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 읽기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일대일 어휘 중재 사례 연구: 명시적 정의, 상황적 맥락, 형태소 분석을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il ),이연재 ( Lee¸ Yeonjae ),김희은 ( Kim¸ Heeeun ),김민하 ( Kim¸ Minha ),김명난 ( Kim¸ Myeongna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읽기 학습부진 학생에게 일대일 어휘 중재를 실시한 사례 연구로, 사전검사, 진전도 3차, 사후검사의 5가지 검사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전체 어휘 검사 점수, 그리고 하위 영역인 명시적 정의, 상황적 맥락, 형태소 분석 점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 함으로써 추후 중재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경기도 S 시 소재 3학년 읽기 학습부진 학생 8명을 대상으로 15회기의 어휘 집중 중재와 지속적인 진전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학생들의 검사 총점과 하위 영역별 원점수, t 점수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였다. 어휘 영역 사후검사 원점수는 사전검사에 비해 5점에서 24점 사이의 향상을 보였으며, 학생별 편차는 있었지만 명시적 정의, 상황적 맥락, 형태소 분석의 하위 영역 점수도 향상하였다. 또한, 학생을 직접 지도한 강사의 보고를 결과와 함께 제시하여 점수 변화의 원인과 맥락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3학년 어휘 집중 중재의 효과적 방안과 어휘 하위영역별 성취, 지속적인 교육과정 중심 측정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 case study of one-on-one vocabulary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intervention by checking the students' overall vocabulary test scores and the scores of the sub-areas of explicit definition, situational context, and morpheme analysis scores. From May to July 2021, intensive vocabulary intervention and continuous progress monitoring were conducted for eight third-grade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S city, Gyeonggi-do. Students' total score and t-score for total vocabulary and for the sub-areas were visualized as graphs. The original score of the vocabulary area post-test showed an improvement of 5 to 24 points compared to the pre-test, and although there were variations by student, the scores of the sub-areas of explicit definition, contextual context, and morpheme analysis also improved. The report of the instructor who taught students was presented with the results to explain the cause and context of the change in sc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ed for effective vocabulary intervention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by vocabulary sub-area, and continuous curriculum-based measur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 국내 집단설계연구를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il ),임진형 ( Lim¸ Jinhyung ),안제춘 ( An¸ Jech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설계연구 논문 총 48편(지적장애인 총 903명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변인(소속유형, 발달기), 중재 프로그램변인(프로그램 유형, 중재 기간, 중재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집단 크기), 그리고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의 전체 효과크기는 0.89로 Cohen의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조절변인에 따른 사회성 중재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변인에 따라 통합학급에 소속되어있는 경우와 성인기 지적장애인인 경우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중재 프로그램 변인에 따른 효과는 치료 프로그램인 경우, 17-24주간 중재를 실시한 경우, 30회기 이상인 경우, 회당 1시간 이상 실시한 경우, 중그룹(8-14명)으로 집단을 구성한 경우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셋째,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사회성의 하위변인 중 순응기술, 대인관계, 학업기술, 자기관리, 자기주장 순으로 큰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designed sociality interventions conducted o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48 peer-reviewed articles including 903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meta-analysis. The effects of thos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related variables(affiliation, developmental period),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type of programs, duration, number of sessions, time per sessions, group size), and outcome-related variables. As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 of sociality intervention was 0.89, which is a large effect in terms of Cohen’s criteria, as well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results by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students from inclusive classes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oduced the largest effect sizes. Second, for the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 therapeutic programs, programs conducted for 17-24 weeks, programs with over 30 sessions, programs conducted over an hour per sessions, and middle-sized group(8-14 students) intervention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mong each variable. Third, outcome-related variables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compliance, peer-relations, academic skills, self-management, and assertion. From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김동일(Kim, Dongil),고혜정(Koh, Hyejung),신재현(Shin, Jaehyun),김이내(Kim, Ienai),김우리야(Kim, Wooliya),김붕년(Kim, Boongnyun),이기정(Lee, Kij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고 보다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서 개발된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의 타당도를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그리고 변별타당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항 간 내적 합치도는 전체 .898로 높은 편이었고, 타당도의 경우, 요인의 일차원성이 확보되어 본 검사가 단일요인을 측정하고자 함이 입증되었으며, 기초학습기능 평가체제-읽기 및 수학과의 준거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읽기와 수학의 한 영역 또는 두 영역 모두에 심각한 문제를 지닌 읽기-수학 공존 학습장애의 위험을 보이는 저성취 아동들을 적절히 변별해내는 데에도 효과적인 검사도구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는 교육현장에서 수학능력을 정형화된 연산 정확도로만 측정하기보다 수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문제해결능력을 점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based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measurement’ which can predict with accuracy and measure directly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at measurement. The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curriculum-based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measurement.’ In terms of validit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both criteria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relatively hi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across all items with Cronbach’s α coefficient which was .898. I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it yielded only one principle component and i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ASA-Math and maze test of BASA-Reading.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it was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scores were found among the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math difficulties, and math-reading comorbid difficulties. Therefore, a 'curriculum-based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measurement' would be able to provide a more reliable information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rather than simple calculation test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ppropriately in school settings.

      • KCI등재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의 발자취와 미래 비전: 데이터기반교수(DBI) 적용과 확장을 위한 서설

        김동일(Dongil Kim),최서현(Seohyeon Choi),신재현(Jaehyun Shi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중심측정(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모델에 기반한 기초학습기능수행평가체제(BASA)의 개발과 적용 연구의 역사적 개관과 미래 향방을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습장애군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형의 학습부진 학생들의 선별, 진단, 판별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강점과 약점에 기반한 맞춤형 교수 및 중재의 구성과 투입, 중재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중재의 효과성을 판단하고 필요시 교수적 수정을 실시하는 데이터기반교수(Data-Based Instruction, DBI)의 틀에서 BASA 연구를 정리하였다. 아울러 현장 교사와 학생, 지역사회에 BASA가 기초․기본학력보장 안전망 구축을 위하여 어떻게 적용되고 기여해 왔는지 고찰해보고 향후 BASA 연구 과제와 지향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research and practice on the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a Korean 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developed in the 1970s. In this study, research that has been implemented using BAS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data-based instruction (DBI), was systematically summarized. DBI refers to the instructional decision making process including (1) planning and provid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 for various types of struggling learners, mainly with learning disabilities, based on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dentified in screening, diagnosis, and identification results, (2)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rough frequent monitoring of the students’ responses to intervention, and (3) making instructional changes when necessary.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how BASA has been applied and contributed to the field teachers, students, and local communities by establishing a better educational prevent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th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BM research and application such as BASA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 이용 실태조사 연구

        김동일 ( Kim Dongill ),박준영 ( Park Junyoung ),이주영 ( Lee Juyoung ),김민하 ( Kim Minh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자 전국 17개 시·도 발달재활서비스 바우처 제공기관을 관리하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 17개 시·도 발달재활서비스 바우처 제공기관 2,160개소에 대한 자료를 취합하여 2021년 8월 기준 기관 및 이용자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장애유형별 서비스 이용 현황은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장애 유형에서 언어재활서비스, 미술심리재활서비스, 감각발달재활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 서비스 이용자 현황은 6세 미만(12,555명/29.1%)에서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연령대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셋째, 지역 및 서비스 영역별 평균 단가 현황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평균 단가는 41,610원이었으며,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등)이 대체로 단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서비스 영역별로는 감각발달재활서비스, 놀이심리재활서비스, 운동발달재활서비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지역별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은 경기, 서울, 경남, 부산, 경북 순으로 많이 운영을 하고 있었으며, 제공인력은 경기, 서울, 부산, 인천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대기자 수는 서울, 경기, 인천, 전남 순으로 대기자 수가 많았으며, 평균 대기기간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순으로 길게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의 특성, 서비스 단가, 제공 인력 활용 측면에서 발달재활서비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use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17 major cities in South Korea. [Methods]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160 service providers as of August 2021.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rehabilitation services in Speech rehabilitation, art-based psychology, and sensory development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cross most disability types. Second, services are used most frequently by children under the age of 6(29.1%), and service users are generally distributed in the lower age group. Third, the total average price per session is 41,610 South Korean won and is generally higher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and Gyeonggi. Regarding service types, the price of sensory development, play-base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and physical exercise development were found to be highest, in that order. Fourth, the most rehabilitation institutions are in Gyeonggi, Seoul, Gyeongnam, Busan, and Gyeongbuk, in that order, while the number of practitioners is higher in Gyeonggi, Seoul,Busan, and Incheon. Lastly, the waiting lists are longest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Jeonnam, and the average waiting period is longer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Gangw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presented.

      • KCI등재

        장애예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 연구

        김동일(Dongil Kim),홍성두(Sungdoo Hong),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장애예술영재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을 조사하였다. 장애예술영재의 추정비율, 선별시기, 교육시작시기, 교육범주, 교육지원체제의 필요성, 핵심과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 334명과 특수교육요구아동의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교사와 학부모들은 장애학생 중 장애예술영재의 비율은 약 1-5% 사이로 추정하고 있었고, 음악과 미술을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주요 범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개인사사제도를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해 필요한 핵심과제와 교육체제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전문교원 양성이 필요하고 교사 연수시 장애영재에 대한 이해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arent’s perception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The responses of 334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100 parent were analyzed for crosstabs. The finding were as follows: (1) teacher and parent estimated the rate of disabled arts talented were 1-5%; (2) They recognized music and fine arts were major educational subjects; (3) adaptive curriculum and individual tutor were core task and system of education for disabled arts talented; (4) we needed to train teachers for disabled arts talented and to teach the trait of disabled gifted to teachers.

      • KCI등재

        개별건물 에너지소비량 보정기법 개발 및 적용방안

        김동일(Kim Dongil),이병호(Lee Byeongho)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20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40 No.1

        Building energy consumption generally depends on living patterns of residents and outdoor air temperature changes. Although outdoor air temperature changes effect o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ere is no calibration method for the comparison before and after Green Remodeling or BEMS installation etc., Big data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re collected and managed by 『National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Building Energy』 in Korea, and they ar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a calibration method for individual buildings as shown as the calibration method for small-area building stocks in th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aims to develope a calibration method using big data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of individual buildings and outdoor air temperature changes, and to propose application of appropriate calibration methods for individual buildings or small-area building stocks according to the calibration purpose and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기개념 프로파일과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의 영향

        김동일(Dongil Kim),임진형(Jinhyung Lim)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1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0 No.1

        본 연구는 학습부진 중학생이 가지는 자기개념의 프로파일을 살펴보고, 프로파일별로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KELS 2013’의 4차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기개념은 전반적 높은 수준 집단, 가족 우세 집단, 평균 수준 집단, 전반적 낮은 수준 집단의 4가지 프로파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이 자기개념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전반적 낮은 집단을 준거로 삼았을 때 전반적 높은 집단에 속하는 데에는 모든 환경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가족 우세 집단에 속하는 데에는 부모 상호작용, 부모 정서 지원, 부모 애착, 교우관계가 영향을 미쳤으며, 평균 집단에 속하는 데에는 부모 정서 지원, 부모 애착, 교우관계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개념 향상을 위한 교육적 중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elf-concept profiles of middle school low achiever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and school environment on each profil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by using the fourth year data of ‘KELS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concept profile of middle school low achiever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high-level balanced group, family dominant group, middle-level balanced group, and low-level balanced group.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self-concept profiles showed that all environmental variables had an impact on being high-level balanced group, when the low-level balanced group was the reference group. Interaction with parents, parental emotional support, attachment, and peer relationship had effects on being family dominant group, while only parental emotional support, attachment, and peer relationship had influences on being middle-level balanced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to enhance low achieving students’ self-concept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 대상 철자 관련 교수의 효과 :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김동일 ( Dongil Kim ),임진형 ( Jinhyung L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철자 능력 향상을 위해 실시된 단일대상연구물을 분석하여 철자 관련 교수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 9월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지 논문 19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Tau-U 효과 크기 계산법을 통해 연구별 효과 크기, 전체 효과 크기, 조절변인별 효과 크기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년별로는 초등학교 저학년군, 학습부진보다는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철자 중심 전략 혹은 읽기+철자 통합 전략을 사용한 교수가 많았고, 의미가 있는 말의 단위보다는 음운 단위로 철자 교수를 더 빈번하게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분석 대상 논문의 전체 효과크기(Tau-U)는 0.9101로, 연구별 효과 크기는 0.7333부터 1.0000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인별 효과 크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중재 충실도 제시 여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중재 충실도를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중재 충실도를 제시한 경우보다 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음운 단위와 의미 단위를 통합한 철자 교수가 더 개발되어야 하며, 신뢰로운 철자검사의 선정 및 중재충실도의 보고 등 중재연구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single case studie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spelling skill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low achieving students, and confirm the effects of spelling instructions. Method: For this study, 19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ntil September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ies and Tau-U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effect sizes of individual studies, and those by controlling variables. Results: First, instructions for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structions focused on spelling strategies or those combining reading with spelling strategies were most frequently used, and instructions based on phonics were more frequently implemented than those based on semantics. Secon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Tau-U) were turned out to be 0.9191, and the effect sizes of individual research were situated between 0.7333 and 1. Thirdly, only whether the study reported intervention fidelity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effect sizes among all controlling variables. In other words, the studies which did not report intervention fidelity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those reporting it. Conclusion: The spelling instructions integrating semantics and phonic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overall quality of intervention studies including the selection of reliable spelling assessments and the report of intervention fidelity needs to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