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울출판인포럼' 초청-문화관광부 신현웅 차관과의 만남
대한출판문화협회,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대한출판문화협회 1998 출판저널 Vol.235 No.-
신현웅 문화관광부 차관은 지난 4월 14일 오전 조선호텔에서 가진 '서울출판인 포럼' 조찬회에 참석, 출판인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문화부 내 출판관련 부서를 두루 거치면서 평소 출판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던 신차관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좋은 책을 읽고 펴내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정부가 최대한 뒷받침을 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출판계 위기상황과 관련한 출판인들의 궁금증을 신차관과의 대화를 통해 들어본다.
대한출판문화협회,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대한출판문화협회 1992 출판저널 Vol.98 No.-
우리 출판계는 세계 10위권의 출판량을 기록하는 양적인 성장과 함께 점차 다양한 분야로 전문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출판관련단체들의 수도 늘고 있으며 활동 역시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상태다. 이 단체들은 첫째 출판에 관한 이론의 체계화를 위한 연구사업을 펼치는 연구단체, 둘째 유통이나 편집.출판정책 등 출판계 안팎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그 개선책을 토론하는 단체, 그리고 해당분야 전문 출판사들의 정보교환과 출판의 활성화를 주된 목적으로 구성된 것들로 그 성격이 크게 대별된다. 현재 활발한 사업전개로 출판 흐름을 돕고 있는 이들 17개 단체들의 성격과 그간의 성과 그리고 올해의 중점사업을 알아본다. 이미 출판계를 대표하는 단체로 널리 인식된 대한출판문화협회.한국출판협동조합.한국출판금고 등의 공익단체와 간행물윤리위원회.한국출판연구소 등은 제외한다.
대한출판문화협회,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대한출판문화협회 1992 출판저널 Vol.110 No.-
1987년 7월 20일자로 창간해 이번호로 꼭 110호를 발행하면서 5주년을 맞게 된 "출판저널"은 책의 문화를 자극하고 가꾸는 보람 속에 지난 시간을 보내왔다. 이 보람은 단순히 "출판저널"만의 노력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유관 단체들의 적극적이고 끊임없는 서원에 힘입은 것이 사실이다. 창간 5주년 기념호를 발행하면서 출판관련기관 단체장들의 애정어린 평가와 격려, 충고의 말씀을 듣고자 지면을 마련했다.
대한출판문화협회,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대한출판문화협회 1998 출판저널 Vol.237 No.-
누구나 만화를 좋아하지만 선뜻 만화를 권하는 이는 드물다. 만화를 겨냥한 잣대는 엄격하고, 부정적인 폐해만을 염려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만화의 문화적 의미는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거니와, 출판과 대중문화의 어엿한 장르로, 새로운 부가가치산업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이제 만화에서 펼쳐지는 새로운 세계에 안심하고 뛰어들어도 좋을 듯하다. 만화평론 활동을 하고 있는 8인이 '좋은 만화' 5종씩 추천했다. 그 가운데 이두호의 "임꺽정"은 5인에게 추천돼,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우리 역사를 다룬 시대물이면서, 묵선을 응용한 필치와 아름다운 우리말 사용이 장점으로 꼽혔다. 또 시사만화가 박재동의 "목 긴 사나이"도 4인에게 동시 추천을 받았다. 날카로운 풍자와 애정어린 시선으로 바라본 삶이 잘 녹아 있다는 평. 추천한 만화 가운데 일본 작품도 5종이나 돼 만화대국으로서 면모를 과시했다. 유일하게 유럽만화로 꼽힌 "쥐"는 퓰리처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우리 출판계에 드문 유럽만화의 또다른 시장 가능성을 열어보인다.
박천홍,Park, Cheon-Hong 대한출판문화협회 1998 출판저널 Vol.244 No.-
책에는 살아 있는 한글이 담겨 있다. 오늘의 출판문화에서 한글의 운명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출판저널"은 한글날을 맞아 각 출판사들의 한글 사용실태와 문제점을 짚어보기 위한 특집 앙케트를 실시했다. 인문.사회.어린이.과학기술 분야의 49개 단행본 출판사와 금성출판사.두산동아.삼성출판사 등 전집물 출판사, 그리고 건국대.서울대.성균관대.이화여대 출판부 등 총56개 출판사가 설문에 응답했다.
대한출판문화협회,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대한출판문화협회 1992 출판저널 Vol.112 No.-
문화부가 이 달의 문화인물로 선정한 우현 고유섭은 미학을 바탕으로 미술사를 연구한 우리나라 최초의 미술사가이다. 그는 1905년에 태어나 1944년 작고할 때까지 일제강점기라는 불운의 근대사를 살며 그 길지 않은 생애를 한국미술사연구에 바침으로써 우리나라 미술사학의 초입에 가장 높은 봉우리로 우뚝 서있다.
대한출판문화협회,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대한출판문화협회 1998 출판저널 Vol.240 No.-
학문의 기초와 문화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대학출판부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적 지평을 넓히기 위해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학교 고유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기획력을 발휘하여 많은 양서를 출간하고 그를 바탕으로 특성화된 전문출판사로 성장하고 있다. 주어진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는 국내 몇몇 대학출판부의 활동 내용을 소개한다.
김연수,Kim, Yeon-Su 대한출판문화협회 1998 출판저널 Vol.243 No.-
(재)한국출판연구소(이사장 윤청광)는 지난 10일, 주한프랑스대사관, 대한출판문화협회(회장 나춘호)와 공동주최로 (프랑스의 도서유통)을 주제로 한 제13회 출판포럼을 열었다. 이날 행사는 프랑스 도서수출공사(Centre d' Exportation du Livre Francais)의 전무이사 뱅상 마르티씨의 주제 발표와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으로 이뤄졌다. 이 자리에는 나춘호 대한출판문화협회 회장, 파트릭 따이양디에(주한프랑스대사관 문화과학협력 참사관)씨를 비롯하여 김종수(한울 대표).박철준(전 도서신문 기자) 등 지정토론자 및 김경희(파주출판단지조합 유통위원장), 허창성(한국출판유통 대표)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프랑스 출판업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마르티씨의 발표 내용을 정리해 싣는다.