 이루어져 온 통사적 지식 중심의 문장 개념은, 서로 충돌된다. 이를 극복하는 대안적 관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문장 쓰기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2장은 국어과 교육에서 문법 영역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면서, ‘글쓰기와 문법의 관계, 문장 쓰기와 문법의 관계’를 보는 본고의 관점을 확인한다. 3장에서는 텍스트 개념과 문장의 관계를 살펴본다. 이로써 문법 영역에서 취해야 할 문장 쓰기 교육의 타당한 관점을 확립한다. 4장에서는 문장 쓰기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체계를 구체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을 일부를 재구성함으로써, 내용 체계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 text should not regarded as the net sum of sentences. But most of learners(especially elementary graders) think of writing as the sentence-by-sentence activity. Mos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nk that a sentence be treated in the 'grammar' domain. But with the grammatically-minded-sentence concept, learners can hardly produce the text. The conflictive perspectives between writing and grammar should be solved. In this thesis, I've proposed the alternative perspectives and contents in grammar education. In chapter 2 I've elucidated the viewpoints about the relationships of writing-grammar and sentence-grammar, in addition to the role of grammar domain. In chapter 3, I've made an argumentations about the reasonable standpoint. Finally in chapter 4, I've organized the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for sentence writing. I've also show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through the contents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textbooks.

      • 문법 지식의 교육적 가치 재발견

        주세형 서울大學校 師範大學 國語敎育科 2005 先淸語文 Vol.33 No.-

        This thesis intends to rediscover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grammatical knowledge. The grammar education has been devaluated through the short history of the grammar education. Kim Kwang Hae(1992) suggested 'the Heuristic learning' as teaching method. From then of the grammar education in Korea make a remarkably accomplishment. people say that his contribution to grammar education is frequently confined only to teaching method. The Heuristic Learning connotate the changing the perspective of grammatical knowledge. That is the essential nature of grammatical knowledge is not fixed but dynamic, That is why grammar education is now stressing the role of learner. In the memorial of his achievements, I make a search for the educational value of grammatical knowledge. First, the grammar should meet the rhetoric. Grammar knowledges play an important part during language activity. Rhetoric would make it possible to choose the grammar should meet the logic. Today it is said that all the knowledge is constructed by language. So grammar education should enlarge the educational scope by stressing the world view through grammatical knowledge. The third, the grammar should meet the culture. During last years grammar education only have focused on historical facts or vocabulary as a cultural education. But they have shortcomings or are insufficient in some respect. Grammar system is suitable for interpretation of linguistic culture. The present grammar system is the outcomes of which the people of language community frequently use everyday. So, grammar is condensed with the every aspect of social cognition.

      • KCI등재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과학 지문의 특성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국어) 지문을 중심으로

        주세형,남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scientific texts used in Korean reading assessment. For this purpose, total 36 scientific texts used in 1994~2015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Language Art) were analysed and then categorized with its characteristics. Before analysing texts, theoretical tool was designed based on Wang(1998), which had analysed contents of scientific history texts in textbook. On the contents level, scientific concept, process, context, and on the expression level, mainly paragraph were selected as key items for analysing texts. Using this theoretical tool, scientific texts used in CSAT has finally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Type ① is the text which has included scientific concept, process, context, and these contents have fitted in with paragraph structure, so it would be appropriate texts in Korean reading assessment and scientific education also. Type ② is the text which has mainly included scientific concept without process and context, and these abstract concepts have expressed with very elaborate and detailed sentences. So it could not be read easily without content knowledges. For this reason, this type would be reconsidered as texts for reading assessment. Type ③ is the text which has included scientific concept and process. Depending on how much this process would be exposed on the text and how much this process would fitted in with writing strategies of developing content, appropriacy of this text would be differentiated. Type ④ is the text which has included scientific concept, process, context, however, these contents have not fitted in with paragraph structure. So it might be appropriate texts in science education, however, in Korean reading ssessment it would not. 본 논문은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 나타나는 비문학 텍스트의 특성을 탐구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정 내용 분야의 텍스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교육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각점을 세우고, 1994년부터 2015년까지의 대학수학능력평가시험 언어영역(국어)의 총 36편이 과학 지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과학자인 필자가 비전문가인 독자를 대상으로 쓴 과학 지문은 그 자체로 교육적 성격을 띤다는 점, 지식의 발생적 맥락에 주목한 역사발생적 원리에 의거하여 과학사가 과학교육의 핵심 내용이 자 방법으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과학사 지문의 내용 분석을 시도한 Wang(1998)의 논의를 토대로 과학 지문 분석을 위한 내용 요소(개념, 과정, 맥락)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들 내용 요소들이 국어과 문단 짜임 및 연성화 장치와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교차 분석하여, 읽기 평가 맥락에 나타난 과학 지문의 유형을 크게 4가지로 귀납하고 각각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유형 ①은 개념, 과정, 맥락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발생적 맥락이 잘 복원되어 있고 이들 내용 범주가 국어과 문단 짜임에 잘 부합되는 유형으로서 국어과 읽기 평가를 위한 지문으로 손색이 없는 유형이다. 유형 ②는 과정 및 맥락 없이 개념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형으로서, 개념 이해를 돕는 내용요소도 없고 형식화된 개념의 속성상 상술과정이 정교하고 조밀한 까닭에 국어과 연성화 장치가 개입할 여지도 적다. 그 결과 배경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독자가 의미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지문으로서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적절성이 재고되어야 하는 유형이다. 유형 ③은 맥락 없이 개념과 과정이 포함된 유형으로서, 과학적 사고가 국어과적 내용 전개 방식과 부합하는 정도에 따라 읽기 평가 지문으로서 적절성 판단이 갈릴 수 있다. 유형 ④는 개념, 과정, 맥락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나 국어과 문단 짜임과 부합되지 않아 내용 파악이 쉽지 않은 유형으로서, 과학교육의 맥락에서는 유의미한 지문일 수 있으나 국어 읽기 평가 맥락에서는 적절성 판단이 필요한 지문이다.

      • KCI등재

        ‘문법 교사의 수업 전문성 평가 모형’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주세형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 새국어교육 Vol.0 No.77

        A Research on the Cognition of Korean Teacher: About the Model for Evaluation of Teaching Speciality of Grammar Teacher 본고는 ‘문법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실태’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임찬빈 외(2006)에서 작성된 기준을 기초로 하여 ‘훌륭한 문법 교사의 요건’, ‘좋은 문법 수업의 요건’, ‘문법 교사의 자기 전문성 향상을 위한 활동’ 각각에 대해 평가 기준 모형을 만들었다. 완성된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설문을 작성, 전문성을 인정받은 전국의 국어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 수집한 데이터의 출처가 ‘전문성’을 인정받은 교사였음을 상기할 때, 소수의 데이터라고 할지라도 전문성 있는 교사들의 ‘경험’ 및 ‘개인적 지식’은 충분히 경청되어야 하고, 세밀히 분석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법 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실태 양상을 보여줌으로써, 문법 교육 현장을 이해하는 거점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법 교사 교육에 대한 연구문제 중에서 선결되어야 할 것을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핵심 질문 중심으로 본 국어과 평가의이론적 모형 연구-읽기 선택형 평가를 중심으로-

        주세형,남가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21

        Purpose:This study is proposed for theorizing Korean Language Assessment. Methods:For this purpose, it is focused on Korean teachers’ essential questions emerged during designing and implementing assessments. Results:From 12 essential questions, this paper focuses on two questions as follows:First, ‘What is assessment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texts or competence?’ Second, ‘Can multiple-choice test item does assess divergent thinking?’ Conclusions:Through answering these two essential questions with inquiring pedagogical theories and exis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ories, we have theorized Korean Language Assessment and draw main issues in detailed. 목적:본 연구는 국어교육 평가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참조할 수 있는 이론이 체계화되지 못했다는 반성에 의해, 국어과 정체성을 확보하면서 국어과 평가 실행 과정에서 참조할 수 있는 중간 층위의 이론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이를 위해 읽기 선택형 평가를 중심으로 하되, 국어 교사의 평가 실행 과정에서 도출되는 질문들을 가공, 추상화하여 핵심 질문을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국어과 평가의 이론적 모형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결과:총 12개의 핵심질문 중 2개, 첫째, ‘국어과 평가의 대상은 자료인가, 능력인가’. 둘째, ‘선택형 평가로 발산적 사고가 평가 가능한가?’의 질문에 이론적으로 답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론:이를 통해 일반 교육학 이론 및 국어교육학 이론을 조회하면서 세부 쟁점들을 중심으로 국어과 평가론을 구체적으로 구성해 가는 과정을 보이고 국어과 평가의 이론적 모형을 가시화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