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高校 地球科學 敎育內容中 扁平度에 관한 硏究

        崔光善,張鎬炯,金相達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89 科學敎育硏究報 Vol.16 No.-

        We analyzed the gravity anomalies, by making use of gravity values of Korea and neighboring areas, in order to determine the flattening and gravity formula of the earth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gravity formula applicable to free air anomaly of Korea is γΦ =978033.67(1+0.005283574sin^4Φ )mgal and that to Bouguer anomaly is γΦ =978047.05(1+0.00543353sin^2Φ-0.000161749sin^4Φ )mgal 2. The flattening, calculated by the use of gravity values of Korea is 1/298.659. 3. It is thought that we can improve the regional property and accuracy of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by apply our results in the reorganization of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instruction.

      • KCI등재

        민사소송에서 증거신청과 증거채부에 관한 몇 가지 쟁점 사항 검토 - 증거에 관한 당사자권을 중심으로 -

        최광선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0 민사소송 Vol.24 No.3

        Under the adversary system, plaintiff and defendants are the subject of civil procedure with court. They are able to bring a lawsuit and make a performance of an action. To win the case, they should submit substantial evidence and attack adverse party’ evidence. Parties have rights to evidence such as statement of opinion on evidence, participation in evidence taking. The right of parties to evidence includes an opportunity to present evidences that are material for claims and issues of controversy. The right of parties to evidence is derived from Constitution although the right to be tried in conformity with the Act is a little unclear. In foreign coutries such as German, Japan, the right of parties to evidence is accepted under constitutionality. The illegally obtained evidence has competency of evidence? In the case of illegal telephonic wiretapping and recording, the question of evidence competency is adressed. Competency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 should be approached in terms of the parties right to the evidence. Each parties should have a chance for statement of opinion on evidence. Separate and particular legislation is required to solve the issue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 In some cases, even though the parties have filed for evidence, the judge rejects the evidence and does not give a reason. The party has the right to know why the request for evidence was dismissed. The judge should adresse the opinion on dismissed evidence. It is derived from the right of parties to evidence. This can be solved by changing the court practice without having to amend the law.

      • 중년기 여성이 보고하는 자아정체감의 변화 : 전업주부, 간호사, 교사에 대한 직종별 비교 Comparison among Housewives Nurses and School Teachers

        최광선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1997 社會科學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직종별 자아 정체감의 차이를 해명하려는 데 있다. 전업주부 및 여성의 전형적 직업이라고 간주되는 간호사와 교사에 한정하여 자아 정체감의 6가지 영역(신체감각, 시간적 전망, 자기 확신, 유능감, 세대성, 자기평가)을 지표로 할 때 중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자아 정체감의 변화의 차이를 검토하려고 한다. 직종에 따라 변화의 내용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보여졌다. 첫째로 전업 주부군에서는 가정외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지향하는 것이 가장 뚜렷한 변화로 드러났다. 둘째로 간호사군에서는 40대가 되어서도 자아 정체감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로 교사군에서는 학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상황과 자아 정체성의 변화가 서로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정체성은 개인에 따라 중요한 외적, 심리적 상황의 기반 위에서 존립하고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middle-aged women based on three occupational groups(housewives, nurses and school teachers) from viewpoint of the Erikson's concept of ego identity(1950).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5 women in their 40'2: 24 housewives, 21 nurses and 30 teach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ego identity changes were reported to occur in middle-age, and the nature of changes differed among the three groups: 1) housewives intended to get a new identity outside the home, because domestic roles were thought inappropriate as the bases of identity: 2) nurses tended to keep occupational identity built firmly in adolescence, and 3) identity changes among teacher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school. Second, the four patterns of ego identity changes were suggested: a) 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personal identity: b) un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personal identity: c) 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reconfirmation and continuance: and d) un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unable to change.

      • KCI등재

        공인회계사의 징계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사항 검토 : 대법원 2015. 9. 10. 선고 2015두43100 판결(미간행)을 중심으로

        최광선 大韓辯護士協會 2017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63

        본 사안은 단순히 보면 공인회계사 한명에 대한 징계에 관련되어 있지만 이 사안을 조금 더 자세히 검토해 보면 공인회계사에 대한 징계 절차 전반에 관련된 논점들이 숨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사안에서 문제된 공인회계사법 제48조의 징계사유 해석문제는 회계감사에 관하여 가장 중요한 법률인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과 「공인회계사법」의 관계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사안 이전의 금융당국의 관행은 외감법상 회계감사에 있어서 감사인(회계법인과 감사반)과 공인회계사의 조치 이유와 절차는 외감법에서 근거를 구하고 공인회계사에 대한 직무정지 이상의 징계절차에 대하여는 별도로 공인회계법에서 근거를 구하고 있었다. 본 사안에서 법원은 공인회계사의 외감법 위반 행위에 대하여 현재의 공인회계사법에는 근거가 없다고 판단하여 침익적 행정행위에서 법률유보 원칙을 명확히 선언하고 있다. 본 사안에서 직무정지의 처분을 할 때 공인회계사법 제48조 제1항 제2호에 기재된 징계처분의 근거사유인 “감사 또는 증명에 중대한 착오 또는 누락이 있는 때”라는 조항을 유심히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회계감사는 단순히 회계감사기준을 준수하는 것 이외에 회계감사의 품질관리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회계감사의 내용상 하자뿐만 아니라 회계감사와 관련된 제반사정에 있어서 중요한 착오가 있다면 징계사유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충분히 있다. 특히 법원이 본 사안을 최종 확정하였음에도 입법에는 전혀 변화가 없어 외감법상 직무제한을 받은 공인회계사가 고의이든 착오이든 다시 외감법상 회계감사를 수행한 경우 처벌의 공백이 있을 수 있다. 현재의 관행은 외감법상 조치사유에 약간 가중을 하여 조치하고 있으나 이 역시 준수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징계조치의 실효성이 떨어질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공인회계사법 제48조 제1항 제2호 조항의 해석론을 분명히 하든 아니면 향후 입법적 보완을 하든 외감법상 징계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법리적・정책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case is related to the overall disciplinary procedures for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Before this case, Practices of the financial authorities have authorized a separate disciplinary reasons and procedures of 「the Act on the Exteral Audit of Stock Company」 and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ct」. Especially disciplinary reasons and procedures on a suspension of performing CPA’s duties on the audit of 「the Act on the Exteral Audit of Stock Company」 had been based on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ct」. Supreme Court denied these Practices of the financial authorities. Since disciplinary reasons and procedures on a suspension of performing CPA’s duties on the audit of 「the Act on the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y」 was groundless, construction of other clauses or revision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ct」 will matter. Alternatively, it is important to concentrate on the construction of §48(1)2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ct」 “In which a material error or omission in the audit or attestation”. This §48(1)2 can be applied to the audit procedure on the violation of 「the Act on the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y」. Otherwise, the 「Certified Public Accountant Act」 is required to be revised to include the violation of 「the Act on the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y」

      • KCI등재

        소비자소송에서 증거수집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언

        최광선 한국소비자법학회 2021 소비자법연구 Vol.7 No.4

        In this article, I reviewed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vidence collection in consumer litigation. No matter how good lawsuit or class action system is, it is of no use if one can’t win the case. Evidence collection is of the utmost importance in winning a case. In fact, the perpetrators who inflict small amount, but a large number of victims are often large corporations. While they have sufficient data and evidence exclusively, it is difficult to independently collect evidence because most of small amount, but a large number of victims can’t defend themselves. This is called the structural maldistribution of evidence. One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allow victims to collect evidence on their own. Recognizing this point, the 21st National Assembly prepared an amendment to the Civil Procedure Act, mainly to introduce a procedure for investigating evidence before filing a lawsuit and to reinforce the order to produce document. In consumer litigation as a modern lawsuit, when the structural maldistribution of evidence is a problem, an order to produce document or a procedure for investigating evidence before filing a lawsuit is insufficient, and it is necessary to generally introduce an expert investigation system. Although the discovery system of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in U.S.A. has the aspect of bringing about a fundamental change in evidence collection, there were concerns about the side effects of litigation costs and delays in litigation. In order to introduce this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verall litigation system in Korea. The advantage of the discovery and jury system of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is that the facts are the clearest because adversary parties take the initiative in the litigation procedure. However, in Korea,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the method of collecting evidence. The introduction of an expert investigation system was limited to the case of modern lawsuit, and in this case, the subjectivity of evidence collection should be recognized by guaranteeing the parties’ right to participate in evidence procedure. 아무리 좋은 소송 또는 집단소송 제도라고 할지라도 소송에서 승소할 수 없다면 소용이 없다. 기판력의 확장이든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의 도입이든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라고 하더라도 승소판결을 받아야 제도가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소송에서 승소하기 위해서는 증거의 수집이 가장 중요하다. 사실 소액⋅다수의 피해를 입히는 것은 상당수 거대자본을 바탕으로 한 대기업이라고 할 것인데 이들은 충분한 자료를 독점적으로 가지고 있음에 반하여 소액⋅다수의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은 대부분 영세하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증거자료를 수집하기 어렵다. 이를 증거의 구조적 편재 현상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피해자들이 스스로 증거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종전에는 형사고소를 통하여 피해자들이 형사기록에 현출된 자료를 취득할 수는 있었으나 민사사건의 형사화 역시 그리 권장할 만한 것은 아니어서 민사사건에서 피해자들의 증거수집을 위한 제도가 다수 연구된 바 있다. 제21대 국회는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민사소송법 개정안을 마련하였는데 소제기 전 증거조사 절차를 도입하고 문서제출명령을 강화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법안은 종전에 증거개시와 수집에 대한 다년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다만 이 법안이 대한민국의 현실에 부합하는지, 실효성 있게 작동할지에 대하여는 좀 더 치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소비자소송에서 증거수집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먼저 소비자소송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소비자소송은 소비자 보호에 목적이 있는 소송이므로 소송형태는 부차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보호를 위한 소송의 종류를 구분하였다. 통상의 공동소송이나 선정당사자소송 등 민사소송법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는 종전의 증거조사 방법을 개선하면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 현대형 소송으로서의 소비자소송은 증거의 구조적 편재가 문제되는 경우에는 문서제출명령이나 소제기 전 증거조사 제도만으로는 부족하고 그에 더하여 전문가 조사 제도를 일반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미국, 독일, 일본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독일과 일본의 제도는 일반 민사소송법의 개선방향을 논할 때 유용한 측면이 있었으나 증거의 구조적 편재를 시정하는데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반면 미국의 제도는 증거수집에 있어서 근본적인 변혁을 가져오는 측면은 있으나 소송비용과 소송지연이라는 부작용이 우려되었다. 결국 차선책으로 전문가 조사제도를 제안한 이수진 의원안의 입법취지에 공감하였고 특허법이라는 특수한 분야에 국한되어서는 안되고 현대형 소송 전반에 적용되는 특칙으로서 기능해야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럼에도 변론주의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좀 더 바람직한 증거수집은 무엇인가에 대한 검토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증거의 수집을 단순히 법원의 주도에 맡기게 되면 변론주의의 취지는 퇴색하게 된다. 여기서는 현대형 소송의 경우로 제한하여 전문가 조사 제도의 도입을 주장하였고 이 경우에도 당사자의 참여권을 보장하여 증거수집의 주체성을 인정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의 변호사 대리제도에 관한 검토

        최광선 대한변호사협회 202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93

        L’avocat exerce par definition une profession liberale et indépendante quel que soit son mode d’exercice. Expert du droit, son rôle est de représenter ses clients devant la Juridiction. Tout citoyen même démuni a le droit d’être défendu par lui. Partenaire de justice et acteur essentiel de la pratique universelle du droit, l’avocat a vocation à intervenir dans tous les domaines de la vie civile. économique et sociale. L’avocat fournit à ses clients toute prestation de conseil et d’assistance ayant pour objet la mise en oeuvre des règles ou principes juridiques, la rédaction d’actes, la négociation et le suivi des relations contractuelles. Cependant, les parties peuvent se défendre sans avocat. L’article 18 du Code de Procédure Civile(‘CPC’) dispose que les parties peuvent se défendre elles-mêmes, sous réserve des cas dans lesquels la représentation est obligatoire. Sous le CPC, l’avocat exerce deux fonctions principales ; la représentation et l’assistance, Le mandat de représentation en justice emporte pouvoir et devoir d'accomplir au nom du mandant les actes de la procédure. C’est la représentation en justice avec avocat. Il ressort de l’article 411 du CPC que la mission de représentation dont est investi l’avocat consiste à endosser la qualité de mandataire. La mission d'assistance en justice emporte pouvoir et devoir de conseiller la partie et de présenter sa défense sans l'obliger. C’est l’assistance legale. Il ressort de l’article 412 du CPC que la mission d’assistance excercée par l’avocat consiste à conseiller son client, à assurer la défense de ses intérêts. En pricipe, la représentation par un avocat est obligatoire devant le tribunal judiciaire. Le justiciable y a l’obligation de se faire assister et représenter par un avocat. Le justicialble peut se défendre sans avocat pour les litiges de la vie quotidienne portant sur une somme inférieure à 10,000 Euro. Devant la juridiction d’exception comme le tribunal de commerce, le conseil de prud’hommes, le tribunal paritaire des baux ruraux), le tribunal des affaires de la sécurité sociale, le justiciable peut se défendre sans avocat et la représentation d’avocat est facultative. Il est nécessaire d'examiner le système juridique français et de rechercher les points utiles pour améliorer le système juridique coréen. 프랑스 변호사가 어떤 일을 하는지 보기 위하여 먼저 프랑스 민사소송 법원의 종류와 일반적인 민사소송절차를 개관하였다. 이를 통하여 변호사가 어떤 법원에서 어떤 방식으로 소송을 대리하는지 검토하였다. 변호사의 직무는 기본적으로 당사자의 주장을 법적으로 정리하고 서면을 작성하여 법관이 사건의 핵심을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당사자의 승소에 기여하는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이러한 대리의 방식이 보조의 형태와 재판상 대리의 형태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경우 단순히 소송대리라고 표현하고 있음에 비하여 프랑스는 소송절차가 서면절차와 구두절차로 나누어져 있는 점, 법원의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예외법원도 독특한 형태로 발전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와는 달리 소송대리라는 개념을 세부적으로 나누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프랑스에서는 자문의 영역을 변호사의 직무로 끌어들여 보조의 개념에 자문을 포함시켜 꾸준히 업무영역을 확대함은 물론 다른 자격사와 통합을 이끌어 왔다. 특히 변호사 제도의 개선을 지속적으로 행하여 왔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변호사 제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프랑스는 변호사와 하는 일이 비슷했던 대소사와의 통합 뿐 만 아니라 변호사의 업무의 일부인 법률자문 업무를 수행하는 법무상담사와의 통합도 이루어냈다. 이를 보면 변호사의 외연확장의 측면에서는 우리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의 법조유사직역은 변호사가 부족하던 시절 특수한 수요를 채우기 위하여 고안된 자격사이므로 변호사의 포괄적이면서도 전문적인 업무성격과 맞는지 의문이 들기 때문에 프랑스의 사례를 곧바로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프랑스 변호사 제도를 보면서 프랑스도 변호사의 숫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점, 업무영역 확대를 지속적으로 도모하였고 특히 기업 업무에 전문성을 기함으로써 경제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보면 이는 우리나라의 변호사도 참조할 부분이 아닌가 한다. 변호사의 숫자가 늘면 경제의 중추가 되는 곳에서 법률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전문성을 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고 법률시장의 세계화를 무시할 수는 없다. 프랑스는 유럽연합의 주축이므로 그에 대한 법률수요가 많다는 장점이 있어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상당한 언어장벽이 있어 어려움은 있으나 로스쿨 입학부터 해외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학생들을 교육시킴으로써 보다 국제경쟁력을 갖춘 변호사 양성의 기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점은 변호사시험 개혁과 관련하여 추후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비영리단체의 총회결의에 있어서 의안상정가처분에 관한 실무상 쟁점

        최광선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論叢 Vol.25 No.3

        Preliminary Injunction for Presentation of Agenda is an injunction that minor member of non-profit association claims Presentation of Agenda against non-profit association in case that executive committee of non-profit association denies the proposal of that minor member of non-profit association. Preliminary Injunction may also be effected in order to fix a temporary position against the disputed relation of right. In this case, such Preliminary Injunction shall be effected specially where intending to avoid a significant damage on a continuing relation of right or to prevent an imminent danger, or where other necessary reasons exist. Preliminary Injunction for Presentation of Agenda is issued by court when the existence of a petitioner’s right and the necessity or urgency should be proved. In case of Preliminary Injunction for Presentation of Agenda, association has a qualification for a petitioner. But practically representative of association can also have a qualification for a petitioner. In the future, that should be decided by Supreme Court. It can be a question that judicial review should be refrained since non-profit association has broad autonomy and can solve their own problem. Autonomy of association can influence on the existence of a petitioner’s right that include the interpretation of association’s own rules and bylaws. Possibilities of calling a general meeting within the period fixed by bylaws, resolving disputes autonomously and raising the efficiency of judicial procedur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necessity or urgency for issuing a Preliminary injunction, Preliminary Injunction for Presentation of Agenda is very efficient and effective method for dispute in general meeting. However - in some cases of the case. merit of lawsuit may be more significant. In addition to Preliminary Injunction for Presentation of Agenda, it is necessary to find means to resolve disputes from various angles. In case of Preliminary Injunction for Presentation of Agenda, if the decision on Preliminary Injunction is issued, the result of that decision should be concluded and determined. It is because there are no enough time and no legal interest for appeal in case of Preliminary Injunction for Presentation of Agenda. It is required that Supreme Court should record the legal cause(ration decidendi) in detail and disclose more decisions of court. 의안상정가처분은 비영리단체의 최고의결기구인 총회에서 비영리단체의 이사회 등집행기관이 소수회원(또는 소수사원)의 제안에 대한 의안의 상정을 거부하는 상황에서당해 소수회원(또는 소수사원)이 비영리단체를 상대로 의결제안 내용을 의제 또는 의안으로 상정할 것을 구하는 가처분이다. 의안상정가처분은 그 자체로 완결된 구제수단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총회의 의결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의결과 관련된 법적 문제가 항상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안상정가처분은 총회개최금지가처분과 동시에 고려될 수 있고 본안에서는 결의무효 사유로 기능할 수 있다. 의안상정금지가처분도 의안상정가처분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성질상 결의금지가처분과 동시에 신청된다. 의안으로 상정을 막아 달라는 취지와 결의도 하지 말아달라는 취지는 결국 같은 목적을 가지기 때문이다. 의안상정가처분의 쟁점은 크게 보면 ① 본안전 항변 ② 당사자적격 ③ 피보전권리의존재 ④ 보전의 필요성으로 정리된다. 의안상정가처분의 채무자적격에 대하여 아직 확립된 판례나 학설이 나오지는 않았으나 이론상으로는 단체(회사)만을 채무자로 삼는것은 가능하다. 다만 단체(회사)와 대표자(대표이사)를 모두 채무자로 삼는 사례도 존재하므로 실무상으로는 둘 모두 채무자로 삼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 본안전 항변으로서 흔히 비영리단체의 자율성으로 인한 사법심사의 한계가 문제된다. 피보전권리의 판단을 위하여 자치규범의 해석이 수반되는데 단체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대법원 판례의 법리는 피보전권리의 해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피보전권리에 있어서주주총회의안상정가처분은 주주제안권이라는 명확한 권리를 통하여 이에 대한 침해여부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피보전권리 존재를 판단할 수 있는 반면 비영리단체의 의안상정가처분은 자치규범의 해석에서 나오므로 피보전권리의 존재를 쉽게 판단할 수 없다. 보전의 필요성의 판단을 위하여 기간 내 총회소집 가능성, 자율적 타협의 가능성, 피신청인의 비용, 절차의 효율성 등이 고려되고 있다. 의안상정가처분은 총회의 의안상정에 있어 분쟁이 있을 경우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의안상정가처분 이후 본안에서의 쟁송방법이 더 중요한 경우도 많아 의안상정가처분 이외에 다양한 각도에서 분쟁을 해결할 수단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의안상정가처분 사례는 1심 법원의 가처분결정이 나면 그 자체로 승패가 결말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판단의 기준에 대한 예측가능성이 절실하게 필요함에도 상고심의판례를 보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법원 우선 결정의 이유를 자세히 적시하여 어떠한결론에 이른 근거와 기준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며 현재 보다 더 많은 1심 결정문을 공개하여 국민들에게 예측가능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프랑스 민사소송법상 합의에 기초한 분쟁해결 규정이 주는 시사점

        최광선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7 민사소송 Vol.21 No.1

        La résolution amiable des conflits est aujourd’hui enracinée dans le paysage procédural français. Les réformes législatives se suivent et s’empilent, ces dernières années, pour accompagner le développement de ce qu’il est commun d’appeler les modes alternatifs de règlement des conflits. Le décret du 20 janvier 2012 poursuit la construction d’un cadre commun pour garantir la qualité des processus extrajudiciaires de réglement amiable et l’efficacité de l’accord obtenu. Le décret précise le régime de la médiation et conciliation conventionnelles ainsi que de la convention de procédure participative. Un Livre Ⅴ du Code procédure civile est consacré à la “résolution amiable des différends” à l’initiative des parties. Les modes de résolution amiable des conflits sont promis à un bel avenir en France. Le décret du 20 janvier 2012, en leur réservant un livre entier dans le Code de procédure civile, constitue un pas important dans la législation française. Il renforce leur place à coté du système juridictionnel institutionnel, mais ne bouleverse pas les pratiques existantes. En Corée, l'intérêt des modes alternatifs de règlement des conflits s'intensifie de jour en jour. L’intégration dans le Code de procédure civiles des modes de la résolution amiable des différends comme la législation française ou l’institution du code général des ADR, c’est essentiel pour maintenir la uniformité des practiques et les interprétations du droit. Pour l’activation de ADR, le principe de la domination de la loi doit être respecté et la confiance en justice doit se rétablit par le juge et le pouvoir judicia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