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민심사절차에서의 채증 및 심리에 대한 개관 및 한국에의 시사점 -신빙성 개념을 중심으로

        강우현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3

        The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RSD) Process i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erson coming from another State is in danger of being persecuted in that State, often without any material evidence whatsoever. The peculiarities of RSD mean that a systematic method of evaluating the credibility of the testimony of the asylum-seeker, as well as the ability to examine each case from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is needed. The leading States in this field have in fact are trying to stop the credibility assessment from becoming simply an intuitive process based on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asylum-seeker, thoroughly examining the logic behind the acceptance or denial of credibility. Korea has tried its best to apply jurisprudence established in the leading nations to its own RSD process, but cannot escape the criticism that it in fact has relied on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asylum-seeker when judging whether he or she actually is a refugee. In particular, the Korean court’s stance toward credibility assessment, emphasizing external factors irrelevant to the facts of the case itself, such as the time of application or the mixture of economic motives, has the danger of corrupting the overall RSD process.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key issue of credibility assessment by looking into the jurisprudence that ha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in regards to preventing the process from becoming a mere assessment of impression and evaluate the practice of Korean courts on the premise that most of the jurisprudence mentioned above are actually standards to evaluate whether Korea is actually fulfilling the duty to protect human rights. 난민심사절차는 별다른 물적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 타국에서 온 이가 그 타국에서 실제로 박해를 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로서, 그 특성상 난민신청자의 진술에 대한 존중, 난민신청자의 관점에서 사건을 미래지향적으로 바라보는 능력과 더불어 진술의 신빙성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실제로 난민문제를 선도하여 온 국가들은 신빙성을 “난민신청자 본인이 얼마나 믿음직한지”의 문제로 포괄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벗어나, 단순히 “난민신청자의 난민 요건에 관한 진술이 신빙할 만한지”의 문제임을 인식함으로써 난민심사절차가 개인에 대한 인상평가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난민신청자의 유관 진술의 신빙성을 기각하거나 보강하는데 주로 활용되는 논거의 타당성을 계속 검토하고, 외적으로 그 신빙성을 보강하거나 기각하는 방법으로 국가상황정보의 활용에 대한 방법론을 지속 정립하여 왔다. 대한민국은 난민문제에 관한 한 후발국가로서, 나름대로 난민신청자 본인의 진술의 신빙성을 평가하기 위한 서구의 법리들을 수입하여 왔으나, 실제 실행에 있어서는 난민신청자 개인에 대한 인상평가에 의존하여 난민 여부를 판단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난민신청자의 신청의 시기라거나 경제적 동기의 혼재 등 박해의 객관적인 위험과 관련된 이유와 실질적으로 무관한 점들을 중시하는 법원의 태도는 난민면접절차의 형해화 및 전체적인 난민심사절차의 형식화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해 여타 선도국가들이 난민심사절차에서의 채증 및 심리에 대해 발전시킨 법리를 고찰한 후, 이들 법리 중 상당수가 대한민국의 인권보호의무 판단의 한 기준이 되었음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한국 법원의 실행을 평가하여 보기로 한다.

      • KCI등재

        광 추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시간 별 파프리카의 수광 및 광합성 속도 분포 예측

        강우현,황인하,정대호,김동필,김재우,김진,박경섭,손정익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8 No.4

        To estimate daily canopy photosynthesis, accurate estimation of canopy light interception according to a daily solar position is needed. However, this process needs a lot of cost, time, manpower, and difficulty when measuring manually. Various modeling approaches have been applied so far, but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estimate light interception by conventional metho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light interception and photosynthetic rate of paprika with time by using 3D-scanned plant models and optical simulation. Structural models of greenhouse paprika were constructed with a portable 3D scanner.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canopy light interception by surrounding plants, the 3D paprika models were arranged at 1×1 and 9×9 isotropic forms with a distance of 60 cm between plants. The light interception was obtained by optical simulation, and the photosynthetic rate was calculated by a rectangular hyperbola model.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canopy light interception of the 3D paprika model showed different patterns with solar altitude at 9:00, 12:00, and 15:00. The total canopy light intercep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surrounding plants like an arrangement of 9×9, and the decreasing rate was lowest at 12:00. The canopy photosynthetic rate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the canopy light interception, but its decreasing rate was lower than that of the light interception due to the saturation of photosynthetic rate of upper leaves of the plants. In this study, by using the 3D-scanned plant model and optical simulation,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light interception and photosynthesis of plant canopy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it can be an effective way to estimate accurate light interception and photosynthesis of plants. 작물의 일중 광합성량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일중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작물의 정확한 수광량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많은 시간, 비용, 노력이 소요되며, 측정의 어려움이 수반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으나 기존 방식으로는 정확한 수광 예측이 어려웠다. 본 연구의 목적은파프리카의 3차원 스캔 모델과 광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일중 시간 별 캐노피 수광 분포와 광합성 속도의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휴대용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온실에서 재배되는 파프리카의 구조 모델을 구축하였다. 주변 개체의 유무에 따른 캐노피 수광 분포의 변화를보기 위하여 작물 모델 별 간격을 60cm로 1×1, 9×9 정방형 배치하여 광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광합성 속도는 직각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3차원 파프리카 모델 표면의 수광 분포는 오전 9시, 정오, 오후 3 시의 태양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캐노피총 수광량은 9×9 배치로 주변 개체 수가 늘어남에 따라감소하였고, 태양 고도가 가장 높은 정오에서의 감소율이가장 적었다. 캐노피 광합성 속도와 CO2 소모량 역시 수광량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작물 상단부 엽의 광합성 속도 포화로 인해 수광량 변화에 비해 적은 감소율을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3차원 스캔 모델과 광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가상 환경 조건에서의 캐노피수광과 광합성 분포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는 추후 다양한 재배 조건에서 작물 수광량과 광합성 속도를 예측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Leaf Photosynthetic Rate, Growth, and Morphology of Lettuce under Different Fractions of Red, Blue, and Green Light from Light-Emitting Diodes (LEDs)

        강우현,박종석,박경섭,손정익 한국원예학회 2016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7 No.6

        Current LED-based artificial lights for crop cultivation consist of red and blue lights because these spectra effectively promote leaf photosynthesis. However, the absence of green light could be disadvantageous for crop production, as green ligh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lant develop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dding green light to different proportions of red and blue light would affect the leaf photosynthetic rate, growth, and morphology of lettuce plants. Plants were transplanted and grown hydroponically for 25 days under different combinations of red, blue (0, 10, 20, and 30%), and green (0 and 10%) light at 150 ± 15 μmol・m-2・s-1 of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The leaf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st under 80% red and 20% blue light and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green light and the absence of blue light. As the fraction of blue light increased, leaf size and plant growth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while the addition of green light considerably reduced the leaf photosynthetic rate, it did not reduce plant growth. In the absence of blue light, the plants showed symptoms of the shade avoidance response, which possibly enhanced their growth by improving their light interception. Therefore, the addition of 10% (15 μmol・m-2・s-1) green ligh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lettuce. Further study using higher intensities of green ligh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light on plant growth.

      • KCI등재

        우주폐기물 경감을 위한 국가들의 상당주의의무

        강우현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70 No.-

        Space objects launched by humans into outer space can become space debris through intentional destruction and malfunctions. This space waste may interfere with the space activities of other entities, such as colliding with other space objects in the course of orbiting, and may lead to the destruction of space objects. It is said that even space waste with a diameter of 1 cm can render a satellite useless. Scientists talk of the so-called Kessler Syndrome, in which the number of space debris could increase exponentially because the destruction of functional space objects by space debris leads to production of more space debris, which in turn destroys other satellites and space objects. From a legal point of view, existing treaties such as the Outer Space Treaty do not explicitly regulate space debris, and debris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future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space objects, especially the Outer Space Treaty. It is being formed in the form of non-binding norms such as the UN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However, Article IX of the Outer Space Treaty only imposes an obligation on the state to properly consider the space activities of other countries in space activities and to prevent ‘harmful contamination of space’. This Article argues that, although the existing international treaties related to space, such as the Outer Space Treaty or the Liability Convention, do not directly regulate the issue of space waste, general obligations such as the duty to consider appropriate considerations are addressed in the development of soft law. When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legal principle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norms related to the environment under general international law, it is possible to derive from international law a duty of due diligence of States to exercise their best efforts to reduce space waste. Such due diligence obligations are complemented and materialised through procedural obligations such as an obligation to conduct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bligation, and the obligation to notify and consult other States when there is a risk of significant harm to their activities in outer space. 우주공간에 인간이 쏘아 올린 우주물체는 의도적 파괴, 고장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별다른 기능을 하지 않는 우주폐기물(space debris)이 될 수 있다. 이 우주폐기물은 궤도를 도는 과정에서 다른 우주물체와 충돌하는 등 타 주체의 우주활동을 방해할 수 있고, 우주물체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1cm 지름의 우주폐기물조차도 위성 한 개를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다고 하며, 이렇게 우주폐기물이 우주폐기물을 양산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거쳐 우주폐기물이 결국에는 기하급수적으로 등장할 것이라는 이른바 케슬러신드롬(Kessler Syndrome)이 논의되기도 한다. 법적 측면에서, 외기권조약 등 기존의 조약들은 우주폐기물 등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며, 우주폐기물의 경감을 위한 규범이나 표준들은 주로 UN폐기물경감가이드라인과 같은 비구속적 규범의 형태로 형성이 되고 있다. 다만, 외기권조약 제IX조가 국가는 우주활동에 있어 타국의 우주활동을 적절히 고려하고, 우주의 ‘위해한 오염(harmful contamination)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무를 부과하고 있을 뿐이다. 본고에서는 비록 외기권조약이나 책임협약과 같은 우주 관련 기존 국제협약들이 우주폐기물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규율하고 있지는 않으나, 적절한 고려의무와 같은 일반적인 의무조항들을 연성법의 발달 그리고 지속가능한 개발원칙과 같은 후속 국제법상 원칙, 일반국제법상 환경 관련 국제규범의 발달 등의 맥락에서 해석해볼 때, 국가들이 우주폐기물의 경감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일종의 상당한 주의의무를 도출할 수 있으며, 동 상당한 주의의무는 일반국제법상 예방의무로부터 도출되는 환경영향평가의무, 통보 및 협의의무 등 절차적 의무에 의해 구체화되는 측면이 있음을 살펴볼 예정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약 관련 대통령 헌법개정안에 대한 평가-대통령과 국회 간 권한의 배분을 중심으로-

        강우현 한국법학원 2019 저스티스 Vol.- No.170-1

        On March 23, 2018, the Office of the President announced a proposal for an amendment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cluding a proposal to expand the scope of treaties which requires parliamentary approval for its conclusion to include “treaties designated by statutes to require approval of the National Assembly”. There has been continuing discussion on the issue of how the current Constitution distributes power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when it comes to concluding treaties, as well as what the adequate distribution would be in terms of policy; but the recent presidential proposal is unprecedented in both domestic discussions and foreign legislative examples. So a discussion is needed on the issue of whether the presidential proposal change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power, as well as the potential problems the proposal might cause. For an examination of this issue, the legal nature of parliamentary power stipulated in Article 60, Section 1 of the current Constitution needs to be clarified. While some writers have argued that the aforementioned article basically means that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jointly conclude treaties, such a view has no basis in the wording of Articles 60 and 73; the more correct view would be that the President exercises sole power in the conclusion of treaties, and that the meaning of parliamentary consent is basically a check on the president’s executive powers. The main reason for such a check is to prevent treaties that directly affect the rights and duties of the people from infringing upon the legislative pow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current Constitution has designated “treaties on topics that require legislation” for this reason. On this ground there is doubt on whether letting the National Assembly designate, by legislation, treaties that require its consent for its conclusion is really an adequate means for securing its legislative powers. Abuse of such powers can produce problems in the distribution of power. 2018.3.23. 청와대는 대통령 주도의 헌법개정안을 발표한 바 있는데, 해당 헌법 개정안에는 조약의 체결‧비준권에 대한 국회동의의 대상을 “법률로 정하는 조약”으로 확대하는 내용(개정안 제64조)이 담겨 있었다. 그동안 조약의 체결에 있어 대통령과 국회 간 권한배분이 현행 헌법상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정책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방식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러한 형태의 헌법 개정안이 제안된 적은 없었고, 유사한 해외 입법례도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당 조항이 구체적으로 △기존 헌법상의 조약체결권에 있어 대통령과 국회의 권한배분을 변동한 것인지, △권한배분에 있어 문제를 야기할 소지는 없는지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현행 헌법 제60조 제1항 소정의 국회 동의가 갖는 법적 성격을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현행 헌법에 대한 해석론을 명확하게 알아야만, 개정 헌법이 국회의 동의대상이 되는 조약의 범위를 확대한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헌법 제60조 제1항의 국회동의권을 국회와 정부가 합동으로 조약체결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국회동의권의 보다 적극적인 행사가 헌법상 요청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었으나, 헌법 제60조 제1항과 제73조의 문언에 비추어 이러한 견해는 타당하지 않고, 국회동의권은 대통령의 조약체결‧비준권에 대해 권력분립의 관점에서 일정한 국정통제권을 행사하는 것에 불과함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국정통제권을 행사하는 주된 목적은 국민의 권리의무에 영향을 미치는 조약이 국회의 입법권을 침해하는 현상을 사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헌법은 “입법사항에 관한 조약”을 국회동의의 대상으로 이미 삼고 있으며, 헌법 개정안에 대한 논의동향 역시 국회의 입법권 수호를 위해 제60조 제1항을 어떻게 보다 명확히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런데 기존 조약의 동의 대상을 명확히 하는 것 외에 국회가 어떤 조약에 대해 동의권을 행사할 것인지 법률의 형태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입법권의 수호의 관점에서 실익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국회의 상기 입법권의 남용으로 인해 권력분립의 관점 및 기술적 관점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