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도시민의 이용 특성 연구 - 수원시를 대상으로 -

        김예성,김현,고진수,Kim, Yea Sung,Kim, Hyun,Ko, Jinsoo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5

        도시에서의 녹지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법에서는 도시공원을 도시계획시설로 정의하고 1인당 공급면적을 규정하고 있지만, 공원조성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높은 지가와 재원부족으로 인해 도시공원의 조성 및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도시민의 경우 이용의 개념으로 도시녹지를 인지하기 때문에 법정도시공원뿐 아니라 하천, 저수지, 학교 운동장 등 기타녹지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도시민들은 이용 자체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법정도시공원뿐 아니라 하천, 저수지, 학교 운동장 등 기타녹지도 공원과 유사하게 인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녹지를 법정공원녹지인 도시공원과 기타 녹지로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공원 이용행태와 이용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유형 간에 주목할 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 같은 사실에서 향후 1인당 공원면적 산정 시 현행 법정공원녹지 외에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하천, 저수지, 학교녹지, 아파트 녹지 등 기타녹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의 도시녹지 면적 산정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향후 도시공원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재원 부족으로 인한 장기 미집행시설에 대한 해제에 대비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도로 만족도, 접근 편리성, 동선 편리성 등 접근성에 대한 요인이 도시공원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도시공원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원면적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도시공원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도시녹지로 이동하는 수단이 대부분 도보임을 감안할 때 도시녹지로 이용하는 경로 분석을 통해 베리어 프리, 도보 안정성 확보 등 도시녹지 접근 편의성에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importance of green spaces in the city is growing each day. Local governments are taking charge of park development works that are having difficulty in developing and managing urban parks due to high land value as well as a shortage in finances. This is even though an urban park is defined as an urban planning facility and the law provides park area per person. Civil residents, meanwhile, are using not only urban parks provided by law but also other green areas such as rivers, reservoirs, and school playgrounds because they recognize urban green areas by the concept of use. In this study, accordingly, urban green areas were sorted into two types, urban parks, parks provided by law, and other green areas, and the difference in use pattern and use satisfaction by 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According to such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nclude other green areas, such as rivers, reservoirs, school green areas, and apartment green areas in addition to the current park green areas provided by law when park area per person is calculated, and such calculation of urban green areas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can reduc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burden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future urban park policies. It is judged that such results can become a plan against the cancellation of unexecuted urban facilities. The fact that accessibility factors, such as road satisfaction, access convenience, and convenient movement, are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urban park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urban park accessibilities rather than to quantitatively expand park area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urban parks. Considering that people travel to urban green areas mostly by walking, it is necessary for access convenience to conduct follow-up studies such as barrier-free and securing walking stability through analysis of routes to urban green areas.

      • KCI등재

        동시대 도예의 장소 특정성 연구

        김예성(Kim, Ye-Sung),김지혜(Kim, Ye-S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2

        역사의 시작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인류사에 등장하는 모든 유형의 도자는 주어진 환경과 장소에 따라 형태와 쓰임이 다른 ‘장소 특정적’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도예의 장소 특정성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도예의 영역을 넘어 동시대 미술과 문화로 그 담론을 확장해나가는 동시대 도예의 경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소와 공간에 관한 이론과 장소 특정적 현대도예 작품들을 연구하였다. II 장은 배경 연구로서, 모더니즘의 공간으로부터 동시대 미술에서의 ‘장소성’의 회복까지의 일련의 변화과정을 이 푸 투안(Yi Fu Tuan)의 이론을 대입시켜 설명하고, 권미원의 장소 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의 계보를 기술하였다. Ⅲ 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전개된 현대도예에 대한 정리와 함께, 김예성, 이연숙, 야스민 스미스(Yasmin Smith) 등 도예의 언어로 장소 특정적 작업을 활발히 진행하는 국내외 작가들의 최근 작업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상과 현실의 장소에서 행해진 장소 특정적 현대도예 작업의 탐구과정을 통해 그 안의 서사들이 도예계를 넘어 우리 사회와 미술 안에서 확장된 담론으로서 기능함을 발견하며 동시대 도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가늠하게 한다. From the beginning of history to the present, all types of ceramics appearing in human history have a site-specific character that differs in form and use depending on the given environment and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ceramics to expand its discourse beyond the realm of ceramics to contemporary art and culture by studying the specificity of the location of these ceramics. To this end, theories about place and space and site-specific contemporary ceramic works were studied. Chapter II is a background study, explaining the changes from the space of modernism to the restoration of the place in contemporary art by substituting the theory of Yi Fu Tuan, and Miwon Kwon s The genealogy of Site-Specific Art was described. In Chapter Ⅲ, along with a summary of the contemporary ceramic art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the recent cases in the language of ceramic or clay works such as Kim, Ye-sung, Lee, Yeon-sook, and Yasmin Smith are analyzed. In this study discovers that the narratives within the ceramic art world function as an expanded discourse within our society and art through the exploration process of site-specific contemporary ceramic works performed in everyday and real places. It allows us to gauge the new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ceramics.

      • KCI등재

        얼굴의 골격과 근육에 따른 노인 분장에 관한 연구

        김예성(Kim Yea-Seong),김민경(Kim Min-Kyung)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03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4 No.1

          The make up style of character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ir race, social environmen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life cycle. Expecially their age and bone structure connote personal life style and history. They must be most important factors in make up.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hat we suggest what is the effective make up method according to acial bone structure and muscle.

      • KCI등재

        FGI를 이용한 발달장애인 친화마을만들기 사업의 성과와 거버넌스 분석: 의왕시 쉐어블프로젝트 1차년도 과정을 중심으로

        김예성(Kim, Ye-sung),오승환(Oh, Seung-hwa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2

        발달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일상적인 삶을 누리면서 자연스런 이웃으로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비장애인들의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경기도 의왕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에서는 지역사회 다양한 참여 주체들과 협력하여 발달장애인들이 자립하여 살아갈 수 있는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하고자 ‘쉐어블프로젝트 발달장애인 친화 마을만들기 사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쉐어블프로젝트 마을만들기 사업의 추진 과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마을만들기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기 위해 필요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의왕시 쉐어블프로젝트에 참여한 시민활동가, 사회복지전문가, 발달장애인 가족, 지자체 공무원 등 다양한 주체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도출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만들기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의 주도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둘째, 지역사회가 지닌 고유한 특성을 잘 파악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업을 이끌어가는 주체의 촉진적 리더십이 필요하다. 넷째, 지속적인 만남과 교류를 통해 참여자들간 신뢰와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다. 다섯째, 지방정부의 관심과 지원은 마을만들기 사업에 큰 힘이 된다. 더불어 발달장애인 친화 마을만들기 사업의 지속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order for a perso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to live a daily life in the community, the efforts are needed to shift the awareness of non-disabled people in the community. The Famil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in Uiwang-si, Gyeonggi-do, in cooperation with various participating actors in the community, carried out the “Shareable Project Development of a Community for the Disabl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reate a community environment wher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live independently. This study aimed to obtain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for the settlement of communit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progress and outcomes of the Shareable Project.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various actors, such as citizen activists,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n order for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to be successful, citizen-led participation is very important. Seco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us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Third, the leader that leads the project must have a facilitating leadership. Fourth, trust and empathy among participants can be elicited through continuous meetings and exchanges. Fifth, the interest and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can be a great power to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독거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관한 연구

        김예성 ( Kim Ye S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증가하는 현상황에서 독거여부가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건강증진행위 변인이 지니는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시내 3개구 독거노인지원센터에 소속되어 있는 독거노인들과 노인복지관,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독거노인 208명과 가족동거노인 199명에 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선행연구들에 기반하여 노인의 독거여부가 직접적으로 또는 건강증진행위를 매개로 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 방정식을 통해 이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은 가족동거노인에 비해 건강증진 행위 및 신체적 정신적 건강 수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행위는 독거 여부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매개하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사회가 독거노인의 열악한 건강수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임을 알려준다. 나아가 독거노인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독거노인들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건강증진행위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시키고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ving alone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in the present situation of increase of seniors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mainly examined. Data was collected by administering surveys to elderly people living alone belong to the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people who use elderly welfare centers or senior citizen centers located in 3 districts of Seoul area. As a result, data from 208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199 elderly people living with family members were used.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e analytic model supposing the variance of living alone would a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directly or indirectly mediated by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developed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are lower than elderly those of people living with family members. And the vari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s mediating factor of the variance of living alone and the level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From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Attentions to the health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re needed and the systems for increas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should be prepared and diffused for protecting health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 KCI등재

        조손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상태 및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예성(Ye Sung Kim)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evel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 headed families comparing children of normal families and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 headed family. In order to collect data,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15 social w chare centers and 33 commun exacucted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xunggi area, 11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psychosocial adjustment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 headed families was lower than children of mormal families. Secondly, the physical health problem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the pschosocial adjustment and the sollows. Firstly, was the secondly effective factor. With aanve study results, he rcould, waslude that the social system for imprnvement of physical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f grandchildren of grandparent headed family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사춘기 성숙시기에 따른 여자청소년들의 적응에 관한 연구

        김예성(Ye Sung Kim),안재진(Jae Jin Ahn)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5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bertal timing on the psychosocial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girls.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 was used for analysis. The theoretical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pubertal timing and adjustment of adolescent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level of aggression and school rule compliance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ubertal maturation and the difference would persist until next year. The structural equational model was employ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Earlier pubertal timing increases the level of aggression, but has no effect on school compliance. The cross-lagged effect was found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rule compliance for two years. In conclusion,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sex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stages and the necessity of attention and intervention in regard with individual maturation phase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