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남권 취업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문수,이교일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employee job satisfaction in Yeongnam region. For this purpose, study analyzed 1,159 employees in Yeongnam region and mainly used 'Youth Panel' provid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s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orking conditions for the employees in Yeongnam region were found to affect the level of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mismatch causes ch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onditions for the employees in Yeongnam reg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way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local employees by verifying relationships among the working conditions for employees in Yeongnam region, mismatch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central government, local municipalities, companies and universities in local communities need to establish policies and programs to improve the level of mismatch. 본 연구의 목적은 영남권 취업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를 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권 취업자인 1,159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영남권 취업자의 근로조건은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남권 취업자의 근로조건과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미스매치로 인하여 이들의 관계는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남권 취업자의 근로조건과 미스매치,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지역사회 취업자의 일자리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기업, 지역사회 대학이 미스매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정보격차 해소를 통한 교육 복지 공동체 실현방안에 대한 연구
김문수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6 기독교교육정보 Vol.15 No.-
The concept of welfare originated from 'love and equality' in the Bible. So, educational welfare means resolving inequality in education by giving opportunity and quality. Today, we have succeeded in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creasing th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But, we have many problems with regard to the inequality of education. The economical gap between the poor and the rich deepen the inequality of education. An alternative proposal to solve this problem is e-learning by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E-learning provides easy, convenient, and useful tools, and guarantees free and equal access with a low price. It can be an open service for all people. But, e-learning doesn't have an all-round capability. To make this alternative plan successful, the information gap must be resolved. Though, Korea ranks 7th in high-tech in the world, 52.6% ofthe people are out of touch with the benefits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not the matter of an economical gap or the possession of an information machine and tools; rather it is the matter of information illiteracy, an informational mind, and the unbalanced use of information. Therefore, to construct a digital educational welfare community, it is an urgent problem to resolve the information gap by teaching information literacy, developing good digital contents, and promoting a balanced use of information.
김문수,박원익 한국사회경제학회 2022 사회경제평론 Vol.35 No.3
The recent infl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supplyled inflation. Central banks worldwide are responding to the current inflation with tightening monetary polici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the expectation channel is operating in Korea. The expectation channel is the path through which the monetary policy affects expected inflation, and expected inflation affects actual inflation.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is channel,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and the Toda Yamamoto Granger causality test were performed with SVAR models. As a result, expected inflation was formed in a pastoriented way.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on expected inflation was either insignificant or inconsistent with the intention of the monetary authorities. The influence of interest rates and expected inflation towards actual inflation was negligible compared to supply factors such as oil pri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Korea’s expectation channel is not working effectively. 최근 발생하는 고물가 현상은 공급 주도 인플레이션의 특징을 보인다. 각국 중앙은행은 강한 통화 긴축정책으로 이에 대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화정책 파급경로 중 기대경로가 한국에서 작동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기대경로는 통화정책이 기대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주고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통화정책 효과가 전달되는 경로이다. 기대경로의 유효성을 분석하기 위해 단기제약을 부과한 SVAR 모형으로 충격반응함수 및 예측오차 분산분해 분석과 토다·야마모토 그랜저 인과검정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기대 인플레이션은 과거지향적 방식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보였다. 통화정책이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거나 본래의 정책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타났다.금리 및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의 예측오차를 설명하는 정도는유가 등 공급요인에 비해 미미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에서 통화정책 기대경로가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