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색기후기금(GCF)의 법인격 관련 문제

        정민정(Min Jung Chu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12 서울국제법연구 Vol.19 No.2

        현재 외교통상부는 녹색기후기금(GCF)와 대한민국 정부 간의 본부협정 체결을 준비하고 있는데, 두 가지 법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하나는 국제기구의 국제법상 법인격과 본부협정 체결능력과의 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국내 법률의 제정이 필요한가 여부이다.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서는 녹색기후기금은 물론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와 향후 유치할 국제기구까지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가칭 “국제기구법”이라는 일반법을 제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한민국 정부가 녹색기후기금과의 본부협정 체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네 가지 법적 논점 (①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결정의 법적 성격, ② 법적 구속력이 없는 문서에 의한 국제기구 설립이 가능한지 여부, ③ 국제법인격의 취득시기와 ④ 국제법상 법인격과 본부협정 체결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해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① 해외사례, ② 국제법인격과 국내법인격의 관계, ③ 국제기구의 다양한 유형과 ④ 본부협정의 발효가 늦어지면서 나타나는 법적 공백의 문제, 그리고 ⑤ 국제기구의 비회원국 내에서의 국내법적 지위 문제와 같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볼 때, 국제기구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was committed to hosting the Secretariat of the Green Climate Fund (GCF) to spread the vision of green growth as an international asset. In this article, I will analyze the legal issues related to concluding a headquarter agreement with the GCF and the necessity of makin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aw, or a domestic law that would determine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entity within the domestic legal sphere. In order to do so, I will examine the international law for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draw upon a precedent of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 legal statu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provides such organizations with rights, privileges, obligations, and authority for the execution of its activities.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a different concept from the legal status of its member States. The status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essentially related to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can exercise the rights, privileges, obligations, and authority given to it explicitly or implicitly by member States. Generally,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the international juridical or legal personality, the legal capacity and the privileges and immunities (P & I). The constitutive instrument on which the GCF`s establishment is based, is the decision of the 2011 Conference of Parties (COP17)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f Climate Change (UNFCCC), which is a non-binding recommenda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rom the COP decision without an establishment agreement, it needs to be supplemented by the making of a national law and a headquarter agreement between the host state and GCF. Although the contracting parties have agreed to confer to the GCF legal personality, at this stage, the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of the GCF is only potential. It is only through the concrete exercise of its power independently from its members that the GCF may acquire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However, nothing prevent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generally considered as not possessing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from concluding international treaties, although the conclusion of treaties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oreover, the importance of headquarter agreements is rather limited as normally a host state provides for the legal personality in the domestic legal system, regardless of its membership in the organization.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and domestic legal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may possess international but not domestic personality, or the other way around. Nothing keeps a state from conferring domestic legal personality on an organization deprived of personality in international law. Further, there is fast-growing room where the constitutional rules on the relation between municipal and international law cannot answer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entity within the domestic legal sphere. Therefore, the crux of the matter remains the making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Law.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hat domestic legal personality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should derive directly from the enactment of domestic measures as much as possible, which would lessen a problem for the stability of its legal status.

      • KCI등재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해양오염의 규율을 위한 국제적 대응방안에 대한 검토 : 국제법을 통한 규범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민경(Min-kyung KIM),정서용(Suh-yong CHU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20 서울국제법연구 Vol.27 No.1

        해양쓰레기는 해양생태계에 심각한 환경, 건강 및 경제적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국가관할권 내외의 다양한 육상 및 해상 기인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국내 국제법적 문제를 제기한다. 이와 관련 해양쓰레기 중 특히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은 오늘날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해양생태계에서 플라스틱이 발견됨에 따라 먹이사슬과 생태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이중 가장 중요하게 조사된 것이 해양 및 담수 생태계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이다. 미세플라스틱 문제는 일반 플라스틱의 문제와는 다른 측면이 많이 있어서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국제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해양오염의 경우 무엇보다도 해양생태계에 대한 미세플라스틱으로부터의 피해를 제거하고, 영향을 최소화하며 근본적으로는 플라스틱에 대한 대체제 개발까지를 염두에 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문제해결에 대한 정책적 의지와 정치적 긴박성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해양 미세플라스틱 문제의 초국가성에 비추어 국제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가능한 거버넌스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문제 발생이 해양법의 영역 밖인 육상에서 그리고 국내법적 차원에서 기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문제해결에 대한 국제법 차원의 접근이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국제사회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새로운 국제법적 레짐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을 규율하기 위해 현재 다양한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국제사회의 노력을 평가하고 현행 국제법규범체계의 적용현황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현행 규범체계에 대한 대안으로 위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제품의 생산 및 소비에 대한 규제, 감시 및 국가 간 협력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법적 레짐 마련의 일환으로 새로운 포괄적 형태의 조약 체결 가능성에 대하여도 간략히 검토하였다. Marine debris creates serious environmental, health and economic problems for the marine ecosystem. In addition, it raises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gal issues because it can be caused by various land and sea origins within and outside the national jurisdiction. In this regard, marine pollution, especially plastics, has reached a serious level today. As plastics are found in marine ecosystem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n food chains and the healthy ecosystem, the most important of which is microplastic contamination of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The microplastic problem has many different aspects from the general plastic problem, which requires the renewed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olve it.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marine pollution caused by microplastics,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damage from microplastics to the marine ecosystem, minimize the impact, and fundamentally take measures to consider alternatives to plastic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political will and sense of urgency for solving the problem are not enough. In addition, in light of the supranational nature of the marine microplastic issues, it is necessary to have effective governance that enables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at the international level. At the same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whether international law-based approaches is possible for effective problem solving in view of the fact that microplastic pollution originates from land and it is under the national jurisdiction. Against such backdrop, today, it is urgently required to prepare a new international legal regime to cope with these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valuates the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are currently under way at various levels to regulate marine microplastic pollution. It also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s and regulations for microplastic pollution issues. Furthermore,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system, it briefly studies the feasibility of concluding a new comprehensive treaty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legal regime centered on regulating, monitoring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lastics and facilitating cooperations among countries.

      • KCI등재

        국제법의 가치지향적 연구방법에 대한 일고찰

        오병선(Byung Sun Oh) 서울국제법연구원 2011 서울국제법연구 Vol.18 No.2

        국제사회에서 국가들이 국제평화와 안전을 침해하는 행위를 하거나 국제분쟁을 야기할 때 이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국제법이 존재한다. 그런데 국가들이 국제법 규범의 적용과 그에 따른 분쟁해결절차를 불신하며 냉소를 보내거나 힘에 의존한 해결을 선호하는 현상이 잦아 국제법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국제법질서의 위기가 초래되는 원인을 몇 가지로 분석할 수 있다. 강대국을 비롯하여 많은 국가들이 국제법을 지나치게 정치적으로 인식하여 그 규범성에 신뢰를 부여하지 않으려 하는 점, 국제법질서 자체내에서 일어나는 국제법의 파편화, 그리고 국제법에 대한 회의주의 이론 등을 들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국제법의 위기의 이유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국제법의 규범력을 회복하는 방안으로 가치지향적 연구방법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라우터팩트의 자연법론적 접근론, 맥두갈의 정책중심적 접근론, 프랭크의 법가치중심적 접근론, 해롤드 고의 초국가적 법과정론 등과 같이 20세기의 중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영향력을 행사해왔던 다양한 가치지향적 접근론을 비교분석하고 그 이론들이 공통적으로 모색하는 국제법 규범의 신뢰회복 방안을 추출하려고 한다. 이러한 가치지향적 국제법연구방법이 공통적으로 보유하는 이론적 장점은 국제법의 권위와 규범력의 확보를 위하여 정의, 정당성, 권력, 통제 및 법적 논의과정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구성하는 이론적 틀을 수립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가치지향적 연구방법은 최근 제기되고 있는 국제법의 헌법화 논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가치지향적 방법이나 국제법의 헌법화 논의를 통하여 국제법에 권위와 통제를 회복하고 국제법의 신뢰와 준수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is aiming at analyzing the current crisis of international law and presenting how to overcome this problem by revitalizing certain value-oriented approaches to international law. Why many states tend to ignore the normative force of international law when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are at stake in dealing with international disputes.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for this lack of confidence toward international law. First. recent trend of fragmentation in international law may be a salient example to weaken the normative force of international law in general. Plural regional courts or special tribunals apply the same rule of international law differently though they deal with identical cases. Second, sceptical approaches to international law by international lawyers and scholars concerning the normative nature of international law may bring detrimental effects to the building block of international law. Game theory or rational choice theory recently reinforces these sceptical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law. In order to overcome the fall of confidence in international law, this paper attempts to reinvigorate an alternative approach by examining several contemporary value-oriented approaches to international law. Our focal lenses are on these: Hersh Lauterpacht`s emphasis on natural law, reason and human rights; Myres McDougal`s policy-oriented approach to international law which has emphasized power, control, authoritative decision-making process; Thomas Franck`s analysis on the legitimacy deficit and justice deficit in international law; Harold Koh`s new transnational law process which focuses on value and proces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aw. Through value-oriented approaches to international law we may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roots of compliance-pull of international law. Theoretically basic values in law along with legal process should be reexamined to ameliorate the behavior of states to comply with international law. Structurally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may be a new solution to averse the current trend of frag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Here it is worthwhile participating in recent debates for the introduction of hierarchical order in international law, consolidation of adjudicatory function in main judicial body, as well as the crucial agenda for reforming of UN system.

      • KCI등재

        우리 법원의 국제법 판결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정인섭(In Seop Chu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14 서울국제법연구 Vol.21 No.2

        국내 법원의 국제법 관련 판결은 국제법 연구에서 간과될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국내 판례에 대한 국내 국제법학계의 관심과 연구는 매우 저조한 수준으로 국내 판례에 대한 국제법적 관점에서의 평석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제법 학계는 국내법 전공자와 실무자들의 국제법에 대한 무관심과 무지를 한탄하면서도 이를 상대방이 알아들 수 있는 학술적 방법으로 표현하려는 노력은 미처 기울이지 않았다. 국내 법원 판결에 대한 국제법적 시각에서의 평석은 국제법 학계와 국내법 학계간의 학술적 대화의 통로이다. 국제법 학계가 이를 게을리 하면 국내 법학계 내에서 국제법학의 고립을 자초할 우려가 있다. 앞으로 국내 판결을 국제법적 시각에서 지속적으로 수집ㆍ정리ㆍ분석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하며, 이를 담당할 집단적 노력이 필요하다. The importance of case reviews in legal studies can not be overemphasized. It should be major task of international law scholars to review domestic courts decisions. Without it, balanced academic development between domestic law studies and international law studies can not be achieved in a certain country. However, international law scholars in Korea have not shown much interest in the study regarding domestic courts decisions so far. Korean legal journals have carried unbelievably small number of case review articles. Case reviews on domestic courts decisions by international law scholars are starting point for academic dialogue between domestic law scholars and international law scholars. Hosting regular seminars on this topic and the organization of core study group are deadly needed in Korean international law academic circles.

      • KCI등재

        일괄보상협정과 국제법상 강행규범의 관계

        강우현(Woo-hyun KA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20 서울국제법연구 Vol.27 No.1

        국가들 간의 양자적, 상호주의적 법률관계의 집합으로 관념되어 오던 국제법은, 국제공동체 전체의 이익보호를 위한 강행규범(peremptory norms of international law; jus cogens) 개념의 발전으로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이하 VCLT) 제53조에 따라 그와 배치되는 내용의 법규범을 무효화시킬 힘을 갖게 된 강행규범 개념이 국제법에 본격적으로 소개되게 되었고, 국제공동체 내에서 강행규범의 취지를 보다 확실히 실현하기 위한 목적론적 해석의 경향이 학계 내에 자리잡게 되었다. 상기 국가 위주의 국제법질서에서 외교적 보호는 국가의 간접손해, 즉 국가의 구성원인 개인의 손해에 대한 국가 고유의 권리로 관념되어 왔고, 이와 같은 맥락에서 피해국의 국적국은 이른바 ‘일괄보상협정(lump-sum agreements)’를 통해 자국의 국민이 타국에 대하여 입은 손해배상청구권을 자신의 임의대로 변제받고 소멸시킬 수 있었다. 국제인권법의 도입으로 개인 국제법에 따라 인권을 보장받는 주체일 수 있음이 확인되면서 국가가 개인의 청구권을 임의로 소멸시킬 수 있다는 관념 역시 도전의 가능성에 직면해 있다. 개인의 기본적 인권을 강행규범이 보호하는 국제공동체 전체의 이익으로 관념하는 관점에서 보면, 일괄보상협정의 실정성과는 별개로 이것이 개인의 인권을 지나치게 침해함으로써 결국 강행규범을 위반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은 충분히 들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제법상 강행규범의 법적 성격, 형성방식 및 그 효과에 대해 학계 그리고 실무계에 치열한 논쟁이 존재하고 있는 점, 강행규범으로 흔히 지적되는 의무들이 1차규칙과 관련된 의무인 반면 이로 인해 초래되는 손해배상의무는 2차규칙상의 의무라는 점에서 양자가 차원을 달리하는 점 등을 고려하면, 강행규범과 일괄보상협정의 관계를 고찰함에 있어서는 조금 더 정교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그 전제로서 강행규범이 형성되는 방식 및 그 효과에 대한 일반론을 보다 정교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이러한 검토를 전제로 하여 일괄보상협정과 국제법상 강행규범과의 관계를 다각도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선 “강행규범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을 보장하는 규범 그 자체가 국제법상 강행규범을 구성하는지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강행규범을 보호가치를 중심으로 관념한다면, 강행규범 위반으로 인해 가치가 훼손되었을 때 야기되는 손해를 전보할 의무 역시 그 강행규범이 요청하는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논리도 전개해볼 수 있다. 반면 강행규범을 그 효과를 중심으로 관념하는 견해에 의한다면, 손해배상에 관한 국제법규들에 (실체적 금지규범과는 별도로) 이탈불가능성이라는 특성이 내재되어 있는지를 별도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강행규범 위반으로부터 야기되는 국가책임에 관한 2차규칙들, 내지는 강행규범의 내용을 이루는 여타 국제인권법 규범으로부터 일괄보상협정의 내용을 통제할 방법은 없는지에 대해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인권의 본질을 침해하지 아니할 의무, 그리고 국가의 기본적인 인권보호의무로부터 일정한 통제규범을 도출하려 시도할 것이다. The traditional bilateralist conception of international law is indeed showing signs of chang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alled “peremptory norms of international law”, a set of non-derogable norms designed to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In the traditional bilateralist world, diplomatic protection was thought of as a unique right of states on the basis of the damages of its constituents, and governments were able to dispose of rights of individuals to compensation through so-called lump-sum agreements. With the advent of individual rights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its emergence as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so-called “fundmental valu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me argue that these lump-sum agreements, state-centric in nature, are indeed violations of jus cogens norms guaranteeing basic human rights. However, a more subtle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jus cogens norms and lump-sum agreements is needed, taking into account the variety of opinions that exist on the legal nature of international peremptory norms and its effects, as well as the dichotom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norms. This paper aims to 1)undertake a thorough examination of how jus cogens norms are formed and what its effects might be, and 2)and embark on a mult-faceted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us cogens norms and lump-sum settlement agreement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ight to reparation by victims of jus cogens violations are themselves jus cogens will be addressed, as well as the question of whether even if these rights are not per se jus cogens, the way governments limit them through lump-sum agreements may sometimes be violations of jus cogens.

      • KCI등재

        해방직후 주한미군정의 국제법적 성격

        안준형(Jun-hyeong AHN) 서울국제법연구원 2018 서울국제법연구 Vol.25 No.2

        그 동안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1910-1945), 미·소 군정(1945-1948), 한국전쟁(1950-1953) 등의 역사적 굴곡을 겪으면서 헤이그 육전규칙이 채택된 1899/1907년 이래 수차례에 걸쳐 외국의 ‘점령’을 경험한 바 있다. 각각의 경우 그 역사적 진행과정이나 정치사적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수많은 논의들이 있어 왔으나, 그 국제법적 성격과 적법성에 대한 규범적 평가는 깊이 있게 논의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한반도 점령의 특수성과 그에 따른 국제법적 지위에 관한 기존 논의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이어서 미국의 점령에도 불구하고 국제법상 이전이 허용되지 않는 ‘기존 주권’의 귀속 주체가 누구인지, 그와 같은 경우 미국에 의한 점령의 국제법적 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949년 제네바 제4협약 제2조는 그 적용범위에 어떠한 예외도 설정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제7조에서는 교전국 간에 체결된 어떠한 특별협정도 조약상 부여된 권리를 제한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독일과 일본 및 한반도에서의 ‘변형적 점령’ 사례는 오늘날 더 이상 유효한 선례로 작용한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점령의 특수성과 그 규범적 특성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국제점령법의 발전과정에 대한 여러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논의는 일정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Until now, The Korean Peninsula has undergone several times of foreign occupation by experiencing historical flexures such as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1910-1945), the US-Soviet Union’s military governments(1945-1948) and Korean War(1950-1953) since 1899/1907, when the Hague Regulations were adopted. In each case, there have been a lot of discussions about its historical progress and meaning of politics history, but the normative evaluation of its legal nature and legality in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has not been discussed in depth. This study, above all,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iscussions on the specificity of the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international legal status. Then, this study examined who is the attribution subject of the "existing sovereignty" that is not allowed to be transferred under the international law despite the US occupation, and, in such a case, investigated how the international legal nature of occupation by the United States can be understood. As Article 2 of the Fourth Geneva Convention in 1949 sets no exceptions in its scope and moreover, in Article 7, no special agreement between the belligerents adversely restricts the rights granted by the convention, the cases of "transformative occupation" in Germany, Japan, and the Korean peninsula will no longer be a valid precedent. Nevertheless, this discussion may find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there are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process with regard to the international law of occupation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the specificity and normativ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정책에 대한 국제법적 평가

        안준형(Jun-hyeong AHN),김은비(Eun-bee KIM) 서울국제법연구원 2019 서울국제법연구 Vol.26 No.1

        2005년 9월 이스라엘 군병력의 철수를 계기로, 국제사회에서는 가자지구가 여전히 이스라엘의 점령지역이라고 볼 수 있는지, 이스라엘과 가자지구 사이에 어떠한 법체계가 적용되는지 등과 같은 가자지구의 법적 지위에 관한 논란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가자지구에서의 군병력 철수를 계기로,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주민들에 대한 법적의무를 부인하거나 그 범위를 감소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표면상으로 이스라엘은 그 정부에게 가자지구 주민들의 “필수적인 인도주의적 요구”를 충족시킬 의무가 존재한다고 하면서도, 가자지구 정책은 사실상 이들이 갖는 일체의 권리를 부인하는 것이었다. 가자지구에서의 철수 이후, 이스라엘은 주민들이 그 생존에 필요한 물자와 장비를 수령하려는 활동과 여타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전제가 되는 ‘이동의 자유’를 광범위하게 제한해 왔으며, 가자지구 주민들의 다양한 생활요소에 깊숙이 개입하여 상당한 수준의 지배력을 행사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자지구의 법적 지위에 관하여 이스라엘과 국제사회의 관점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정책과 그 적법성을 평가하는 기준에 있어서도 논자에 따라 견해가 대립되고 있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정책이 국제법에 부합하는 것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자지구가 여전히 점령지역에 해당하는지, 가자지구에 어떠한 법체계가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문제가 명확히 해명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검토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대하여 부담하는 국제법적 책임과 의무를 규명해 보고, 가자지구에 대한 정책의 적법성을 평가하였다. Since the withdrawal of Israelis from Gaza in 2005, there have been debates as to whether Gaza is still occupied by Israel and what kind of legal regime can be applied to Gaza. Since the evacuation of military forces from Gaza, Israelis have put efforts in denying or reducing legal obligations towards Gaza inhabitants. In addition, while Israelis have advocated that the Palestinian Authority needs to fulfill ‘essential humanitarian needs’ of Gazans, their policies have denied all of the authorities they have. Moreover, Israelis have restricted the ‘freedom of movement’ that is at the core for obtaining materials for survival and achieving Gazans’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rights; and control Gazans’ lives deeply in various sectors. Nevertheless, there is a perspective gap between Israel and international society on the legal status of Gaza; thus, there is controversy in evaluating the legality of Israeli policies on Gaza. In order to assess the legality of Israel, one needs to account for whether Gaza is still occupied by Israel and what kind of legal regime can be applied. Therefore, this paper explains the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of Israel toward Gaza within international law and evaluates the legality of Israeli policies on Gaza.

      • KCI등재

        헌법 제6조 1항상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의 국내 적용 실행

        정인섭(CHUNG In-seop) 서울국제법연구원 2016 서울국제법연구 Vol.23 No.1

        헌법 제6조 1항은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고 규정하여, 관습국제법의 국내수용을 표시하고 있다. 그간 한국 사법부에서 이 조항의 적용 실행을 분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관련 판례의 분석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관습국제법은 이를 국내법화 하는 별도의 입법조치 없이 직접 국내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 판결의 근거로 적용된 사례도 적지 않다. 단 헌법재판소에서는 아직까지 관습국제법으로 인정된 사례가 없었다. 둘째, 사법부가 관습국제법의 국내적 위계를 직접적으로 설시한 판례는 없으나, 대체로 국내 법률과 같은 효력으로 본다고 해석된다. 셋째,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에 해당하기 위해 한국의 적극적 승인은 필요 없다고 추정된다. Article 6, paragraph 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ays “Treaties duly concluded and promulga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generally recognized rules of international law shall have the same effect as the domestic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cases of the application of “the generally recognized rules of international law” by Korean court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may be summarized like followings: ① Customary international law may be directly applied as part of domestic law in Korean courts. So far there is no case, in which customary international law has been appli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However, other judicial courts, including the Supreme Court, delivered many cases by applying customary international law. ② The status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s considered same as the act establish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ough Korean judicial branch has not declared this point clearly so far. ③ It is considered that positive recognition by Korean Government is not required to be “the generally recognized rules of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대한국제법학회의 창설과 초기 활동

        정인섭(CHUNG In-seop) 서울국제법연구원 2017 서울국제법연구 Vol.24 No.2

        본고는 대한국제법학회의 창립 과정과 초기 활동에 관한 정리이다. 대한국제법학회는 1953년 6월 16일 국내 최초의 법학회로 창립되었다. 당시 한국은 일본과의 식민지배 청산문제, 평화선 문제 등 다양한 국제법적 현안을 갖고 있었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보다 조직적인 대처를 위해 외무부 직원들의 제안으로 학회 창설이 준비되었다. 초기 학회는 국제법 전공자들의 학술모임이라기 보다, 한국의 대외관계에 관심을 갖는 다양한 유력자들의 집합소와 같은 존재로서 각계의 유력인사들이 회원으로 참여했다. 대한국제법학회는 1956년 국내 법학회 최초로 학술논총을 발간하기 시작했고, 1950년대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학술행사를 진행했다. 이러한 초기 활동들이 오늘의 한국 국제법학회를 이룬 밑받침이 되었을 것이다. 다만 학회의 여러 초기 기록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현재 학회에서 공간된 초기사에 관한 자료내용 중 일부가 오류임이 발견되었다. 시정이 필요한 사항이다.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the first academic organization in law field in Korea, was established on June 16, 1953, when Korean War was not finished ye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social background and actual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At that time Korea was faced with many international law issues, including the re-opening diplomatic relation with Japan after the colonial rule as well as the Peace Line dispute with Japan. Senior officers i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uggested to found the academic organization to study and prepare such pending issues of Korea together. As this proposal drew attention from people in all sorts of backgrounds, not only law scholars but also people in business circle, practicing lawyers, public officers, politicians and leading journalists supported this idea and joined the Society. Social need made it possible to organize the Society during Korean War.

      • KCI등재

        우주자원의 탐사·채취·이용에 대한 국제법적 규율 관련 주요 국제법적 쟁점과 관련 논의 동향

        강우현(Woo-hyun KA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21 서울국제법연구 Vol.28 No.2

        지구상의 자원의 고갈 그리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대두되는 시점에서, 우주에 있는 자원을 활용해보고자 하는 구상이 최근에 대두되고 있다. 현재의 기술로서는 대규모 자원채취를 경제성 있게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추후 기술 발전에 따라 이는 또 하나의 경제적 게임체인저(game-changer)로 대두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우주자원의 탐사, 채취, 이용을 국제법적으로 규율할 필요성은 미국이 ‘상업우주발사경쟁력법(Commercial Launch Competitiveness Act)’을 제정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동법의 제4편인 ‘우주자원의 탐사 및 이용’편(Space Resource Exploration and Utilization)에서, “이 절에 따라 소행성자원 또는 우주자원의 상업적 채굴을 한미합중국 국민은 취득한 모든 소행성자원 또는 우주자원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그러한 권리는 미합중국의 국제적 의무를 포함하여 적용가능한 법에 따라 획득한 소행성 자원 또는 우주자원을 소유, 운송, 사용 및 판매할 권리를 포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이는 우주자원의 전유금지원칙을 규정한 기존의 외기권조약(Outer Space Treaty)에 부합하는지의 문제, 그리고 이러한 활동이 가능하다고 했을 때 어떠한 국제법적 규율의 틀이 적용되고 있고 또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근본적인 외교적, 규범적 질문을 던지는 주제이다. 본고에서는 우주자원의 탐사, 채취, 이용 등은 그 자체로는 외기권조약상 전유금지원칙 등에 위반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활동은 외기권조약 제IX조상 타국의 상응하는 이익을 고려할 의무 등 외기권조약상 제반 의무의 제약을 받게 되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원칙(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와 연계지어 이를 해석해보면 국가들은 상기 우주자원 관련 활동의 장기지속성을 도모하기 위해 일반적인 주의의무를 부담함을 논증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UN외기권평화적이용위원회(United Nations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UNCOPUOS)를 비롯한 관련 국제사회의 논의도 이러한 흐름에 따르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아르테미스 약정(Artemis Accords)의 서명국이자 UNCOPUOS 회원국으로서 우리는 이를 염두에 두고 우리의 입장을 수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At a time when the problem of depletion of resources on earth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emerging, the idea of using resources in space is emerging recently.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economically realize large-scale resource extraction with the current technology, the possibility that it will emerge as another economic game-changer cannot be ruled out as technology develops in the future. Amidst this backdrop, som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Luxembourg and Japan, are adopting national legislation allowing private entities to engage in space-resource related activities, raising legal questions as to the compatibility of such legislation with international law, such as Article II of the Outer Space Treaty on non-appropriation of outer space. This also raises difficult diplomatic and legal questions on how to regulate such activities, which leads to the question of how one should define the legal nature of outer space. This article argues that even though the exploitation, exploitation and use of space resources cannot be deemed as itself unlawful under existing international law, the principle of sustaianble development, read together with other obligations under the Outer Space Treaty, imposes upon States an obligation to ensure that activities under their jurisdiction are conducted in a way that ensures long-term sustainability of such activities. The relevant discussions in the United Nations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UNCOPUOS) also basically follow this logic. Korea should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when forming its position on this issue, and participating in various international for a such as the Working Group on the Potential Legal Models for the Exploration, Exploitation and Use of Space Resources established under the Legal Subcommittee of UNCOPUOS at its 60th Session in 202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