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학자금 이중지원학생의 개인 및 소속 대학 특성 분석 연구

        홍성두(Hong, Sungdoo),엄문영(Eom, Moonyoung),남수경(Nam, Sooky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3

        이 연구는 정부학자금 이중지원을 받고 있는 학생들의 개인특성과 소속 대학의 특성을 분석 함으로써 대학생 학자금 지원을 위해 투입되는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기관의 재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3년까 지 3년간의 대학 자료 891개와 학생 자료 27,825개를 수집하였고, 학자금 이중지원을 받고 있는 대학생들의 소득분위, 학적, 이중지원 주체, 지급 총액, 등록금 금액, 이중지원 금액 등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해당 학생이 소속되어 있는 학교들의 규모, 소재 지역, 학제, 설립주체, 장학금 지급 총액, 장학금 지급 인원 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계소득 9분위와 10분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자금 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고, 지자체와 민간기관 등에 대한 학자금 이중지원 학생 조사 참여에 대한 의무부과 규정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지원 방지사업 운영을 위한 별도의 인력 및 조직, 다양한 대학 장학금의 명칭과 성격에 대한 분류 작업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정부학자금의 이중지원 수급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중지원 범위 명확화 및 참여기관 조정측면, 이중지원시스템 활용 내실화 측면, 이중지원학생 사후관리 강화 측면으로 구분하여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efficiently utilize the funding from 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institu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n duplicate payment student and college trai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gathered 891 college data and 27,825 student data in 2011~2013, and analyzed the duplicate payment students by SES, enrollment, subjects of duplicate payment, financial aid amounts, tuitions, and duplicate payment amounts. In case of college traits such as size, area, type, education level, and financial aid amounts, the number of financial aid students were also considered analysis variables. In results, college financial aid for 9th, 10th level SES students should be reexamined to achieve student aid program’s goals, and it is also needed to enact the obligation of survey participation for managing duplicate payment student information. In addition, extra manpower, organiza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various college aid types are also needed to execute duplicate payment prevention policy. Finally,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proposals on the range and definition of duplicate payment, the coordination of participation organizations, the enrichment of duplicate payment prevention system and the solidification of follow-up management for duplicate payment students.

      • KCI등재

        발달장애 유무에 따른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홍성두 ( Hong Sungd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단축형을 비장애 학생 집단과 발달장애 학생 집단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검사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먼저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검증을 통한 검사의 구인동등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후 두 집단 간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156명의 연구대상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중 남학생은 91명, 여학생은 65명이었으며, 비발달장애학생은 107명, 발달장애학생은 49명이었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발달장애 유무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의 구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가 발달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발달장애학생과 비발달장애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발달장애 유무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발달장애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유무를 고려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타당화 했다는 점과 척도의 오차를 반영하여 집단 간의 잠재평균의 차이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다른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해 발달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또 교사들은 각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비교적 정확히 파악하여 발달장애 특성에 맞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 유무에 따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점은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onstruct equival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short form using multi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according to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156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ccording to the result, construct equivalence across non-handicapped student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were verified b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refore, the scale could be used for student regardless of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by non-handicapped student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latent means between non-handicapped student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Also, non-handicapped studen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From these results, meaningful suggestions regarding measur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can be made. First,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can know their exa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and they can refer to this for improv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oreover, educators can identify each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and acquire the core information to develop a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c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s between non-handicapped student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student could be a basis for developing a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rogram according to disability.

      • KCI등재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 간의 기울기 타당화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여승수 ( Seungsoo Yeo ),홍성두 ( Sungdoo Hong ),김동일 ( Dong Il Kim ),김희진 ( Heeji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3

        본 연구는 학습장애 진단의 핵심모형으로 인식되고 있는 중재반응모형을 조기선별시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간의 진전도상에 관련성을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의 읽기 영역중에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의 자료를 종단적으로 수집하고 두검사에서 산출된 진전도 기울기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의 연령은 4~5세 유아들로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표집 되었다. 검사도구로는 자체 개발된 음운인식검사와 유창성검사가 사용되었고 10월부터 12월까지 세 번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검사의 매 시점별 상관계수는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음운인식검사는 유창성검사의 기울기를 예측하는데 유의한 변수는 아니었다. 끝으로 본연구의 제한점과 향후연구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growth rates of both phonological awareness and oral reading fluency. An important focus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that these measures could be useful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at risk within an Response to Intervention(RTI). Participants were 52 children enrolled in Seoul and Kyungki Kindergarten. The children across ages 4 to 5 were administered these early reading measures in each month. This study showed that even though there wer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in slopes between the two measures, the growth rate for phonological awareness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oral reading fluency growth rate.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중재연구 동향 분석

        조은혜(Jo, Eunhye),홍성두(Hong, Sungdo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71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초등학교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학 중재 프로그램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국가고시 수학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의 종합 및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다. 이에 따라 선정된 총 23편의 연구물을 확인하여 일반적 특성 및 내용체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 측면에서 볼 때 연구들의 사례 수는 주로 20명 이하였으며,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을 주로 대상으로 하였고, 중재 횟수는 11회~15회 사이가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과정 내용체계 측면에서 볼 때 5개의 수학과 영역중 수와 연산영역에 해당하는 연구 수가 다른 영역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수학영역 전반에 걸쳐 가장 많이 활용된 독립변인 범주는 전략교수 및 기타였으며 교사 주도적중재와 공학기술 활용 중재가 동률을 이루며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중재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rends in mathematics intervention program research conducted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conduct a linkage analysis with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e 23 studies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urriculum contents system.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case students was mainly less than 20, the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was the highest among 11 ~ 15 times, and senior students are more than lower grades. In terms of the curriculum contents system, the number of studies that corresponded to the number and calculation domain of five mathematics domai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domains. The most widely used independent variable categories in the mathematics domain were strategy teaching and others, followed by teacher-directed intervention and engineer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discussed the mathematical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and disabilities. Lastly, we suggested direc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장애예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 연구

        김동일(Dongil Kim),홍성두(Sungdoo Hong),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장애예술영재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을 조사하였다. 장애예술영재의 추정비율, 선별시기, 교육시작시기, 교육범주, 교육지원체제의 필요성, 핵심과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 334명과 특수교육요구아동의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교사와 학부모들은 장애학생 중 장애예술영재의 비율은 약 1-5% 사이로 추정하고 있었고, 음악과 미술을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주요 범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개인사사제도를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해 필요한 핵심과제와 교육체제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전문교원 양성이 필요하고 교사 연수시 장애영재에 대한 이해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arent’s perception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The responses of 334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100 parent were analyzed for crosstabs. The finding were as follows: (1) teacher and parent estimated the rate of disabled arts talented were 1-5%; (2) They recognized music and fine arts were major educational subjects; (3) adaptive curriculum and individual tutor were core task and system of education for disabled arts talented; (4) we needed to train teachers for disabled arts talented and to teach the trait of disabled gifted to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