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한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경험과 인식

        나인정,한송이,이광림,김보배,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Method: Five teachers at special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qualitative approach. Results: First, compulsory human rights education was necessary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rotect their human rights by themselve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know-how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not properly guaranteed. Final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a need for setting an example for themselves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y expected the genera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o respect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have appropriate training about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establishment of inter-agency networks, and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parents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장애학생의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5명으로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질적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장애학생 스스로 인권을 지키기 힘들기 때문에 의무적인 인권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는 영상자료 활용, 소규모 형식, 활동 중심의 인권교육 등 장애학생 인권교육에 대한 노하우를 가졌다. 셋째, 특수교사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권 침해와 언어폭력 등 장애학생의 인권이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다. 넷째,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인권보호를 위해 스스로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일반교사와 관리자의 장애학생 인권 존중을 기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장애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학생 인권 관련 연수,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실제적인 인권교육 프로그램,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강화 및 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그리고 장애학생 인권을 위한 학교-가정 간의 협력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나인정,이미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over special teachers’ experience about supporting university entra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 specia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support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university entranc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university entra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made a great effort providing a variety of entrance information to get students ready. Second, parents who wanted university entrance of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nded not to be reasonable when it comes to university entrance decision process of their children.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been concerned about lif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their university entrance. Finally, there should be a great support in many different types of level from home and school to nation. Conclusion: Systematic parent education, university entrance guidance including independent living and self-determination abilit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 comprehensive entrance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offer information about university entra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연구목적: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사 중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발달장애학생을 지원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특수교사 4명으로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은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입학 정보 제공 등 학생을 준비시키기 위한 다양한 역할과 노력을 기울여 왔다. 둘째,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학부모가 자녀의 대학진학 결정 과정에서 합리적이지 못한 면이 많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이후의 생활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고, 발달장애학생이 진학할 수 있는 학과의 제한으로 일반교사 및 교육청 관계자 등과 협력적인 대학진학 지도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가정, 학교, 국가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지원하기 위해 체계적인 부모교육의 제공, 발달장애학생의 자립생활과 자기결정능력의 내용을 포함한 대학진학 지도,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입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적인 입학정보시스템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의 성과 성교육에 대한 인식

        나인정,이미숙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xual consciousness of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heir perception towards sex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ix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The researcher drew up questionnaire guideline to conduct personal or group interviews for two or three time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were the same as their peers concerned with the opposite sex and sex itself for which they had certain curiosity and desire. They were brought up under forbidden sexual behavioral environments by their parents and were afraid of the sex. Second, the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were continuously accessing the pornography. Whenever they watched the videos, they masturbated and felt the extreme sense of guilt. Finally, the mal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classes of secondary schools had continuously taken the sex education but they hardly remembered or learned the contents. This confirmed that the sex education in schools need to emphasize the right perspectives on their own sex and sexual behavior and sex education should be done wit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interests, and needs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의 성과 성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 6명으로, 자료 수집은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들은 ‘성’에 대하여 남자와 여자, 연인, 섹스 등을 떠올렸고, 이성교제를 하지 못한 것에 대해 아쉬움과 두려움을 나타내었으며, 스스로 이성간의 스킨십의 정도를 정해놓았고, 일반적으로 이성과 성을 금기시하는 양육환경 안에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들은 선정적인 동영상(야동)에 대하여 계속적인 접속을 하고 있으면서도 야동과 자위에 대한 과도한 죄책감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들은 학교 성교육에 대해 무의미하게 느끼고 있었고, 각자의 선호하는 방법으로 성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성교육을 실시할 때, 경도 지적장애 남학생들이 자신의 성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올바르게 바라볼 수 있는 성 인식을 심어주는 내용을 포함해야 하고, 지적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성교육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이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여 성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

        나인정,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al class teachers’ experiences in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suggest way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5 special class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Qualitative interviews were implemented, and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s: First, the special teachers felt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The teachers also thought that special schools were more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the special class teachers made various effort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felt importance of the support from assistive staff. The teachers figured out that the parents preferred to send their children to special classes instead of special schools. Third, the special teachers felt that it mad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ppy to show the changes. As well, the teachers felt appreciation from the parents and helpers. Finally, the special teachers wanted to have trust of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requested administrative support for inclusive plac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administrative support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for parents such as providing special school tour programs an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hould be implemented. As well, it is important for special teachers to make an effort to get involved in a professional learning group for teacher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통합교육 경험과 그에 따른 지원요구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5명으로, 자료 수집은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참여와 수업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은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었고, 보조인력과 함께 이들을 지원하고 있었으며,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부모는 특수학교보다는 특수학급에 기대를 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적 변화에 뿌듯함을 경험하기도 하였고, 학부모와 도우미 학생들에게 고마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부모와 신뢰를 형성하기를 기대하고 있었고,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전담인력 배치 등 행정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결론: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배치를 위한 행정적 지원, 특수학교 견학 프로그램 제공 등의 학부모 지원,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마련 등의 교육적 지원, 전문적 학습 공동체 참여 등을 통한 특수교사 차원의 노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관련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및 시사점 탐색

        나인정,권혁상,김민정,남광현,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3

        Purpose: This study looked into Korean journal articles, regarding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n terms of general trends and topics. Method: A total of 37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5-2018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general trend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related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were conducted in special education, and were published mostly between 2013-2015. Survey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ologies. Resul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opics showed four principal categories of selected research, such as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hospital schools, online education, returning to schools and plans for educational support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need to improve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Second, systematic approach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hospital schools need to be constructed. Thir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onlin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s needed. Lastly, more efforts is needed to promote health-impaired students returning to school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게재 논문의 개괄적 특징과 주제별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5-2018년에 게재된 건강장애학생 교육관련 주제의 학술지 게재 논문 37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괄적 특징에 대한 연구 결과, 건강장애학생 교육관련 연구는 주로 특수교육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었고, 게재 연도는 2013-2015년이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와 질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주제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건강장애학생의 병원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 온라인 교육, 학교 복귀,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방안 등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은 양적 및 질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병원학교의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인 병원학교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의 질적 제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건강장애학생의 학교복귀를 위한 노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 KCI우수등재

        백제 사비기 전달린 완의 계보와 지역성 검토

        나인정 한국고고학회 2019 한국고고학보 Vol.0 No.110

        Bowls with extended rims dating to the Sabi phase are believed to have been used by the Baekje elite, since example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areas of Buyeo and Iksan, where major cities of the Sabi phase were located. The number of such finds are limited, compared to other types of vessels. A detailed study of this particular type of vessel has yet to be undertaken; bowls with extended rims have only been studied as an element of ‘Sabi Style pottery’, with focus on their origins, production techniques, and type classific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genealogy and regionality of Sabi phase bowls with extended rims by comparing them with the bowls with extended rims of other phases and polities. Furthermore, an attempt was made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bowl with extended rim’ and to establish its function. ‘Extended rim pottery’ was renamed as ‘bowls with extended rims’ in order to distinguish this type from other types of vessels featuring extended rims.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se vessels were inferred based on their excavation contexts. The existing research regards bowls with extended rims as food containers used by the elite but the majority of the examples have been recovered from drainage and water catchment facilities, thereby indicating that they served a ritual functi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Sabi phase bowls with extended rims and that of Goguryeo bowls with extended rims (‘Yibae’ vessels), bowls with extended rims of the Hanseong Baekje phase, and those from the Yeongsan River region were compared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le origins of Sabi phase bowls with extended rims. Paddled line patterns, which are a characteristic element of Sabi phase bowls with extended rims, could not be observed in the case of Goguryeo Yibae vessels. Furthermore the method used to cut the rims was different from that used for Goguryeo Yibae vessels. Differences could also be observed in terms of specific attributes. Therefore, while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Goguryeo culture and style generally had an influence in the Sabi phase, it is unlikely that Goguryeo craftspeople had produced the Sabi bowls with extended rims. In terms of regionality, although Iksan has been regarded by many researchers as the main city of the Sabi phase, there has also been the view that pottery produced in Iksan was inferior to pottery produced in Buyeo. Howeve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rough standard deviation analysis that the bowls with extended rims from the Iksan area were more standardized than those from the Buyeo area.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pplied to the examples from Iksan were found to be more delicate and varied.

      • KCI등재

        장애인 보호자가 인식하는 보호자 지원에 대한 경험 및 요구

        이미숙,나인정,한민경,조연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보호자를 대상으로 장애인 보호자에게 제공된 지원의 수혜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 장애인 보호자에게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에 대한 보호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장애인의 보호자로 역할하는 장애인의 부모, 형제자매를 17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보호자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지원 기관의 부족으로 장애인 돌봄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장애인 보호자는 장애인 보호자를위한 지원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원이 장애인 보호자에게 초점이 맞추어진 지원임을 알지못하였다. 셋째, 장애인 보호자는 장애인 또는 보호자에 대한 지원을 스스로 찾아 나서야만 지원을 받을수 있다는 것을 안타까워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보호자는 교육적, 심리⋅정서적, 법적, 의료적 지원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지원을 요구하였다. 결론 장애인 보호자를 위한 지원은 장애인의 연령이나 가정의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폭넓게 이루어져야하고, 체계적인 과정으로 실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공과 현장실습 및 취업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 및 관련 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이미숙,이광림,나인정,남광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ssues related to support for internship and employment in majoring courses and to suggest possible improvements for internship and employment by employing a focus group interview(FGI) as research methodology.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of teaching in majoring courses as well as special education experts. The researchers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Collected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based on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s: The issues related to the internship and employment in majoring courses included insufficient workplaces, taking a long time in adapting to workplaces, and difficulties with the roles of internship teachers and job coaches to workplaces. In terms of improvements, first of all, the curriculum of job training in majoring courses should be linked to students’ internship and employment. Second, there was a need for support on deteriorated facilities and equipment to facilitate in-school internship and building facilities for a linkage between school programs and employment. Third, the support of job training coordinators was critical in order to facilitate support internship and employment. Conclusion: Finally, establishing connections and a united path with associated organizations for facilitating the employ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FGI를 통해 전공과의 현장실습 및 취업 지원과 관련된 문제점을 알아보고 실효성 있는 현장실습 및 취업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공과 운영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2명, 특수교육 관련 전문가 5명, 총 1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담(FGI)을 실시하였고,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범주화 및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전공과의 현장실습 및 취업 지원과 관련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과 현장실습을 위한 산업체 부족, 장시간의 장애학생 직장적응 소요시간 문제, 현장실습 담당 교사와 산업체 내 직무지도원의 역할수행의 어려움이 장애학생 현장실습의 주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과의 직업훈련 교육과정 내용은 현장실습 및 취업과 직접적인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내 현장실습 활성화를 위해 노후화된 시설 및 설비에 대한 지원과 학교 프로그램과 취업과의 연계성을 위한 시설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현장실습 및 취업 지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직업훈련 코디네이터의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장애학생 취업 활성화를 위한 유관기관과의 연계 및 일원화된 경로가 구축되어야 한다. 결론: 전공과의 현장실습 및 취업 지원을 위하여 관련 인력 배치, 시설 구축, 지역사회 관련기관 간의 연계 등 실질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