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매개효과: 학습부진 여부에 따른 다집단분석

        김동일(Dongil Kim),임진형(Jinhyung Lim)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학습부진 여부에 따른 잠재평균과 경로계수의 차이를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4차년도(2016년) 데이터에서 1,126명의 학습부진 학생과 5,407명의 일반 학생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SEM) 분석, 부트스트래핑, 다집단 잠재평균 차이 분석과 경로계수 차이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개념이 긍정적일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아졌으며,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학습부진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습부진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정신건강 문제 수준의 평균은 높고,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평균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개념으로부터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고,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개념으로부터 정신건강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일반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problems on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nd test the differences of latent means and path coefficients between low achieving student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data of 1,126 low achieving students and 5,407 students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were chosen from the fourth year survey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13’, and SEM analysis, bootstrapping, latent mean analysis, and multi-group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elf-concept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problems also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Comparison between a low achieving group and a group without disabilities indicated that low achieving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lower levels of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path coefficient from self-concept to school adjustment in a low achieving group was lower, while the path coefficient from self-concept to mental health problems in a low achieving group was higher, compared with path coefficients observed in a group without disabilities. From the results above, discuss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escribed.

      • KCI등재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 대상 철자 관련 교수의 효과 :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김동일 ( Dongil Kim ),임진형 ( Jinhyung L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철자 능력 향상을 위해 실시된 단일대상연구물을 분석하여 철자 관련 교수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 9월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지 논문 19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Tau-U 효과 크기 계산법을 통해 연구별 효과 크기, 전체 효과 크기, 조절변인별 효과 크기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년별로는 초등학교 저학년군, 학습부진보다는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철자 중심 전략 혹은 읽기+철자 통합 전략을 사용한 교수가 많았고, 의미가 있는 말의 단위보다는 음운 단위로 철자 교수를 더 빈번하게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분석 대상 논문의 전체 효과크기(Tau-U)는 0.9101로, 연구별 효과 크기는 0.7333부터 1.0000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인별 효과 크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중재 충실도 제시 여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중재 충실도를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중재 충실도를 제시한 경우보다 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음운 단위와 의미 단위를 통합한 철자 교수가 더 개발되어야 하며, 신뢰로운 철자검사의 선정 및 중재충실도의 보고 등 중재연구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single case studie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spelling skill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low achieving students, and confirm the effects of spelling instructions. Method: For this study, 19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ntil September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ies and Tau-U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effect sizes of individual studies, and those by controlling variables. Results: First, instructions for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structions focused on spelling strategies or those combining reading with spelling strategies were most frequently used, and instructions based on phonics were more frequently implemented than those based on semantics. Secon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Tau-U) were turned out to be 0.9191, and the effect sizes of individual research were situated between 0.7333 and 1. Thirdly, only whether the study reported intervention fidelity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effect sizes among all controlling variables. In other words, the studies which did not report intervention fidelity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those reporting it. Conclusion: The spelling instructions integrating semantics and phonic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overall quality of intervention studies including the selection of reliable spelling assessments and the report of intervention fidelity needs to be improved.

      • KCI등재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기개념 프로파일과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의 영향

        김동일(Dongil Kim),임진형(Jinhyung Lim)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1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0 No.1

        본 연구는 학습부진 중학생이 가지는 자기개념의 프로파일을 살펴보고, 프로파일별로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KELS 2013’의 4차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부진 중학생의 자기개념은 전반적 높은 수준 집단, 가족 우세 집단, 평균 수준 집단, 전반적 낮은 수준 집단의 4가지 프로파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이 자기개념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전반적 낮은 집단을 준거로 삼았을 때 전반적 높은 집단에 속하는 데에는 모든 환경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가족 우세 집단에 속하는 데에는 부모 상호작용, 부모 정서 지원, 부모 애착, 교우관계가 영향을 미쳤으며, 평균 집단에 속하는 데에는 부모 정서 지원, 부모 애착, 교우관계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부진 학생의 자기개념 향상을 위한 교육적 중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elf-concept profiles of middle school low achiever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and school environment on each profil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by using the fourth year data of ‘KELS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concept profile of middle school low achiever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high-level balanced group, family dominant group, middle-level balanced group, and low-level balanced group.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self-concept profiles showed that all environmental variables had an impact on being high-level balanced group, when the low-level balanced group was the reference group. Interaction with parents, parental emotional support, attachment, and peer relationship had effects on being family dominant group, while only parental emotional support, attachment, and peer relationship had influences on being middle-level balanced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to enhance low achieving students’ self-concept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 국내 집단설계연구를 중심으로

        김동일 ( Kim¸ Dongil ),임진형 ( Lim¸ Jinhyung ),안제춘 ( An¸ Jech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설계연구 논문 총 48편(지적장애인 총 903명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변인(소속유형, 발달기), 중재 프로그램변인(프로그램 유형, 중재 기간, 중재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집단 크기), 그리고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인 대상 사회성 중재의 전체 효과크기는 0.89로 Cohen의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조절변인에 따른 사회성 중재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변인에 따라 통합학급에 소속되어있는 경우와 성인기 지적장애인인 경우에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중재 프로그램 변인에 따른 효과는 치료 프로그램인 경우, 17-24주간 중재를 실시한 경우, 30회기 이상인 경우, 회당 1시간 이상 실시한 경우, 중그룹(8-14명)으로 집단을 구성한 경우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셋째,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사회성의 하위변인 중 순응기술, 대인관계, 학업기술, 자기관리, 자기주장 순으로 큰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designed sociality interventions conducted o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48 peer-reviewed articles including 903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using a meta-analysis. The effects of thos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related variables(affiliation, developmental period),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type of programs, duration, number of sessions, time per sessions, group size), and outcome-related variables. As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 of sociality intervention was 0.89, which is a large effect in terms of Cohen’s criteria, as well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nalysis results by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students from inclusive classes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oduced the largest effect sizes. Second, for the intervention-related variables, therapeutic programs, programs conducted for 17-24 weeks, programs with over 30 sessions, programs conducted over an hour per sessions, and middle-sized group(8-14 students) intervention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mong each variable. Third, outcome-related variables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compliance, peer-relations, academic skills, self-management, and assertion. From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의 의미

        원계선(kyeson, Won),임진형(Jinhyung,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고 교원양성과정에서의 모의수업 지도,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J지역 3년제 유아교육과 1학년, 2학년, 3학년 재학생 18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2018년 1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예비 유아교사와의 인터뷰, 저널 쓰기를 통해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자료 관리’, ‘자료 읽기’, ‘코딩 시작하기’, ‘주제와 범주 생성하기’, ‘기술하기/분석 결과의 시각화’, ‘연구결과 해석하기’의 6단계를 거쳐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은 심리·정서 경험 측면에서 긍정적인 정서 경험, 부정적인 정서 경험, 평가에 대한 이중적인 정서 경험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의 의미는 예비 유아교사가 좋은 수업을 할 수 있는 좋은 교사로 되어가는 과정으로서의 의미와 교사 양성과정에서 효율적인 모의수업 지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의미가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예비 유아교사인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원양성과정에서의 모의수업 지도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ime information about teaching simulated instru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of young children based on learner centered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collect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8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J province.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journal writings from November 2018 to December 2018, and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six stages: managing data , reading data , starting coding , creating topics and categories , visualization of description/analysis results and interpretation of research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simulated instruction could be analyzed a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double emotional experience in evaluation in terms of psychological emotional experience. Second,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the simulated instruction was twofold: the process of becoming a good teacher who could perform a good instru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of young children 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efficient simulated instruction guidance for teachers trainers. Based on the results, a proposal in the process of teacher training course was made on the method of teaching simulated instruction which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who are the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전환교육의 효과 : 국내 집단설계연구의 메타분석

        김동일 ( Kim Dongil ),이미지 ( Lee Miji ),안제춘 ( An Jechun ),최서현 ( Choi Seohyun ),임진형 ( Lim Jinhy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집단설계연구 논문 총 2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관련 변인(학교유형, 학교급, 지능지수), 종속변인, 기타 범주변인(출판유형, 집단설계), 연속형 변인(생활연령, 프로그램 기간)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는 1.198로 Cohen의 기준에 따르면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변인에 따른 생활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는 1) 연구대상 관련변인 중 학교유형별로 특수학교보다 특수학급이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학교급별로는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전공과 이상의 순서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지능지수별로는 70이상의 집단, 50미만의 집단, 50이상 70이하의 집단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2) 종속변인별로는 사회성기술, 직업기술, 자기결정력, 학습기술, 주거관리기술, 지역사회이용기술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3) 출판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학술지 게재논문이 학위논문보다 높았으며, 집단설계유형별로는 실험-통제집단 사후,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단일집단 사전-사후 순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4) 연속형 변수인 생활연령과 프로그램 기간에 대하여는 모두 부적 효과를 보였지만, 프로그램 기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이 아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life-centered transition program conducted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7 articles, including dissertations and peer-reviewed articles conduct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reviewed using meta-analysis. Effect sizes of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related variables(type of school, level of school, intelligence quotient), outcome-related variables, continuous variables(chronological age, duration of program), and other categorical variables(type of article, type of group-designed).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the average effect size of overall life-centered transition program was 1.198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is considered as a large effect in terms of Cohen’s criteria. The analysis results by variables were as follows: 1) among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programs in special classes were more effective than in special schools by type of school, level of school produced a larger effect size in order of elementary, middle, high, and above majoring course, and intelligence quotient produced a larger effect size in order of above 70, less than 50, more than 50 and less than 70. 2) outcome-related variables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social skills, occupational skills, self-determination, learning skills, housing management skills, and community use skills. 3) effect sizes in peer-reviewed articles were revealed as larger than dissertations by type of article, and type of group-designed produced a more significant effect size in order of experiment-control group post test, experiment-control group pre-post test, single group pre-post test. 4) continuous variables including chronological age and the duration of program both produced positive effect, whereas the duration of progr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abov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원발성 갑상선 미세 악성림프종 1예

        박달수,임진형,편준철,이영수,최영식,박요한,김중규,장희경 고신대학교 의학부 1998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13 No.1-2

        Primary malignant lymphoma of the thyroid is a relatively rare malignant tumor of the' thyroid gland. It is known to be frequently associated with Hashimoto's thyroiditis. In Korea, 8 cases of primary lymphoma of the thyroid have been reported. All patients were over 64 years of age and the size of masses was over 5cm. A 23-year-old woman complained of diffuse goiter. High resolutional ultrasonography revealed 0.6×0.3×0.7cm sized focal low echoic lesion at the deep portion of the left lobe and 0.9×0.5×0.8cm sized focal low echoic lesion at the mid-portion of the right lobe of the thyroid gland. We performed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on the both nodules. The cytologic finding of the nodule in the right lobe suggests malignant nodule and that of the left lobe showed Hashimoto' s thyroiditis. Near total thyroidectomy was performed and confirmed a tumor of low-grade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which size was 0.8cm. She was treated with combination chemotheraphy (cyclophosphamide, oncovin, epirubicin, methylprednisolone and bleomycin).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